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6002B1 - 코 부착용 장치 - Google Patents

코 부착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6002B1
KR102566002B1 KR1020210006147A KR20210006147A KR102566002B1 KR 102566002 B1 KR102566002 B1 KR 102566002B1 KR 1020210006147 A KR1020210006147 A KR 1020210006147A KR 20210006147 A KR20210006147 A KR 20210006147A KR 102566002 B1 KR102566002 B1 KR 102566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nose
user
connecting ba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6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3494A (ko
Inventor
정성주
Original Assignee
정성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주 filed Critical 정성주
Priority to KR1020210006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600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3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3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6Magnetotherapy using magnetic fields produced by permanent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4Magnetotherapy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 부착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는 거치부 및, 콧등을 기준으로 거치부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코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자기력을 전달하는 자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 부착용 장치{device for nose attachment}
본 발명은 코 부착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코에 자기력을 작용시켜 코골이, 비염, 축농증, 초기 코감기 등의 코 질환을 완화할 수 있는 코 부착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골이나 비염 등의 호흡기 질환은 정상적인 호흡을 방해하게 되므로, 수면 무호흡증 등의 수면 장애를 유발하고,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조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호흡기 질환 중 코골이는 목 안쪽 근육의 긴장이 약화되거나 편도선의 심한 비대와 긴 목젖과 처진 연구개로 인하여 정상적인 호흡을 하지 못할 때 발생하며, 코골이 개선 방법은 생활습관을 개선하는 요법, 연구개 등을 제거하는 수술적 요법, 구강 장착용 보조기구를 수면시에 착용하는 요법 등을 사용한다. 반면 비염을 치료하는 방법은 컴프레서,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페니실린, 스테로이드를 코에 주입하거나 약물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호흡기 질환 치료방법 중 보조기구를 사용하는 비수술적 요법은 고가의 장비를 구입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고, 생활 중에는 인체에 착용하기 어려워 지속적인 치료가 어려웠고, 수면시 사용자가 보조기구의 연결 수단을 착용해야 하므로 호흡과 수면 자세가 자유롭지 않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8640호(2000년 10월 1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비염 치료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코에 자기력을 작용시켜 코골이, 비염, 축농증, 초기 코감기 등의 코 질환을 완화할 수 있는 코 부착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는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는 거치부 및, 상기 콧등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코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자기력을 전달하는 자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력 전달부는 상기 콧등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전면이 상기 사용자의 코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에 자기력을 전달하는 자석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부는 상기 콧등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부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와 대응되도록 상기 거치부의 타측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의 외부에는 대나무 분말이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의 코를 전방에서 감싸고, 가장자리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하부에 통기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한 쌍의 이어링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사용자의 콧등에 장착된 상기 거치부와 상기 사용자의 코 양측면에 밀착된 상기 홀더부를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변형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철심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에 자기력을 작용시켜 코골이, 비염, 축농증, 초기 코감기 등의 코 질환을 완화할 수 있고, 대나무 분발을 이용해 생체 에너지를 활성화시켜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사용하므로 오래 착용시에도 부작용이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므로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거치부와 홀더부가 덮개부에 의해 커버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거치부와 홀더부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자석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A-A선 측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사용자의 콧등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덮개부와 이어링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덮개부와 이어링을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수용공간에 걸림홈을 형성시키고, 자석의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수용공간에 걸림홈을 형성시키고, 자석의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홀더부에 접착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거치부에 주름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자석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A-A선 측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를 사용자의 콧등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덮개부와 이어링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덮개부와 이어링을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수용공간에 걸림홈을 형성시키고, 자석의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수용공간에 걸림홈을 형성시키고, 자석의 외주면에 걸림돌기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홀더부에 접착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의 거치부에 주름부를 형성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는 거치부(100) 및, 자력 발생부(200)(300)를 포함한다.
거치부(100)는 사용자의 콧등에 거치된 상태로 설치되는 부분으로, 거치부(100)는 사용자의 콧등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되고, 형태 변형이 가능하도록 실리콘(silicone)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100)는 좌우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전면이 사용자의 콧등에 일정 넓이로 밀착되며, 콧등과 밀착시 중심 부분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곡률을 이루면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00)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철심부(110)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철심부(110)는 거치부(100)를 벤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철심부(110)는 벤딩 후 변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금속 소재로 제작할 수 있고, 거치부(10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반면, 철심부(110)는 탄성 복원력을 갖는 금속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철심부(11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이 전방으로 벤딩되어 코(10)의 양측을 파지할 수 있고, 거치부(100)의 중심 부위가 후방으로 오목하게 곡률을 이루면서 벤딩될 수 있다.
