KR101668950B1 -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950B1
KR101668950B1 KR1020150064097A KR20150064097A KR101668950B1 KR 101668950 B1 KR101668950 B1 KR 101668950B1 KR 1020150064097 A KR1020150064097 A KR 1020150064097A KR 20150064097 A KR20150064097 A KR 20150064097A KR 101668950 B1 KR101668950 B1 KR 101668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ulley
case
holes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영
Original Assignee
최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영 filed Critical 최수영
Priority to KR1020150064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9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9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는 회전 가능한 도르래를 수납하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다수의 도르래부들;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일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나머지를 고정하는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고정부; 일단에 밸크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에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는 제1 밴드부; 일단에 밸크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는 제2 밴드부; 및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제1, 2 고정부가 서로 근접되도록 견인력을 형성하는 상기 조임끈을 갖는 견인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FUNCTIONAL WAIST BEL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T}
본 발명은 기능성 허리복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견인력을 형성하는 다수의 도르래부를 플라스틱 사출물에 위치시켜 조립함으로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견인력 형성시 견고함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리 보호대는 복대 또는 요대라고도 불리우며, 일반적으로는 스판덱스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넓은 폭으로 형성하고, 그 선단부에 버클이나 나일론재 접착포를 봉재하여 허리에 착용하고, 허리를 압박하면서 폭 넓게 받쳐줌으로써 허리를 똑바로 펴진 상태로 편안하게 만들어 주어 통증이 없는 상태로 보호하는 의료 보조기구이다.
그러나, 종래의 허리 보호대는 그 재질에 따라 늘어나는 성질이 있어 임산부, 배가 많이 나온 사람 등에는 적합하지만 허리 디스크와 같은 척추에 이상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허리를 똑 바로 펴주어야 하므로 늘어나는 성질이 있는 스판덱스 재질의 허리 보호대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허리보호대는 앞쪽에서만 조임하도록 된 것이므로 허리를 반듯하게 받쳐주기 위해서는 허리 뒤쪽에서 척추와 허리를 잇는 선을 넓은 폭으로 받쳐주기 위한 구조의 허리보호대가 필요하였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146563호에서 로울러(36)(36')에 당김줄(37)을 지그재그로 걸되, 일측 연결대(31')의 중앙부측으로부터 인출된 상기 당김줄(37)의 양단(38)(38')을 조임밴드(40)에 연결하여서 된 후방조임구(30)로 구성하여 조임밴드(40)를 당겨주면 허리 뒤쪽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 요대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각 로울러들을 연결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당김줄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조립 불량 및 조립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 및 제품의 품질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도르래를 사용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견인력을 형성하는 다수의 도르래 모듈을 플라스틱 사출물에 위치시켜 조립함으로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견인력 형성시 견고함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는, 회전 가능한 도르래를 수납하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다수의 도르래부들;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일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나머지를 고정하는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고정부; 일단에 밸크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에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는 제1 밴드부; 일단에 밸크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는 제2 밴드부; 및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제1, 2 고정부가 서로 근접되도록 견인력을 형성하는 상기 조임끈을 갖는 견인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르래부는, 중심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조임끈이 걸리는 도르래;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면부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이 모두 이루어지는 하나의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면부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한 쌍의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면부 및 타측면부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도르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부들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일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하부 고정케이스; 와 상기 제1 하부 고정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상부 고정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나머지를 고정하는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하부 고정케이스; 와 상기 제2 하부 고정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상부 고정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의 