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463B1 -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5463B1 KR101665463B1 KR1020120149224A KR20120149224A KR101665463B1 KR 101665463 B1 KR101665463 B1 KR 101665463B1 KR 1020120149224 A KR1020120149224 A KR 1020120149224A KR 20120149224 A KR20120149224 A KR 20120149224A KR 101665463 B1 KR101665463 B1 KR 1016654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iginal
- guide member
- contact surface
- image
- read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판독되는 위치로 반송되는 매체가 걸리기 어렵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접촉면(120F)은, 매체의 면이 접촉하는 면이다. CCD 이미지 센서 등의 판독 수단은, 접촉면(120F)에 접촉한 면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은,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는 위치인 판독점(Rp)으로 매체를 반송한다. 제2 안내 부재(117)는,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에 의해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판독점(Rp)보다 상류에 배치되며, 그 반송로의 양측에서 접촉면(120F)에 접촉하는 2개의 다리부(1171)를 갖는다. 제2 안내 부재(117)는, 이 각 다리부(1171)가 각각 접촉면(120F)에 접촉함으로써 접촉면(120F)과의 사이에 정해진 거리가 유지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된 제2 안내 부재(117)는, 접촉면(120F)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매체를 판독점(Rp)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접촉면(120F)은, 매체의 면이 접촉하는 면이다. CCD 이미지 센서 등의 판독 수단은, 접촉면(120F)에 접촉한 면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은, 판독 수단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는 위치인 판독점(Rp)으로 매체를 반송한다. 제2 안내 부재(117)는,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에 의해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판독점(Rp)보다 상류에 배치되며, 그 반송로의 양측에서 접촉면(120F)에 접촉하는 2개의 다리부(1171)를 갖는다. 제2 안내 부재(117)는, 이 각 다리부(1171)가 각각 접촉면(120F)에 접촉함으로써 접촉면(120F)과의 사이에 정해진 거리가 유지되도록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된 제2 안내 부재(117)는, 접촉면(120F)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매체를 판독점(Rp)으로 안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이동하는 원고를 읽기 가능한 원고 판독부와, 원고를 한 장씩 판독 윈도우부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원고 판독부의 근방에 배치되며, 도착한 원고를 원고 판독부를 따르게 해서 반송하는 판독부 반송 수단을 구비한 원고 반송 장치에 있어서, 판독부 반송 수단이, 판독부에 근접해서 배치되고 탄성 부재로 형성된 가압 롤러와, 그 가압 롤러에 안내되는 반송 벨트와, 그 반송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고 반송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원고를 공급하는 공급 회전체와, 그 공급 회전체로부터 공급된 원고를 수취하는 원고 수취 부재와, 그 원고 수취 부재 위에 공급된 원고에 형성된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 판독 수단과, 화상을 판독한 후의 원고를 배출하는 배출 회전체를 갖는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공급 회전체와 배출 회전체 사이에 있어서 원고 수취 부재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유지하도록 원고를 안내하는 복수의 안내 회전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화상이 판독되는 위치로 반송되는 매체가 걸리기 어렵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판독 장치는, 매체의 면이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한 상기 면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이 판독되는 판독 위치로 상기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와 당해 각 다리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반송로를 가로지르는 몸통부를 갖고, 당해 각 다리부가 각각 상기 접촉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몸통부와 당해 접촉면이 정해진 거리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매체를 상기 판독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판독 장치는, 청구항 1에 기재한 태양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당해 지지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접촉면을 향하여 눌리면 눌린 힘에 따라서 변형하여 상기 2개의 다리부를 각각 상기 접촉면에 접촉시키는 변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전술한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 3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안내 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화상이 판독되는 위치로 반송되는 매체가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반송 수단이 접촉면에 대하여 정해진 자세로 되어 있지 않아도, 전술한 안내 부재를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매체를 접촉면에 맞춰서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2 안내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닙부로부터 판독점까지의 반송로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제2 안내 부재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제2 안내 부재의 하단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2 안내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1 안내 부재를 확장했을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제2 안내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닙부로부터 판독점까지의 반송로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제2 안내 부재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제2 안내 부재의 하단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제2 안내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제1 안내 부재를 확장했을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실시형태
1-1.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9)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9)는 판독부(1)와 형성부(2)를 구비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9)의 각 구성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이 배치되는 공간을 xyz 오른손 좌표계 좌표 공간으로서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좌표 기호 중, 내측이 흰 원의 안에 검은 원을 그린 기호는 지면 안쪽으로부터 앞쪽을 향하는 화살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내측이 흰 원의 안에 교차하는 2개의 선분을 그린 기호는 지면 앞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하는 화살표를 나타내고 있다. 공간에 있어서 x축을 따르는 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한다. 또한, x축 방향 중, x성분이 증가하는 방향을 +x 방향이라 하고, x성분이 감소하는 방향을 -x 방향이라 한다. 또한, y, z성분에 대해서도, y축 방향, +y 방향, -y 방향, z축 방향, +z 방향, -z 방향을 정의한다. 한편, -z 방향은 하향의 방향, 즉 물체에 중력이 가해지는 방향이다.
판독부(1)와 형성부(2)는 어떻게 배치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판독부(1)는 형성부(2)의 위쪽, 즉, +z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1-2. 판독부의 구성
판독부(1)는 하우징(100), 용기(101), 및 축적부(140)를 구비한다. 또한, 판독부(1)는, 판독하는 화상이 형성된 매체인 원고를 반송하는 롤 군(群)으로서, 픽업 롤(110), 제1 송출 롤(111),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 레지스트레이션 롤(113), 배출 롤(114), 및 제2 송출 롤(115)을 구비한다. 이들 롤은 각각 쌍으로 되어 있으며, 각 쌍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이 각각 구동한다.
