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690B1 -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690B1
KR102608690B1 KR1020160165851A KR20160165851A KR102608690B1 KR 102608690 B1 KR102608690 B1 KR 102608690B1 KR 1020160165851 A KR1020160165851 A KR 1020160165851A KR 20160165851 A KR20160165851 A KR 20160165851A KR 102608690 B1 KR102608690 B1 KR 102608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eat exchanger
process fluid
temperature
condens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262A (ko
Inventor
이준채
최원재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69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5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9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another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는, 상기 온도계측기에서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고, 상기 스팀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은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공정유체를 스팀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열교환기 후단의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측기; 열교환기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및 스팀 공급부에서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라인 상에 설치되는 스팀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STEAM HEATE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스팀을 열매체로 사용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정유체의 유량에 따라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달리 설정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스팀 히터(Steam Heater)가 설치되며, 스팀 히터에서 발생한 스팀은 열원으로써 선박의 각종 용도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선박에서, 엔진에 공급할 LNG를 기화시키기 위한 열원을 스팀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 히터는 공정유체(가열을 필요로 하는 유체)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 스팀으로 열전달 매체를 가열하고, 열교환기에서 공정유체를 상기 가열된 열교환 매체와 열교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팀 히터의 구성을 나타낸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팀 히터는 공정유체가 유입되는 곳으로부터 배출되는 곳까지 연결되는 공급라인(10)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라인(10) 상에 열교환기(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순환라인(30)이 열교환기(20)의 일측과 타측을 연결하며 열전달매체가 순환하는 내부 유로를 형성한다.
순환라인(30) 상에는 히터(40)가 설치되며, 스팀 공급부(50)에서 히터로 공급된 스팀이 열전달 매체를 가열한다. 가열된 열전달 매체는 열교환기(20)로 공급되어 공정유체와의 열교환하여 공정유체의 온도를 높인다.
히터(40)의 일측에는 응축수 배출라인(41)이 연결되며, 스팀이 냉각되어 생성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라인(41)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종래의 스팀 히터는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열교환기(20) 전단의 공급라인(10)에서 분기되어 열교환기(20) 후단의 공급라인(10)으로 다시 합류되는 우회라인(11)을 포함한다. 우회라인(11) 상에는 우회밸브(12)가 설치된다.
종래의 스팀 히터는 공급라인(10)의 후단에 설치된 온도계측기(13)에서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우회밸브(12)를 조작하여 우회라인(11)으로 흐르는 공정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공정유체의 유량이 충분하지 않을 때 문제가 된다. 공정유체의 유량이 충분하지 않아도 스팀 공급부(50)에서 히터(40)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은 일정하기 때문에, 공정유체가 지나치게 가열되어 공정유체의 기화가 일어난다.
기화된 공정유체는 열교환기(2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미스트(mist)가 되어 열교환기(2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정유체의 유량에 따라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달리 설정하여, 공정유체의 유량이 충분하지 않을 때 공정유체가 기화되는 종래의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달 매체를 통한 간접 가열 방식이 아닌 스팀을 바로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직접 가열 방식을 적용하여 열효율을 높이고, 실시간 제어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공정유체의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은,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공정유체를 스팀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측기; 상기 열교환기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및 상기 스팀 공급부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라인 상에 설치되는 스팀밸브;를 포함하고,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는, 상기 온도계측기에서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고, 상기 스팀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은, 상기 열교환기 전단의 상기 공급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으로 다시 합류되는 우회라인; 및 상기 우회라인 상에 설치되는 우회밸브;를 더 포함하고,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스팀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한 유량의 스팀을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상기 우회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공정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스팀이 냉각되어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라인; 및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배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은, 상기 열교환기에서 스팀이 냉각되어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 내부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에 배출 펌프가 설치되지 않아도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에 응축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열교환기 내부에 쌓인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출 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팀 히터의 초기 설계시, 열교환기가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최소의 내부 압력은 유지하도록 스팀밸브에 최소 압력 제한값을 설정하여, 배출 펌프 없이도 열교환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계측기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팀밸브 및 상기 우회밸브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센서에서 측정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팀밸브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방법은,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는,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에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온도계측기에서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고, 스팀 공급부에서 열교환기로 연결된 라인에 설치되는 스팀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방법은,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스팀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한 유량의 스팀을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상기 열교환기 전단의 상기 공급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으로 다시 합류되는 우회라인 상에 설치되는 우회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공정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유체의 유량에 따라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다르게 설정하여, 공정유체의 유량이 충분하지 않을 때에도 공정유체의 기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열교환기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달 매체를 통한 간접 가열 방식이 아닌 스팀을 바로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직접 가열 방식을 적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하여 스팀밸브 또는 우회밸브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공정유체의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팀 히터의 구성을 나타낸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의 (a)는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일 때의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b)는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이 아닐 때의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의 (a)는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일 때의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의 (b)는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이 아닐 때의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저유량'이란 공정유체의 유량이 충분치 않아 스팀과의 열교환 과정에서 과열되어 기화가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유량을 말한다.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은 공정유체가 유입되는 곳으로부터 배출되는 곳까지 연결되는 공급라인(100)을 포함하며, 상기 공급라인(100) 상에 열교환기(200)가 설치된다.
