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325B1 -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325B1
KR101665325B1 KR1020120047519A KR20120047519A KR101665325B1 KR 101665325 B1 KR101665325 B1 KR 101665325B1 KR 1020120047519 A KR1020120047519 A KR 1020120047519A KR 20120047519 A KR20120047519 A KR 20120047519A KR 101665325 B1 KR101665325 B1 KR 101665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main engine
generator
preheating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967A (ko
Inventor
이승기
양진복
송용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7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32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3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Abstract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은,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는 예열히터가 구비된 발전기 엔진 예열부와, 메인 엔진을 냉각시키는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과, 메인 엔진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예열히터와 상호 열교환된 후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으로 복귀하도록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에서 분기되는 분기유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GENERATOR ENGINE PREHEATING METHOD FOR A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구동시키는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발전기 엔진과 메인 엔진의 경우 저온으로 엔진 재킷(jacket)을 유지한 상태에서 운전하게 되면 연료 속에 함유된 황 성분이 연소시 발생되는 수증기와 만나서 황산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황산은 엔진 실린더의 부식을 일으키는 데 이를 저온 부식(low temperature corrosion)이라고 한다. 이러한 저온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엔진이 운전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엔진 재킷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예열수(preheating water)를 공급해야 한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는 사용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고온의 스팀을 예열히터로 공급하여 고온의 스팀으로 예열히터를 흐르는 냉각수를 가열시켜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예열히터에 별도의 전기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는 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메인 엔진의 경우 스팀을 이용하여 히팅하는 방법이 거의 전 호선에 적용되고 있으며, 발전기 엔진의 경우 선주의 성향에 따라서 스팀 또는 전기가열장치를 이용하여 히팅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인 스팀 또는 전기가열장치를 통해서 발전기 엔진의 예열히터를 히팅하게 될 경우 연료의 추가적인 소모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스팀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스팀을 생성하기 위하여 보일러를 작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연료의 추가적인 소모가 발생된다. 또한 전기가열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의 경우 발전기에서 추가적인 전력을 생산해야 하므로 연료의 추가적인 소모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6-0069942호(현대중공업 주식회사) 2006. 06. 2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메인 엔진의 작동시에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발전기 엔진의 예열히터로 공급하여 발전기 엔진을 예열함으로서 발전기 엔진의 예열히터를 가열하기 위해 소모되는 연료를 줄일 수 있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는 예열히터가 구비된 발전기 엔진 예열부; 메인 엔진을 냉각시키는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 및 상기 메인 엔진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상기 예열히터와 상호 열교환된 후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에서 분기되는 분기유로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로부는, 상기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흐르는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의 유로에서 분기되어 상기 예열히터를 통과한 후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의 유로로 복귀되는 제1 분기유로; 및 상기 제1 분기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분기유로로 유입되는 상기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상기 예열히터로 펌핑하는 분기유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전기 엔진 예열부는, 상기 발전기 엔진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쿨링시키는 제1 재킷쿨러; 및 상기 발전기 엔진과 상기 제1 재킷쿨러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은, 상기 메인 엔진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쿨링시키는 제2 재킷쿨러; 상기 메인 엔진과 상기 제2 재킷쿨러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펌프; 및 상기 예열히터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상기 제2 재킷쿨러 또는 상기 제2 재킷쿨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제2 