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2032A -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2032A
KR20140122032A KR1020130038554A KR20130038554A KR20140122032A KR 20140122032 A KR20140122032 A KR 20140122032A KR 1020130038554 A KR1020130038554 A KR 1020130038554A KR 20130038554 A KR20130038554 A KR 20130038554A KR 20140122032 A KR20140122032 A KR 20140122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gnostic kit
stopper
work table
cylinder mechanism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8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55250B1 (ko
Inventor
고영순
Original Assignee
고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순 filed Critical 고영순
Priority to KR1020130038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250B1/ko
Publication of KR20140122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2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41F21/08Combinations of endless conveyors an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Landscapes

  • Sealing Of J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시약을 이용해 임신이나 질병의 여부를 검사하는 진단키트 상에 인쇄를 실시하되 전체 공정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진행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등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는 진단키트가 순차적으로 안착 공급되고 후방에는 상기 진단키트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실린더기구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상기 진단키트를 내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기구가 구비된 공급테이블과, 상기 공급테이블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실린더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전방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수단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상기 작업대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강제이송수단과, 상기 작업대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강제이송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인쇄단위별로 상기 작업대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제 3 실린더기구와, 상기 작업대 상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3 실린더기구의 전방에 위치되며 출납 여부에 따라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대의 전방측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과, 상기 작업대의 상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 상에 인쇄작업을 실시하는 인쇄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AUTU PRINTING APPARATUS FOR DIAGNOSIS KIT}
본 발명은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시약을 이용해 임신이나 질병의 여부를 검사하는 진단키트 상에 인쇄를 실시하되 전체 공정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진행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등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성형물의 용도가 화장품 뚜껑, 휴대폰의 케이스 자동차, 전자장비등의 분야에서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 되고 있는데,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에 사용되는 도장기법으로 패드를 이용하는 패드 인쇄방법이 있다.
이와 같은 패드 인쇄는 인쇄문양이 음각 된 금속판의 음각문양에 잉크색을 도표하고 상기 잉크색이 도포 된 음각문양을 실리콘 패드에 전사시키고 잉크색이 전사된 패드를 플라스틱 소재의 표면에 인쇄하는 방법이다. 종래의 패드 인쇄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06-0108785호(2006.10.18)에 피인쇄물의 표면에 다양한 색의 이미지 구현을 위해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잉크색과, 상기 각각의 잉크색들에 따라서 제작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동판과, 상기 각각의 동판들에 색의 도포하고, 이미지 구현에 따른 각각의 동판들을 실리콘 패드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피인쇄물에 인쇄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휴대폰과 같은 피인쇄물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 및 이미지을 인쇄할 수 있고, 이미지 구현으로 청바지(Blue Jean)와 같은 이미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패드 인쇄 및 그 인쇄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시약을 이용해 임신이나 질병의 여부를 검사하는 진단키트에 대해서 인쇄작업을 자동을 실시할 수 있는 패드 인쇄장치가 공지되지 않아 인쇄작업을 부분부분으로 나누어 수동 및 자동 작업을 병행해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시약을 이용해 임신이나 질병의 여부를 검사하는 진단키트 상에 인쇄를 실시하되 전체 공정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진행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등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진단키트가 순차적으로 안착 공급되고 후방에는 상기 진단키트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실린더기구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상기 진단키트를 내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기구가 구비된 공급테이블과, 상기 공급테이블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실린더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전방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수단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상기 작업대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강제이송수단과, 상기 작업대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강제이송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인쇄단위별로 상기 작업대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제 3 실린더기구와, 상기 작업대 상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3 실린더기구의 전방에 위치되며 출납 여부에 따라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대의 전방측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과, 상기 작업대의 상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 상에 인쇄작업을 실시하는 인쇄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진단키트의 