판독부(1)는, 원고의 반송로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제1 안내 부재(116), 제2 안내 부재(117), 반사 가이드 판(118), 원고 가이드(119), 및 전환 부재(141)를 구비한다. 전환 부재(141)는, 도 1에 나타내는 x축 방향을 따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자세를 변화하는 부재이다.
용기(101), 제1 안내 부재(116), 원고 가이드(119), 및 축적부(14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원고를 반송하는 각 롤을 각각 회전시키는 축 및 전환 부재(141)의 축은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판독부(1)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구성인 판독 수단(12)으로서, 원고대(120), 풀 레이트 캐리지(121), 조명 램프(122), 하프 레이트 캐리지(123), 제1 미러(124A), 제2 미러(124B), 제3 미러(124C), 결상용 렌즈(125), 및 CCD 이미지 센서(126)를 구비한다. 또한, 판독부(1)는 판독부(1) 자신 및 형성부(2)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판독 수단(12)에 대하여 개폐된다. 예를 들면, 판독부(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y축 방향을 따른 축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이 축을 중심으로 해서 원고대(1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100)을 지지하는 축이 화상 형성 장치(9)의 -x 방향 측, 즉 안쪽에 있을 경우, 이용자가 하우징(100)을 +y 방향으로 볼 때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원고대(120)의 상면, 즉 +z 방향의 면인 접촉면(120F)과 하우징(100)의 하면이 합쳐져서 닫힌다. 이용자가 하우징(100)을 +y 방향으로 볼 때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면(120F)과 하우징(100)의 하면이 떨어진다.
용기(101)는 복수의 원고(Ps)를 수용한다. 원고(Ps)란 표면에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매체이며, 예를 들면 종이나 시트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 등이다. 화상에는 사진, 문자, 선화(線畵) 등이 포함된다. 픽업 롤(110)은, 대기 시에는 리프트업되어 퇴피 위치(도시 생략)에 유지되며, 원고 반송 시에 닙 위치(원고 반송 위치)로 강하된다. 닙 위치로 강하된 픽업 롤(110)은, 용기(101)에 수용된 원고(Ps) 다발로부터 원고(Ps)를 하류, 즉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D10) 방향으로 반송한다. 픽업 롤(110)에 의해 반송된 원고(Ps)는 제1 송출 롤(111)에 도달한다. 제1 송출 롤(111)은, 픽업 롤(110)에 의해 반송된 원고(Ps)가 용기(101)에 수용된 원고(Ps) 중 최상위의 1매일 경우에는 그대로 이것을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로 반송한다. 또한, 제1 송출 롤(111)은, 원고(Ps)가 픽업 롤(110)에 의해 정리되지 않고 복수 매로 다발이 되어 반송되어 있을 경우에, 그 다발 중에서 최상위의 원고(Ps)를 1매씩 정리해서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로 반송한다.
원고 가이드(119)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된 벽면이며,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 레지스트레이션 롤(113), 배출 롤(114), 및 제2 송출 롤(115)의 각각의 닙부를 연결하는 고리 형상의 반송로를 형성한다.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은 원고 가이드(119)를 따라 더욱 하류측의 롤로 원고(Ps)를 반송한다. 예를 들면,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 중 하측의 롤이 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D11) 방향으로 회전 구동함으로써, 원고(Ps)는 원고 가이드(119)에 안내되어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의 닙부에 도달한다. 또한,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은 원고(Ps)의 루프(휘어짐) 형성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은, 정지되어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에 원고(Ps)의 선단을 맞닿게 해서 원고(Ps)에 루프를 형성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은, 일단 정지한 후에 타이밍을 맞춰서 회전을 재개하여, 원고대(120)에 있어서 원고(Ps)가 판독되는 위치에 대하여 레지스트레이션 조정을 실시하면서 원고(Ps)를 반송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113)로부터 반송된 원고(Ps)는 제1 안내 부재(116) 및 제2 안내 부재(117)에 의해 안내되며, 반송로의 고리보다 내측으로 반송되는 것이 제한된다. 제1 안내 부재(116) 및 제2 안내 부재(117)에 의해 안내된 원고(Ps)는, 반사 가이드 판(118)과 원고대(120)의 극간(隙間)으로 반송되며, 원고대(120)의 접촉면(120F)(도 3 참조)에 밀어붙여진다. 이하, 제1 송출 롤(111)→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을 거쳐서 반송된 원고(Ps)의 면 중, 밀어붙여짐으로써 원고대(120)의 접촉면(120F)에 최초로 접촉하는 측의 면을 제1 면이라 한다. 또한, 원고(Ps)의 면 중, 제1 면의 반대 측의 면을 제2 면이라 한다.