펌프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냉각수 흐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흐름제어부는, 상기 예열히터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상기 제2 재킷쿨러로 흐르도록 하는 유로에 마련되는 제1 삼방밸브; 상기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에 마련되는 제1 온도센서; 및 상기 제1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1 삼방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은, 상기 제2 펌프와 상기 메인 엔진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엔진을 예열시키는 메인 엔진 예열히터; 및 상기 제2 재킷쿨러와 상기 제2 펌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에서 생성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탈기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로부는, 상기 메인 엔진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상기 예열히터로 흐르게 하는 제2 삼방밸브; 및 일측부는 상기 제2 삼방밸브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예열히터를 통과한 후 상기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의 유로로 복귀되는 제2 분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유로부는, 상기 발전기 엔진 예열부의 유로에 마련되어 상기 예열히터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 및 상기 제2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제2 삼방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선박용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며 온도가 상승된 고온의 냉각수를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는 예열히터로 공급하여 상기 예열히터에서 열교환된 예열수로 상기 발전기 엔진을 예열(preheating)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메인 엔진의 작동시에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발전기 엔진의 예열히터로 공급하여 발전기 엔진을 예열함으로서 발전기 엔진의 예열히터를 가열하기 위해 소모되는 연료를 줄일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서 발전기 엔진을 예열시키기 위해 예열히터로 스팀을 공급하거나 전기가열장치로 예열히터를 가열시키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1)은, 발전기 엔진(GE)을 예열시키는 예열히터(130)가 구비된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와, 메인 엔진(ME)을 냉각시키는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과, 메인 엔진(ME)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예열히터(130)와 상호 열교환된 후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으로 복귀하도록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에서 분기되는 분기유로부(300)를 구비한다.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는, 발전기 엔진(GE)의 작동 전 또는 발전기 엔진(GE)의 미 작동 시 발전기 엔진(GE)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발전기 엔진(GE)에 가열된 예열수(preheating water)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 엔진(GE)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쿨링시키는 제1 재킷쿨러(110)와, 발전기 엔진(GE)과 제1 재킷쿨러(110)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펌프(120)와, 제1 펌프(12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예열히터(130)를 포함한다.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제1 재킷쿨러(110)는, 발전기 엔진(GE)을 쿨링(cooling)시킴과 더불어 예열히터(130)에서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발전기 엔진(GE)을 예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발전기 엔진(GE)의 작동 전에는 예열히터(130)에서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발전기 엔진(GE)을 예열(preheating)시키고, 발전기 엔진(GE)의 작동 중에는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 발전기 엔진(GE)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제1 펌프(120)는, 발전기 엔진(GE)이 작동 전이거나 작동이 중단되어 발전기 엔진(GE)을 예열시키거나 발전기 엔진(GE)의 온도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발전기 엔진(GE)의 재킷에 있는 액체를 예열히터(130)로 펌핑하는 역할을 한다.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예열히터(130)는, 제1 펌프(120)를 통해 공급되는 액체를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온도가 상승된 액체를 제1 재킷쿨러(110)로 공급하여 발전기 엔진(GE)을 예열시키거나 발전기 엔진(GE)을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은, 메인 엔진(ME)을 냉각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엔진(ME)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쿨링시키는 제2 재킷쿨러(210)와, 메인 엔진(ME)과 제2 재킷쿨러(210) 사이의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펌프(220)와, 예열히터(13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제2 재킷쿨러(210)를 경유하여 또는 제2 재킷쿨러(210)를 바이패스하여 제2 펌프(220)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냉각수 흐름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의 제2 재킷쿨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유로부(300) 후단의 유로에 마련되어 메인 엔진(ME)의 