즉, 철심부(110)의 탄성력에 의해 거치부(10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이 사용자의 코(10)를 양측에서 파지하므로, 거치부(100)가 사용자의 콧등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거치부(100)가 사용자의 코(10)를 양측에서 파지하므로 거치부(100)가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다.
또한, 거치부(100)와 철심부(110)에는 도 11에서처럼 탄성 변형이 용이하도록 주름부(12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120)는 거치부(100)와 철심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주름부(120)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거치부(100)와 철심부(11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을 용이하게 변형시킬 수 있고, 거치부(100)와 철심부(110)의 일부분이 반복적인 변형이 의해 손상(균열 발생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자력 전달부는 사용자의 콧등을 기준으로 거치부(100)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코(10)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자기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홀더부(200) 및, 자석(300)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200)는 사용자의 콧등을 기준으로 거치부(100)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고, 전면이 사용자의 코(10)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다. 여기서 홀더부(200)는 형태 변형이 가능하도록 실리콘(silicone) 소재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200)의 내부에는 후술 될 자석(300)이 대응되게 삽입되도록 수용공간(201)이 형성되고, 수용공간(201)은 후술 될 자석(300)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홀더부(200)의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홀더부(200)는 측면이 원주를 이루도록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홀더부(200)의 전면에는 도 10에서처럼 사용자의 코(10) 양측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230)가 더 결합될 수 있고, 접착부(230)는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부(230)는 물로 씻어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리콘 테이프(silicone tap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접착부(23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부(200)는 사용자의 콧등을 기준으로 거치부(100)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0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홀더(210) 및, 제1홀더(210)와 대응되도록 거치부(100)의 타측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20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홀더(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홀더(210)는 사용자의 코(10)를 기준으로 거치부(100)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홀더(210)의 전면이 사용자의 코(10) 일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제1홀더부(21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코(10) 일측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2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홀더(210) 중 어느 하나는 하단이 거치부(100)의 상단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홀더(210) 중 다른 하나는 상단이 거치부(100)의 하단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거치부(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1홀더(210)는 하단이 수직한 제1연결바(211)에 의해 거치부(100)의 상단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1연결바(211)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반면, 거치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1홀더(210)는 상단이 수직한 제2연결바(212)에 의해 거치부(100)의 하단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연결바(212)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플라스틱, 실리콘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연결바(211)의 하단과 제2연결바(212)의 상단은 수직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고, 제1연결바(211)의 하단과 제2연결바(212)의 상단은 거치부(100)의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홀더(220)는 사용자의 코(10)를 기준으로 제1홀더(210)와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홀더(220)의 전면이 사용자의 코(10) 일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장착된다. 여기서 제2홀더(220)의 전면에는 10에서처럼 사용자의 코(10) 일측면에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부(23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홀더(220)는 하단이 수직한 제3연결바(221)에 의해 거치부(100)의 상단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3연결바(221)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반면, 거치부(100)의 하단에 연결되는 제2홀더(220)는 상단이 수직한 제4연결바(222)에 의해 거치부(100)의 하단과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4연결바(222)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플라스틱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연결바(221)의 하단과 제4연결바(222)의 상단은 수직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고, 제3연결바(221)의 하단과 제4연결바(222)의 상단은 거치부(100)의 내부에 수직하게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자석(300)은 홀더부(200)의 내부에 삽입되고, 홀더부(200)의 전면을 통해 사용자의 코(10) 양측면에 자기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자석(300)는 홀더부(200) 수용공간(201)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네오디움(neodymium) 등의 의료용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자석(300)의 외부에는 대나무를 일정 크기의 입자로 분쇄한 대나무 분말(400)이 일정 두께 코팅될 수 있다. 대나무 분말(400)은 일정 접착력을 갖는 접착 물질(미도시)과 혼합한 상태로 자석(300)의 외주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석(300)은 근육의 긴장 감소, 혈액순환 개선, 면역체계 자극, 세무 기능 강화, 독소 제거, 영양소 흡수 향상, 수면 개선, 스트레스 감소, 내분비계 균형, 염증 감소, 조직 재생성 향상 등의 기능이 있다.