열교환기(200)에는 스팀 공급부(300)로부터 열교환기(200)로 스팀을 이송하는 스팀라인(310)이 연결되고, 상기 공정유체는 열교환기(200) 내부에서 열교환기(200)로 공급된 스팀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다. 스팀라인(310) 상에는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하는 스팀밸브(311)가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200) 전단의 공급라인(100)에서 분기되어 열교환기(200) 후단의 공급라인(100)으로 다시 합류되는 우회라인(110)을 포함하며, 우회라인(110) 상에는 우회밸브(111)가 설치된다.
공급라인(100) 후단에는 온도계측기(112)가 설치된다. 온도계측기(112)는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온도 정보를 제어부(400)로 보내고, 제어부(400)는 전달받은 온도 정보를 기초로 스팀밸브(311)와 우회밸브(111)를 제어한다
열교환기(200)에는 열교환기(2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213)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센서(213)에서 측정된 압력 정보를 제어부(400)로 보내고, 제어부(400)는 전달받은 압력 정보를 기초로 스팀밸브(311)를 제어한다.
한편, 열교환기(200)의 일측에는 응축수 배출라인(210)이 연결된다. 공정유체와 열교환 과정에서 냉각된 스팀은 응축수로 변하는데, 응축수가 열교환기(200) 내부에 쌓이면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응축수 배출라인(210)을 통해 배출된다. 배출라인에는 응축수 배출펌프(211)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0)에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응축수 수위센서(212)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열교환기(200) 내부에 쌓인 응축수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이 되면 응축수 배출펌프(211)를 작동시켜 응축수를 배출시키고, 일정 수위 이하이면 응축수 배출펌프(211)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응축수 배출펌프(211)의 제어는 제어부(40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의 (a)를 참조하여,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일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스팀 히터를 가동하기 전에 가열이 필요한 공정유체의 유량 값을 제어부(400)에 입력한다. 입력받은 유량 값이 저유량이면, 제어부(400)에 의해 스팀밸브(311)가 조작되어 공정유체의 기화가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스팀만 공급한다. 공급라인(100)으로 공급된 공정유체는 열교환기(200)에서 스팀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다.
공급라인(100)의 후단에 설치된 온도계측기(112)는 공정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제어부(400)는 스팀밸브(311)를 제어하여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열교환이 모두 이루어질 때까지 실시간으로 온도계측기(112)로부터 정보를 받아 스팀 밸브(311)를 제어한다. 이때, 우회라인(110) 상에 설치되는 우회밸브(111)는 닫힌다.
한편, 공정유체가 저유량인 경우에는 공급되는 스팀의 양도 줄어들기 때문에 열교환기(200) 내부 압력이 줄어들며, 응축수가 배출되기 충분한 압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때문에 응축수 배출라인(210)에 설치된 응축수 배출펌프(211)를 작동하여 응축수의 배출을 돕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은 스팀 히터의 초기 설계시, 열교환기(200) 내부 압력이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는 최소한의 압력은 유지할 수 있도록 스팀밸브(311)에 최소 압력 제한값을 설정할 수 있다. 스팀밸브(311)에 최소 압력 제한값을 설정하면 응축수 배출라인(210)에 응축수 배출펌프(211)를 설치하지 않아도 응축수를 열교환기(200)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고가 장비인 배출펌프(211)를 삭제함으로써 비용 절감이 가능하고, 전력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의 (b)를 참조하여,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이 아닐 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스팀 히터를 가동하기 전에 가열이 필요한 공정유체의 유량 값을 제어부(400)에 입력한다. 입력받은 유량 값이 저유량이 아니면, 제어부(400)는 스팀밸브(311)를 제어하여, 열교환기(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한 양의 스팀을 열교환기(200)로 공급한다.
공급라인(100)으로 공급된 공정유체는 열교환기(200)에서 스팀과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된다.
공급라인(100) 후단에 설치된 온도계측기(112)는 지속적으로 공정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고, 제어부(400)는 우회밸브(111)를 제어하여 우회밸브(111)로 분기되는 공정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열교환이 모두 이루어질 때까지 실시간으로 온도계측기(112)로부터 정보를 받아 우회 밸브(111)를 제어한다.
