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614A -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 - Google Patents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614A
KR20020033614A KR1020017013893A KR20017013893A KR20020033614A KR 20020033614 A KR20020033614 A KR 20020033614A KR 1020017013893 A KR1020017013893 A KR 1020017013893A KR 20017013893 A KR20017013893 A KR 20017013893A KR 20020033614 A KR20020033614 A KR 2002003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al cord
pad
anchorage according
cord anchorage
ilia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티그 윌너
잔 에프. 에이. 스미츠
Original Assignee
추후
캄프 스칸디나비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 캄프 스칸디나비아 아베 filed Critical 추후
Publication of KR2002003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 특히 요통의 전통적인 치료를 위해서 다중-조정가능한 허리 고정기에 관한 것이다. 척수 고정기는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전방 복부 패드(7)와 후방 프레임(1)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연결 수단은 골반 뼈(장골 능선)의 상부에 위치설정되어질 측면 장골 롤(3)과 전방 복부 패드(7)에 연결되어질 스트랩(4)을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은 가해진 압박을 조정하기 위한 압박 설정 수단(8)이 제공된 허리 패드(2)를 가진다. 척수 고정기는 특히 허리 영역에서 압박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척수의 곡률을 수정할 수 있도록 조정가능하다. 동시에, 고정기의 디자인은 측면 측에서 개방되어 있어, 측면 굽힘과 팔과 다리의 정상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ADJUSTABLE SPINAL BRACE}
다양한 고정기와 다른 보장 장치는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다양한 높이를 가진 척수 고정기가 있으며, 이들 중 약간은 전체 척수-흉부 뿐만 아리나 허리 영역을 이동하지 못하게 해서 안정시키는 경향이 있다. 척수 고정기의 다른 형태-하부 형태-는 척수의 하부분-허리 영역을 단지 안정화시킨다.
추가로, 고정기의 강성은 섬유로 만든 연성 고정기로부터 플라스틱으로부터 만든 강성 고정기로 다양하다. 고정기의 강성이 강하면 강할수록, 보다 더한 고정 및 안정 효과가 나타난다. 이것은 오늘날 열가소성 재료로 미리제작된 강성 고정기가 연성 및 반강성 고정기와 비교해서 보다 더 양호한 고통 완화 효과를 가진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고정기의 강성 때문에, 많은 나쁜 효과를 가져오는데, 이들은몸통(trunk)의 자극 경직과 몸통상의 불쾌한 범발성 압박과 같은 것이다. 더욱이, 사타구리에서의 압박은 엉덩이의 이동에 나쁜 영향을 주어 자동차 등을 운전하는데 어려움을 준다. 다른 나쁜 영향으로는 흉부 외관상의 강성 고정기의 상부 변두리의 과잉 압박이 있으며, 또한 강성은 팔의 이동을 보다 어렵게 한다.
자주는 아니지만, 나쁜 효과는 양호한 효과를 초과한다. 이런 경과로 인해, 고정기를 사용할 때 분명히 고통 경감이 있어도, 환자는 고정기를 받아들어 사용하지 않을 것이다.
최대 고통 완화를 주는 척수의 위치를 찾는 것이 어렵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허리 척주 전굴증의 정도와 최대 지지체의 레벨을 단지 약간 변경해도, 고정기 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줄 것이다. 이런 최대 고통 완화에 대한 위치는 경우마다 서로 다르며, 이는 예비제작된 형상의 고정기가 환자에 최대 고통 완화를 주지 못한다는 의미이다.
통상적으로, 종래의 고정기는 안정 또는 고정 압박을 가하도록, 스트랩 또는 롤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전두 가슴 또는 후판 또는 요소와 전방 배판 또는 요소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의 예는 미국 특허 제 2,813, 526 호, 제 4,285,336 호와 제 4,930,499 호내에 발견될 수 있다. 이런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은 견고한 스트립을 죄어서 압박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를 설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와 연결해서, 가해진 압박의 위치와 크기가 수정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환자는 어떤 고통의 완화도 경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문제점은 복부 및 배면 요소가 크고 몸체의 이동,예를 들어, 측면 굽힘 및 발 다리의 이동 뿐만 아니라 않는 동작을 방해하다는 것이다.