이와 같은 자석(300)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유지시키므로 코골이, 비염, 코막힘, 축농증, 코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을 완화할 수 있고, 호흡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깊은 숙면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대나무 분말(400)은 항균, 노화방지, 항산화, 소염, 항염 등의 효과를 가지므로, 자석(300)과 함께 사용시 코골이, 비염, 코막힘, 축농증, 코감기 등의 호흡기 질환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홀더부(200)의 수용공간(201)에는 도 8과 9에서처럼 걸림홈(24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고, 걸림홈(240)은 수용공간(201)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자석(300)의 외주면에는 걸림홈(240)에 대응되게 삽입되는 걸림돌기(310)가 돌출될 수 있고, 걸림돌기(310)는 자석(300)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자석(300)을 홀더부(200)의 수용공간(201)에 삽입시키는 경우, 자석(300)의 걸림돌기(310)가 수용공간(201)의 걸림홈(240)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 위치되므로, 자석(300)와 홀더부(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에는 사용자의 콧등에 장착된 거치부(100)와 사용자의 코(10) 양측면에 밀착된 홀더부(200)를 후방에서 커버하기 위한 덮개부(500)와, 덮개부(500)를 사용자의 안면(20)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한 쌍의 이어링(60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덮개부(500)는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로 사용자의 코(10)를 전방에서 감싸고, 덮개부(500)의 내부에는 사용자의 코(10)가 위치되도록 전방으로 개방된 수용공간(510)이 형성되며, 덮개부(500)는 합성수지 등을 이용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덮개부(50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호흡시 공기가 통과되도록 통기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고, 통기홀은 덮개부(500)의 하부로 관통되므로 사용자의 코(10)를 하방으로 노출시킨다. 즉 통기홀의 하부로 사용자의 콧구멍이 넓은 면적으로 노출되므로 덮개부(500)가 사용자의 호흡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사용자가 감기 등의 질환을 겪고 있는 경우 손수건, 휴지 등을 이용해 콧물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은 덮개부(500)는 사용자의 콧등에 장착된 거치부(100)와 사용자의 코(10) 양측면에 밀착된 홀더부(200)를 후방에서 커버하므로, 거치부(100)와 홀더부(200)가 사용자의 코(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사용자가 호흡시 외부의 공기가 덮개부(500)의 통기홀을 통해 호흡기로 유입되므로 외부 온도의 직접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덮개부(500)의 가장자리에는 사용자의 안면(20)에 밀착되는 쿠션부(520)가 설치될 수 있다. 쿠션부(520)는 덮개부(5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쿠션부(520)의 전단이 덮개부(5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형태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 가능하도록 실리콘(silicone), 스폰지(sponge) 등의 탄성 소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520)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기 신축 가능하도록 주름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는 쿠션부(5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적을 형성될 수 있고, 쿠션부(5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다수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쿠션부(520)는 사용자가 덮개부(500)를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되어 수용공간(510)과 외부를 밀폐시키고, 일정 쿠션력을 가지므로 덮개부(500) 착용시 통증이 발생하거나 자국이 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어링(600)은 덮개부(500)의 양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것으로, 덮개부(500)의 양측에는 이어링(600)을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430)가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연결부(430)는 이어링(60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여기서 이어링(600)은 실리콘(silicone), 천, 와이어(wire)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어링(600)의 일측은 연결부(430)를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고, 반대되는 타측은 사용자의 귀를 감싸는 상태로 거치될 수 있으며, 이어링(600)의 견인력에 의해 덮개부(500)가 사용자의 안면(20)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10)에 자기력을 작용시켜 코걸이, 비염, 축농증, 초기 코감기 등의 코 질환을 완화할 수 있고, 대나무 분발을 이용해 생체 에너지를 활성화시켜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사용하므로 장시간 착용시에도 부작용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코에 쉽게 탈부착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반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구조가 단순하므로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거치부(100)와 홀더부(200)가 덮개부(500)에 의해 커버된 상태로 장착되므로 거치부(100)와 홀더부(200)가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코 부착용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코 20: 안면
100: 거치부 110: 철심부
120: 주름부 200: 홀더부
201: 수용공간 210: 제1홀더
211: 제1연결바 212: 제2연결바
220: 제2홀더 221: 제3연결바
222: 제4연결바 230: 접착부
240: 걸림홈 300: 자석
310: 걸림돌기 400: 대나무 분말
500: 덮개부 510: 수용공간
520: 쿠션부 530: 연결부
600: 이어링

Claims (6)

  1. 사용자의 콧등을 감싸는 거치부; 및
    상기 콧등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사용자의 코 양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에서 자기력을 전달하는 자력 전달부;를 포함하되,