하부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급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삽입이 가능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단키트가 상기 공급테이블 상으로 공급된 뒤 이송과정에서 상기 진단키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실린더기구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내홈 내에 삽입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공급테이블 및 작업대 사이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양단의 회전롤러 중 일단의 회전롤러 측에 축 결합되는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롤러 측에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따라 무한회전되며 상기 진단키트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플레이트 상에 돌출 위치되는 두 쌍의 벨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강제이송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축 상에 연결되되 상기 작업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의 상부면을 회전력에 의해 상기 작업대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브러쉬 휠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제 3 실린더기구는 상기 작업대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밀대와, 상기 제 1 밀대의 하단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에는 상기 진단키트 상에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를 인쇄단위별로 분리하며 상기 제 1 밀대의 수평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를 인쇄단위별로 이격시키는 제 2 밀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스토퍼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선단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납 여부에 따라 인쇄단위별로 이격 된 상기 진단키트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스토퍼의 후방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스토퍼에 의해 전방이 지지된 상기 진단키트의 후방에 지지되는 제 2 스토퍼와, 상기 제 2 스토퍼의 후방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단위별로 이격된 상기 진단키트의 후방측 진단키트가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무단 이송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 3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작업대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제 1 스토퍼의 지지력이 해제된 뒤 상기 제 3 실린더기구에 의해 작업대의 하측으로 탈락되는 상기 진단키트가 무단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에 의하면 소변, 혈액 또는 기타 시약을 이용해 임신이나 질병의 여부를 검사하는 진단키트 상에 인쇄를 실시하되 전체 공정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진행됨에 따라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등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의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의 공급테이블에 대한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의 컨베이어수단에 대한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의 강제이송수단에 대한 작동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의 제 3 실린더기구, 스토퍼수단 및 인쇄수단에 대한 작동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a 내지 도 5d에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의 작동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1)는 진단키트(900)가 순차적으로 안착 공급되고 후방에는 상기 진단키트(90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실린더기구(110)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상기 진단키트(900)를 내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기구(120)가 구비된 공급테이블(100)과, 상기 공급테이블(100)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실린더기구(1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900)를 전방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200)과, 상기 컨베이어수단(200)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작업대(300)와, 상기 작업대(300)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200)을 따라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900)를 상기 작업대(300)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강제이송수단(400)과, 상기 작업대(300)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강제이송수단(40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강제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900)를 인쇄단위별로 상기 작업대(300)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제 3 실린더기구(500)와, 상기 작업대(300) 상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3 실린더기구(500)의 전방에 위치되며 출납 여부에 따라 상기 강제이송수단(400)에 의해 상기 작업대(300)의 전방측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900)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600)과, 상기 작업대(300)의 상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수단(600)의 전방에 위치되며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900) 상에 인쇄작업을 실시하는 인쇄수단(700)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1)에 대한 구성부재와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공급테이블(100)은 진단키트(900)가 2열 종대의 형태로 그 상부에 안착 공급되며, 공급된 진단키트(900)가 제 1 실린더기구(110) 및 제 2 실린더기구(120)에 의해 재배열 및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급테이블(100)은 전술한 진단키트(900)가 순차적으로 안착 공급되고 후방에는 진단키트(90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실린더기구(110)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진단키트(900)를 내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기구(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진단키트(900)의 하부면에는 결합돌기(910)가 돌출 형성되고 공급테이블(100)의 상부면에는 결합돌기(910)의 삽입이 가능한 안내홈(130)이 형성되어 있어 진단키트(900)가 공급테이블(100) 상으로 공급된 뒤 이송과정에서 진단키트(9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실린더기구(120)에 의해 결합돌기(910)가 상기 안내홈(130) 내에 삽입 위치된다.