열교환기(200)에 구비된 압력센서(213)는 열교환기(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측정하여 제어부(4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는 실시간으로 스팀밸브(311)가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공정유체가 저유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열교환기(200)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열교환기(200) 내부의 압력은 응축수가 응축수 배출라인(210)을 통해 배출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유지되므로 응축수 배출펌프(211)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공정유체의 유량에 따라 스팀 히터의 제어방법을 다르게 설정하여, 공정유체의 유량이 충분하지 않을 때에도 공정유체의 기화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열교환기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은, 스팀을 바로 열교환기로 공급하는 직접 가열 방식을 적용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하여 스팀밸브 또는 우회밸브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공정유체의 온도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공급라인
110 : 우회라인
111 : 우회밸브
112 : 온도계측기
200 : 열교환기
210 : 응축수 배출라인
211 : 응축수 배출펌프
212 : 응축수 수위센서
300 : 스팀 공급부
310 : 스팀라인
311 : 스팀밸브
400 : 제어부

Claims (10)

  1.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공정유체를 스팀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어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는 온도계측기;
    상기 열교환기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 공급부; 및
    상기 스팀 공급부에서 상기 열교환기로 연결되는 라인 상에 설치되는 스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 전단의 상기 공급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으로 다시 합류되는 우회라인; 및
    상기 우회라인 상에 설치되는 우회밸브;를 더 포함하고,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는,
    상기 온도계측기에서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고, 상기 스팀밸브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고,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스팀밸브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한 유량의 스팀을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상기 우회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공정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스팀이 냉각되어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라인; 및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 상에 설치되는 배출 펌프;
    를 포함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에서 스팀이 냉각되어 생성된 응축수를 배출하는 응축수 배출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열교환기 내부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되어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에 배출 펌프가 설치되지 않아도 응축수가 상기 열교환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에 응축수 수위센서가 설치되어, 열교환기 내부에 쌓인 응축수의 수위에 따라 상기 배출 펌프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팀 히터의 초기 설계시, 열교환기가 응축수를 배출할 수 있는 최소의 내부 압력은 유지하도록 스팀밸브에 최소 압력 제한값을 설정하여,
    배출 펌프 없이도 열교환기의 내부 압력에 의해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계측기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온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팀밸브 및 상기 우회밸브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열교환기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계측기에서 측정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는 전송받은 압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스팀밸브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9.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팀 히터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인 경우에는,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에 열교환기가 설치되고,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 상에 설치되는 온도계측기에서 열교환을 마친 공정유체의 온도를 계측하고,
    스팀 공급부에서 열교환기로 연결된 라인에 설치되는 스팀밸브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하고,
    공정유체가 공급되는 스팀 열원에 의해 과열되어 기화가 될 수 있을 만큼 공정유체의 유량이 저유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스팀밸브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일정한 유량의 스팀을 상기 열교환기로 공급하고,
    상기 열교환기 전단의 상기 공급라인에서 분기되어 상기 열교환기 후단의 상기 공급라인으로 다시 합류되는 우회라인 상에 설치되는 우회밸브를 제어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공정유체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공정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팀 히터 제어방법.
  10. 삭제
KR1020160165851A 2016-12-07 2016-12-07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608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51A KR102608690B1 (ko) 2016-12-07 2016-12-07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851A KR102608690B1 (ko) 2016-12-07 2016-12-07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62A KR20180065262A (ko) 2018-06-18
KR102608690B1 true KR102608690B1 (ko) 2023-12-01

Family

ID=6276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851A KR102608690B1 (ko) 2016-12-07 2016-12-07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6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7400B1 (ko) * 2020-05-12 2021-11-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열원 공급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753A (ja) * 2000-02-28 2001-09-07 Ishikawajima Plant Construction Co Ltd 低温流体のスチーム加熱器及びその加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2011718B1 (pt) * 2009-11-18 2020-05-05 Shell Int Research método e aparelho para manipular uma corrente de gás de evaporação
JP6111157B2 (ja) * 2013-07-01 2017-04-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冷熱回収機能付きガス気化装置及び冷熱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1753A (ja) * 2000-02-28 2001-09-07 Ishikawajima Plant Construction Co Ltd 低温流体のスチーム加熱器及びその加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262A (ko) 2018-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998B2 (en) Hot water supplying system
US9797272B2 (en) Thermal energy recovery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1652267B1 (ko) 액화가스의 재기화 장치 및 방법
KR101665325B1 (ko)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KR101588792B1 (ko) 엔진 냉각 시스템
KR102608690B1 (ko) 스팀 히터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212854B1 (ko) 조수기 열원 공급용 열매체 순환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방법
WO2015063935A1 (ja) エンジンの排熱回収装置
JP2013155896A (ja) 低圧蒸気加熱装置
JP5852452B2 (ja) 低圧蒸気加熱装置
WO2018105702A1 (ja) 熱源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29640B2 (ja) 船舶のボイラ給水温度制御システム
KR20100066164A (ko) 배관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조수 시스템
JP2009293844A (ja) 高粘性液体燃料加温システム
US20160251984A1 (en) Supplemental heating in waste heat recovery
JP5497979B2 (ja) 加熱冷却装置
JP2013204877A (ja) 低圧蒸気加熱装置
JP4722665B2 (ja) 蒸気減温装置
JP2013202468A (ja) 低圧蒸気加熱装置
KR20100031975A (ko) 조수기의 열원 공급 장치
KR20140074420A (ko) 온수 공급 시스템
JP5184158B2 (ja) 加熱冷却装置
JP5184159B2 (ja) 加熱冷却装置
KR20160098618A (ko) 엔진의 연료 공급시스템
KR20170084742A (ko) 선박용 응축기 냉각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