원고대(120)는 글래스 등의 광(光)을 투과하는 판 형상의 부재로 구성된다. 풀 레이트 캐리지(121)는 원고대(120)에 있어서 원고(Ps)가 접촉하는 측의 반대 측, 즉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풀 레이트 캐리지(121)에는, 원고대(120)의 접촉면(120F)에 밀어붙여진 원고(Ps)에 대하여, 원고대(120)를 투과시켜서 광을 조사하는 조명 램프(122)와, 원고(Ps)로부터 얻어진 반사광을 제2 미러(124B)의 방향으로 편향하는 제1 미러(124A)가 구비되어 있다. 하프 레이트 캐리지(123)에는, 제1 미러(124A)로부터 반사된 광을 결상부로 유도하는 제2 미러(124B), 및 제3 미러(124C)가 구비되어 있다. 결상용 렌즈(125)는 제3 미러(124C)로부터 유도된 반사광을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126)에 결상한다. CCD 이미지 센서(126)는 결상용 렌즈(125)에 의해 결상된 광학 상을 광전 변환한다. 이에 따라 원고(Ps)의 제1 면에 묘사된 화상은, 원고대(120)의 하면 방향으로부터 판독되고, 판독된 그 화상에 따른 화상 데이터가 제어부(130)에 의해 생성된다. 즉, CCD 이미지 센서(126) 등을 갖는 판독 수단(12)은 접촉면(120F)에 접촉한 면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한다.
제어부(13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0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을 구비하며, 예를 들면 ROM에 기억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RAM으로 읽어내어 CPU가 실행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9)의 각 부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원고(Ps)로부터 판독한 화상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생성해서 형성부(2)에 보내어, 이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형성부(2)에 화상을 형성시킨다.
판독부(1)는, 용기(101)에 수용된 원고(Ps) 외에, 원고대(120)에 직접 정치(靜置)된 원고(Ps)를 판독하는 구성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원고대(120)에 정치된 원고(Ps)를 판독할 경우, 판독부(1)의 제어부(130)는, 풀 레이트 캐리지(121)와 하프 레이트 캐리지(123)를 2:1의 비율로 스캔 방향(도 1에 나타내는 화살표(D12)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원고(Ps)의 1페이지 분을 판독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101)에 수용된 원고(Ps)를 원고대(120)로 반송시킬 경우, 판독부(1)는, 풀 레이트 캐리지(121)와 하프 레이트 캐리지(123)를 화살표(D12)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반송된 원고(Ps)의 제1 면에 묘사된 화상을 판독한다.
축적부(140)는, 판독된 원고(Ps)를 축적하는 영역이다. 풀 레이트 캐리지(121)와 하프 레이트 캐리지(123)를 이동시키지 않고 원고(Ps)의 제1 면에 묘사된 화상을 판독할 경우, 화상이 판독된 후의 원고(Ps)는 배출 롤(114)에 의해 축적부(140)를 향해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독부(1)는, 원고(Ps)의 제1 면에 묘사된 화상을 판독하지만, 원고(Ps)의 제2 면에 묘사된 화상도 판독하는 구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화상 형성 장치(9)의 판독부(1)는, 전환 부재(141)를 사용함으로써, 원고(Ps)를 반전시켜서 그 제2 면에 묘사된 화상을 판독한다. 예를 들면, 판독부(1)가 원고(Ps)의 제1 면에 묘사된 화상만을 판독할 경우, 제2 송출 롤(115)의 한 쌍의 롤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 롤(114)에 의해 배출되는 원고(Ps)는 제2 송출 롤(115)의 극간을 통해서 축적부(140)에 축적된다. 한편, 판독부(1)가 원고(Ps)의 제1 면 및 제2 면의 양쪽에 묘사된 화상을 각각 판독할 경우, 제2 송출 롤(115)의 한 쌍의 롤은 배출 롤(114)에 의해 반송된 원고(Ps)를 사이에 끼우고, 그 원고(Ps)의 상류 측 가장자리가 전환 부재(141)를 넘을 때까지 +y 방향으로 반송한다.
원고(Ps)의 상류 측 가장자리가 전환 부재(141)를 넘었는지의 여부는,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검지한다. 원고(Ps)의 상류 측 가장자리가 전환 부재(141)를 넘으면, 제어부(130)는 전환 부재(141)를 구동하여, 제2 송출 롤(115)과 배출 롤(114)을 연결하는 반송로를 막고, 제2 송출 롤(115)과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을 연결하는 반송로를 열도록, 그 자세를 변화시킨다. 제2 송출 롤(115)은, 전환 부재(141)의 자세가 변화된 후, 회전 방향을 바꿔서, -y 방향, 즉,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이 배치된 방향으로 원고(Ps)를 반송한다. 이에 따라 원고(Ps)는 반전하여,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112),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을 거쳐서 반사 가이드 판(118)과 원고대(120)의 극간으로 다시 반송되면, 그 제2 면에 묘사된 화상이 풀 레이트 캐리지(121) 등을 구비한 판독 수단(12)에 의해 판독된다.
1-3. 형성부의 구성
형성부(2)는 반송부(22)와, 현상부(23Y, 23M, 23C, 23K)와, 전사부(24)와, 가열부(25)를 구비하고 있다. 또, 부호의 Y, M, C, K은 각각, 옐로, 마젠타, 시안, 블랙의 토너에 대응한 구성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현상부(23Y, 23M, 23C, 23K)의 각각은, 사용하는 토너가 상이할 뿐이며, 그 구성에 큰 차이는 없다. 이하, 현상부(23Y, 23M, 23C, 23K)의 각각을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토너의 색을 나타내는 부호 말미의 알파벳을 생략해서 「현상부(23)」로 한다.