즉, 공급테이블(100) 상에 공급된 진단키트(900)는 2열 종대의 형태로 안착 된 뒤 1차적으로 양측의 제 2 실린더기구(120)에 의해 2열의 진단키트(900)가 내측으로 밀려 모아지는데, 이때 진단키트(900)의 결합돌기(910)가 공급테이블(100)의 안내홈(130) 내로 삽입되게 된다. 이로 인해 진단키트(900)는 2열 종대의 틀이 흐트러지지 않는 상태로 제 1 실린더기구(11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전술한 안내홈(130)은 결합돌기(910)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제 1 실린더기구(110)와 제 2 실린더기구(120)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기구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공급테이블(100)의 전방에는 컨베이어수단(200)이 연결되는데, 이 컨베이어수단(200)은 전술한 제 1 실린더기구(110)에 의해 이송된 진단키트(900)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공급테이블(100) 및 추후에 설명될 작업대(300) 사이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이송플레이트(210)와, 이송플레이트(210)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회전롤러(220)와, 상기 양단의 회전롤러(220) 중 일단의 회전롤러(220) 측에 축 결합되는 제 1 구동모터(230)와, 회전롤러(220) 측에 이송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회전롤러(220)의 회전에 따라 무한회전되며 진단키트(900)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이송플레이트(210) 상에 돌출 위치되는 두 쌍의 벨트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회전롤러(220) 및 벨트부재(240)는 진단키트(900)가 2열 종대의 형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플레이트(210) 상에 길이방향으로 두 조가 설치되며, 제 1 구동모터(230)의 구동 여부에 따라서 일단의 회전롤러(220)가 회전되면 이에 연결된 벨트부재(240)가 무한회전되며 그 상부에 안착된 진단키트(900)를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컨베이어수단(200)의 전방에는 작업대(300)가 연결 설치되는데, 이 작업대(300)는 추후에 설명될 강제이송수단(400), 제 3 실린더기구(500) 및 스토퍼수단(600)이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술한 공급테이블(100) 및 이송플레이트(210)와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작업대(300)의 후방에는 강제이송수단(400)이 설치되는데, 이 강제이송수단(400)은 전술한 컨베이어수단(200)을 따라 이송된 진단키트(900)를 작업대(300)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강제이송수단(400)은 작업대(300)의 일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구동모터(410)와, 제 2 구동모터(410)의 축 상에 연결되되 작업대(300)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420)과, 회전축(42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컨베이어수단(200)을 따라 이송된 진단키트(900)의 상부면을 회전력에 의해 작업대(300)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브러쉬 휠(430)로 이루어진다.
즉, 제 2 구동모터(410)가 구동되면 이에 축 연결된 회전축(420)이 회전되고, 회전축(420)에 설치된 한 쌍의 브러쉬 휠(430)이 연동되어 회전된다. 이때 브러쉬 휠(430)은 유연한 재질의 함성섬유 가닥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추후에 설명될 스토퍼수단(600)이 돌출되지 않았을 때는 브러쉬 휠(430)에 의해 진단키트(900)가 전방 측으로 이송되지만 스토퍼수단(600)이 돌출되었을 때에는 브러쉬 휠(430)이 진단키트(900)를 밀어준다 해도 진단키트(900)가 전방 측으로 이송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유연한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지단키트의 정열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작업대(300) 상에는 제 3 실린더기구(500)가 설치되는데, 이 제 3 실린더기구(500)는 전술한 강제이송수단(400)의 전방에 위치되어 강제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된 진단키트(900)를 인쇄단위별로 작업대(300)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 3 실린더기구(500)는 작업대(300)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밀대(510)와, 제 1 밀대(510)의 하단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에는 진단키트(900) 상에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521)가 형성되어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진단키트(900)를 인쇄단위별로 분리하며 제 1 밀대(510)의 수평이동 여부에 따라 진단키트(900)를 인쇄단위별로 이격시키는 제 2 밀대(520)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강제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된 진단키트(900)는 추후에 설명될 인쇄수단(700)에 의해 인쇄되기 위해 작업대(300)의 전방으로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때 인쇄수단(700)은 정해진 개수인 8개 만큼의 진단키트(900) 상에만 인쇄작업을 실시할 수 있어 2열 종대로 이송되는 진단키트(900)를 인쇄단위별로 이격시켜야 한다.
