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653B1 -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653B1
KR101665653B1 KR1020150059086A KR20150059086A KR101665653B1 KR 101665653 B1 KR101665653 B1 KR 101665653B1 KR 1020150059086 A KR1020150059086 A KR 1020150059086A KR 20150059086 A KR20150059086 A KR 20150059086A KR 101665653 B1 KR101665653 B1 KR 10166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sewing
selection line
length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우
방경애
Original Assignee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71468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6565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로버추얼패션 filed Critical (주)클로버추얼패션
Priority to KR102015005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653B1/ko
Priority to US14/921,269 priority patent/US1073377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653B1/ko
Priority to US16/925,878 priority patent/US1141035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20Finite element generation, e.g. wire-frame surface description, tesse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3/00Patterns for cutting-out; 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such patterns, e.g. on the cloth
    • A41H3/007Methods of drafting or marking-out patterns using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26Sew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95Sew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16Clo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D 의상 패턴들을 재봉 처리하여 디지털 의상 객체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유 재봉시, 패턴상에서 선택된 선분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재봉될 다른 선분의 길이를 쉽게 조절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컴퓨팅 요소와, 패턴 및 드레이핑(draping)된 디지털 의상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은 패턴 상의 일측 재봉가능선에서 재봉될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받아 일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하는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와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을 입력 받는 시작점 입력 단계, 포인팅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 끝점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입력된 끝점까지의 타측 재봉가능선 구간을 타측 재봉선택선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 및 재봉 명령에 따라 상기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 처리하여 3D의상 객체를 생성하는 드레이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gital cloth object}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D 의상 패턴들을 재봉 처리하여 디지털 의상 객체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의상 시뮬레이션 기술은, 패션 산업뿐만 아니라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특수 효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가상 세계에서의 의상 아이템 판매의 시장 규모도 수 조원에 달한다. 이 기술은 옷감을 질량을 가진 메쉬(mesh)로 모델링하여 옷을 입은 아바타의 움직임이나 바람, 조명 등의 외부 움직임에 따라 옷감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기술이다.
패턴으로부터 디지털 의상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재봉 시뮬레이션 방법에서 서로 다른 2개의 패턴을 재봉하는 방식에는 선분 재봉 및 자유 재봉이 있다.
선분 재봉은 점으로 구분되어 있는 선분들 중 선택된 두 선분을 재봉하는 것이고 자유 재봉은 재봉할 두 선분의 길이를 각각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조절된 길이를 가지는 두 선분을 재봉하는 것이다.
자유 재봉의 경우, 자세하게 사용자가 재봉할 두 선분의 길이를 같도록 조절하여 재봉하려는 경우, 먼저 선택된 하나의 선분의 길이와 같은 나머지 하나의 선분의 길이를 마우스와 같은 입력 장치를 통해 조절하는 것은 정밀함이 요구된다.
자유 재봉에서 재봉하려는 선분의 길이를 다르게 제도하여 재봉하게 되면, 잘 늘어나는 원단의 경우 디지털 의상도 마치 같은 길이로 재봉한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잘 늘어나지 않는 원단의 경우에는 디지털 의상에 주름이 생길 수 있다.
나아가, 자유 재봉으로 재봉될 두 선분의 길이를 다르게 설정하려는 경우, 나중에 선택된 선분이 처음 선택된 선분에 비해 얼마나 짧은지 또는 얼마나 긴지를 나중에 선택된 선분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인지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재봉될 두 선분의 길이 차이가 재봉이 불가능 해질 정도의 차이 이상일 때 경고 표시를 표시하여, 나중에 선택된 선분의 길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인식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자유 재봉시, 패턴상에서 선택된 선분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재봉될 다른 선분의 길이를 쉽게 조절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유 재봉시, 패턴상에서 선택된 선분과 선택된 선분과 재봉될 선분의 길이 차이를 산출하여 표시함으로써 정밀한 재봉이 이루어지게 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유 재봉시, 패턴상에서 선택된 선분과 선택된 선분과 재봉될 선분의 길이 차이가 재봉이 불가능할 정도로 큰 경우 경고 표시를 사용자가 인지하게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일 양상에 따른, 컴퓨팅 요소와, 패턴 및 드레이핑(draping)된 디지털 의상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은 패턴 상의 일측 재봉가능선에서 재봉될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받아 일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하는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와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을 입력 받는 시작점 입력 단계, 포인팅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 끝점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입력된 끝점까지의 타측 재봉가능선 구간을 타측 재봉선택선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 및 재봉 명령에 따라 상기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 처리하여 3D의상 객체를 생성하는 드레이핑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있어서,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직선, 곡선, 다중 분기선, 다각형 및 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은 상기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가 시작점 입력 단계와 끝점 입력 단계 사이에 현재 커서 위치를 검출하는 커서 위치 검출 단계,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검출된 현재 커서 위치와 최단 