이 기술 분야에서, 척수 고정기용 테스트 기구는 이미 알려져 있다. 이 테스트 기구는 본 발명자 중 한 사람에 의해 개발되어 스웨턴 특허 제 8505547-3호로 특허되었다. 이 테스트 기구는 고정기의 크기와 가해진 압박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테스트 기구는 디자인이 나사 등이 돌출하는 것을 특징하고 일반적으로 옷의 찢어짐에 대해서는 디자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날마다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그럼에도, 이 테스트 기구는 때때로 짧은 기간동안 고정기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은 골반 뼈의 상부에 끼워지는 측면 장골 롤(lateral iliac roll)을 가진 연결수단 덕분에 환자의 몸체상에 쉽고 재생가능하게 위치설정된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또한, 압박 설정 수단이 제공된 허리 패드에 의해서 가해진 압박의 크기와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쉽다. 또한 허리 패드는 다른 높이에서 위치설정될 수 있으며 압박점은 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spinal brace), 특히 요통의 전통적인 치료를 위해서 다중-조정가능한 허리 고정기에 관한 것이다. 척수 고정기는 압박의 정확한 크기와 위치가 척수의 곡률을 수정할 수 있도록 조정가능하다. 동시에, 고정기의 디자인은 측면 측에서 개방되어 있어, 측면 굽힘과 팔과 다리의 정상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척수 고정기의 배면도.
도 2는 볼 수 있는 골격 뼈에 환자에 착용한 상태의 고정기의 전면도.
도 3은 도 2와 유사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잭 디자인의 부분 절단한 배면도.
도 5a는 수축 위치에서 스크류 잭의 측면절단도.
도 5b는 연장 위치에서 스크류 잭의 측면절단도.
도 6은 후방 및 전방 부품사이의 연결부의 상부 상세도.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연결 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된 전방 복부 패드와 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연결 수단은 골반 뼈(장골능선)의 상부에 위치설정되어지는 측면 장골 롤과 상기 전방 복부 패드에 연결되어질 스트랩을 포함한다.상기 후방 프레임은 가해진 압박을 조정하기 위한 압박 설정 수단이 제공된 허리 패드를 가진다.
본 발명은 첨부의 청구범위 제 1항에서 정의되어 있으며, 반면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은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 특히 요통의 전통적인 치료를 위해서 다중-조정가능한 허리 고정기를 제공한다. 고통은 디스코젠닉 헤르니아(discogenic hernia), 척추 협착증, 척추염(spondylotisthesis)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기는 서두에서 언급한 테스트 기구를 더욱더 개발한 것으로, 통상적인 치료가 달성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공구이다. 본 고정기는 밤낮 동안 개별 사용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 있다. 고정기의 디자인이 실질적으로 측면 측에서개방되어 있으며, 측면 굽힘을 허용한다. 일반적으로, 고정기는 시상판(sagittal plane)내에 척수를 안정시킨다.
고정기의 한 목적은 " 3점 압박" 고정기의 사용으로 허리 척주를 안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고정기는 다중-조정가능한 후방 허리 패드에 의해 허리 척주전굴증을 개별 요구로 회복시킨다.