반송부(22)는 매체로서의 용지(P)가 수용되는 용기를 갖는다. 반송부(22)는 복수의 반송 롤을 가지며, 이들 반송 롤에 의해 용기로부터 용지(P)를 취출해서 전사부(24)로 반송한다. 또한, 반송부(22)는 전사부(24) 및 가열부(25)를 거친 용지(P)를 화상 형성 장치(9)의 외부로 반송한다.
각 현상부(23)는 감광체 드럼(231)과, 대전기(232)와, 노광 장치(233)와, 현상기(234)와, 1차 전사 롤(235)과, 드럼 클리너(236)를 구비하고 있다. 감광체 드럼(231)은 전하 발생층이나 전하 수송층을 갖는 상 유지체이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부에 의해 도면 중의 화살표(D23)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기(232)는 감광체 드럼(231)의 표면을 대전시킨다. 노광 장치(233)는 레이저 발광원이나 폴리곤 미러 등(모두 도시 생략)을 구비하며, 제어부(130)의 제어 하, 판독부(1)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 광을, 대전기(232)에 의해 대전된 후의 감광체 드럼(231)을 향해서 조사한다. 이에 따라, 각 감광체 드럼(231)에는 잠상이 유지된다.
한편, 상기한 화상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통신부를 통해서 제어부(130)가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 것이어도 된다. 외부 장치란,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장치 등이다.
현상기(234)는 Y, M, C, K 중 어느 한 색의 토너와, 페라이트 분(粉) 등의 자성 캐리어를 함유하는 2성분 현상제를 수용한다. 그리고 현상기(234)에 형성된 자기 브러시의 끝이 감광체 드럼(231)의 표면에 접촉함으로써, 토너는 감광체 드럼(231) 표면에서 노광 장치(233)에 의해 노광된 부분, 즉 정전 잠상의 화선부(畵線部)에 부착하여, 감광체 드럼(231)에 화상이 형성(현상)된다.
1차 전사 롤(235)은 전사부(24)의 중간 전사 벨트(241)가 감광체 드럼(231)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미리 정한 전위 차를 발생시켜, 이 전위 차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41)에 화상을 전사한다. 드럼 클리너(236)는, 화상의 전사 후에 감광체 드럼(231)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未) 전사 토너를 제거하고, 감광체 드럼(231) 표면을 제전(除電)한다. 즉, 드럼 클리너(236)는, 다음 화상 형성에 대비해서, 감광체 드럼(231)으로부터 불필요한 토너나 전하를 제거하는 것이다.
전사부(24)는 중간 전사 벨트(241)와, 2차 전사 롤(242)과, 벨트 반송 롤(243)과, 백업 롤(244)을 구비하고 있으며, 현상부(23)에 의해 형성된 화상을, 유저의 조작에 따라서 결정된 지종(紙種)의 용지(P)에 전사하는 전사부이다. 중간 전사 벨트(241)는 무단(無端)의 벨트 부재이며, 벨트 반송 롤(243) 및 백업 롤(244)은 이 중간 전사 벨트(241)를 걸친다. 벨트 반송 롤(243) 및 백업 롤(244)의 적어도 1개에는 구동부(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있으며, 중간 전사 벨트(241)를 도면 중의 화살표(D24)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구동부를 갖지 않는 벨트 반송 롤(243) 또는 백업 롤(244)은, 중간 전사 벨트(241)의 이동에 따라 회전한다. 중간 전사 벨트(241)가 도면 중의 화살표(D24) 방향으로 이동해서 회전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241) 위의 화상은, 2차 전사 롤(242)과 백업 롤(244)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으로 이동된다.
2차 전사 롤(242)은, 중간 전사 벨트(241)와의 전위 차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241) 위의 화상을 반송부(22)로부터 반송되어 온 용지(P)에 전사시킨다. 벨트 클리너(249)는 중간 전사 벨트(241)의 표면에 잔류하고 있는 미 전사 토너를 제거한다. 그리고, 전사부(24) 또는 반송부(22)는 화상이 전사된 용지(P)를 가열부(25)로 반송한다.
가열부(25)는, 예를 들면 자계를 발생시키는 자계 발생 회로와, 발생한 자계가 작용해서 발생하는 전자 안내에 의해 발열하는 가열 벨트와, 가열 벨트와의 사이에서 용지(P)를 사이에 끼워 반송하는 가압 롤을 갖는다. 가열부(25)는 용지(P)를 가열해서 용지(P)에 전사된 화상을 정착시킨다. 가열부(25)를 거쳐서 화상이 정착된 용지(P)는, 반송부(22)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9)의 외부로 반송된다.
1-4. 제2 안내 부재의 구성
도 2는, 제2 안내 부재(117)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원고(Ps)는 도 2에 나타내는 반송로(pt)를 통해서 반송된다. 반송로(pt)는,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의 닙부(N113)로부터 배출 롤(114)의 닙부(N114)까지를 연결하는 경로이며, 제1 안내 부재(116), 제2 안내 부재(117) 및 반사 가이드 판(118)의 각각과 원고대(120)의 극간을 통과하는 경로이다. 반사 가이드 판(118)과 원고대(120) 사이에는, 제1 미러(124A)→제2 미러(124B)→제3 미러(124C)→결상용 렌즈(125)→CCD 이미지 센서(126)라는 광로(光路)를 거쳐서 원고(Ps)의 화상이 판독되는 위치(판독 위치)인 판독점(Rp)이 존재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닙부(N113)로부터 판독점(Rp)까지의 반송로(pt)를 확대한 도면이다. 닙부(N113)를 나와서 판독점(Rp)을 향하여 반송되는 원고(Ps)는, 제1 안내 부재(116)의 -z 방향의 가장자리인 하단(E116)에 의해, 그 하단(E116)보다도 위(+z 방향)로 나아가지 않도록 제한된다. 진행 방향이 제한된 원고(Ps)의 선단은, 제2 안내 부재(117) 또는 그 아래쪽의 원고대(120)를 향해서 반송된다.
