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23B1 - 요대 - Google Patents

요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23B1
KR101550223B1 KR1020130124425A KR20130124425A KR101550223B1 KR 101550223 B1 KR101550223 B1 KR 101550223B1 KR 1020130124425 A KR1020130124425 A KR 1020130124425A KR 20130124425 A KR20130124425 A KR 20130124425A KR 101550223 B1 KR101550223 B1 KR 101550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uxiliary
velcro
tighten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596A (ko
Inventor
전대일
조만익
Original Assignee
전대일
조만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대일, 조만익 filed Critical 전대일
Priority to KR102013012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23B1/ko
Publication of KR20130122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30Pressure-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및 후방에서 확실한 조임이 가능한 요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요대는, 제1 보조벨크로를 구비하는 제1 밴드와, 제2 보조벨크로 및 주벨크로를 구비하는 제2 밴드와, 제1 밴드 및 제2 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여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보조조임부와, 보조조임부에 결합되어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임줄과, 조임줄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요대{WAIST BELT}
본 발명은 요대에 관한 것으로 확실한 조임이 가능한 요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대는 폭이 넓은 띠의 양단에 버클 또는 양단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를 봉제하고, 상기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허리의 둘레를 감싸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요대는 버클 또는 양단의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앞쪽(등쪽이 아닌 배쪽)에서만 조일 수 있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이는 허리 디스크 환자와 같이 척추 질환을 갖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허리 디스크 환자와 같이 척추 질환을 갖는 사용자는, 허리를 지지하기 위해서 요대의 연결 부분을 등쪽으로 돌린 후 그 양단부를 결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1586호 (공고일자: 2006년 11월 2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요대의 전방 및 후방 모두에서 조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한 조임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요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요대는, 제1 보조벨크로를 구비하는 제1 밴드와, 제2 보조벨크로 및 주벨크로를 구비하는 제2 밴드와, 제1 밴드 및 제2 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여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보조조임부와, 보조조임부에 결합되어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임줄과, 조임줄의 단부와 연결되고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대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밴드 및 제2 밴드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보조조임부는, 제1 밴드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부재와, 제2 밴드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조임줄은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회전 가능한 다수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조임줄은 롤러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요대의 전방 및 후방 모두에서 조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한 조임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요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대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1에 예시된 요대의 1 밴드 및 제2 밴드에서 보조조임부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보조조임부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대(1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에 예시된 요대의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에서 보조조임부(150)가 분리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보조조임부(150)의 내부 구조를 예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요대(100)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와,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여서 사용자의 등쪽을 조일 수 있게 하는 보조조임부(150)를 포함한다.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의 일 단부에는 벨크로 테이프(114, 134, 136)가 구비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배쪽을 조일 수 있다. 또한,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의 타 단부에는 보조조임부(150)가 결합하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의 등쪽을 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요대(100)는 사용자의 배쪽을 먼저 조인 후 보조조임부(15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등쪽을 조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확실한 조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는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 사용자의 허리 둘레에 밀착된다. 제1 밴드(110)는 둘레부(112) 및 결합부(118)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2 밴드(130)도 둘레부(132) 및 결합부(138)를 구비한다.
제1 밴드(110)의 둘레부(112)는 결합부(118)에 비해 작은 폭을 갖는 부분으로서, 그 중앙에는 보조벨크로(114)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벨크로(114)에는 보조조임부(150)의 손잡이(180)가 결합된다. 그리고 제1 밴드(110)의 내측에는 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어 있어서 제2 밴드(130)의 주벨크로(136)와 결합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서 사용자의 배쪽 부분이 결합된다.
제1 밴드(110)의 결합부(118)는 제1 밴드(110)의 일 단부에서 큰 폭을 갖고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결합부(118)에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12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22)에는 보조조임부(150)의 제1 부재(152)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제2 밴드(130)의 둘레부(132)는 결합부(138)에 비해 작은 폭을 갖는 부분으로서, 그 중앙에는 보조벨크로(134)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벨크로(134)에는 보조조임부(150)의 손잡이(180)가 결합된다. 그리고 둘레부(132)의 타 단부에는 주벨크로(136)가 형성되어 있다. 주벨크로(136)는 제1 밴드(1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벨크로 테이프(도시하지 않음)와 결합한다.