경량 후방 프레임은 허리 척주를 천골의 말단부로부터 10번째 흉추(T10), 약r 견갑골 아래 두 손가락까지 브릿지 한다. 후방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장골 롤은 이 프레임을 골반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은 하부 리브와 골반사이의 신뢰성 있는 "그립"을 주어,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장골 롤은 실질적으로 놓일 수 있는 단지 "하나" 위치를 가진다.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고정기를 착용한 후 후방 허리 패드(2)의 조정과 이 위치의 정확성은 완전히 장골 롤의 위치에 달려 있기 때문이며, 장골 롤은 동시에 복부 패드를 복부의 연한 조직으로 밀어서 허리 척주의 바람직한 안정화를 달성하는 3번째 점을 만들기 때문이다. "3개의 점 압박"이 적당한 몸에 가해지면, 척주전골증이 감소되게 허리 척주를 얼마간 척주전골 위치로 안정시킬 것이다. 모든 기능 부품은 프레임내에 일체로 형성되어 않거나, 서거나, 걷거나 눕는 활동에 전혀 방해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기를 부분적으로 전개한 도면이다. 고정기는 환자의 등에 위치되어질 후방 프레임(1)을 가진다. 프레임(1)은 두 개의 수평 지지체, 머리쪽의 지지체(5)와 꼬리쪽의 지지체(6)를 가진다. 수평 지지체(5, 6)는 각 세트 스크류에 의해 두 개의 수직형 H-형상 스트러트(12)에 부착되어 있다. 수평머리쪽의 지지체(5)는 50mm 범위에 거쳐서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꼬리쪽의 지지체(6)는 50mm 범위에 거쳐서 수직으로 조정될 수 있다. 프레임(1)의 전체 높이는 390 내지 490 mm로 조정될 수 있다. 이 조정 영역은 모집단의 98%를 충족한다. 물론 치수는 변경될 수 있어 다른 크기를 제공할 수 있다.
후방 프레임(1)의 중간에서, 두 개의 장골 롤(3)이 제공되어 있다. 장골 롤(3)은 장골 능선에 위치되는 경향이 있으며, 즉 롤은 골반 뼈의 상부에 지탱할 것이다. 장골 롤은 탄성 스트랩(4)과 푸시 버튼(19)에 의해서 전방 복부 패드(7)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머리쪽의 지지체(5)와 꼬리쪽의 지지체(6)는 스트랩과 함께 복부 패드(7)에 연결될 수 있다. 단지 하나의 하부 스트랩(4)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후방 허리 패드(2)는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1)에 부착되어 있다. 수평 부분에서 보면, 수직 스트러트(12)는 측면 개구를 가진 "H" 프로화일로 구성되어 있다. 환자의 등을 따른 스트러트(12)의 형상은 인체의 해부학 형상(anatomical shape)에 맞게 되어 있다. "H" 프로화일의 개구와 플랜지는 수평 지지체(5, 6), 장골 롤뿐만 아니라 다중-조정가능한 후방 허리 패드(2)의 부착에 유용한다. 안락함을 위해서 머리쪽과 꼬리쪽 수평 지지체는 기포재(도 시 생략)로 대고 있다.
도 2에서, 고정기를 환자에 고정된 상태로 전방에서 본 것이다. 환자의 골격 뼈는 참고로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골 롤과 이들의 스트랩(4)은 허리에 위치되어 있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도면을 측방에서 본 것이다. 도 3에 잘 도시한 바와같이, 장골 롤(3)은 장골 능선(사이에 약간의 연한 조직을 가짐)에 지탱하고 있다.
도 4는 후방 허리 패드(2)용 현수 기구의 배면도이다. 또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허리 패드(2)는 장착판(17)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장착판(17)은 패드(2)가 수평 축선 둘레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샤프트를 가진다. 장착판(17)은 두 쌍의 레그(16)에 의해 수직 스트러트(12)에 연결되어 있다. 레그(16)는 장착판(17)로부터 먼 단부에 있는 핀(21)을 가진다. 핀은 H-형상 스트러트(12)내에 슬라이드하는 블록(20)내에 삽입되어 있다. 단지 상부 블록(20)만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블록(20)은 또한 아래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적당한 높이에서 허리 패드(12)를 고정하기 위한 세트 스크류(9)를 지탱할 것이다.