거리이면서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게 되는 점을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 후보로 산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끝점 후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현재 커서 위치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이면 커서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커서 위치 이동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길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을 표시하는 차이값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경고 표시를 하는 경고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 경고 표시 단계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산출된 길이 및 차이값의 색깔을 바꾸어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턴상에서 선택된 선분과 선택된 선분과 재봉할 선분의 길이를 같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턴상에서 선택된 선분과 선택된 선분과 재봉할 선분의 길이가 상이할 때 그 차이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은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끝점 후보 표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커서 위치 이동 단계, 길이 표시 단계, 차이값 표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차이값 표시 단계 및 경고 표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차이값 표시 단계 및 경고 표시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2D 패턴 및 드레이핑 전의 3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1은 2D 패턴 및 드레이핑 후의 3D 패턴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측 재봉가능선 및 타측 재봉가능선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구체화된다. 각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들은 다른 언급이나 상호간에 모순이 없는 한 실시예 내에서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시스템을 변경이나 플러그인 가능하도록 구성한 블록"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즉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있어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제안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그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는 3D 시뮬레이션 기술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의상은 실제 의상 제작 과정을 모티브로 하여 그 과정을 반영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저작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성 된다. 예를 들어 제작자가 의상의 2D 패턴을 그린 후, 옷을 입게 될 아바타 모델에 2D 패턴을 드레이핑 시뮬레이션 한다. 드레이핑 결과를 렌더링 하여 표시함으로써 3D의상이 화면으로 출력된다. 아바타 모델과 2D 의상 패턴은 사용자가 직접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그리거나, 저장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그리는 경우 다양한 그래픽 소프트웨어나 CA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입력할 수 있으며, 제공되는 2D 패턴 제작 툴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에서 드레이핑 시뮬레이션 방법은, 패턴의 메쉬화 단계, 아바타 주변에 패턴의 배치, 패턴과 아바타의 충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충돌 제거 힘(force)을 생성하는 단계 및 드레이핑 시뮬레이션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패턴의 메쉬화 단계는 딜러니 삼각화(Delaunay Triangulation) 기법을 적용하여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드레이핑 시뮬레이션 과정은 일 실시 예로 [Pascal Volino, Nadia MagnenatThalmann: Resolving surface collisions through intersection contour minimization.ACM Trans. Graph. 25(3): 1154-1159 (2006)]에 게시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컴퓨팅 요소와, 패턴 및 드레이핑(draping)된 디지털 의상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은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10),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 및 드레이핑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10)는 패턴 상의 일측 재봉가능선에서 재봉될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받아 일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한다.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10)는 재봉될 두 개의 선 중 하나의 선인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하는 방법은 마우스, 터치 팬,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직접 재봉하려는 부분을 선택하거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패턴 상에 선택 가능한 외곽선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를 통해 직접 재봉하려는 일측 재봉선택선을을 선택할 경우,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과 끝점을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마우스, 터치 펜과 같은 입력 장치가 화면 내에서 출력하는 위치인 커서가 어느 하나의 패턴 상에 존재하는 재봉 가능선에 존재 하지 않는데, 현재 커서 위치를 시작점 또는 끝점으로 선택한 경우 현재 커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재봉가능선 상의 점을 시작점 또는 끝점으로 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1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패턴은 3D 의상을 구성하기 위해 재단되는 옷 본을 컴퓨터에서 2차원 객체로 시뮬레이션 한 2D 패턴 및 3차원 객체로 시뮬레이션 한 3D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2D 패턴은 디지털 의상을 구성하기 위해 재단되는 옷 본을 컴퓨터에서 2차원 객체로 시뮬레이션 한 것을 말한다. 2D 패턴은 옷감의 외형과 물리적인 특성의 설정으로 생성된다. 2D 패턴의 외형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2D 패턴의 외곽선 정보 입력이 필요하다. CAD 툴이나 다양한 그래픽 프로그램 툴을 이용하여 패턴의 외곽선과 꼭지점을 생성할 수 있고, 또는 의상 유형에 따른 2D 패턴 모델로 구성된 저장 장치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외곽선에 의해 외형이 결정된 2D 패턴의 내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메쉬로 구성될 수 있다. 메쉬는 질량을 갖는 격자 점과 격자 점을 연결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격자 점과 스프링을 통해 2D 패턴 소재의 성질, 옷감의 접힘, 늘어뜨림 등의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는 시작점 입력 단계(S21), 끝점 입력 단계(S30) 및 설정 단계(S31)를 포함할 수 있다. 타측 재봉선택선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선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드레이핑 단계(S30)는 재봉 명령에 따라 상기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 처리하여 디지털 의상 객체를 생성한다. 드레이핑 단계(S30)에서는 2D 패턴이 아바타 모델 주위로 배치되면서 사용자가 설정한 재봉선택선에 따라 재봉된다.