제조방법은, 조임끈과,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고정부를 준비하고, 회전 가능한 도르래를 수납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도르래부를 상기 제1, 2 고정홈들의 개수만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2 고정홈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도르래부들을 상기 조임끈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임끈에 연결된 도르래부들을 상기 제1, 2 고정홈들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도르래부는, 중심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조임끈이 걸리는 도르래와,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고정홈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도르래부들을 상기 조임끈에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 케이스의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을 끼워 상기 도르래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납하고, 상기 조임끈을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납된 상기 도르래에 걸치면서 상기 도르래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조임끈이 연결된 도르래를 수납한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도르래부를 조립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도르래부들을 상기 조임끈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조임끈에 연결된 도르래부들을 상기 제1, 2 고정홈들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조임끈이 연결된 도르래부들을 상기 제1, 2 하부 고정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제1 고정홈들 및 제2 고정홈들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조임끈을 제1 관통홀들 및 제2 관통홀들을 통해 관통시키는 단계; 와 상기 도르래부들이 안착된 제1, 2 하부 고정케이스를 각각 제1 상부 고정케이스 및 제2 상부 고정케이스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도르래를 사용하여 허리에 가해지는 견인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견인력을 형성하는 다수의 도르래 모듈을 플라스틱 사출물에 위치시켜 조립함으로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견인력 형성시 견고함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수의 도르래부들이 조임끈에 연결된 상태로 제1 고정부의 제1 하부 고정케이스와 제2 고정부의 제2 하부 고정케이스에 고정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고정부의 제1 하부 고정케이스와 제1 상부 고정케이스가 결합된 상태 및 제2 고정부의 제2 하부 고정케이스와 제2 상부 고정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도르래부(3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도르래부(311)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르래부들 각각의 하부 케이스에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 각각을 조임끈에 연결되는 흐름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다수의 도르래부들이 조임끈에 연결된 상태로 제1 고정부의 제1 하부 고정케이스와 제2 고정부의 제2 하부 고정케이스에 고정 배치된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제1 고정부의 제1 하부 고정케이스와 제1 상부 고정케이스가 결합된 상태 및 제2 고정부의 제2 하부 고정케이스와 제2 상부 고정케이스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는 제1, 2 밴드부(110, 120), 제1, 2 고정부(210, 220), 다수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 견인력부(400)를 포함한다.
제1, 2 밴드부(110, 120) 각각은 일단에 밸크로(미도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2 밴드부(110, 120)는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일정의 폭을 갖는 것이 좋고, 일정 이상의 신축성 및 통기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밴드부(110)의 타단에는 제1 고정부(2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밴드부(120)의 타단에는 제2 고정부(220)가 설치될 수 있다.
다수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은 각각 회전 가능한 도르래를 수납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 각각은 중심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조임끈이 걸리는 도르래,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다수의 도르래부들에 대한 실시예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1 고정부(210)는 다수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 중 일부(305, 306, 307, 308, 309, 310, 311)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211a)들과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211b)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210)는 다수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 중 일부(305, 306, 307, 308, 309, 310, 311)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211a)들과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211b)들이 형성된 제1 하부 고정케이스(211)와, 제1 하부 고정케이스(2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상부 고정케이스(212)를 포함한다.
제2 고정부(220)는 다수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300, 301, 302, 303, 304, 305)를 고정하는 제2 고정홈(221a)들과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221b)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부(220)는 다수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300, 301, 302, 303, 304, 305)를 고정하는 제2 고정홈(221a)들과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221b)들이 형성된 제2 하부 고정케이스(221)와, 제2 하부 고정케이스(221)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상부 고정케이스(222)를 포함한다.
