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292B1 -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292B1
KR101664292B1 KR1020160042514A KR20160042514A KR101664292B1 KR 101664292 B1 KR101664292 B1 KR 101664292B1 KR 1020160042514 A KR1020160042514 A KR 1020160042514A KR 20160042514 A KR20160042514 A KR 20160042514A KR 101664292 B1 KR101664292 B1 KR 10166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conveyor apparatus
conveying roller
conveyor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경에프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경에프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경에프에이
Priority to KR102016004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8Roller-ways of curved form; with branch-offs
    • B65G13/10Switch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65G47/54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at least one of which is a roller-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 B65G2811/0657Def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99Conveyor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효과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호형상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10)에 다수개의 이송로울러를 부채꼴 형상으로 분산배치하여 구성된 종래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에 비해 사이즈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서,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상물(5)이 정확히 방향전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roller conveyor}
본 발명은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효과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상물을 이송할 때 사용되는 컨베이어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컨베이어장치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전후방향으로만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상물이 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바꾸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1 컨베이어장치(3)와,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 컨베이어장치(4)의 사이에 별도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를 구비하여 제1 컨베이어장치(3)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 대상물(5)이 상기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를 통해 측방향으로 방향전환된 후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공개특허 10-2012-0044069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형상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1)에 다수개의 이송로울러(2)를 부채꼴 형상으로 분산배치하여, 상기 이송로울러(2)가 구동되면서 상면에 올려진 대상물(5)의 이송방향을 측방향으로 전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크기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 아니라, 대상물(5)이 정확히 방향전환되지 못하여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소한의 공간을 차지하면서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효과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컨베이어장치(3)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 컨베이어장치(4)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에 의해 공급된 대상물(5)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공급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이송로울러(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에 의해 공급된 대상물(5)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부(20)와,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이송로울러(31)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2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대상물(5)을 측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하는 배출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부(20)는 후방으로 갈수록 제1 이송로울러(21)의 양단에서 상기 배출부(30)를 향하는 쪽 단부의 위치가 상기 배출부(30)의 반대쪽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30)는 제2 이송로울러(31)의 양단에서 상기 공급부(20)쪽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의 배출부(30)쪽 단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는 베벨기어(43)에 의해 상호 구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로울러(21,31)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이송로울러(21,3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대상물(5)을 상기 배출부(30)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50)은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배출부(30)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레일(51)과, 상기 가이드레일(5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2a)이 구비된 슬라이드블록(52)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2)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와, 상기 회전축(5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휠(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호형상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10)에 다수개의 이송로울러를 부채꼴 형상으로 분산배치하여 구성된 종래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에 비해 사이즈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서,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상물(5)이 정확히 방향전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차량용 휠과 같은 원형의 대상물(5)을 이송하는데 사용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상기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컨베이어장치(3)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 컨베이어장치(4)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에 의해 공급된 대상물(5)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공급하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는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의 후방에 우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에 의해 공급된 대상물(5)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부(20)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2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대상물(5)을 측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하는 배출부(30)와, 상기 공급부(20)와 배출부(30)에 연결된 구동모터(40)로 구성되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0)은 상측에서 볼 때, 사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장치(3,4)의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20)는 상호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이송로울러(21)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양단이 베어링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각각의 제1 이송로울러(21)의 좌측단에는 각각 스프로켓(22)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로켓(22)에 결합되는 체인(23)에 의해 각각의 제1 이송로울러(21)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부(30)는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이송로울러(31)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의 우측에 배치되며, 양단이 베어링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쪽 단부에는 각각 스프로켓(32)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로켓(32)에 결합된 체인(33)에 의해 각각의 제2 이송로울러(31)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20)는 후방으로 갈수록 제1 이송로울러(21)의 양단에서 상기 배출부(30)를 향하는 쪽 단부의 위치가 상기 배출부(30)의 반대쪽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30)는 제2 이송로울러(31)의 양단에서 상기 공급부(20)쪽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의 배출부(30)쪽 단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공급부(20)의 제1 이송로울러(21)는 전방에 있는 제1 이송로울러(21)에 비해, 후방에 있는 제1 이송로울러(21)의 배출부(30)쪽 단부, 즉, 우측단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배출부(30)의 반대쪽, 즉, 좌측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의 길이는 전방에 위치된 것이 가장 길고, 후방에 위치되는 제1 이송로울러(21)는 좌우방향 길이가 점차 짧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는 좌측단의 위치가 일렬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되어, 상기 공급부(20)의 형상이 우측에 좌측으로 45°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의 우측단을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지지블록(11)이 좌측후방으로 45°각도로 경사진 직선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30)의 제2 이송로울러(31)는 우측에 있는 제2 이송로울러(31)에 비해, 좌측에 있는 제2 이송로울러(31)의 공급부(20)쪽 단부, 즉, 전방쪽 단부가 상기 공급부(20)쪽, 즉, 좌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의 길이는 우측에 위치된 것이 가장 길고, 좌측에 위치된 제2 이송로울러(31)는 전후방향 길이가 점차 짧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는 전방쪽 단부가 상기 지지블록(1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출부(30) 전체의 형상이 상기 배출부(30)와 대응되는 삼각형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는 베벨기어(43)에 의해 상호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4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이송로울러(21,31)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공급부(20)의 후측에는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평행을 이루는 제1 구동축(41)이 구비되고, 상기 배출부(30)의 좌측에는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와 평행을 이루는 제2 구동축(4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41,42)에는 상호 치합되는 베벨기어(43)가 각각 구비도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구동축(41,42)에는 스프로켓(41a,42a)이 결합되어,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를 구동시키는 체인(23,33)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40)는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에 연결된 체인(23)의 중간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0)를 구동시키면,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가 동시에 구동된다.
