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3041A -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 Google Patents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3041A
KR20130073041A KR1020110140678A KR20110140678A KR20130073041A KR 20130073041 A KR20130073041 A KR 20130073041A KR 1020110140678 A KR1020110140678 A KR 1020110140678A KR 20110140678 A KR20110140678 A KR 20110140678A KR 20130073041 A KR20130073041 A KR 20130073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fuel cell
cell stack
heat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0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창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0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3041A/ko
Priority to CN2012103043724A priority patent/CN103178278A/zh
Publication of KR20130073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3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4097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with recycling of the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연료전지차량은 연료전지스택(2)을 빠져나오는 고온의 냉각수온을 이용해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0,20)가 연료전지스택(2)의 전단에서 적어도 2곳 이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수소탱크(1)에서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되는 수소와 연료전지스택(2)에서 재순환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내 포화수증기가 낮은 외기온 하에서 액적(液滴)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 할 수 있고, 이로부터 겨울철 연료전지차량의 냉시동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Hydrogen droplet Preventing Apparatus and Fuel Cell Vehicle thereof}
본 발명은 연료전지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젝터를 사용한 수소재순환시 액적(液滴)의 스택 유입에 따른 내구성 저하 및 출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수소는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필요로 하는 양보다 약 1.5배 가량 많게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용량을 초과해 공급된 수소는 그 일부가 스택에서 미반응될 수밖에 없으므로, 미반응된 수소는 대기로 버리지 않고 스택입구로 다시 되돌려 사용하는 재순환과정을 거치게 되는, 이를 위한 장치를 수소재순환장치로 칭한다.
통상, 수소재순환장치에는 블로어와 함께 이젝터가 구비됨으로써 스택에서 미반응되고 감압된 상태를 공급압력과 동일한 압력으로 상승시켜주게 된다.
블로어는 일종의 펌프로서 고속의 모터로 회전되는 임펠러로 저압수소압력을 상승시키고, 이젝터는 수소탱크쪽에서 공급되는 고압수소(10bar)에 수소를 분사함으로써 저압수소압력을 상승시키게 된다.
도 3은 수소재순환장치를 갖춘 일반적인 연료전지차량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차량은 수소탱크(100)와 연료전지스택(200)사이가 수소공급밸브(100a)를 갖춘 수소라인(300)으로 연결되고, 연료전지스택(200)의 열관리를 위해 냉각수를 순환시켜주는 열관리장치(400)가 구비되며, 연료전지스택(200)에서 미 반응된 수소를 재순환시켜주는 수소재순환장치(500)가 구비된다.
통상, 상기 열관리장치(400)는 냉각수를 활용하여 연료전지스택(20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며, 이를 위해 냉각수를 펌핑하기 위한 냉각펌프와 외부 열교환을 위한 라디에이터 및 냉각수 순환을 위한 냉각수라인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관리장치(400)의 열관리제어는 약 65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냉각수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수소재순환장치(500)는 재순환되는 수소압력을 공급압력(10bar)에 맞춰 상승시키는 블로어와, 수소라인(300)으로 흐르는 수소와 함께 혼합되도록 분사하는 이젝터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블로어와 이젝터를 통한 용이한 제어성과 높은 효율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소재순환장치(5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블로어가 모터로 임펠러를 회전시켜 연료전지스택(200)으로부터 재순환되는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를 뽑아내 압력을 상승시키면, 이젝터가 연료전지스택(200)으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상기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를 노즐 및 디퓨저의 구조를 이용해 가압한 후 연료전지스택(200)으로 재순환시켜 주게 된다.
상기 이젝터는 수소 탱크(100)의 수소를 연료전지스택(200)으로 공급하는 1차적인 작용도 함께 구현한다.
국내특허공개 10-2009-0021415(2009.03.04)은 연료전지차량용 수소재순환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는 도 3내지 도 5 참조.
하지만, 연료전지스택(200)에서 나와 재순환되는 수소는 65도 이상의 100% 포화 수증기를 포함한 상태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젝터로 유입됨으로써 이젝터로 유입되기 전 온도가 낮아지고 동시에 포화수증기의 응축으로 물이 된 상태가 될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재순환수소가 응축된 물을 포함함에 따라 이젝터를 통해 흡입되는 흡입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연료전지스택(200)은 필요한 수소의 양을 충분히 공급받을 수 없게 된다.