일반적으로 착장(draping)은 바디(body)에 직접 천을 대면서 디자인을 창작하거나, 예정된 디자인의 다트나 이음을 재단하면서 입체적으로 완성하는 기법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착장'은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2D 패턴 정보로부터 3D의상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2D 패턴상에 재봉될 재봉선택선이 입력 되면 2D 패턴이 결합되면서 디지털 의상이 3D 객체 상에 생성 즉 착장 된다. 드레이핑 단계(S3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 및 도 11의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전술한 것처럼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는 시작점 입력 단계(S21), 끝점 입력 단계(S30) 및 설정 단계(S31)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작점 입력 단계(S21)는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을 입력 받는다.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은 마우스, 터치 팬,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직접 선택될 수 있다. 마우스, 터치 펜과 같은 입력 장치가 화면 내에서 출력하는 위치인 커서가 어느 하나의 2D 패턴 상에 존재하는 재봉가능선에 존재 하지 않는데, 현재 커서 위치를 시작점으로 선택한 경우, 현재 커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재봉가능선 상의 점을 시작점으로 할 수 있다. 시작점 입력 단계(S21)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5 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끝점 입력 단계(S30)는 포인팅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다. 현재 커서의 위치가 복수의 타측 재봉가능선 중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과 가장 가까운 경우,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다. 현재 커서의 위치가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이 아닌 다른 타측 재봉가능선과 더 가까이 있는데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끝점 입력이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같도록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 단계(S31)는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입력된 끝점까지의 타측 재봉가능선 구간을 타측 재봉선택선으로 설정한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가 같은 경우 디지털 의상에 주름 없이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의도적으로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주름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미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원단의 늘어남 정도에 따라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직선, 곡선, 다중 분기선 그리고 다각형 및 원을 포함하는 도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패턴의 형태가 원인 경우 원 테두리 전체를 재봉하면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원이다. 원의 일부를 재봉하면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곡선이다.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의 다양한 형태는 도 12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은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가 시작점 입력 단계(S21)와 끝점 입력 단계(S30) 사이에 커서 위치 검출 단계(S22) 및 끝점 후보 표시 단계(S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서 위치 검출 단계(S22)는 현재 커서 위치를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끝점 후보 표시 단계(S23)는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검출된 현재 커서 위치와 최단 거리이면서 입력된 시작점을 포함하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게 되는 점을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 후보로 산출하고 이를 표시한다. 끝점 후보가 표시됨에 따라 패턴 상에서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끝점 후보 표시 단계(S23)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도 6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는 커서 위치 이동 단계(S24, 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서 위치 이동 단계는 현재 커서 위치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이면 커서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로 이동(S25)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기준치는 15픽셀(Px, Pixel)이다. 기준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커서가 끝점 후보 위치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 커서가 끝점 후보상으로 이동하여, 일측 재봉선택선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타측 재봉선택선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커서 위치 이동 단계(S24, S25)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도 7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 설정 단계(S31)는 길이 표시 단계(S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 표시 단계(S26)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숫자로 표시한다. 커서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바뀌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길이 표시 단계(S26)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7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은 차이값 표시 단계(S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이값 표시 단계(S27)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을 숫자로 표시한다. 사용자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나아가,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차이값 표시 단계(S27)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이값을 확인하여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가 같도록 설정할 수 있다. 차이값 표시 단계(S27)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도7, 도 8 및 도 9의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는 경고 표시 단계(S28, S2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고 표시 단계(S28, S29)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경고 표시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고 표시 단계(S28, S29)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산출된 길이 및 차이값의 색깔을 바꾸어 경고 표시(S29)를 한다. 타측 재봉선택선이 일측 재봉선택선에 비해 짧거나 길면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다. 즉,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는 경우 재봉시 주름이 생기지 않는 경우의 차이값의 색깔과 다른 색깔로 차이값의 색깔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표시 될 수 있다.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차이값을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재봉후 드레이핑 과정을 거쳐 생성된 3D 패턴에 주름이 생기는지 여부는 봉제 방식, 원단 종류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잘 늘어나는 니트(Knit) 및 Chiffon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인치(Inch) 범위 내인 경우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잘 늘어나지 않는 면 및 데임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센티미터(Cm) 범위 내인 경우에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일 양상에 있어서, 비 휘발성 기록 매체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은 다운로드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작 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 휘발성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도 3은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1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재봉될 두 개의 패턴(303, 304),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2) 및 커서(301)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 터치 펜과 같은 입력 장치가 화면 내에서 출력 하는 위치인 커서는 패턴(303) 상의 한 점(302)에 위치하고 있다. 커서가 패턴 상의 어느 한 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점은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즉, 패턴 상의 재봉 가능선에서 어느 한 점을 입력 장치로 선택하면, 선택된 점은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도 3에서 패턴 상의 재봉가능선은 점과 점 사이에 있는 선들이다. 도 3에서는 재봉가능선이 패턴의 외곽선으로만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턴 상의 존재하는 두 점을 잇는 임의의 선을 재봉가능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커서가 어느 하나의 패턴 상에 존재하는 재봉가능선에 존재 하지 않는데, 현재 커서 위치를 시작점으로 선택한 경우 현재 커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재봉가능선 상의 점을 시작점으로 할 수 있다.