도 4는 제2 안내 부재(117)의 개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안내 부재(117)는, 원고(Ps)가 반송되는 방향에 있어서 판독점(Rp)보다도 상류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위인 판 형상부(1170)와, 이 판 형상부(1170)의 양단에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다리부(1171)를 갖는다. 즉, 판 형상부(1170)는,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에 의해 매체가 반송되는 방향에 있어서 판독점(Rp)보다도 상류에서, 2개의 다리부(1171) 사이에 끼워져 매체의 반송로를 가로지르는 몸통부의 일례이다.
또한, 각 다리부(1171)에는, 그 +z 방향의 단부로부터 +z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부재(117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1174)는, z축 방향을 따른 힘이 가해지면 그 힘에 따라 길이가 변화하고, 가해진 이 힘이 없어지면 원래의 길이로 복원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 등이다. 다리부(1171) 및 탄성 부재(1174)는 각각 2개 있다. 이하, 이들을 구별할 경우에는, +x 방향으로 배치된 것에 「R」을, -x 방향으로 배치된 것에 「L」를 부기한다.
판 형상부(1170)의 면 중, -y 방향의 면을 안내면(1172)이라 한다. 안내면(1172)은, 닙부(N113)로부터 반송되는 원고(Ps)가 맞닿았을 경우, 그 원고(Ps)를 판독점(Rp)으로 안내한다. 판 형상부(1170)의 -z 방향의 가장자리는 하단(E117)이다.
제1 안내 부재(116)의 하단(E116)을 통과한 원고(Ps)의 선단은, 그 원고(Ps)에 형성된 휘어짐이나 그 원고(Ps)의 재질의 강성에 따라서는, 제2 안내 부재(117)의 안내면(1172)에 맞닿는다. 안내면(1172)은, 맞닿은 원고(Ps)를 -z 방향으로 압하(押下)하도록 경사져 있다. 그 때문에, 안내면(1172)에 맞닿은 원고(Ps)의 선단은, 제2 안내 부재(117)의 하단(E117)까지 이동하며, 이 하단(E117)을 넘어서, 반사 가이드 판(118)과 원고대(120)의 접촉면(120F)의 극간으로 이동한다. 접촉면(120F)은 레지스트레이션 롤(113)로부터 반송되는 원고(Ps)가 밀어붙여져서 접촉하는 면이다. 접촉면(120F)은 원고(Ps)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갖는다. 즉, 원고(Ps)는, 제2 안내 부재(117)의 하단(E117)에 의해, 그 하단(E117)보다도 위(+z 방향)로 나아가지 않도록 제한되어 판독점(Rp)에 도달한다. 이에 따라, 원고(Ps)의 제1 면은 판독점(Rp)으로 이동한다. 즉,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은 판독 수단(12)에 의해 화상이 판독되는 위치인 판독점(Rp)으로 매체를 반송한다.
도 5는, 제2 안내 부재(117)의 하단(E117)의 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제2 안내 부재(117)는 개략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하단(E117)의 자세에 대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z축 방향의 치수에 비교하여 x축 방향의 치수가 축소되어 있다.
각 탄성 부재(1174)의 +z 방향의 단부(즉, 상단)는 각각 판독부(1)의 하우징(100)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탄성 부재(1174)의 -z 방향의 단부(즉, 하단)는 각각 다리부(1171)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100)에 있어서 탄성 부재(1174L)가 고정되어 있는 점을 점(SL)이라 하고, 하우징(100)에 있어서 탄성 부재(1174R)가 고정되어 있는 점을 점(SR)이라 한다.
점(SL)과 점(SR)을 연결하는 선분(100F)이 접촉면(120F)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지 않을 경우,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1174L)와 탄성 부재(1174R)는 z축 방향으로 같은 길이가 되며, 다리부(1171L) 및 다리부(1171R)를 각각 -z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따라, 다리부(1171L)는 접촉면(120F)과 점(CL)에서 접촉하고, 다리부(1171R)는 접촉면(120F)과 점(CR)에서 접촉한다. 즉, 2개의 다리부(1171)는, 레지스트레이션 롤(113)에 의해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의 양측에서 접촉면(120F)에 각각 세워진다. 점(CL)과 점(CR)을 연결하는 선과 판 형상부(1170)의 하단(E117)이, 정해진 오차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거리(δ)만큼 떨어지도록, 제2 안내 부재(117)가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하단(E117)과 접촉면(120F)의 거리는, x축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일정(거리(δ))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원고대(120)에 대하여 개폐되므로, 원고대(120)의 접촉면(120F)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가 되는 경우가 있다.
점(SL)과 점(SR)을 연결하는 선분(100F)이 접촉면(120F)에 대하여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울어져 있을 경우, 탄성 부재(1174L)는 탄성 부재(1174R)보다 z축 방향으로 짧아진다. 그 결과, 다리부(1171L)는 접촉면(120F)과 점(CL)에서 접촉하고, 다리부(1171R)는 접촉면(120F)과 점(CR)에서 접촉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서도, 하단(E117)과 접촉면(120F)의 거리는, x축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일정(거리(δ))해진다.