특히, 겨울철과 같은 저온 환경에서는 수소탱크에서 나오는 수소에도 액적(液滴)이 발생될 소지가 매우 높고, 이로 인해 이젝터에서 재순환수소가 수소와 합쳐질 때 포화수증기의 응축으로 인한 형성되는 액적이 노즐을 막게 됨으로써 스택으로 수소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거나 심할 경우 수소가 공급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와 같이 형성된 액적이 연료전지스택(200)으로 유입되면, 연료전지스택(200)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연료전지스택(200)의 전기 출력도 저하되는 현상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겨울철 수소 액적으로 인한 냉시동성 악화 현상은 히터를 이용한 수소 가열로 해소될 수 있지만, 히터 가열로 인한 시간소모로 인해 시동시간도 그 만큼 지연되는 불편이 있을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는 수소온도를 연료전지스택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으로 높여줌으로써, 수소내 수분함량을 낮추고 특히 낮은 외기온 하에서 수소내 수분으로 인한 액적(液滴)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을 빠져나오는 고온의 냉각수온을 이용한 열교환이 연료전지스택에 공급되기 전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에서 수행됨으로써, 수소탱크에서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내 수분과 연료전지스택에서 재순환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내 포화수증기가 낮은 외기온 하에서 액적(液滴)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 할 수 있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소액적방지장치는 수소탱크에서 나오는 수소와, 연료전지스택에서 나오는 미 반응 잉여 가스를 상기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수소라인으로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냉각하는 고온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고온 냉각수의 폐열로 상기 수소와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의 온도를 상승함으로써 상기 수소내 함유된 수분과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내 함유된 포화수증기를 줄여주는 열교환기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열관리를 위해 냉각수온을 제어하는 열관리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고온 냉각수가 순환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나온 고온 냉각수가 상기 열관리장치를 이루어 냉각수의 외부 열교환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로 가기 전 분기시키는 위치로 설치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라인을 흐르는 수소나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를 감싸는 이너튜브와, 상기 이너튜브를 감싸 상기 고온 냉각수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는 아우터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튜브는 상기 수소라인이고, 상기 아우터튜브는 상기 냉각수라인이 적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은 스택사이를 연결하고 제어되는 수소공급밸브를 갖춘 수소라인과;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발열을 냉각수로 제어하는 열관리장치와;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후단에서 상기 수소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전지스택내 미 반응 잉여 가스를 뽑아내 수소와 혼합시켜주는 수소재순환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스택에서 나온 고온 냉각수가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에서 순환되어 상기 수소와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를 모두 가열하는 한쌍의 열교환기;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쌍의 열교환기중 한 개의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탱크와 상기 수소공급밸브사이에 위치되고, 또 다른 한 개의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재순환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스택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한 쌍의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라인을 흐르는 수소나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를 감싸는 이너튜브와, 상기 이너튜브를 감싸 상기 고온 냉각수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는 아우터튜브로 구성된다.
상기 이너튜브는 상기 수소라인이고, 상기 아우터튜브는 상기 냉각수라인이 적용된다.
상기 한 쌍의 열교환기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나온 고온 냉각수가 상기 열관리장치를 이루어 냉각수의 외부 열교환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로 가기 전 분기시키는 위치로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에서 발생되어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으로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내 수분함량을 낮춰줌으로써, 낮은 외기온 하에서 수소내 수분으로 인한 액적(液滴)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에서 발생되어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으로 수소가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되기 전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에서 수행됨으로써, 낮은 외기온 하에서 수소탱크에서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되는 수소내 수분은 물론 연료전지스택에서 재순환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내 포화수증기가 액적(液滴)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료전지스택에서 발생되어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한 열교환으로 낮은 외기온 하에서 액적(液滴)으로 전환되는 수소내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별도의 히터를 이용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간소모를 줄여 냉시동성도 크게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액적방지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의 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액적방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액적방지장치는 수소가 충진된 수소탱크(1)와 수소를 공급받는 연료전지스택(2)사이를 연결하는 수소라인(3)과, 연료전지스택(2)의 발열을 제어하는 열관리장치(4)와, 연료전지스택(2)내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를 연료전지스택(2)에서 뽑아내 수소라인(3)으로 재공급하는 수소재순환장치(8)와, 열관리장치(4)를 통해 연료전지스택(2)에서 버려지는 폐열이 수소재순환장치(8)와 열교환되어 수소재순환장치(8)를 통과하는 수소 및 미 반응 잉여 가스의 액적형성 수분을 제거하는 열교환기(10)로 구성된다.