핀(21)은 각 슬리브(22)에 의해 지탱되거나 일체로 되어 있다. 슬리브(22)는 또한 일열의 홀(14)을 가진 브래킷(13)을 지탱한다. 조정 스크류(8)는 통상적으로 중앙에 있는, 한 쌍의 홀(14)에 고정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8)는 한 쌍의 대향 안내 나사부를 가지며, 그럼으로, 상부와 하부 슬리브(22)사이의 거리는 스크류(8)를 죄어서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스크류(8)는 아래에 보다 상세히 기술한 이유에 대해서 다른 쌍의 홀(14)을 사용함으로써 좌우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a는 완전히 수축한 위치에서의 허리 패드(2)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패드(2)는 환자의 등을 거의 닿지 않지만, 후방 프레임(1)내에 숨겨져 있다. 도 5b에서, 패드는 연장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최대 연장 거리는 예를 들어 50mm일 것이다.
장골 롤(3)은 푸시 버튼(19), 스트링(10)과 스트링 록(11)과 함께 탄성 스트랩(4)을 통해서, 복부 압박을 가하기 위해서 전방 복부 패드(7)에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스트링(10)은 각 풀리 블록(23) 둘레로 안내될 수 있다. 스트링의 한 단부는 복부 패드의 푸시 버튼(스트랩(4)을 통해서)에 부착되어 있으며 스트링의 다른 단부는 죄임 후 스트링 록(11)에 부착되어 있다. 스트링 록(11)과 풀리 블록(23)은 장골 롤(3)의 탄성 스트랩(4)에 부착된 스트링(10)을 죄임으로써 효율적이고 용이한 방법으로 충분한 압박을 가할 수 있다. 이런 장치는 환자 또는 의사가 충분한 인장과 압박을 얻는 일을 하는데 용이하다.
도 6은 또한 스크류로 H형상 스트러트에 어떻게 장골 롤이 부착되어지는 가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장골 롤은 다수의 홀을 지탱하므로 고정기의 폭은 세트 홀을 사용함으로써 쉽게 조정될 수 있어 환자에 적당한 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전방 복부 패드(7)는 복부 허리 압박을 가한다. 이는 경량 오목 패드로서, 결합점(symphysis)으로부터 흉골점까지 복부를 덮을 것이다. 좌측면으로부터 우측면까지, 복부 패드(7)는 두 개의 장골 롤(3) 사이의 거리를 연결해야 한다. 패드의 머리쪽의 보더는 하부 리브 후의 형상이다(the cranial border of the anterior abdominal pad is shaped after the lower ribs). 복부 패드는 형상의 변경없이 상당한 압박을 가할 수 있어야 하고, 그러므로 열가소성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다. 패드는 환자의 개인에 맞게 맞추어질 수 있다. 패드에는 스트랩(4)의 접착용 푸시버튼과 스트링용 스트링 록(11)(의 부품)이 제공되어 있다. 안락함으로 위해서, 패드에는 기포 패딩(도시 생략)이 안감으로 대어져 있다.
징후에 따라서, 척주전골증은 다중-조정가능한 후방 허리 패드(2)에 의해서 개인별 요구에 맞게 회복될 수 있다. 비 기능적 위치에서, 이 허리 패드는 프레임내에 숨겨질 것이다. 그리고 나서, 3개의 점 압박은 전방 복부 패드(7)와 함께 수평 지지체(5)와 수평 꼬리쪽의 지지체(6)에 의해 가해진다.