따라서 전술한 제 2 밀대(520)가 수직 하강하여 좌우 4개씩 총 8개의 진단키트(900) 중 최후방의 진단키트(900) 상에 끼움돌기(521)를 안착시키면 제 1 밀대(51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인쇄단위의 진단키트(900)를 인쇄수단(700) 직하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진단키트(900)가 제 1 밀대(51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이미 인쇄가 실시된 인쇄키트는 후방에서 이송되는 진단키트(900)에 밀려 작업대(300)의 하측으로 탈락된다.
진단키트(900)를 인쇄수단(700) 직하부로 이송시킨 다음에는 다시 제 2 밀대(520)가 수직 상승되고 제 1 밀대(51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다시 후방에 위치된 전단키트를 전방으로 반복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제 1 밀대(510)와 제 2 밀대(520)는 종래기술에 따른 실린더기구와 동일한 것으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작업대(300) 상에는 스토퍼가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스토퍼는 출납 여부에 따라 인쇄수단(700) 직하부의 진단키트(900)의 위치를 고정함과 동시에 후방에서 이송되는 진단키트(900)가 인쇄수단(700) 측으로 무단 이송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토퍼수단(600)은 작업대(300)의 선단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납 여부에 따라 인쇄단위별로 이격 된 진단키트(900)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스토퍼(610)와, 제 1 스토퍼(610)의 후방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 스토퍼(610)에 의해 전방이 지지된 진단키트(900)의 후방에 지지되는 제 2 스토퍼(620)와, 제 2 스토퍼(620)의 후방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단위별로 이격된 진단키트(900)의 후방측 진단키트(900)가 강제이송수단(400)에 의해 전방으로 무단 이송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 3 스토퍼(630)로 이루어진다.
즉, 인쇄수단(700)의 직하부에 위치된 진단키트(900)의 전, 후방에 위치된 제 1 스토퍼(610)와 제 2 스토퍼(620)는 인쇄가 진행되기 전까지 돌출되어 진단키트(900)를 지지해주고 동시에 그 후방의 제 2 스토퍼(620)는 진단키트(900)들이 인쇄수단(700) 직하부 측으로 무단 이송되는 것을 제한해준다.
인쇄가 실시된 후에는 제 1 스토퍼(610)는, 제 2 스토퍼(620) 및 제 3 스토퍼(630)가 모두 작업대(300) 측에서 인입되고, 이때 제 3 실린더기구(500)에 의해 후방의 진단키트(900)들이 전방으로 이송되고 인쇄가 실시된 진단키트(900)들은 후방에서 이송되는 진단키트(900)에 밀려 하측으로 탈락된다.
이때 전술한 작업대(300)의 선단 양측에는 제 1 스토퍼(610)의 지지력이 해제된 뒤 제 3 실린더기구(500)에 의해 작업대(300)의 하측으로 탈락되는 진단키트(900)가 하측에 구비된 수집통(도시되지 않음)으로 수집되지 않고 그 외부로 무단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재(800)가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작업대(300)의 전방 상측에는 인쇄수단(700)이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 인쇄수단(700)은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전술한 제 1 스토퍼(610) 및 제 2 스토퍼(620) 내에 고정 위치된 진단키트(900)에 접촉되면서 인쇄가 실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쇄수단(700)은 종래기술에 따른 패드인쇄기와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1)에 대한 전체적인 작동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소정의 공급장치에 의해 사출성형이 완료된 진단키트(900)가 공급테이블(100) 상에 2열 종대 형태로 안착 공급되면, 제 2 실린더기구(120)가 진단키트(900)를 내측으로 모아주고 이때 진단키트(900)의 결합돌기(910)가 안내홈(130) 내로 삽입된다. 이때 제 1 실린더기구(110)가 진단키트(900)를 전방으로 밀어 컨베이어수단(200) 측으로 이송시킨다.