상기 열관리장치(4)는 냉각수를 활용하여 연료전지스택(2)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하며, 이를 위해 냉각수를 펌핑하기 위한 냉각펌프와 외부 열교환을 위한 라디에이터 및 냉각수 순환을 위한 냉각수라인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소재순환장치(8)는 재순환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의 압력을 공급압력(10bar)에 맞춰 상승시키는 블로어와, 수소라인(3)으로 흐르는 수소와 함께 혼합되도록 미 반응 잉여 가스를 분사하는 이젝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소재순환장치(8)의 작동과 그 기능은 연료전지차량에 동일한 목적으로 적용된 통상적인 수소재순환장치와 동일하다.
상기 열교환기(10)는 수소라인(3)을 흐르는 수소나 미 반응 잉여 가스를 감싸는 이너튜브(11)와, 이너튜브(11)를 감싸 열관리장치(4)에서 공급되는 고온유체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는 아우터튜브(1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튜브(11)는 수소라인(3)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0)는 열관리장치(4)를 통한 고온 유체의 순환을 위해 별도의 컨트롤러와 온오프밸브를 더 갖출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열관리장치(4)를 이루는 냉각수라인이 통과되도록 연결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장치를 요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수소액적방지장치가 구성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수소탱크(1)에서 나오는 수소와 연료전지스택(2)에서 나와 재순환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에 대한 수분함유량을 크게 낮추거나 제거해 줄 수 있게 된다.
수소의 경우를 설명하면, 수소탱크(1)에서 나와 수소라인(3)을 흐르는 수소는 연료전지스택(2)로 공급되기전 열교환기(10)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수소내 수분함량이 크게 저감되거나 제거된 상태로 연료전지스택(2)로 공급된다.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되는 수소내 수분함량이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되기 전 크게 저감되거나 제거됨으로써, 겨울철과 같은 낮은 외기온 하에서도 수소는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한 액적(液滴)의 형성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수소의 액적형성방지는 연료전지스택(2)에서 나와 수소재순환장치(8)를 거친 후 연료전지스택(2)으로 다시 재공급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는,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에는 상대적으로 포화수증기의 함유량이 높아 열교환으로 인한 제거율도 함께 높아짐에 기인된다.
즉, 미 반응 잉여 가스의 경우를 설명하면,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된 수소의 미 반응으로 발생된 미 반응 잉여 가스가 연료전지스택(2)을 나와 수소재순환장치(8)로 유입되면,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는 열교환기(10)와 열교환됨으로써 온도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미 반응 잉여 가스내 포화수증기함량이 크게 저감되거나 제거된 상태로 연료전지스택(2)로 공급된다.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내 포화수증기함량이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되기 전 크게 저감되거나 제거됨으로써, 겨울철과 같은 낮은 외기온 하에서도 수소는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한 액적(液滴)의 형성이 근본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은 겨울철에도 냉시동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전지차량에 적용된 수소액적방지장치는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되기 전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로 구비됨으로써 연료전지차량의 겨울철 냉시동성을 크게 개선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차량은 수소가 충진된 수소탱크(1)와 수소를 공급받는 연료전지스택(2)사이를 연결하고 제어되는 수소공급밸브(1a)를 갖춘 수소라인(3)과, 연료전지스택(2)의 발열을 냉각수로 제어하는 열관리장치(4)와, 수소공급밸브(1a)의 후단에서 수소라인(3)에 설치되어 연료전지스택(2)내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를 뽑아내 수소와 혼합시켜주는 수소재순환장치(8)와, 연료전지스택(2)에서 나온 고온 냉각수가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에서 순환됨으로써 수소와 미 반응 잉여 가스를 모두 가열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열관리장치(4)는 냉각수 펌핑용 냉각펌프(6)와 외부 열교환을 위한 라디에이터(7) 및 냉각수 순환을 위한 냉각수라인(5)으로 이루어지고, 통상 열관리제어는 연료전지스택(2)을 빠져나오는 약 65도 이상의 온도를 갖는 냉각수를 대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소재순환장치(8)는 연료전지스택(2)을 빠져나오는 미 반응 잉여 가스가 흐르는 재순환라인(8a)과, 재순환되는 미 반응 잉여 가스의 압력을 공급압력(10bar)에 맞춰 상승시키는 블로어와 함께 구성되어 수소라인(3)으로 흐르는 수소에 미 반응 잉여 가스를 분사하여 혼합하는 이젝터(8b)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소재순환장치(8)의 작동과 그 기능은 연료전지차량에 동일한 목적으로 적용된 통상적인 수소재순환장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수소액적방지장치는 연료전지스택(2)에서 나온 고온 냉각수가 라디에이터(7)로 가기전 수소재순환장치(8)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를 순환해 열교환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쌍의 열교환기(10,20)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소재순환장치(8)의 전단부위는 수소탱크(1)와 수소공급밸브(1a)사이이고, 후단부위는 이젝터(8b)와 연료전지스택(2)사이를 의미한다.