도 4는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10)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재봉될 두 개의 패턴(303, 304),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2), 일측 재봉선택선의 끝점(305), 일측 재봉선택선(305),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308) 및 커서(301)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같이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2)을 선택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일측 재봉 가능선상의 임의의 점을 끝점(305)으로 선택하여 일측 재봉선택선(306)을 설정 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306)의 끝점 선택시 마우스, 터치 펜과 같은 입력 장치가 화면 내에서 출력하는 위치인 커서가 어느 하나의 2D패턴상에 존재하는 재봉 가능선에 존재 하지 않는데, 현재 커서 위치를 선택한 경우 현재 커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재봉가능선 상의 점을 끝점(305)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일측 재봉 가능선의 시작점을 입력 후 시작점으로부터 커서에서 최단 거리에 있는 재봉 가능선 상의 점을 연결하는 선을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커서의 이동에 따라 시작점으로부터 커서에서 최단 거리에 있는 재봉 가능선 상의 점을 연결하는 선을 길이는 계속 바뀐다. 일측 재봉선택선의 끝점(305)을 선택하면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308)가 정해 진다. 일측 재봉 선택선의 길이(308)의 단위는 센티미터(Cm), 밀리미터(Mm), 미터(M), 인치(Inch) 등 사용자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S2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재봉될 두 개의 패턴(303, 304),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2), 일측 재봉선택선의 끝점(305), 일측 재봉선택선(305),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308),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9) 및 커서(301)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마우스, 터치 펜과 같은 입력 장치가 화면 내에서 출력 하는 위치인 커서는 패턴(304) 상의 한 점(309)에 위치하고 있다. 커서가 패턴 상의 어느 한 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점은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즉, 패턴 상의 타측 재봉 가능선에서 어느 한 점을 입력 장치로 선택하면, 선택된 점은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도 5에서 패턴 상의 재봉가능선은 점과 점 사이에 있는 선들이다. 도 5에서는 재봉가능선이 패턴의 외곽선으로만 설정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패턴 상의 존재하는 두 점을 잇는 임의의 선을 재봉 가능선으로 설정할 수 있다. 커서가 어느 하나의 패턴 상에 존재하는 재봉 가능선 상에 존재 하지 않는데, 현재 커서 위치를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으로 선택한 경우 현재 커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재봉가능선 상의 점을 시작점으로 할 수 있다.
도 6은 끝점 후보 표시 단계(S23)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재봉될 두 개의 패턴(303, 304),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2), 일측 재봉선택선의 끝점(305), 일측 재봉선택선(305),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308),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9), 끝점 후보(310) 및 커서(301)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9)이 입력되면 입력된 시작점(309)으로부터 상기 검출된 현재 커서 위치(301)와 최단 거리이면서 입력된 시작점(309)을 포함하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게 되는 점을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 후보(310)가 표시된다. 현재 커서(301)는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9)을 포함하는 타측 재봉가능선(311, 312) 중 312에 해당하는 타측 재봉가능선에 더 가까이 있어 끝점 후보(310)는 타측 재봉가능선(312)에 생성된다. 만약 커서가 타측 재봉가능선(311)에 더 가까이 있다면, 끝점 후보(310)는 타측 재봉가능선(311)에 생길 수 있다.