패드는 H-형상 수직 스트러트(12)내에서 미끄럼함으로써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패드 자체는 곡선져 있고 다소 등의 허리 부분의 곡률을 따라서 가요성이다. 안락함을 위해서, 패드에는 기포 패팅(18)이 안감으로 대어져 있다. 이것은 장착판(17)과 샤프트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수평축선 둘레로 회전될 수 있다. 그 중심은 척수(L4 내지 T 12)로부터 위치될 수 있으며; 대부분 공동 영역은 L3으로부터 L1까지 일 것이다. 수직으로 놓여진 조정 스크류(8), 적합하게 소켓 헤드 캡 스크류에 의해서, 후방 허리 패드는 전방 방향으로 압박을 가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허리 패드(2)는 환자의 등에 대항한 압박 및 마찰에 의해서 적합한 높이에서 유지되어 있다. 변경예로서, 세트 스크류(9)는 허리 패드를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척수와 연한 조직으로부터의 반응력이 좌측와 우측사이에서 다르다면, 기구는 비대칭적으로(두 평행 수직 측면을 가진 사다리꼴과 같이) 응답할 것이다. 예를 들어 우측 수직 측이 보다 길면, 우측에서의 압박은 보다 높게 나타날 것이다. 수직 조정 스크류를 우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보다 높은 압박에 대한 보상은 달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척수의 회전력의 균형을 가능하게 한다.
요통을 가진 사람은 일반적으로 패드가 적용되어야 하는 레벨(높이)과 세기(깊이)를 완전히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정상적으로 양호한 시작 위치는 패드의 중심에 L3 척수의 레벨에 놓이는 것이며, 이것은 척주전골증(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보상 없이)의 0-레벨(수직선에 수직인 척수)에 있다. 고정기는 장골능선에서 장골 롤을 위치시키고 푸시 버튼에 의해 스트랩(4)을 고정시킴으로써 놓여진다. 스트랩은 스트링(10)과 풀리 블록(23)과 스티링 록(11)에 의해서 죄어지므로 적당한 압박을 얻는다. 측면 굽힘에 대한 보강된 안전성이 요구되면, 또한 상부 및 하부 스트랩(4)은 제각기 머리쪽의 지지체(5)와 꼬리쪽의 지지체에 부착된다. 스크류-잭과 육각 드라이버의 도움으로, 의사는 허리 패드에 의해서 허리 척수에 압박을 가할 수 있고 복부 패드(7)의 압박에 대항해 척주전골증을 회복시킨다. 허리 패드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면, 환자는 그 자신이 어떤 도움 없이 고정기를 착용하고 벗을 수 있다.
전방 복부 패드의 표면적이 후방 허리 패드의 표면적보다 상당히 더 커야만 한다. 전방 굽힘 동안, 수평 머리쪽의 지지체(5)와 꼬리쪽의 지지체(6)는 몸체로부터 멀리 이동하고, 배면 패드의 압박이 복부 패드의 압박에 대해서 너무 높게되는 위험이 있다. 스크류-잭의 조정은 척수와 연한 조직의 역압(counter-pressure)을 보상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후방 허리 패드상의 비대칭 압박은 스크류 잭의 비대칭 위치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들 힘의 보상이 요구되면, 조정 스크류는 압박이 가장 높은 측면으로 이동될 수 있으므로, 균형을 보상하고 회복한다. 복부 압박이 모든 힘에 대한 역압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고정기의 사용자는 복부 패드에 대항한 보다 높은 압박의 결과로서 사용자의 복부에서 이들 차이를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점은 아래와 같이 언급될 수 있다.
- 허리 척주전골증의 형상의 개인별 평가를 허용하여 최대의 고통 완화를 줌.
- 허리 척수의 최적의 고통 완화 레벨에서의 지지체를 허용함.
- 충분한 복부 역압을 허용하여 장치를 안정시키고 허리 척주전골증의 수정 레벨을 유지하고, 또한 내부복부 압박을 증가시켜서 내부원반모양의 압박을 감소시킴(고통 완화 효과).
-장골 롤을 장골능선 위에 안정시키도록 허용함으로, 장치를 안정시키고 상 또는 하향 미끄럼을 방지하여, 배면 판을 상 하향으로 이동하고 그러므로 최적 고통 완화의 레벨을 느슨하게 함.
- 몸통의 적당한 측면 굽힘을 허용하여 고정기 치료를 개선함.
- 예, 차에 않을 때, 히프 조인트의 90도 이상의 굽힘을 허용함.