설명하지 않은 도면번호 14는 상기 본체의 상면에 상기 공급부(20)의 우측 전방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지지축(13)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휠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에 의해 공급된 대상물(5)이 상기 공급부(20)의 제1 이송로울러(21)의 상면으로 공급되면,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에 의해 대상물(5)이 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20)의 제1 이송로울러(21)는 배출부(30)쪽 단부, 즉, 우측단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배출부(30)의 반대쪽, 즉, 좌측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부(30)의 제2 이송로울러(31)는 공급부(20)쪽 단부, 즉, 전방쪽 단부가 상기 공급부(20)쪽, 즉, 좌측으로 갈수록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됨으로, 제1 이송로울러(21)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상물(5)이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로 옮겨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5)이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로 옮겨감에 따라,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에 의해 우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된다.
즉, 상기 대상물(5)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송되다가, 우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이송방향이 전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호형상으로 구성된 지지프레임(10)에 다수개의 이송로울러를 부채꼴 형상으로 분산배치하여 구성된 종래의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에 비해 사이즈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서,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상물(5)이 정확히 방향전환되어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는 베벨기어(43)에 의해 상호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구동모터(40)를 이용하여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를 함께 구동시킬 수 있음으로, 장치의 구조가 더욱 단순해지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컨베이어장치(3,4)는 상호 90°각도로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1 및 제2 컨베이어장치(3,4)가 배치되는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의 배치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는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대상물(5)을 상기 배출부(30)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50)을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수단(50)은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1)과, 상기 가이드레일(5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블록(52)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2)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와, 상기 슬라이드블록(5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휠(54)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51)은 전후방으로 연장된 것으로, 후단부가 상기 배출부(30)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51)의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 전단부가 좌측에 위치되고 후단부가 우측에 위치되도록 45°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프레임(10)에는 상기 가이드레일(51)의 양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대(12)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는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의 사이에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1)이 제1 및 제2 이송로울러(21,3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1)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의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2a)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53)는 상기 가이드레일(51)의 외부에 결합되어 양단이 상기 지지대(12)와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의 후측면에 밀착된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한다.
상기 푸쉬휠(54)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상물(5)이 밀착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회전축(5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푸쉬휠(54)은 둘레면이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지름이 충분히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푸쉬휠(54)은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이 전진되었을 때, 상기 공급부(2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상물(5)의 전방 좌측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에 의해 대상물(5)이 후방으로 이송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상물(5)이 상기 푸쉬휠(54)의 전면에 밀착되어 푸쉬휠(54)을 후방으로 가압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51)은 전단부가 좌측에 위치되고 후단부가 우측에 위치되도록 45°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 푸쉬휠(54)이 상기 슬라이드블록(52)과 함께 후방 우측으로 슬라이드되면서 대상물(5)을 우측으로 밀어낸다.