재킷(jacket)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재킷쿨러(210)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종래의 실시예와 달리 자세히 후술하는 분기유로부(300)에 의해 예열히터(130)와 열교환되므로 제2 재킷쿨러(210)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종래의 실시예에 비해 온도가 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실시 예보다 더 적은 용량의 제2 재킷쿨러(210)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의 냉각수 흐름제어부(230)는, 분기유로부(300)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제2 재킷쿨러(210)를 거치거나 거치지 않고 선택적으로 흐르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히터(13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가 제2 재킷쿨러(210)로 흐르도록 하는 유로에 마련되는 제1 삼방밸브(231)와, 메인 엔진(ME)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에 마련되는 제1 온도센서(232)와, 제1 온도센서(232)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제1 삼방밸브(23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1 컨트롤러(233)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냉각수 흐름제어부(230)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메인 엔진(ME)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는 제1 온도센서(232)에 의해 알 수 있고, 제1 온도센서(232)에서 측정된 값을 기초로 제1 컨트롤러(233)는 제1 삼방밸브(231)의 개폐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온도센서(232)에서 측정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값을 넘어서서 분기유로부(300)를 통해 예열히터(130)와 열교화되더라도 냉각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1 컨트롤러(233)는 제2 재킷쿨러(210) 방향으로 배출되는 제1 삼방밸브(231)를 개방시켜 분기유로부(300)에서 공급되는 냉각수가 제2 재킷쿨러(210)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 온도센서(232)에서 측정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범위값을 넘어서지 않아 분기유로부(300)를 통해 예열히터(130)와 열교환되면 냉각이 필요없는 경우, 제1 컨트롤러(233)는 냉각수가 제2 재킷쿨러(210)로 공급되지 않고 바로 제2 펌프(220)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제1 삼방밸브(231)를 개방시킬 수 있다.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 제1 컨트롤러(233)는 제1 삼방밸브(231)의 2개의 배출구 방향으로 모두 냉각수가 공급되도록 제1 삼방밸브(231)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엔진(ME)의 작동 전에 메인 엔진(ME)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가열시켜 메인 엔진(ME)을 예열시키는 메인 엔진 예열히터(240)와,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 상에서 생성된 공기를 탈기시켜 후술하는 탱크(250)로 공급될 수 있도록 배출시키며 스크러버식 탈기기를 포함하는 탈기탱크(250)와, 탈기탱크(25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거하고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에서 유실된 냉각수를 보충하며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스태틱 헤드(static head)를 주는 탱크(250)와, 분기유로부(300)와 제2 재킷쿨러(210)를 연결하는 유로에 마련되어 공급되는 냉각수를 기초로 청수를 생성하는 청수생성기(270)를 포함한다.
분기유로부(300)는, 메인 엔진(ME)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가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예열히터(130)로 공급되어 예열히터(130)에서 제1 펌프(120)에서 공급되는 액체와 열교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분기유로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흐르는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의 유로에서 분기되어 예열히터(130)를 통과한 후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의 유로로 복귀되는 제1 분기유로(310)와, 제1 분기유로(310)에 마련되어 제1 분기유로(310)로 유입되는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예열히터(130)로 펌핑하는 분기유로펌프(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메인 엔진(ME)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는 대략 80℃ 정도의 온도를 가지므로 예열히터(130)로 공급되는 액체를 가열하기에 충분하고, 예열히터(130)에서 가열되어 발전기 엔진(GE)의 재킷으로 공급되는 액체는 발전기 엔진(GE)의 재킷을 예열시키거나 발전기 엔진(GE)의 저온부식을 방지하는 용도로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1)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본 실시 예는 메인 엔진(ME)이 작동 중인 경우를 전제로 하며, 발전기 엔진(GE)이 작동중인 경우에는 발전기 엔진(GE) 자체의 작동에 의해 열이 발생되므로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을 순환하는 냉각수는 분기유로부(300)로 공급되지 않아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예열히터(130)와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메인 엔진(ME)이 작동 중인 상태에서 발전기 엔진(GE)을 초기 구동시키거나 발전기 엔진(GE)의 작동이 중단된 경우 발전기 엔진(GE)의 저온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메인 엔진(ME)에서 배출되는 냉각수는 분기유로펌프(320)의 펌핑으로 제1 분기유로(310)를 통해 예열히터(130)로 공급된다.
이때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제1 펌프(120)는 발전기 엔진(GE)의 재킷에 있는 액체를 펌핑하여 예열히터(130)로 보내고, 예열히터(130)에서는 메인 엔진(ME)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와 제1 펌프(120)를 통해 공급되는 상대적으로 저온의 액체가 상호 열교환된다.