점(SL)과 점(SR)을 연결하는 선분(100F)이 접촉면(120F)에 대하여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울어져 있을 경우, 탄성 부재(1174R)는 탄성 부재(1174L)보다 z축 방향으로 짧아진다. 즉, 전술한 각 탄성 부재(1174)는, 모두 레지스트레이션 롤(113) 등의 반송 수단을 지지하는 하우징(100)(지지 부재)에 의해 접촉면(120F)을 향하여 눌리면 눌린 힘에 따라 변형하여 다리부(1171)의 각각을 접촉면(120F)에 접촉시키는 변형 부재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다리부(1171L)는 접촉면(120F)과 점(CL)에서 접촉하고, 다리부(1171R)는 접촉면(120F)과 점(CR)에서 접촉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서도, 하단(E117)과 접촉면(120F)의 거리는, x축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상기한 오차의 범위 내에서 일정(거리(δ))해진다. 즉, 판 형상부(1170)는, 각 다리부(1171)가 각각 접촉면(120F)에 접촉함으로써 폭 방향의 어느 장소에 있어서도 접촉면(120F)과 정해진 거리가 유지되는 단부(하단(E117))를 갖는다.
1-5. 제2 안내 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과의 비교
도 6은 제2 안내 부재(117)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안내 부재(116)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제1 안내 부재(116)와 반사 가이드 판(118) 사이에 제2 안내 부재(117)를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면, 제1 안내 부재(116)로부터 반사 가이드 판(118)까지의 사이에 원고(Ps)를 제한하지 않는 공간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닙부(N113) 사이에 끼워져 반송되는 원고(Ps)의 선단부는, 자신에 부여된 휘어짐 강도나 그 재질의 강성에 따라서, 반송로(pt1)를 통과하거나, 반송로(pt2)를 통과하거나 한다. 예를 들면 반송로(pt2)보다 위쪽으로 구부러진 반송로(pt1)를 통과할 경우, 원고(Ps)는 반사 가이드 판(118)에 맞닿아서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그 결과, 원고(Ps)는, 걸려서 맞닿은 위치로부터 앞으로 반송되지 않아, 판독점(Rp)에 이르지 못하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닙부(N113)를 통과하면, 원고(Ps)는 닙부(N113)에 의해 지지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원고(Ps)의 후단부의 위치가 정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휘어짐 강도나 재질의 강성에 따라서, 원고(Ps)는, 반송로(pt3)를 통과하거나, 반송로(pt4)를 통과하거나 한다. 반송로(pt3)보다도 위쪽으로 구부러진 반송로(pt4)를 통과할 경우, 원고(Ps)는, 반송로(pt3)를 통과할 경우에 비해서, 반사 가이드 판(118)과 접촉면(120F) 사이에 -y 방향으로부터의 광이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기 쉽다. 그 때문에, 판독점(Rp)에 있어서 원고(Ps)에 조사되는 광량이 안정되지 않아, 화상이 흐트러지는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도 7은, 제2 안내 부재(117)를 설치하지 않은 대신에, 제2 안내 부재(117)의 위치로 제1 안내 부재(116)를 확장했을 경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b)에 나타내는 제1 안내 부재(116)는 개략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하단(E116a)의 자세에 대한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z축 방향의 치수에 비교해서 x축 방향의 치수가 축소되어 있다.
확장된 제1 안내 부재(116)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에 있어서 제2 안내 부재(117)의 하단(E117)이 있었던 위치에(도 3 참조), 제2 하단인 하단(E116a)을 갖는다. 따라서, 제1 안내 부재(116)의 하단(E116)을 통과한 원고(Ps)는, 그 하단(E116)보다 반송 방향(+y 방향)이며, 또한 아래쪽(-z 방향)에 위치하는 하단(E116a)에 의해, 위쪽(+z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제한된다.
그러나, 하단(E116a)은 제1 안내 부재(116)의 하단이기 때문에, 그 위치는 하우징(100)에 의해 정해진다. 예를 들면,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안내 부재(116)가 점(SL) 및 점(SR)의 2점에서 하우징(100)에 지지되어 있고, 점(SL)과 점(SR)을 연결하는 선분(100F)이 접촉면(120F)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하단(E116a)도 접촉면(120F)에 대하여 기울어지기 때문에, 하단(E116a)과 접촉면(120F)의 거리는, δL에서부터 δR까지 변화한다. 즉, 하단(E116a)의 z축 방향의 위치는 x축 방향에 있어서 편차가 있어 안정되지 못하다. 그 때문에, 하단(E116a)을 통과할 때에 원고(Ps)는 그 자세가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우가 있어, 걸리기 쉬우며, 또한 판독되는 화상에 흐트러짐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안내 부재(117)는, 2개의 탄성 부재(1174)를 통해서 하우징(100)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안내 부재(117)를 갖는 구성에서는, 하우징(100)이 접촉면(120F)에 대하여 어떻게 기울었다고 해도, 하단(E117)으로부터 접촉면(120F)까지의 거리는, 정해진 오차의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원고(Ps)는, 하단(E117)을 통과할 때에, x축 방향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접촉면(120F)으로부터 거의 일정한 거리(정해진 오차의 범위 내에서 일정한 거리)의 위치를 통과하기 때문에, 제2 안내 부재(117)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반사 가이드 판(118)과 접촉면(120F)의 극간으로 반송되기 쉬워진다. 즉, 제2 안내 부재(117)를 설치함으로써, 원고(Ps)는, 반송될 때의 자세가 접촉면(120F)에 대해서 안정되서, 걸리기 어렵고, 판독점(Rp)을 통과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2 안내 부재(117)를 설치함으로써, 화상이 판독될 때의 원고(Ps)의 자세가 안정되므로, 판독되는 화상의 흐트러짐이 억제된다.