그리고, 상기 대상물(5)이 우측으로 이송방향이 전환되어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되면, 상기 탄성부재(53)에 의해 상기 푸쉬휠(54)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이 전방으로 밀려서 원래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는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는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대상물(5)을 상기 배출부(30)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50)이 구비되어, 상기 대상물(5)이 더욱 원활히 우측으로 방향전환되어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로 옮겨지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대상물(5)인 차량용 휠은 무게가 많이 나가서, 관성에 의해 후방으로 나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이송로울러(31)의 상면에 올려지더라도 바르게 측방향으로 방향전환되지 못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의 후측에 충돌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수단(50)이 상기 공급부(2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상물(5)을 우측으로 밀어냄으로써, 무거운 대상물(5)이 원활히 방향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10. 지지프레임 20. 공급부
30. 배출부 40. 구동모터
50. 가이드수단

Claims (4)

  1.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컨베이어장치(3)와,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의 후방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2 컨베이어장치(4)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에 의해 공급된 대상물(5)의 이송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공급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에 있어서,
    지지프레임(10)과,
    전후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1 이송로울러(21)가 구비되어 상기 제1 컨베이어장치(3)에 의해 공급된 대상물(5)을 후방으로 이송하는 공급부(20)와,
    측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 이송로울러(31)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20)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된 대상물(5)을 측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2 컨베이어장치(4)로 배출하는 배출부(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이송되는 대상물(5)을 상기 배출부(30)쪽으로 안내하는 가이드수단(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50)은
    상기 공급부(20)의 상측에 전후방으로 연장되며 후단부가 상기 배출부(30)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가이드레일(51)과,
    상기 가이드레일(51)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면에는 상측으로 연장된 회전축(52a)이 구비된 슬라이드블록(52)과,
    상기 슬라이드블록(52)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드블록(52)을 전방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53)와,
    상기 회전축(5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푸쉬휠(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20)는 후방으로 갈수록 제1 이송로울러(21)의 양단에서 상기 배출부(30)를 향하는 쪽 단부의 위치가 상기 배출부(30)의 반대쪽으로 후퇴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30)는 제2 이송로울러(31)의 양단에서 상기 공급부(20)쪽 단부의 위치가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의 배출부(30)쪽 단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로울러(21)와 제2 이송로울러(31)는 베벨기어(43)에 의해 상호 구동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이송로울러(21,31)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이송로울러(21,3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4. 삭제
KR1020160042514A 2016-04-06 2016-04-06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KR101664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4A KR101664292B1 (ko) 2016-04-06 2016-04-06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514A KR101664292B1 (ko) 2016-04-06 2016-04-06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292B1 true KR101664292B1 (ko) 2016-10-11

Family

ID=57162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514A KR101664292B1 (ko) 2016-04-06 2016-04-06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913A (ko) 2020-12-29 2022-07-06 (주)진성 테크템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9559A (ja) * 1992-05-21 1993-12-03 Mashinitsukusu:Kk 合流、分岐コンベヤー
JPH0725880A (ja) * 1993-07-08 1995-01-27 Mitsubishi Chem Corp Pi3キナーゼ阻害剤及びその製造法
JPH0949382A (ja) * 1995-08-07 1997-02-18 Fujimoto Yukihiro 脚 立
JP2000053241A (ja) * 1998-08-04 2000-02-22 Kawatetsu Machinery Co Ltd コンベヤ間における被搬送物の移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9559A (ja) * 1992-05-21 1993-12-03 Mashinitsukusu:Kk 合流、分岐コンベヤー
JPH0725880A (ja) * 1993-07-08 1995-01-27 Mitsubishi Chem Corp Pi3キナーゼ阻害剤及びその製造法
JPH0949382A (ja) * 1995-08-07 1997-02-18 Fujimoto Yukihiro 脚 立
JP2000053241A (ja) * 1998-08-04 2000-02-22 Kawatetsu Machinery Co Ltd コンベヤ間における被搬送物の移送方法およ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4913A (ko) 2020-12-29 2022-07-06 (주)진성 테크템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783B1 (ko)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KR101559146B1 (ko) 방향전환을 위한 오토 디버터
US20090200141A1 (en) Panel Sorting Method And Panel Sorting Device
KR20100115286A (ko) 평판 펀칭 장치
KR101664292B1 (ko)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JP2012201453A (ja) パレット搬送装置及びパレット搬送方法
KR101936092B1 (ko) 마이크로 피더
KR20160093973A (ko) 금속원판 부품 적재장치
CN105541096B (zh) 基板加工装置
KR101287024B1 (ko) 자동창고용 파렛트 정렬장치
CN111182980A (zh) 工件反转装置、冲压运送线以及工件反转方法
KR200427982Y1 (ko) 강판 적재용 이송 가이드장치
KR20160007257A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KR20140122032A (ko)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KR101606983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KR102173293B1 (ko) 스트립 절단 공급 장치
CN208545649U (zh) 铺砖机的砖料输送装置
KR20170141890A (ko) 루프패널의 사다리꼴 심재 삽입장치
KR102052206B1 (ko) 사료급이기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20160070480A (ko) 팔레트 이송 장치
CN111038995A (zh) 一种棒材供料结构
JP5424449B2 (ja) 物品搬送装置
CN105541093B (zh) 基板加工装置
KR101291548B1 (ko) 벨트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