상기 열교환기(10,20)는 수소라인(3)을 흐르는 수소나 미 반응 잉여 가스를 감싸는 이너튜브(11,21)와, 이너튜브(11,21)를 감싸 열관리장치(4)의 냉각수라인(5)에서 공급되는 고온 냉각수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는 아우터튜브(12,2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튜브(11,21)는 수소라인(3)으로 대체될 수 있고, 상기 아우터튜브(12,22)는 냉각수라인(5)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료전지차량이 연료전지스택(2)에서 나온 고온 냉각수가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에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갖춤으로써, 수소탱크(1)에서 나온 수소는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되고, 또한 연료전지스택(2)에서 나오는 미 반응 잉여 가스(수소+질소+포화수증기)는 또 다른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된다.
그러므로, 수소탱크(1)에서 나온 수소든 연료전지스택(2)에서 나온 미 반응 잉여 가스든 모두 한쌍의 열교환기(10,20)를 통한 열교환으로 온도가 상승되고, 이로 인해 수분함유량과 포화수증기함유량이 크게 저감되거나 제거된 상태로 연료전지스택(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겨울철과 같은 낮은 외기온 하에서도 연료전지스택(2)으로 공급되는 수소와 미 반응 잉여 가스는 액적(液滴)의 형성이 근본적으로 방지됨으로써, 료전지차량은 수소액적방지장치로 인해 겨울철에도 냉시동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1 : 수소탱크 1a : 수소공급밸브
2 : 연료전지스택
3 : 수소라인 4 : 열관리장치
5 : 냉각수라인 6 : 냉각펌프
7 : 라디에이터 8 : 수소재순환장치
8a : 재순환라인 8b : 이젝터
10,20 : 열교환기 11,21 : 이너튜브
12,22 : 아우터튜브

Claims (10)

  1. 수소탱크에서 나오는 수소와, 연료전지스택에서 나오는 미 반응 잉여 가스를 상기 연료전지스택으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수소라인으로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냉각하는 고온 냉각수를 순환시켜, 상기 고온 냉각수의 폐열로 상기 수소와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의 온도를 상승함으로써 상기 수소내 함유된 수분과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내 함유된 포화수증기를 줄여주는 열교환기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열관리를 위해 냉각수온을 제어하는 열관리장치와 연계되어 상기 고온 냉각수가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나온 고온 냉각수가 상기 열관리장치를 이루어 냉각수의 외부 열교환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로 가기 전 분기시키는 위치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
  4. 청구항 1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라인을 흐르는 수소나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를 감싸는 이너튜브와, 상기 이너튜브를 감싸 상기 고온 냉각수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는 아우터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너튜브는 상기 수소라인이고, 상기 아우터튜브는 상기 냉각수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
  6. 수소가 충진된 수소탱크와 수소를 공급받는 연료전지스택사이를 연결하고 제어되는 수소공급밸브를 갖춘 수소라인과;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발열을 냉각수로 제어하는 열관리장치와;
    상기 수소공급밸브의 후단에서 상기 수소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전지스택내 미 반응 잉여 가스를 뽑아내 수소와 혼합시켜주는 수소재순환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스택에서 나온 고온 냉각수가 적어도 2곳 이상의 위치에서 순환되어 상기 수소와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를 모두 가열하는 한쌍의 열교환기;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열교환기중 한 개의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탱크와 상기 수소공급밸브사이에 위치되고, 또 다른 한 개의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재순환장치와 상기 연료전지스택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열교환기는 상기 수소라인을 흐르는 수소나 상기 미 반응 잉여 가스를 감싸는 이너튜브와, 상기 이너튜브를 감싸 상기 고온 냉각수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는 아우터튜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너튜브는 상기 수소라인이고, 상기 아우터튜브는 상기 냉각수라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10. 