    상기 자력 전달부는 상기 콧등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부의 양측에 구비되고, 전면이 상기 사용자의 코 양측면에 각각 밀착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사용자의 코에 자기력을 전달하는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홀더부는 상기 콧등을 기준으로 상기 거치부의 일측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1홀더 및,
    상기 제1홀더와 대응되도록 상기 거치부의 타측 상단과 하단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2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자석의 외부에는 대나무 분말이 코팅되며,
    상기 거치부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변형된 형태가 유지되도록 철심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1홀더는 하단이 수직한 제1연결바에 의해 상기 거치부의 상단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바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를 이용하며,
    상기 거치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1홀더는 상단이 수직한 제2연결바에 의해 상기 거치부의 하단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바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를 이용하며,
    상기 거치부의 상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2홀더는 하단이 수직한 제3연결바에 의해 상기 거치부의 상단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연결바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를 이용하며,
    상기 거치부의 하단에 연결되는 상기 제2홀더는 상단이 수직한 제4연결바에 의해 상기 거치부의 하단과 수직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연결바는 탄성 변형 후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도록 탄성 소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부착용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코를 전방에서 감싸고, 가장자리가 상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하부에 통기홀이 형성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한 쌍의 이어링을 더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사용자의 콧등에 장착된 상기 거치부와 상기 사용자의 코 양측면에 밀착된 상기 홀더부를 후방에서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 부착용 장치.
  6. 삭제
KR1020210006147A 2021-01-15 2021-01-15 코 부착용 장치 KR102566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47A KR102566002B1 (ko) 2021-01-15 2021-01-15 코 부착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6147A KR102566002B1 (ko) 2021-01-15 2021-01-15 코 부착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494A KR20220103494A (ko) 2022-07-22
KR102566002B1 true KR102566002B1 (ko) 2023-08-09

Family

ID=8260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6147A KR102566002B1 (ko) 2021-01-15 2021-01-15 코 부착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60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6223U (ja) 2000-09-08 2001-03-30 勝代 波田 アレルギー性鼻炎予防器具
JP3204796B2 (ja) * 1993-05-17 2001-09-0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液体の充填方法及び装置
CN112043968A (zh) * 2020-09-23 2020-12-08 张宗逵 一种鼻炎治疗仪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2141A (ko) * 2012-03-07 2013-09-17 김송갑 코골이 방지기
JP3204796U (ja) * 2016-04-05 2016-06-16 正幸 小塚 鼻炎治療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4796B2 (ja) * 1993-05-17 2001-09-04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液体の充填方法及び装置
JP3076223U (ja) 2000-09-08 2001-03-30 勝代 波田 アレルギー性鼻炎予防器具
CN112043968A (zh) * 2020-09-23 2020-12-08 张宗逵 一种鼻炎治疗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3494A (ko) 2022-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0886B1 (en)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headgear
US5381558A (en) Garment having massaging protuberances
US9387117B2 (en) Negative pressure oral apparatus
US10813394B2 (en) Sleep apnea prevention mask
EP2380634A2 (en) Device for preventing mouth from opening during sleep
JP2013031681A (ja) 治療処置装置および治療処置法
CA3076215C (en) Neck collar for treatment of sleep apnea
US20220007756A1 (en) Protective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349260B1 (ko) 적외선 비염치료기
US20160287829A1 (en) Cushioned Sleep Apnea Mask
JP4021450B2 (ja) 鼻美容衛生器具
CN112566591A (zh) 下颌角度支撑用辅助器及含其的下颌角度矫正装置
KR102566002B1 (ko) 코 부착용 장치
US20060218702A1 (en) Head harness for supporting an interface device
KR20120006665U (ko) 숙면용 이목마스크
JP5268181B2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対策装具および対策枕
US20170281394A1 (en) Method and device for nasal dilation by applying force to a target cheek area without mandibular displacement
US20120048282A1 (en) Sleep apnea headstrap apparatus
JP2004275750A (ja) 治療用器具
KR102284420B1 (ko) 코골이 및 비염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여 숙면을 유도하는 마스크
KR102553683B1 (ko) 코 및 귀 광조사기
CN209996999U (zh) 一种鼻腔插入装置
CN219208724U (zh) 一种经颅直流电电极片固定带
CN209019402U (zh) 一种颈部按摩器
US200400243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rrecting or reducing the formation of facial 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