도 7은 커서 위치 이동 단계(S24, S25)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재봉될 두 개의 패턴(303, 304),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2), 일측 재봉선택선의 끝점(305), 일측 재봉선택선(305),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308),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309), 끝점 후보(310),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313), 차이값(314) 및 커서(301)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끝점 후보(310)와 기준치 이하 거리에 위치했던 커서는 끝점 후보(310) 위치로 이동하여 끝점 후보(310)상에 위치하고 있다. 끝점 후보(310)가 표시되고 커서가 일정 조건 하에서 끝점 후보(310) 위치로 이동하여 위치할 수 있어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타측 재봉선택선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커서(301)의 위치가 이동되면,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도 그에 따라 변한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및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가 동일함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도7에서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314)이 0으로 표시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도 8은 차이값 표시 단계(S27) 및 경고 표시 단계(S28, S29)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커서(301),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313) 및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314)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313) 및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314)은 커서(301)의 이동에 따라 변동한다. 도 7에 도시된 차이값은 예를 들어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시 주름이 생기지 않는 경우 차이값이 파란색으로 표시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8에 도시된 차이값은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도 8에서는 타측 재봉선택선이 일측 재봉선택선에 비해 짧기에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다. 즉,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는 경우 차이값이 빨간색으로 표시 될 수 있다.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차이값을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재봉후 드레이핑 과정을 거쳐 생성된 3D 패턴에 주름이 생기는지 여부는 봉제 방식, 원단 종류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잘 늘어나는 니트(Knit) 및 Chiffon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인치(Inch) 범위 내인 경우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잘 늘어나지 않는 면 및 데임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센티미터(Cm) 범위 내인 경우에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도 9는 차이값 표시 단계(S27) 및 경고 표시 단계(S28, S29)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를 도시한다. 커서(301),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313) 및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314)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313) 및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314)은 커서(301)의 이동에 따라 변동한다. 도 7에 도시된 차이값은 예를 들어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시 주름이 생기지 않는 경우 차이값이 파란색으로 표시 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9에 도시된 차이값은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도 9에서는 타측 재봉선택선이 일측 재봉선택선에 비해 길기에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다. 즉,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는 경우 차이값이 빨간색으로 표시 될 수 있다.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차이값을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재봉후 드레이핑 과정을 거쳐 생성된 3D 패턴에 주름이 생기는지 여부는 봉제 방식, 원단 종류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잘 늘어나는 니트(Knit) 및 Chiffon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인치(Inch) 범위 내인 경우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잘 늘어나지 않는 면 및 데임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센티미터(Cm) 범위 내인 경우에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은 2D 패턴 및 드레이핑 전의 3D 패턴을 도시한다. 2D 패턴 화면(402)에 있는 2D 패턴 상에 일측 재봉선택선 및 타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하면 3D 화면(401)에 있는 3D 패턴에도 2D 패턴에 대응되는 위치에 일측 재봉선택선 및 타측 재봉선택선이 설정 된다.
도 11은 2D 패턴 및 드레이핑 후의 3D 패턴을 도시한다. 2D 패턴 화면(402)에 있는 2D 패턴 상에 일측 재봉선택선 및 타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하고 재봉 명령을 하면 재봉 명령에 따라 상기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 처리하여 3D의상 객체를 생성한다. 3D 화면(401)에 도시된 디지털 의상은 2D 패턴 화면(402)에 있는 2D 패턴 상에 설정된 일측 재봉선택선 및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하여 생성된 결과이다.
도 12는 일측 재봉가능선 및 타측 재봉가능선의 다양한 형태를 도시한다. 도 12의 a, b, c, d 각각은 한 쌍의 일측 재봉선택선 및 타측 재봉선택선을 도시한다.
도 12의 a는 사각형 형태의 패턴을 재봉하는 것으로 일측 재봉선택선(1201) 및 타측 재봉선택선(1202)은 사각형의 외곽선이다. b의 경우 일측 재봉선택선(1203)은 사각형의 외곽선에 위치하고 타측 재봉선택선(1204)은 사각형 내부에 위치한다. 전술한 것처럼 재봉선택선은 패턴 상에 존재 할 수 있는 두 점을 연결하는 선일 수 있기에 패턴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타측 재봉가능선(1209)은 사용자가 설정한 것이고, 도 12에서는 두 개의 타측 재봉가능선 중 사용자는 타측 재봉가능선(1204)을 타측 재봉선택선(1204)으로 선택한 예를 도시한다. c의 경우 일측 재봉선택선은 사각형의 외곽선에 위치하고 타측 재봉선택선은 원 내부에 위치한다. c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 재봉가능선 및 타측 재봉가능선이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직선과 곡선 형태라도 재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d의 경우 일측 재봉선택선은 사각형의 외곽선에 위치하고 타측 재봉선택선은 도형 외곽선이다. 전술한 것처럼, 일측 재봉가능선 및 타측 재봉가능선의 형태가 서로 다르더라도 재봉이 가능하고 d의 경우 타측 재봉선택선이 도형 내부에 위치하더라도 재봉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다.