컨베이어수단(200) 측으로 이송된 진단키트(900)는 벨트부재(240)를 따라 전방으로 연속 이동되고 컨베이어수단(200)이 종료되는 지점에서 강제이송수단(400)에 의해 작업대(300)의 전방으로 이송된다.
강제이송수단(400)에 의해 이송된 진단키트(900)는 제 2 밀대(520)에 의해 인쇄 단위별로 이격된 다음 제 1 밀대(510)에 의해 인쇄수단(700) 직하부로 이송된 다음 인쇄수단(700)에 의해 인쇄가 실시된다.
인쇄가 실시되는 진단키트(900)는 제 1 스토퍼(610) 및 제 2 스토퍼(620)에 의해 그 위치가 지지되고 후방의 진단키트(900)는 전방으로 임의 이송되지 않도록 제 3 스토퍼(630)에 의해 제한된다.
인쇄가 실시된 후에는 제 1 스토퍼(610)는, 제 2 스토퍼(620) 및 제 3 스토퍼(630)가 모두 작업대(300) 측에서 인입되고, 이때 제 3 실린더기구(500)에 의해 후방의 진단키트(900)들이 전방으로 이송되고 인쇄가 실시된 진단키트(900)들은 후방에서 이송되는 진단키트(900)에 밀려 하측으로 탈락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100 : 공급테이블
110 : 제 1 실린더기구 120 : 제 2 실린더기구
130 : 안내홈 200 : 컨베이어수단
210 : 이송플레이트 220 : 회전롤러
230 : 제 1 구동모터 240 : 벨트부재
300 : 작업대 400 : 강제이송수단
410 : 제 2 구동모터 420 : 회전축
430 : 브러쉬 휠 500 : 제 3 실린더기구
510 : 제 1 밀대 520 : 제 2 밀대
521 : 끼움돌기 600 : 스토퍼수단
610 : 제 1 스토퍼 620 : 제 2 스토퍼
630 : 제 3 스토퍼 700 : 인쇄수단
800 : 가압부재 900 : 진단키트
910 : 결합돌기

Claims (7)

  1. 진단키트가 순차적으로 안착 공급되고 후방에는 상기 진단키트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실린더기구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상기 진단키트를 내측으로 위치 이동시키는 제 2 실린더기구가 구비된 공급테이블;
    상기 공급테이블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실린더기구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전방으로 연속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수단;
    상기 컨베이어수단의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후방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상기 작업대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강제이송수단;
    상기 작업대 상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강제이송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를 인쇄단위별로 상기 작업대의 전방 측으로 밀어주는 제 3 실린더기구;
    상기 작업대 상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 3 실린더기구의 전방에 위치되며 출납 여부에 따라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작업대의 전방측으로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의 이송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 및
    상기 작업대의 상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스토퍼수단의 전방에 위치되며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 상에 인쇄작업을 실시하는 인쇄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단키트의 하부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공급테이블의 상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의 삽입이 가능한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진단키트가 상기 공급테이블 상으로 공급된 뒤 이송과정에서 상기 진단키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 실린더기구에 의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안내홈 내에 삽입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수단은 상기 공급테이블 및 작업대 사이에 양단이 연결 설치되는 이송플레이트와,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양단의 회전롤러 중 일단의 회전롤러 측에 축 결합되는 제 1 구동모터와, 상기 회전롤러 측에 상기 이송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따라 무한회전되며 상기 진단키트의 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플레이트 상에 돌출 위치되는 두 쌍의 벨트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제이송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구동모터와, 상기 제 2 구동모터의 축 상에 연결되되 상기 작업대를 향해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수단을 따라 이송된 상기 진단키트의 상부면을 회전력에 의해 상기 작업대 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브러쉬 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실린더기구는 상기 작업대 상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밀대와, 상기 제 1 밀대의 하단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전방에는 상기 진단키트 상에 안착 고정되는 한 쌍의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수직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를 