제2 밴드(130)의 결합부(138)는 제2 밴드(130)의 일 단부에서 큰 폭을 갖고 형성된 부분에 해당한다. 결합부(138)에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14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기(142)에는 보조조임부(150)의 제2 부재(162)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보조조임부(150)는 제1 밴드(110)의 결합부(118) 그리고 제2 밴드(130)의 결합부(138)에 각각 결합하여서, 사용자의 등쪽을 배쪽에서 용이하게 조일 수 있게 한다. 보조조임부(150)는 제1 부재(152), 제2 부재(162), 조임줄(170) 및 손잡이(180)를 포함한다.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에 각각 결합한다. 그리고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는 조임줄(17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조임줄(170)의 양단부(172)는 각각 손잡이(180)에 연결되어 있다. 손잡이(180)가 제2 부재(16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조임줄(170)의 당겨지면서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손잡이(180)를 조절하여 요대(100)의 등쪽이 조임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 부재(152)는 제1 밴드(110)의 결합부(118)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커버(153), 결합공(154), 롤러(156) 및 롤러축(158)을 구비한다.
제1 부재(152)에는 결합공(154) 및 롤러축(158)이 형성되어 있고, 롤러축(158)에는 롤러(15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부재(152)에는 제1 커버(153)가 결합된다. 도 3은 제1 부재(152)에서 제1 커버(153)를 제거한 상태를 예시한다.
결합공(154)에는, 결합부(118)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22)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1 부재(152)는 제1 밴드(110)의 결합부(118)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롤러축(158)은 제1 부재(152)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이다. 롤러축(158)에는 롤러(15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부재(152)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축(158)의 개수는 제2 부재(162)에 형성되어 있는 롤러축(168)의 개수에 비해 1개 많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조임줄(170)은 도 3과 같이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를 상호 연결한다.
제2 부재(162)는 제2 밴드(130)의 결합부(138)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커버(163), 결합공(164), 롤러(166) 및 롤러축(168)을 포함한다. 제2 부재(162)는 제1 부재(152)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에 해당한다.
제2 부재(162)에는 결합공(164) 및 롤러축(168)이 형성되어 있고, 롤러축(168)에는 롤러(16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부재(162)에는 제2 커버(163)가 결합된다. 도 3은 제2 부재(162)에서 제2 커버(163)를 제거한 상태를 예시한다.
결합공(164)에는, 결합부(138)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142)가 결합된다. 이로 인해, 제2부재(162)는 제2 밴드(130)의 결합부(138)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롤러축(168)은 제2 부재(162)에서 상향 돌출 형성된 돌기이다. 롤러축(168)에는 롤러(166)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임줄(170)은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를 상호 연결하고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조임줄(170)에 의해서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의 간격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조임줄(170)은 도 3과 같이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 개의 롤러(156, 166)를 모두 통과한 후 제2 부재(162)의 외측으로 그 양 단부(172)가 돌출된다. 제2 부재(162)에서 돌출된 양 단부(172)는 손잡이(180)에 연결된다.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에는 조임줄(170)이 2가닥 이상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12개 가닥의 조임줄(17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물론,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를 연결하는 조임줄(170)의 가닥 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 부재(162)에서 돌출되어 손잡이(180)와 연결되는 조임줄(170)의 양단부(172)는 두 가닥으로 되어 있다.
손잡이(180)는 조임줄(170)의 양단부(172)와 결합하는 것으로, 그 좌우 이동에 의해서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의 간격 즉,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 사이의 간격이 조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요대(100)에서, 손잡이(180)를 우측으로 당기면,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의 간격 즉,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든다. 이와는 반대로,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를 각각 상호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의 간격, 즉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고, 이에 연동하여 손잡이(18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손잡이(180)의 내면에는 벨크로 테이프에 해당하는 접합부(182)가 구비되어 있다. 손잡이(180)를 이용하여 요대(100)에서 사용자의 등쪽을 조인 후, 손잡이(180)를 보조벨크로(114, 136)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여 위치 고정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요대(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요대(100)를 허리 둘레에 착용하기 이전에는 도 1과 같은 상태에 있다. 이때,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는 일정 간격으로 떨어져 있다. 그리고 손잡이(180)는 제2 부재(162)에 최대한 인접한 상태에 있는데, 이 경우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게 이격된 상태에 해당한다.
도 1의 상태에 있는 요대(100)를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감싸도록 착용한다. 이때, 보조조임부(150)가 사용자의 허리 쪽에 배치되도록 한다. 제1 밴드(1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벨크로 테이프(도시하지 않음)는 제2 밴드(130)의 주벨크로(136)에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벨크로(136)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배쪽을 조이는 것은, 탄탄한 조임이 아닌 다소 느슨한 1차 조임에 해당한다.
주벨크로(136)를 이용한 1차 조임 후, 사용자는 등쪽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조임부(150)의 손잡이(180)를 잡은 후 제2 부재(16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긴다. 이로 인해, 조임줄(170)이 당겨지면서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의 간격 즉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180)를 측 방향으로 당겨서 제1 부재(152) 및 제2 부재(162) 사이의 간격 조정을 통해서 사용자의 등쪽을 조이는 것은, 탄탄한 조임에 해당하는 2차 조임에 해당한다.
손잡이(180)를 원하는 위치까지 당겨서 보조조임부(150)를 조인 후, 제1 밴드(110)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벨크로(114) 또는 제2 밴드(130)의 둘레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벨크로(134)에 부착하여 위치 고정한다.
그리고 요대(100)를 풀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180)를 보조벨크로(114, 134)에서 분리하여 제1 밴드(110) 및 제2 밴드(130) 사이의 간격을 벌린 후 주벨크로(136)를 분리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요대 110: 제1 밴드
112: 둘레부 114: 보조벨크로
118: 결합부 122: 결합돌기
130: 제2 밴드 132: 둘레부
134: 보조벨크로 136: 주벨크로
138: 결합부 142: 결합돌기
150: 보조조임부 152: 제1 부재
153: 제1 커버 154: 결합공
156: 롤러 158: 롤러축
162: 제2 부재 163: 제2 커버
164: 결합공 166: 롤러
168: 롤러축 170: 조임줄
172: 양단부 180: 손잡이
182: 접합부