- 팔과 몸통의 상부분의 개선된 이동을 허용하고 대개 종래 강성 고정기에서 보여준 장치의 상부 에지의 불쾌한 압박을 피함.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되어 있다. 사용된 특정 형상과 재료에 대한 많은 변경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 매우 분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11)

  1. 연결 수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 전방 복부 패드(7)와 후방 프레임(1)을 포함하는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골반 뼈(장골 능선)의 상부에 위치설정되어질 측면 장골 롤(3)과 전방 복부 패드(7)에 연결되어질 스트랩(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1)은 가해진 압박을 조정하기 위한 압박 설정 수단(8)이 제공된 허리 패드(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 패드(2)는 높이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설정 수단은 스크류 잭(8, 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잭의 스크류(8)의 위치는 측방향으로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6.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1)은 두 개의 수직 스트러트(12), 머리쪽의 지지체(5)와 꼬리쪽의 지지체(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쪽의 지지체(5)와 상기 꼬리쪽의 지지체(6)는 높이 조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8.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4)은 상기 장골 롤(3)과 상기 복부 패드(7)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9. 제 8항 및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4)은 상기 수평 지지체(5, 6)와 상기 복부 패드(7)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10. 전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복부 패드(7)는 경량이고 오목하고 결합점(symphysis)으로부터 흉골점까지 복부를 거의 덮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복부 패드(7)의 머리쪽의 보더는 하부 리브 후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수 고정기.
KR1020017013893A 1999-04-30 2000-04-17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 KR20020033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901556.2 1999-04-30
SE9901556A SE9901556L (sv) 1999-04-30 1999-04-30 Justerbar ryggortos
PCT/SE2000/000727 WO2000066047A1 (en) 1999-04-30 2000-04-17 Adjustable spinal bra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614A true KR20020033614A (ko) 2002-05-07

Family

ID=20415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893A KR20020033614A (ko) 1999-04-30 2000-04-17 조정가능한 척수 고정기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050203453A1 (ko)
EP (1) EP1231874B1 (ko)
JP (1) JP2002542888A (ko)
KR (1) KR20020033614A (ko)
CN (1) CN1230136C (ko)
AT (1) ATE289788T1 (ko)
AU (1) AU763952B2 (ko)
CA (1) CA2372196A1 (ko)
DE (1) DE60018449T2 (ko)
DK (1) DK1231874T3 (ko)
ES (1) ES2237426T3 (ko)
NO (1) NO317824B1 (ko)
PL (1) PL351172A1 (ko)
SE (2) SE516356C2 (ko)
WO (1) WO20000660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3947B1 (en) 2004-12-21 2010-05-19 Petrus J.M. Van Loon Brace for treatment of spinal deformities
FR2909861B1 (fr) * 2006-12-19 2009-10-30 Patrick Faouen Dispositif orthopedique de correction de la posture par contention du tronc
US7833182B2 (en) * 2007-03-14 2010-11-16 Hughes Phillip K Ba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CN101099700B (zh) * 2007-08-03 2010-09-01 周林斌 一种撑背护腰装置
JP2014226523A (ja) * 2013-05-17 2014-12-08 株式会社 P.O.ラボ 体幹装具
EP3094287B1 (en) * 2014-01-17 2019-10-16 Green Sun Holdings, LLC Orthosis for deformity correction
PL408677A1 (pl) 2014-06-26 2016-01-04 Ori-Med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Gorset ortopedyczny, zwłaszcza do rehabilitacji kręgosłupa
JP6350990B2 (ja) * 2014-10-09 2018-07-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骨盤ベルト
KR101695276B1 (ko) * 2015-06-12 2017-01-11 강선영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801868B1 (ko) 2017-01-02 2017-11-27 강선영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1895004B1 (ko) * 2017-08-29 2018-09-05 강선영 척추측만증 보조기
US11980562B2 (en) 2017-12-14 2024-05-14 Green Sun Medical, LLC Reconfigurable orthosis for deformity correction
CN108498220A (zh) * 2018-06-13 2018-09-07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鱼骨结构的脊柱侧弯矫正支具
CN110123609B (zh) * 2019-06-04 2021-04-02 田树升 一种用于脊椎的医疗康复支架
US20210315723A1 (en) * 2020-04-13 2021-10-14 Michael Hawkins Orthopedic Device
KR102514948B1 (ko) * 2020-05-08 2023-03-29 주식회사 스탠딩톨 척추측만증 보조기
CN111603286B (zh) * 2020-06-24 2024-04-19 吉林大学 一种可调节的腰椎侧弯矫正装置
CN115770133A (zh) * 2022-12-02 2023-03-10 青岛大学 脊柱外科术后联动辅助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986A (en) * 1906-05-14 1908-02-04 Luman H Davis Truss.