2. 변형예
이상이 실시형태의 설명이지만, 이 실시형태의 내용은 이하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변형예를 조합시켜도 된다.
2-1. 변형예 1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독부(1)와 형성부(2)를 구비하는 화상 형성 장치(9)를 설명했지만, 판독부(1)와 형성부(2)는 각각 별개의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판독부(1)에 의해 판독된 화상은 매체에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형성부(2)는 없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매체의 면이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한 상기 면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이 판독되는 판독 위치로 상기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반송 방향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와 당해 각 다리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반송로를 가로지르는 몸통부를 갖고, 당해 각 다리부가 각각 상기 접촉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몸통부와 당해 접촉면이 정해진 거리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매체를 상기 판독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와, 상기 반송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당해 지지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접촉면을 향하여 눌리면 눌린 힘에 따라서 변형하여 상기 2개의 다리부를 상기 접촉면에 접촉시키는 변형 부재를 구비하는 판독 장치로서 관념되어도 된다.
2-2. 변형예 2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독부(1)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고대(120)에 대하여 x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풀 레이트 캐리지(121), 및 하프 레이트 캐리지(123)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이들 구성은, 원고대(120)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판독부(1)는 반송로(pt)를 통과해서 반송된 원고(Ps)의 화상을 판독한다.
2-3. 변형예 3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판독부(1)는, 제2 면에 묘사된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서 원고(Ps)를 반전시키는 전환 부재(141)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원고(Ps)를 반전시키는 구성은 없어도 된다. 판독부(1)는, 제2 면의 화상을 판독하는 구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되며, 또한 예를 들면 반송로(pt)의 고리의 내측에 CCD 이미지 센서(126)와는 다른 CCD 이미지 센서를 갖고 있어서, 원고(Ps)가 반송로(pt)를 1회 통과할 때에, 제1 면 및 제2 면의 각 화상을 각각의 CCD 이미지 센서에 의해 판독하도록 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매체의 면이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한 상기 면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이 판독되는 판독 위치로 상기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판독 위치보다도 상류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와 당해 각 다리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반송로를 가로지르는 몸통부를 갖고, 당해 각 다리부가 각각 상기 접촉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몸통부와 당해 접촉면이 정해진 거리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매체를 상기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판독 장치로서 관념되어도 된다.
2-4. 변형예 4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각 다리부(1171)에는, 그 +z 방향의 단부로부터 +z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탄성 부재(1174)가 각각 설치되어 있었지만, 탄성 부재(1174)는 없어도 된다. 이 경우, 하우징(100)이, 원고대(120)의 접촉면(120F)에 대하여 기울어진 자세가 되었을 경우이더라도, 접촉면(120F)에 각각 접촉하도록 각 다리부(1171)가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원고대(120)에 대하여 하우징(100)이 닫혔을 때, 제2 안내 부재(117)의 다리부(1171)에 설치된 후크부와 원고대(120)의 접촉면(120F)에 설치된 후크 받이부가 걸어맞춰지도록, 제2 안내 부재(117)가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따라, 다리부(1171)가 접촉면(120F)에 세워져, 접촉면(120F)을 기준으로 해서 제2 안내 부재(117)의 하단(E117)이 위치 결정되면 된다. 이 경우이더라도, 제2 안내 부재(117)의 하단(E117)과 접촉면(120F)의 거리는, x축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정해진다.
요컨대, 각 다리부(1171)가 접촉면(120F)에 각각 접촉함으로써, 판 형상부(1170)의 하단(E117)과 접촉면(120F)의 거리가, x축 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정해진 범위 내에서 일정해지면 된다.
2-5. 변형예 5
전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2 안내 부재(117)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부재인 판 형상부(1170)를 갖고 있었지만, 원고(Ps)를 판독점(Rp)으로 안내하는 몸통부는, 판 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요컨대, 제2 안내 부재(117)는, 각 다리부(1171) 사이에 끼워져서 반송로를 가로지르며, 또한 전술한 하단(E117)을 갖는 몸통부를 구비하고, 이 하단(E117)에 의해 원고(Ps)를 판독점(Rp)으로 안내하면 된다.