일 양상에 따른 컴퓨팅 요소와, 패턴 및 드레이핑(draping)된 디지털 의상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 드레이핑부(200)를 포함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부(110) 및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를 통해 일측 재봉선택선 및 타측 재봉선택선을 설정 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하드웨어 측면에서 키보드, 마우스, 터치 펜 등의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부(110)는 패턴 상의 일측 재봉가능선에서 재봉될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받아 일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한다. 재봉가능선에서 재봉될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받아 일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한다.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부(110)는 재봉될 두 개의 선 중 하나의 선인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하는 방법은 마우스, 터치 팬,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직접 재봉하려는 부분을 선택하거나,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하여 어느 하나의 패턴 상에 선택 가능한 외곽선을 제시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를 통해 직접 재봉하려는 일측 재봉선택선을을 선택할 경우, 일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과 끝점을 입력하여 선택할 수 있다. 마우스, 터치 펜과 같은 입력 장치가 화면 내에서 출력하는 위치인 커서가 어느 하나의 패턴 상에 존재하는 재봉가능선에 존재 하지 않는데, 현재 커서 위치를 시작점 또는 끝점으로 선택한 경우 현재 커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재봉가능선 상의 점을 시작점 또는 끝점으로 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부(11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3 및 도 4에서 전술하였다.
일 양상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부(120)는 시작점 입력부(121), 끝점 입력부(122) 및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타측 재봉선택선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선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드레이핑부(200)는 재봉 명령에 따라 상기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 처리하여 디지털 의상 객체를 생성한다. 드레이핑부(200)에서는 패턴이 아바타 모델 주위로 배치되면서 사용자가 설정한 재봉선택선에 따라 재봉된다. 드레이핑부(2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0 및 도 11에서 전술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작점 입력부(121)는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을 입력 받는다.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은 마우스, 터치 팬,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직접 선택될 수 있다. 마우스, 터치 펜과 같은 입력 장치가 화면 내에서 출력하는 위치인 커서가 어느 하나의 패턴 상에 존재하는 재봉가능선에 존재 하지 않는데, 현재 커서 위치를 시작점으로 선택한 경우, 현재 커서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재봉가능선 상의 점을 시작점으로 할 수 있다. 시작점 입력부(121)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5 에서 전술하였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끝점 입력부(122)는 포인팅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다. 현재 커서의 위치가 복수의 타측 재봉가능선 중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과 가장 가까운 경우,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다. 현재 커서의 위치가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이 아닌 다른 타측 재봉가능선과 더 가까이 있는데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끝점 입력이 이루어 지지 않을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같도록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을 선택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설정부는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입력된 끝점까지의 타측 재봉가능선 구간을 타측 재봉선택선으로 설정한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가 같은 경우 디지털 의상에 주름 없이 재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의도적으로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주름을 생성하고, 이를 통해 미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가 다르더라도 원단의 늘어남 정도에 따라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직선, 곡선, 다중 분기선 그리고 다각형 및 원을 포함하는 도형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패턴의 형태가 원인 경우 원 테두리 전체를 재봉하면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원이다. 원의 일부를 재봉하면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곡선이다.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의 다양한 형태는 도 12에서 전술 하였다.
일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커서 위치 검출부(210) 및 끝점 후보 표시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서 위치 검출부(210)는 현재 커서 위치를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끝점 후보 표시부(220)는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검출된 현재 커서 위치와 최단 거리이면서 입력된 시작점을 포함하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게 되는 점을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 후보로 산출하고 이를 표시한다. 끝점 후보가 표시됨에 따라 패턴 상에서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가지도록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 끝점 후보 표시부(220)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도 6에서 전술하였다.
일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커서 위치 이동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서 위치 이동부(231)는 현재 커서 위치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이면 커서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어, 기준치는 15픽셀(Px, Pixel)이다. 기준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커서가 끝점 후보 위치 근처에 위치하는 경우 커서가 끝점 후보상으로 이동하여, 일측 재봉선택선과 같은 길이를 가지는 타측 재봉선택선을 쉽게 설정할 수 있다. 커서 위치 이동부(231)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도 7에서 전술하였다.