견인력부(400)는 단부에 형성된 손잡이(410)와, 상기 손잡이(410)에 연결되어 손잡이(4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제1, 2 고정부(210, 220)가 서로 근접되도록 견인력을 형성하는 조임끈(420)을 구비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은 중심홀(328)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조임끈(420)이 걸리는 도르래(미도시)와,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도르래의 중심홀(328)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322)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20)와, 하부 케이스(3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324)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320)의 일측면부에 조임끈(420)의 인입 및 인출이 모두 이루어지는 하나의 도르래 관통홀(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임끈(420)은 하부 케이스(320)의 일측면부에 형성된 하나의 도르래 관통홀(322)을 통해서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 각각이 조임끈에 연결되는 과정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부들(300 내지 309) 각각은 중심홀(338)이 형성되며 외주에 조임끈(420)이 걸리는 도르래(336)와, 회전축(337)이 형성되며 회전축(337)에 도르래(336)의 중심홀(338)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도르래(336)가 수납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30)와, 하부 케이스(33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334)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330)의 일측면부에 형성된 도르래 관통홀은 조임끈(42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것으로 한 쌍의 도르래 관통홀(332, 333)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도르래부(3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2의 도르래부(310)는 제1 고정부(210)의 제1 하부 고정케이스(211) 상 제1 고정홈(211a)에 고정되며, 중심홀(350)이 형성되며 외주에 조임끈(420)이 걸리는 도르래(미도시)와,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도르래의 중심홀(350)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40)와, 하부 케이스(34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346)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340)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조임끈(42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340)의 일측면부 및 타측면부에 각각 형성되는 관통홀(342, 344)일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도르래부(311)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2의 도르래부(311)는 제1 고정부(210)의 제1 하부 고정케이스(211) 상 제1 고정홈(211a)에 고정되며, 중심홀(368)이 형성되며 외주에 조임끈(420)이 걸리는 도르래(미도시)와,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도르래의 중심홀(368)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360)와, 하부 케이스(36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366)를 포함한다. 이때 하부 케이스(360)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조임끈(42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것으로 하부 케이스(360)의 일측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362) 및 타측면부에 형성되는 관통홀(미도시)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 각각의 하부 케이스의 측면부들에 조임끈(420)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된 것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르래부(311) 각각의 하부 케이스의 측면부들 즉, 제1 측면부(360a)에 2개의 관통홀(362, 3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측면부(360b)에 하나의 관통홀(365)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3 측면부(미도시)에 조임끈(420)이 인입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르래 관통홀 구조의 하부 케이스를 갖는 도르래부들을 사용하게 되면,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도르래부들 각각의 하부 케이스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허리복대의 제조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조임끈(420)과, 제1 고정홈(211a)들이 형성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211b)들이 형성된 제1 고정부(210)와, 제2 고정홈(221a)들이 형성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221b)들이 형성된 제2 고정부(220)를 준비하고, 회전 가능한 도르래를 수납하며 조임끈(420)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도르래부를 상기 제1, 2 고정홈들의 개수만큼 준비한다(S10).
이에 더하여 각각 일단에 밸크로(미도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 2 밴드부(110, 120)와, 제1, 2 밴드부(110, 12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며 조임끈(420)과 연결되는 손잡이(4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1, 2 고정홈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도르래부들을 상기 조임끈에 연결한다(S20).
상기 도르래부는, 중심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조임끈이 걸리는 도르래와,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 고정홈(211a, 221a)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도르래부들을 상기 조임끈에 연결하는 과정에 대한 예시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a)단계에서는 하부 케이스(330)의 회전축(337)에 도르래(336)의 중심홀(338)을 끼워 도르래(336)의 하부 케이스(330)에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b)단계에서는 조임끈(420)을 하부 케이스(330)에 수납된 도르래(336)에 걸치면서 도르래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도록 한다.
(c)단계에서는 상부 케이스(334)를 조임끈(420)이 연결된 도르래(336)를 수납한 하부 케이스(330)와 결합하여 도르래부를 조립한다. 이러한 (a)단계 내지 (c)단계를 반복하여,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을 조임끈(420)에 연결한다.
이렇게 조임끈(420)에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이 연결된 후, 조임끈(420)에 연결된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을 제1, 2 고정홈(211a, 221a)들에 고정시킨다(S30).