인쇄단위별로 분리하며 상기 제 1 밀대의 수평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진단키트를 인쇄단위별로 이격시키는 제 2 밀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선단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출납 여부에 따라 인쇄단위별로 이격 된 상기 진단키트의 전방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 1 스토퍼와, 상기 제 1 스토퍼의 후방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스토퍼에 의해 전방이 지지된 상기 진단키트의 후방에 지지되는 제 2 스토퍼와, 상기 제 2 스토퍼의 후방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인쇄단위별로 이격된 상기 진단키트의 후방측 진단키트가 상기 강제이송수단에 의해 전방으로 무단 이송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 3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의 선단 양측에는 상기 제 1 스토퍼의 지지력이 해제된 뒤 상기 제 3 실린더기구에 의해 작업대의 하측으로 탈락되는 상기 진단키트가 무단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KR1020130038554A 2013-04-09 2013-04-09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KR10145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554A KR101455250B1 (ko) 2013-04-09 2013-04-09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8554A KR101455250B1 (ko) 2013-04-09 2013-04-09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2032A true KR20140122032A (ko) 2014-10-17
KR101455250B1 KR101455250B1 (ko) 2014-10-31

Family

ID=5199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8554A KR101455250B1 (ko) 2013-04-09 2013-04-09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2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330A (zh) * 2020-10-23 2021-01-05 广州市丰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制造的印刷装置
KR102202023B1 (ko) * 2019-09-05 2021-01-12 성문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로터리딥스위치 케이스의 상부면 인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423B1 (ko) 2018-08-30 2020-07-09 고영순 비젼센서를 이용한 불량품 선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540B1 (ko) * 2002-03-11 2004-09-30 오정희 일회용 라이터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023B1 (ko) * 2019-09-05 2021-01-12 성문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로터리딥스위치 케이스의 상부면 인쇄장치
CN112172330A (zh) * 2020-10-23 2021-01-05 广州市丰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制造的印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250B1 (ko) 2014-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5250B1 (ko) 진단키트의 자동 인쇄장치
CN108705857B (zh) 羊毛印花机
CN111731821B (zh) 一种移印部件上料机
EP2995453B1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objekte, welche in einer bearbeitungsmaschine bearbeitet werden
CN110788535A (zh) 手机马达自动组装设备
KR20060092430A (ko) 원형 인쇄물용 스크린 인쇄장치
CN111001943A (zh) 全自动上下料铭牌打标机
CN110125643B (zh) 全自动色带组装机
CN111002604A (zh) 一种片状模塑模压前处理设备
KR101936092B1 (ko) 마이크로 피더
KR20130028265A (ko) 라이터 자동 인쇄장치
DE102014218310B4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in einer Bearbeitungsmaschine zu bearbeitende und dort bearbeitete Objekte
CN105584872A (zh) 烫金模切机
US20090151583A1 (en) Tray Surface Cleaning Device
CN112719620A (zh) 一种激光打标生产线及其工作方法
JP2012111078A (ja) ゴム部材の供給貼付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タイヤ用部材の成形方法
CN211944070U (zh) 一种全自动电子产品贴标系统
CN110293745B (zh) 一种键盘移印机的自动上下料机构及其工作方法
CN112659746A (zh) 一种用于编织袋双面印刷机的翻面设备
JP5094599B2 (ja) 成形品の側面に文字等を転写するためのスライド転写装置
CN214769698U (zh) 一种激光打标生产线
KR101664292B1 (ko) 방향전환용 컨베이어장치
CN106364136B (zh) 全自动模组剥离贴合一体机
JP4105317B2 (ja) タグプリンタ
CN114589490B (zh) 一种链条自动化装配设备及链条装配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