일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길이 표시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길이 표시부(240)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표시한다. 커서의 위치가 이동됨에 따라 바뀌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길이 표시부(24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7에서 전술하였다.
일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차이값 표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이값 표시부(250)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나아가,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차이값 표시부(250)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차이값을 확인하여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가 같도록 설정할 수 있다. 차이값 표시부(250)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은 도7, 도 8 및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전술하였다.
일 양상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경고 표시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고 표시부(260)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경고 표시를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경고 표시부(260)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산출된 길이 및 차이값의 색깔을 바꾸어 경고 표시를 한다. 타측 재봉선택선이 일측 재봉선택선에 비해 짧거나 길면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다. 즉,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을 재봉시 주름이 생길 수 있는 경우 재봉시 주름이 생기지 않는 경우의 차이값의 색깔과 다른 색깔로 차이값의 색깔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빨간색으로 표시 될 수 있다.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차이값을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경고 표시를 할 수 있다.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재봉후 드레이핑 과정을 거쳐 생성된 3D 패턴에 주름이 생기는지 여부는 봉제 방식, 원단 종류 등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잘 늘어나는 니트(Knit) 및 Chiffon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인치(Inch) 범위 내인 경우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잘 늘어나지 않는 면 및 데임은 일측 재봉선택선과 타측 재봉선택선의 길이 차이가 1센티미터(Cm) 범위 내인 경우에 주름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로부터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도출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형예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되었다.
10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10: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부
120: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부
121: 시작점 입력부
122: 끝점 입력부
200: 드레이핑부
210: 커서 위치 검출부
220: 끝점 후보 표시부
231: 커서 위치 이동부
240: 길이 표시부
250: 차이값 표시부
260: 경고 표시부

Claims (17)

  1. 컴퓨팅 요소와, 패턴 및 드레이핑(draping)된 디지털 의상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 가능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에 있어서,
    패턴 상의 일측 재봉가능선에서 재봉될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받아 일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하는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 및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을 입력 받는 시작점 입력 단계, 포인팅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 끝점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입력된 끝점까지의 타측 재봉가능선 구간을 타측 재봉선택선으로 설정하는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가 시작점 입력 단계와 끝점 입력 단계 사이에,
    현재 커서 위치를 검출하는 커서 위치 검출 단계,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검출된 현재 커서 위치와 최단 거리이면서 입력된 시작점을 포함하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게 되는 점을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 후보로 산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끝점 후보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직선, 곡선, 다중 분기선 그리고 다각형 및 원을 포함하는 도형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현재 커서 위치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이면 커서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커서 위치 이동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길이 표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을 표시하는 차이값 표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 단계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경고 표시를 하는 경고 표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경고 표시 단계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산출된 길이 및 차이값의 색깔을 바꾸어 경고 표시를 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9. 제 1항에 따른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이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 휘발성 기록 매체.
  10. 컴퓨팅 요소와, 패턴 및 드레이핑(draping)된 디지털 의상 객체를 저장하는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에 있어서,
    패턴 상의 일측 재봉가능선에서 재봉될 일측 재봉선택선을 입력 받아 일측 재봉선택선을 설정하는 일측 재봉선택선 설정부 및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현재 커서 위치를 검출하는 커서 위치 검출부; 및
    입력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검출된 현재 커서 위치와 최단 거리이면서 입력된 시작점을 포함하는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같게 되는 점을 타측 재봉선택선의 끝점 후보로 산출하고 이를 표시하는 끝점 후보 표시부;를 포함하되,
    타측 재봉선택선 설정부는
    일측 재봉선택선과 재봉될 적어도 하나의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타측 재봉선택선의 시작점을 입력 받는 시작점 입력부, 포인팅 선택 이벤트 발생시, 상기 시작점이 입력된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포인팅 선택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끝점으로 입력 받는 끝점 입력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일측 재봉가능선 또는 타측 재봉가능선은
    직선, 곡선, 다중 분기선 그리고 다각형 및 원을 포함하는 도형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현재 커서 위치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하이면 커서가 산출된 끝점 후보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되는 커서 위치 이동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여 표시하는 길이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일측 재봉선택선의 길이와
    타측 재봉가능선을 따라 입력된 시작점 및 타측 재봉가능선에서 커서의 위치로부터 최단 거리인 점을 연결한 선의 길이의 차이값을 표시하는 차이값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경고 표시를 하는 경고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경고 표시부는
    차이값이 기준치 이상이면 산출된 길이 및 차이값의 색깔을 바꾸어 경고 표시를 하는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장치.