이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고정부(210)는, 제1 고정홈(211a)들이 형성되며 조임끈(420)이 관통되는 제1 관통홀(211b)들이 형성된 제1 하부 고정케이스(211)와, 제1 하부 고정케이스(211)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상부 고정케이스(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고정부(220)는, 제2 고정홈(221a)들이 형성되며 조임끈(420)이 관통되는 제2 관통홀(221b)들이 형성된 제2 하부 고정케이스(221)와, 제2 하부 고정케이스(221)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상부 고정케이스(222)를 포함한다. 제1, 2 고정부(210,22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임끈(420)에 연결된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을 제1, 2 고정홈(211a, 221a)들에 고정시키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조임끈(420)이 연결된 도르래부들을 제1, 2 하부 고정케이스(211, 221)에 각각 형성된 제1 고정홈(211a)들 및 제2 고정홈(221a)들에 안착시키면서 조임끈(420)을 제1 관통홀(211b)들 및 제2 관통홀(221b)들을 통해 관통시킨다. 이를 예시한 도면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은 제1, 2 고정부(210, 220) 상의 제1, 2 고정홈(211a, 221a)들에 고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 고정부(210)의 제1 고정홈(211a)들에는 도르래부들(305 내지 311)이 고정되고, 제2 고정부(220)의 제2 고정홈(221a)들에는 도르래부들(300 내지 304)이 고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르래부들(300 내지 311)이 안착된 제1, 2 하부 고정케이스(211, 221)를 각각 제1, 2 상부 고정케이스(212, 222)와 결합한다. 이에 대한 예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제1 상부 고정케이스(212)는 제1 하부 고정케이스(211)의 상단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상부 고정케이스(222)는 제2 하부 고정케이스(221)의 상단에 볼트(미도시)를 체결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어, 제1 밴드(110)의 타단에 제1 고정부(210)를 연결하며, 제2 밴드부(120)의 타단에 제2 고정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제2 밴드부(120) 상에 조임끈(420)과 연결되는 손잡이(4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410)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제1, 2 고정부(210, 220)가 서로 근접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제조 방법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도르래를 제1, 2 고정부에 직접 회전되도록 고정하지 않고,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도르래를 수납하여 하나의 모듈로 제작하여 이를 조임끈에 연결한 후, 제1, 2 고정부에 끼움 고정 설치함으로서, 조립 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제 1 밴드부
120 : 제 2 밴드부
210 : 제 1 고정부
211 : 제1 하부 고정케이스
212 : 제2 상부 고정케이스
220 : 제 2 고정부
221 : 제2 하부 고정케이스
222 : 제2 상부 고정케이스
300 ~ 311 : 도르래부
400 : 견인력부
410 : 손잡이
420 : 조임끈

Claims (11)

  1. 중심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조임끈이 걸리고 회전 가능한 도르래와,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하나의 모듈로 각각 제작된 다수의 도르래부들;
    상기 조임끈으로 연결된 상태의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일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조임끈으로 연결된 상태의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나머지를 고정하는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고정부;
    일단에 밸크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에 상기 제1 고정부가 설치되는 제1 밴드부;
    일단에 밸크로가 부착되며 사용자의 허리를 감싸도록 가요성을 갖고 타단에 상기 제2 고정부가 설치되는 제2 밴드부; 및
    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상기 제1, 2 고정부가 서로 근접되도록 견인력을 형성하는 상기 조임끈을 갖는 견인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면부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이 모두 이루어지는 하나의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면부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한 쌍의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일측면부 및 타측면부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도르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측면부들에 상기 조임끈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 관통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일부를 고정하는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하부 고정케이스; 와
    상기 제1 하부 고정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상부 고정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다수의 도르래부들 중 나머지를 고정하는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하부 고정케이스; 와
    상기 제2 하부 고정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상부 고정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
  9. 조임끈과,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고정부를 준비하고, 중심홀이 형성되며 외주에 조임끈이 걸리고 회전 가능한 도르래와, 회전축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이 끼워져 내부공간에 상기 도르래가 수납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하는 도르래 관통홀이 형성된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여 하나의 모듈로 제작된 도르래부를 상기 제1, 2 고정홈들의 개수만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하부 케이스의 회전축에 상기 도르래의 중심홀을 끼워 상기 도르래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납하고, 상기 조임끈을 상기 하부 케이스에 수납된 상기 도르래에 걸치면서 상기 도르래 관통홀을 통해 관통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를 상기 조임끈이 연결된 도르래를 수납한 상기 하부 케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도르래부를 조립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제1, 2 고정홈들의 개수에 해당하는 개수의 도르래부들을 상기 조임끈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임끈에 연결된 상태의 도르래부들을 상기 제1, 2 고정홈들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청구항 9에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되는 제1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1 하부 고정케이스와, 상기 제1 하부 고정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1 상부 고정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조임끈이 관통되는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하부 고정케이스와, 상기 제2 하부 고정케이스의 상단에 결합되는 제2 상부 고정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조임끈에 연결된 도르래부들을 상기 제1, 2 고정홈들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상기 조임끈이 연결된 도르래부들을 상기 제1, 2 하부 고정케이스에 각각 형성된 제1 고정홈들 및 제2 고정홈들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조임끈을 제1 관통홀들 및 제2 관통홀들을 통해 관통시키는 단계; 와
    상기 도르래부들이 안착된 제1, 2 하부 고정케이스를 각각 제1 상부 고정케이스 및 제2 상부 고정케이스와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허리복대의 제조방법.