Claims (3)

  1. 제1 보조벨크로를 구비하는 제1 밴드와, 제2 보조벨크로 및 주벨크로를 구비하는 제2 밴드;
    상기 제1 밴드 및 제2 밴드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보조조임부;
    상기 보조조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는 조임줄; 및
    상기 조임줄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중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 및 제2 밴드는 다수 개의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조임부는, 상기 제1 밴드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2 밴드에 형성된 상기 결합돌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임줄은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요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 및 제2 부재는 회전 가능한 다수 개의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조임줄은 상기 롤러의 둘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대.
  3. 삭제
KR1020130124425A 2013-10-18 2013-10-18 요대 KR101550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25A KR101550223B1 (ko) 2013-10-18 2013-10-18 요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425A KR101550223B1 (ko) 2013-10-18 2013-10-18 요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96A KR20130122596A (ko) 2013-11-07
KR101550223B1 true KR101550223B1 (ko) 2015-09-04

Family

ID=4985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425A KR101550223B1 (ko) 2013-10-18 2013-10-18 요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22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24B1 (ko) 2016-02-12 2018-03-07 유디텔주식회사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KR20230068504A (ko) 2021-11-11 2023-05-18 전병국 백 부착이 가능한 허리의 상태에 따라 조임 가능한 요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342B1 (ko) * 2014-11-07 2016-08-19 주식회사 창대 앉는 자세 교정장치
KR200484239Y1 (ko) * 2014-11-13 2017-08-17 박유호 온열 및 저주파 치료가 가능한 허리견인 보호대
KR101636518B1 (ko) 2015-03-25 2016-07-05 이성종 이중 잠금 기능을 갖는 허리벨트
KR101638138B1 (ko) * 2015-07-27 2016-07-08 이노엘에스티 주식회사 허리 보호대
KR102166171B1 (ko) * 2019-02-28 2020-10-15 정양담 요추밀착형 허리견인벨트
KR102172812B1 (ko) * 2020-01-17 2020-11-02 이광은 체형 맞춤형 허리벨트
KR102176197B1 (ko) * 2020-06-17 2020-11-09 임정환 신속성과 조작성이 강화된 다기능 환자 고정끈
KR102520619B1 (ko) * 2022-01-24 2023-04-10 전병국 허리 지지력이 향상된 군용 배낭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18B1 (ko) 2006-09-28 2008-02-01 강욱 허리보호대
KR101006758B1 (ko) 2008-06-20 2011-01-10 유실근 복합식 척추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18B1 (ko) 2006-09-28 2008-02-01 강욱 허리보호대
KR101006758B1 (ko) 2008-06-20 2011-01-10 유실근 복합식 척추보호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924B1 (ko) 2016-02-12 2018-03-07 유디텔주식회사 압박감 및 밀착감 향상을 통해 치료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허리 지지대
KR20230068504A (ko) 2021-11-11 2023-05-18 전병국 백 부착이 가능한 허리의 상태에 따라 조임 가능한 요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596A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223B1 (ko) 요대
US20160197436A1 (en) Cable tether system
US6666363B2 (en) Shoulder and luggage strap
AU2012240521B2 (en) Adjustable brace apparatus
US10238161B1 (en) Adjustable strap for hat
US20100173757A1 (en) Double-functional band member for dumbbell component and dumbbell component using the same
US6428167B1 (en) Eyewear with ponytail holder
US6808099B2 (en) Sternum strap attachment
JP6296811B2 (ja) 腰用サポータ
US6138287A (en) Straps for swimming/diving goggles
TWM551934U (zh) 多功能面罩
US7013497B1 (en) Strap-securing device
JP2002315768A (ja) 姿勢矯正具
JP2007143762A (ja) 顔面装着具および顔面装着具用バンド
JP3166611U (ja) 格闘技用グローブ
CN217961241U (zh) 一种可快速拆卸的护具
KR101188188B1 (ko) 뒷머리 헤어 밴드
JP3034248B1 (ja) 和装用前板
CN220777589U (zh) 连接带结构和可穿戴设备
CN215992786U (zh) 一种腰部塑形带
JP3076389U (ja) フリーサイズ帽子
JP3142227U (ja) ゴーグル
JP6670537B2 (ja)
KR200387187Y1 (ko) 혁대
JP6088119B1 (ja) バッ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