KR1020150059086A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66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086A KR101665653B1 (ko)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US14/921,269 US10733773B2 (en) 2015-04-27 2015-10-23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igital clothing
US16/925,878 US11410355B2 (en) 2015-04-27 2020-07-10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igital cloth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086A KR101665653B1 (ko)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653B1 true KR101665653B1 (ko) 2016-10-13

Family

ID=5714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086A KR101665653B1 (ko) 2015-04-27 2015-04-27 디지털 의상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733773B2 (ko)
KR (1) KR1016656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933A (ko) * 2019-08-19 2021-03-02 (주)클로버추얼패션 3차원 가상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313842A (zh) * 2020-02-26 2021-08-27 柯镂虚拟时尚股份有限公司 在服装的纸样块上显示省道的方法及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099B1 (ko) * 2019-08-19 2021-03-17 (주)클로버추얼패션 의상의 패턴 조각들의 결합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308707B2 (en) * 2019-08-19 2022-04-19 Clo Virtual Fashion Inc. Automated grading of clothing patterns of gar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1763A (ja) * 1993-04-13 1994-10-28 Nippon Steel Corp 図形データの選択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10119260A (ko) * 2010-04-27 2011-11-02 (주)클로버추얼패션 3차원 의상 자동 전이 착장 방법 및 그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4182670A (ja) * 2013-03-21 2014-09-29 Geo Technical Laboratory Co Ltd 描画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描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1371D0 (en) * 2001-01-19 2001-03-07 Virtual Mirrors Ltd Production and visualisation of garments
US20110298897A1 (en) * 2010-06-08 2011-12-08 Iva Sareen System and method for 3d virtual try-on of apparel on an avatar
KR101464821B1 (ko) * 2011-06-30 2014-11-24 주식회사 썬스타 봉제 디자인 생산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1763A (ja) * 1993-04-13 1994-10-28 Nippon Steel Corp 図形データの選択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10119260A (ko) * 2010-04-27 2011-11-02 (주)클로버추얼패션 3차원 의상 자동 전이 착장 방법 및 그 장치와, 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4182670A (ja) * 2013-03-21 2014-09-29 Geo Technical Laboratory Co Ltd 描画データ生成装置および描画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LO 3D 2011 Marvelous Designer 매뉴얼(2014)*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1933A (ko) * 2019-08-19 2021-03-02 (주)클로버추얼패션 3차원 가상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28098B1 (ko) * 2019-08-19 2021-03-17 (주)클로버추얼패션 3차원 가상 의상에 대응하는 2차원 패턴의 치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222448B2 (en) 2019-08-19 2022-01-11 Clo Virtual Fashi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measurement of two-dimensional pattern corresponding to three-dimensional virtual clothing
CN113313842A (zh) * 2020-02-26 2021-08-27 柯镂虚拟时尚股份有限公司 在服装的纸样块上显示省道的方法及装置
CN113313842B (zh) * 2020-02-26 2024-01-05 柯镂虚拟时尚股份有限公司 在服装的纸样块上显示省道的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42641A1 (en) 2020-10-29
US10733773B2 (en) 2020-08-04
US11410355B2 (en) 2022-08-09
US20160314604A1 (en) 201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digital clothing
JP6553212B2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環境内の三次元描画のためのドレスフォーム
CN107464156B (zh) 用于制造服装的方法和系统
KR101763361B1 (ko)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0999348B1 (ko) 3차원 텍스타일 디자인 방법, 및 텍스타일 디자인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808726B1 (ko)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US1114509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simulating apparel reflecting binding
US11151786B2 (en) Grading garment that includes supplemental material
KR101726397B1 (ko) 재봉선 및 시접 객체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332069B1 (ko) 부자재 요소를 포함하는 의상의 그레이딩 방법 및 장치
KR101702069B1 (ko)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CN107463723B (zh) 用于设计用于可穿戴物品的式样的器械
KR101665652B1 (ko)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101665651B1 (ko) 3d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US20210337905A1 (en) Garment design processes with 3d cad tools
EP4113349A1 (en) Garment design processes with 3d cad tools
KR20230148554A (ko) 3d 아바타의 의상 착장 시뮬레이션 방법
KR101683780B1 (ko) 패턴 물성 변경 방법 및 장치
US20230102069A1 (en) Simulating and editing of garment of hierarchical structure
EP4102390A1 (en) Improving garment design processes with 3d cad tools
KR20220137527A (ko) 의상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20230026291A (ko) 재봉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KR20230112570A (ko) 패턴 생성 시뮬레이션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