US2434883A (en) * 1944-06-02 1948-01-20 Herman G Hittenberger Surgical appliance
US2938883A (en) * 1956-11-19 1960-05-31 Dow Chemical Co Chloroethylene polymers stabilized with monoacrylic esters of hydroxy phenones
US3945376A (en) * 1974-12-12 1976-03-23 Otto Bock Orthopedic Industry, Inc. Orthopedic brace (orthesis)
DE3522533C2 (de) * 1985-06-24 1998-08-27 Helmut John Rückenstützkorsett
SE454944B (sv) * 1985-11-25 1988-06-13 Camp Scandinavia Ab Anordning och forfarande for utprovning av ryggortos eller korset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289788T1 (de) 2005-03-15
DK1231874T3 (da) 2005-07-04
NO20015320L (no) 2001-10-30
DE60018449T2 (de) 2005-07-28
AU4632700A (en) 2000-11-17
SE9901556L (sv) 2000-10-31
CN1230136C (zh) 2005-12-07
EP1231874A1 (en) 2002-08-21
SE516356C2 (en) 2002-01-08
JP2002542888A (ja) 2002-12-17
EP1231874B1 (en) 2005-03-02
NO20015320D0 (no) 2001-10-30
DE60018449D1 (de) 2005-04-07
NO317824B1 (no) 2004-12-13
US20050203453A1 (en) 2005-09-15
ES2237426T3 (es) 2005-08-01
AU763952B2 (en) 2003-08-07
CN1349395A (zh) 2002-05-15
SE9901556D0 (sv) 1999-04-30
WO2000066047A1 (en) 2000-11-09
CA2372196A1 (en) 2000-11-09
PL351172A1 (en) 2003-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03453A1 (en) Adjustable spinal brace
US5743865A (en) Knee brace for applying corrective load
EP0735847B1 (en) Derotating orthotic devices for the correction of scoliotic deformities
US5840050A (en) Post-operative hip brace
US5599287A (en) Hyperextension orthotic apparatus useful for treating pain associated with spinal disorders
US5352189A (en) Ankle brace walker
EP1928372B1 (en) Knee brace having a rigid frame and patellofemoral support
US6602215B1 (en) Ankle brace with arch sling support
US5782785A (en) Knee brace
US4135503A (en) Orthopedic device
US5131385A (en) Orthesis for the human knee
JPH07503647A (ja) 固定ベルトに取外し可能に固定される腰部支持体
JP2010194320A (ja) 脊柱整形装具
US6896662B2 (en) Method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US20090054818A1 (en) Spinal orthoses
CN109640895A (zh) 膝内外翻矫正装置
RU2309709C1 (ru) Моду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US20210315723A1 (en) Orthopedic Device
US5419755A (en) Weight bearing brace for femur and hip joint
Sumiya et al. Instantaneous centers of rotation in dorsi/plantar flexion movements of posterior-type plastic ankle-foot orthoses
RU2158119C1 (ru) Корректор осанки
US20040167449A1 (en) Appliance for lordosis adjustment for treating discomfort in, or originating in, the cervical spine region
KR20190135812A (ko) 하지 관절회전 조절을 통한 자세교정 보조기
GB2031732A (en) Orthopedic device
JP3176411U (ja) サポート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