1 - 판독부
100 - 하우징
101 - 용기
110 - 픽업 롤
111 - 제1 송출 롤
112 -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
113 - 레지스트레이션 롤
114 - 배출 롤
115 - 제2 송출 롤
116 - 제1 안내 부재
117 - 제2 안내 부재
1170 - 판 형상부(몸통부)
1171 - 다리부
1172 - 안내면
1174 - 탄성 부재
118 - 반사 가이드판
119 - 원고 가이드
12 - 판독 수단
120 - 원고대
120F - 접촉면
121 - 풀 레이트 캐리지
122 - 조명 램프
123 - 하프 레이트 캐리지
124A - 제1 미러
124B - 제2 미러
124C - 제3 미러
125 - 결상용 렌즈
126 - CCD 이미지 센서
130 - 제어부
140 - 축적부
141 - 전환 부재
2 - 형성부
22 - 반송부
23 - 현상부
24 - 전사부
25 - 가열부
9 - 화상 형성 장치
E116 - 하단
E117 - 하단
N113 - 닙부
N114 - 닙부
P - 용지
Ps - 원고
Rp - 판독점
100 - 하우징
101 - 용기
110 - 픽업 롤
111 - 제1 송출 롤
112 - 프리 레지스트레이션 롤
113 - 레지스트레이션 롤
114 - 배출 롤
115 - 제2 송출 롤
116 - 제1 안내 부재
117 - 제2 안내 부재
1170 - 판 형상부(몸통부)
1171 - 다리부
1172 - 안내면
1174 - 탄성 부재
118 - 반사 가이드판
119 - 원고 가이드
12 - 판독 수단
120 - 원고대
120F - 접촉면
121 - 풀 레이트 캐리지
122 - 조명 램프
123 - 하프 레이트 캐리지
124A - 제1 미러
124B - 제2 미러
124C - 제3 미러
125 - 결상용 렌즈
126 - CCD 이미지 센서
130 - 제어부
140 - 축적부
141 - 전환 부재
2 - 형성부
22 - 반송부
23 - 현상부
24 - 전사부
25 - 가열부
9 - 화상 형성 장치
E116 - 하단
E117 - 하단
N113 - 닙부
N114 - 닙부
P - 용지
Ps - 원고
Rp - 판독점
Claims (3)
- 매체의 면이 접촉하는 접촉면과,
상기 접촉면에 접촉한 상기 면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이 판독되는 판독 위치로 상기 매체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판독 위치에서 반송로를 형성하는 반사 가이드와,
상기 반사 가이드보다도 상류에 있으며, 반송로를 형성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상기 매체가 반송되는 반송로에 있어서 상기 반사 가이드와 상기 제1 안내 부재 간에 배치되며, 상기 접촉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2개의 다리부와 당해 각 다리부 사이에 끼워져서 상기 반송로를 가로지르는 몸통부를 갖고, 상기 반사 가이드와 상기 제1 안내 부재 간에 배치됨으로써 반송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당해 각 다리부가 각각 상기 접촉면에 접촉함으로써, 당해 몸통부와 당해 접촉면이 정해진 거리로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매체를 상기 판독 위치로 안내하는 제2 안내 부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수단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당해 지지 부재와 상기 안내 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접촉면을 향하여 눌리면 눌린 힘에 따라서 변형하여 상기 2개의 다리부를 각각 상기 접촉면에 접촉시키는 변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독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판독 장치와,
상기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을 매체에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102541 | 2012-04-27 | ||
JP2012102541A JP6028380B2 (ja) | 2012-04-27 | 2012-04-27 | 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21660A KR20130121660A (ko) | 2013-11-06 |
KR101665463B1 true KR101665463B1 (ko) | 2016-10-12 |
Family
ID=49077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49224A KR101665463B1 (ko) | 2012-04-27 | 2012-12-20 |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6028380B2 (ko) |
KR (1) | KR101665463B1 (ko) |
CN (1) | CN203181057U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2463A (ja) | 2000-11-16 | 2002-05-24 | Ricoh Co Ltd |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
JP2006232441A (ja) * | 2005-02-23 | 2006-09-07 | Canon Inc | 原稿読取装置 |
JP2007019971A (ja) | 2005-07-08 | 2007-01-25 | Toshiba Corp | 自動原稿送り装置 |
JP2010093460A (ja) * | 2008-10-07 | 2010-04-22 | Kyocera Mita Corp |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15919B2 (ja) | 2001-12-21 | 2005-11-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2006042193A (ja) | 2004-07-29 | 2006-02-09 | Ricoh Co Ltd | 原稿搬送装置、原稿読取装置およびこれら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2012
- 2012-04-27 JP JP2012102541A patent/JP6028380B2/ja active Active
- 2012-12-20 KR KR1020120149224A patent/KR1016654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
- 2013-01-09 CN CN2013200108623U patent/CN203181057U/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52463A (ja) | 2000-11-16 | 2002-05-24 | Ricoh Co Ltd | 自動原稿搬送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
JP2006232441A (ja) * | 2005-02-23 | 2006-09-07 | Canon Inc | 原稿読取装置 |
JP2007019971A (ja) | 2005-07-08 | 2007-01-25 | Toshiba Corp | 自動原稿送り装置 |
JP2010093460A (ja) * | 2008-10-07 | 2010-04-22 | Kyocera Mita Corp | 画像読取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3232709A (ja) | 2013-11-14 |
JP6028380B2 (ja) | 2016-11-16 |
CN203181057U (zh) | 2013-09-04 |
KR20130121660A (ko) | 2013-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78183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8276138A (ja)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 |
US9233808B2 (en) |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840110B2 (en) |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 |
JP6020012B2 (ja) | 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4832260B2 (ja) | 蛇行検知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10271472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1665463B1 (ko) | 판독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JP5744803B2 (ja) |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JP6771982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515648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8100135A (ja) |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
US9487368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otatable paper conveyance assembly | |
US8654413B2 (en) |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640049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10206684A (ja) | 画像読取装置および複写機 | |
JP6655511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7298811A (ja) | 画像形成装置 | |
US11899390B2 (en) | Recording-material-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US12122631B2 (en) | Recording-material-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US12124200B2 (en) | Recording-material-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with oppositely oriented image readers | |
US20230308569A1 (en) |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US20240236249A1 (en) | Sheet feeding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20230303358A1 (en) | Recording-material-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US20230303349A1 (en) | Recording-material-transpor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