그 결과 제1 펌프(120)에서 공급되는 저온의 액체는 온도가 상승된 상태로 발전기 엔진(GE)의 재킷으로 공급되어 발전기 엔진(GE)을 예열 또는 미리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은(1),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예열히터(130)에서 열교환되어 배출되는 액체의 온도를 기초로 예열히터(130)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분기유로부(400)의 구성을 다르게 한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기유로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엔진(ME)을 냉각시킨 후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가 흐르는 유로에 마련되어 온도가 상승된 냉각수를 예열히터(130)로 흐르게 하는 제2 삼방밸브(410)와, 일측부는 제2 삼방밸브(410)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예열히터(130)를 통과한 후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200)의 유로로 복귀되는 제2 분기유로(420)와,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유로에 마련되어 예열히터(130)에서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430)와, 제2 온도센서(430)에서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제2 삼방밸브(41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2 컨트롤러(44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정밀하게 예열히터(130)에서 배출되는 액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하에서 분기유로부(400)의 작동 상태를 간략히 설명한다.
메인 엔진(ME)이 작동 중이고 발전기 엔진(GE)을 초기 구동시키거나 발전기 엔진(GE)의 작동이 중단되면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를 순환하는 액체의 온도는 낮아질 수 밖에 없다.
발전기 엔진 예열부(100)의 예열히터(130) 후단의 유로에 마련된 제2 온도센서(430)는 순환되는 액체의 온도를 감지하며, 제2 온도센서(430)에서 감지된 신호가 미리 설정된 온도의 이하인 경우 제2 컨트롤러(440)는 제2 삼방밸브(410)를 개방시켜 메인 엔진(ME)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가 예열히터(130)로 공급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컨트롤러(440)는 제2 온도센서(430)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기초로 메인 엔진(ME)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액체가 전량 제2 분기유로(420)를 통해 예열히터(130)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고, 일부는 예열히터(130)로 공급되도록 하고 나머지는 바로 제1 삼방밸브로 공급되도록 제2 삼방밸브(4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메인 엔진의 작동시에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발전기 엔진의 예열히터로 공급하여 발전기 엔진을 예열함으로서 발전기 엔진의 예열히터를 가열하기 위해 소모되는 연료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시스템
100 : 발전기 엔진 예열부 110 : 제1 재킷쿨러
120 : 제1 펌프 130 : 예열히터
200 : 메인 엔진 냉각시스템 210 : 제2 재킷쿨러
220 : 제2 펌프 230 : 냉각수 흐름제어부
240 : 메인 엔진 예열히터 250 : 탈기탱크
260 : 탱크 270 : 청수생성기
300,400 : 분기유로부 310 : 제1 분기유로
320 : 분기유로펌프 410 : 제2 삼방밸브
420 : 제2 분기유로 430 : 제2 온도센서
440 : 제2 컨트롤러 GE : 발전기 엔진
ME : 메인 엔진

Claims (9)

  1. 메인 엔진을 냉각시킨 후의 고온 냉각수를 배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엔진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고온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를 분기시키는 단계;
    제1 재킷쿨러를 순환하는 액체를 펌핑하여 예열히터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분기된 고온 냉각수를 이용하여 상기 예열히터에서 상기 액체를 가열시키는 단계;
    상기 가열된 액체를 발전기 엔진의 예열수로써 상기 제1 재킷쿨러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예열수를 가열시킨 후 배출되는 저온 냉각수를 상기 메인 엔진으로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 냉각수를 분기시키는 단계는,
    상기 메인 엔진은 작동 중이고, 상기 발전기 엔진은 미 작동 시 실시하며,
    상기 발전기 엔진이 작동 중일 때에는,
    상기 제1 재킷쿨러를 순환하는 액체를 상기 예열히터로 공급하지 않고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시키고,
    상기 저온 냉각수를 상기 메인 엔진으로 순환시키는 단계는,
    상기 예열히터에서 상기 발전기 엔진의 예열수와 열교환시켜 1차 냉각된 저온 냉각수를 제2 재킷 쿨러에서 2차 냉각시키거나, 상기 제2 재킷 쿨러를 바이패스하여 메인 엔진으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히터로 공급되는 고온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한 온도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2 재킷 쿨러를 바이패스하도록 제1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엔진 및 상기 발전기 엔진이 모두 작동 중일 때에는,