청구항 6내지 청구항 9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열교환기는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나온 고온 냉각수가 상기 열관리장치를 이루어 냉각수의 외부 열교환을 수행하는 라디에이터로 가기 전 분기시키는 위치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액적방지장치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KR1020110140678A 2011-12-23 2011-12-23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KR20130073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678A KR20130073041A (ko) 2011-12-23 2011-12-23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CN2012103043724A CN103178278A (zh) 2011-12-23 2012-08-24 氢气液滴防止装置及应用该装置的燃料电池车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0678A KR20130073041A (ko) 2011-12-23 2011-12-23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3041A true KR20130073041A (ko) 2013-07-03

Family

ID=4863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0678A KR20130073041A (ko) 2011-12-23 2011-12-23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73041A (ko)
CN (1) CN1031782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3490A (zh) * 2022-09-27 2022-12-23 南方电网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系统的余压余热利用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8582A (zh) * 2017-05-26 2017-10-13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燃料电池的动力系统与交通工具
CN107394230A (zh) * 2017-05-31 2017-11-24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采用燃料电池的动力系统及具有其的整车系统
CN107394231A (zh) * 2017-05-31 2017-11-24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采用燃料电池的动力系统及具有其的整车系统
CN107230794A (zh) * 2017-06-02 2017-10-03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燃料电池的动力系统与交通工具
CN107681177A (zh) * 2017-08-14 2018-02-09 中国东方电气集团有限公司 一种燃料电池系统及包括其的交通工具
JP7134897B2 (ja) * 2019-02-19 2022-09-12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1898B2 (ja) * 2001-11-16 2005-07-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US8277988B2 (en) * 2009-03-04 2012-10-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node water separator for a fuel cell system
JP5500499B2 (ja) * 2010-01-28 2014-05-21 株式会社ノーリツ 燃料電池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13490A (zh) * 2022-09-27 2022-12-23 南方电网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系统的余压余热利用装置及其控制方法
CN115513490B (zh) * 2022-09-27 2023-10-31 南方电网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氢燃料电池系统的余压余热利用装置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78278A (zh)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3041A (ko) 수소액적방지장치 및 이를 적용한 연료전지차량
KR101326510B1 (ko) 연료전지차량용 냉각장치
DK1351328T3 (da) Fast højpolymer-brændstofcelle-energifremstillingsapparat
KR101665325B1 (ko) 선박용 발전기 엔진의 예열 방법
CN113793947B (zh) 燃料电池余热利用系统及能源系统
KR101405774B1 (ko) 연료전지 차량의 수소 승온 및 냉시동 방법
CN204902600U (zh) 一种中频炉冷却系统
JP2007247932A (ja) 自動車の廃熱利用温水生成装置及び方法
JP2006226540A (ja) 加熱冷却装置
JP5302154B2 (ja) 貯湯式給湯暖房装置
KR102506945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냉각시스템
RU2011142983A (ru) Система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системы топл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JP4628898B2 (ja) 加熱冷却装置
CN216850010U (zh) 一种液氢燃料电池热交换系统
CN203163254U (zh) 冷却辅停型有机热载体锅炉
JP2009026486A (ja) 燃料電池発電装置
KR101628619B1 (ko) 열교환기용 온도 제어 장치를 갖는 발전 시스템
CN208642620U (zh) 一种干燥多级换热系统
CN102003839A (zh) 空气源热泵及供热系统
JP2005016787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00074964A (ko) 연료전지 스택의 냉각 장치
KR20090098431A (ko) 폐열회수수단을 갖는 온풍난방기
CN216922241U (zh) 汽轮机排汽余热利用装置
JP2018045776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384236B2 (ja) 気化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