KR1020150064097A 2015-05-07 2015-05-07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68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97A KR101668950B1 (ko) 2015-05-07 2015-05-07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097A KR101668950B1 (ko) 2015-05-07 2015-05-07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950B1 true KR101668950B1 (ko) 2016-10-24

Family

ID=57256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097A KR101668950B1 (ko) 2015-05-07 2015-05-07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9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604U (ko) * 1996-12-17 1998-09-15 박대식 요대
US20010034498A1 (en) * 2000-02-07 2001-10-25 Heyman Arnold M. Orthotic device and methods for limiting expansion of a patient's chest
KR200362859Y1 (ko) * 2004-06-28 2004-09-22 대 식 박 착탈식 허리보호대
KR101425522B1 (ko) * 2012-06-28 2014-07-31 하병욱 척추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7604U (ko) * 1996-12-17 1998-09-15 박대식 요대
US20010034498A1 (en) * 2000-02-07 2001-10-25 Heyman Arnold M. Orthotic device and methods for limiting expansion of a patient's chest
KR200362859Y1 (ko) * 2004-06-28 2004-09-22 대 식 박 착탈식 허리보호대
KR101425522B1 (ko) * 2012-06-28 2014-07-31 하병욱 척추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693B1 (en) Segmented orthosis with a pulley mechanism for fitting adjustment
TWM330826U (en) Pull string adjusting type waist-protecting restraint belt
KR101550223B1 (ko) 요대
US9668904B2 (en) Segmented orthosis with a pulley mechanism for fitting adjustment
US20220400328A1 (en) Wearable Waterproof Audio Device and SmartWatch Necklace Headphones
TW201127314A (en) Zipper for luggage
KR101668950B1 (ko) 기능성 허리복대 및 이의 제조 방법
US8429798B1 (en) Fastening device
US10477972B2 (en) Assembling structure of support device of a chair
CA2458545A1 (en) Girth strap device
JP5598099B2 (ja) 椅子のクッション体製造方法及びクッション体を備えた椅子
CN217591803U (zh) 抗拉型宠物胸背带
CN208160701U (zh) 固定防脱腹带
CN211751009U (zh) 一种眼部按摩器的绑带结构
CN219646500U (zh) 穿刺针固定器
KR20180002541U (ko) 로프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결속장치
CN212088350U (zh) 一种抽绳带
CN213029812U (zh) 一种调节式防护护膝
CN220212038U (zh) 一种不易变形的领带
CN212186006U (zh) 一种可矫正身形的沙发用靠枕
CN214414131U (zh) 一种实用运动卫衣
CN216932254U (zh) 一种吊床扣绳
CN215537660U (zh) 一种深静脉置管整理装置
KR200416247Y1 (ko) 착용이 간편한 브래지어
CN207152007U (zh) 一种护腰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