    상기 메인 엔진에서 배출되는 고온 냉각수를 분기시키지 않고 상기 제2 재킷 쿨러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예열히터에서 가열한 후 상기 발전기 엔진으로 공급하는 예열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측정된 온도값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메인 엔진을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고온 냉각수의 적어도 일부를 분기시켜 상기 예열히터로 공급하도록 제2 삼방밸브를 제어하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온도값에 따라 상기 예열히터로 분기되는 고온 냉각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9. 삭제
KR1020120047519A 2012-05-04 2012-05-04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KR101665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19A KR101665325B1 (ko) 2012-05-04 2012-05-04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519A KR101665325B1 (ko) 2012-05-04 2012-05-04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67A KR20130123967A (ko) 2013-11-13
KR101665325B1 true KR101665325B1 (ko) 2016-10-24

Family

ID=4985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519A KR101665325B1 (ko) 2012-05-04 2012-05-04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972B1 (ko) * 2016-10-05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N109863081B (zh) * 2016-10-05 2021-11-23 大宇造船海洋株式会社 为船舶供应燃料气体的系统及方法
KR101876973B1 (ko) * 2016-10-05 2018-07-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 가스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343197B1 (ko) * 2020-02-07 2021-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엔진의 예열장치
KR102458675B1 (ko) * 2020-12-23 2022-10-26 한국기계연구원 소형 선박용 엔진 예열 장치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2475658B1 (ko) 2021-04-29 2022-12-08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발전기의 병렬운전 관리장치
CN115217605B (zh) * 2022-06-09 2023-12-19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热管理方法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770B2 (ja) * 1997-10-07 2003-02-04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電気自動車の冷却システム
KR20060069942A (ko) 2004-12-20 2006-06-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프론트 엔드 모듈 구조의 디젤엔진에 사용되는예열기
KR101610387B1 (ko) * 2009-12-24 2016-04-0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건설기계의 냉각 시스템
KR20120035528A (ko) * 2010-10-06 2012-04-16 (주) 제이씨코퍼레이션 냉각수의 예열 기능이 구비된 발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967A (ko)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5325B1 (ko)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KR101488472B1 (ko) 믹싱밸브를 이용한 배열환수온도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5704398B2 (ja) 熱回収装置、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配管の誤接続検知方法
CN106476640A (zh) 燃料电池车辆的热管理系统
JP6053839B2 (ja) ボイラ給水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ボイラ、並びにボイラ給水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1652267B1 (ko) 액화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JP2008037302A (ja) 車両冷却システム
JP4628995B2 (ja) エンジン試験用オイル温度調整装置
KR20130073041A (ko)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KR101875087B1 (ko) 선박용 메인 엔진의 예열시스템
JP6153329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暖房設備
JP2016205751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暖房設備
KR20110001711U (ko) 디젤엔진 발전기의 냉각수 예열장치
JP5445811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貯留タンク側ユニット
JP2017020774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暖房設備
JP4833707B2 (ja) 排熱回収装置
JP5862936B2 (ja) 熱回収装置、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並びに、配管の誤接続検知方法
JP5829640B2 (ja) 船舶のボイラ給水温度制御システム
JP4421497B2 (ja) 排熱利用予熱システム
JP6015924B2 (ja) 貯湯給湯システム
JP2005016787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6429850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405537B1 (ko) 자동차용 냉각시스템의 공기제거 및 냉각수 보충장치
KR102608690B1 (ko)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9197616A (ja) 冷却システム、冷却制御装置及び流量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