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783B1 -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783B1
KR101538783B1 KR1020130164308A KR20130164308A KR101538783B1 KR 101538783 B1 KR101538783 B1 KR 101538783B1 KR 1020130164308 A KR1020130164308 A KR 1020130164308A KR 20130164308 A KR20130164308 A KR 20130164308A KR 101538783 B1 KR101538783 B1 KR 10153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rake lining
conveying conveyor
grind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900A (ko
Inventor
김정필
최일섭
Original Assignee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신브레이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783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26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workpieces with arcuate surfaces, e.g. parts of car bodies, bumpers or magnetic recording heads
    • B24B19/28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workpieces with arcuate surfaces, e.g. parts of car bodies, bumpers or magnetic recording heads for grinding shoes or linings of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9/00Friction linings; Attachment thereof; Selection of coacting friction substances or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Of Cylindrical And Plane Surf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을 성형한 후 그 내,외측면을 연삭하여 규격화하기 위한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좌우로 설치되는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이송되어 온 브레이크라이닝(58)이 제1,2스토퍼(16)(18)(20)(22)에 의해 낱개로 인출되게 하여 고정플레이트(24) 상에 이르게 되면 제1푸셔(26)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되어 각기 전후로 설치되는 제1,2,3,4,5이송컨베이어(28)(34)(38)(46)(50)를 따라 이송되면서 내,외면연삭기(32)(44)에 의해 내,외면 연삭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외면이 연삭된 브레이크라이닝(58)은 제5이송컨베이어(50) 후방에 이르게 되면 제2푸셔(54)에 의해 배출컨베이어(56)에 이송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56)를 따라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내,외면연삭기(32)(44)에 의한 연삭작업이 일련의 공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 이러한 내,외면 연삭작업을 위한 기기의 설치길이를 최소화해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BRAKE LINING GRINDING DEVICE FOR AUTOMOBILE DRUM BRAKE}
본 발명은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을 성형한후 규격화를 위하여 그 내면과 외면을 연삭해 주기 위한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은 분말화된 여러 종류의 마찰관련 물질들을 혼합하여서 된 마찰조성물을 열가압성형하여 브레이크드럼에 대응하는 곡율을 갖도록 형태화한 것으로서, 다만 이러한 열 가압 성형과정에서는 전체적으로 원하는 정확한 두께로 성형해 주기가 어려워 성형시 원하는 두께보다 좀더 두껍게 성형한뒤 원하는 직경과 두께에 따라 그 내,외면을 연삭하여 규격화해 주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특허공개 1999-0071513호 "마찰 라이닝 제조 공정"에서와 같이 성형후 관통형 오븐의 통과중 경화된 마찰라이닝을 연마장치로 전달하여 1차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1차연마후에는 스코치압축부에 의해 스코치압축이 이루어지도록 한뒤 마찰라이닝의 내부까지 연마되는 추가적인 연마장치를 이용하여 2차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 마찰라이닝 연삭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마찰라이닝 연삭장치는 호형으로 이루어진 마찰라이닝의 형태적 특성에 따른 작업상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1,2차 연마장치를 스코치압축부를 사이에 두고 별도로 설치하여 내,외면 연마작업이 각각 독립된 공정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서, 1,2차 연마장치 및 그에 따른 부대설비를 별도로 갖춰주는데 따른 설치비용이 추가 소요됨은 물론 내,외면 연마를 위한 작업시간이 늘어나 현저한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또한 호형으로 이루어진 마찰라이닝은 공급컨베이어를 통한 공급은 물론 연마후 배출컨베이어를 통한 배출시 그 곡면부를 통한 밀착상태로 이송시켜 주어야만 설치공간을 줄여줄 수가 있게 되고 또 자동화를 위하여는 마찰라이닝이 그 연마장치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해 주어야 함을 감안할때, 공급컨베이어를 통하여 폭방향으로 공급되어 온 마찰라이닝이 연마장치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한 뒤 배출컨베이어를 따라 폭방향으로 배출되게 하기 위하여는 독창적인 기술을 필요로 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구성은 찾아볼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연마장치를 단순히 연속컨베이어수단 사이에 일렬로 길게 설치해 주도록 구성함으로서, 1,2차 연마장치에 의해 내,외면연마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라인의 길이가 길어져 긴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는만큼 작업장내 공간활용율이 떨어지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다.
특허공개 1999-0071513호 "마찰 라이닝 제조 공정"
본 발명의 목적은 내,외면 연삭작업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고 또 이러한 내,외면 연삭작업을 위한 기기의 좌우설치길이를 최소화 할 수가 있는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는 좌우로 설치되는 공급컨베이어를 따라 공급되는 브레이크라이닝이 제1,2스토퍼와 제1푸셔 및 고정플레이트를 통하여 일측으로 이송되어 각기 전후로 설치되는 여러개의 이송컨베이어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제1,2이송컨베이어 사이에 갖는 내면연삭기와 제3,4이송컨베이어 사이에 갖는 외면연삭기에 의해 내,외면연삭이 이루어지도록 한뒤 제5이송컨베이어에 이르러 제2푸셔에 의해 좌우로 설치되는 배출컨베이어에 이송되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10)는 브레이크라이닝(58)의 내,외면 연삭작업이 내,외면연삭기(32)(44)에 의해 일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가 있게 되므로 설치비용절감 및 작업시간단축으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오도록 할 수가 있고 또 이러한 내,외면 연삭작업이 공급컨베이어(14)와 배출컨베이어(56) 사이에서 각기 전후로 설치되는 복수의 컨베이어(28)(34)(38)(46)(50)를 따라 이송되면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내,외면 연삭을 위한 작업라인의 좌우길이를 줄여줄 수가 있어 작업장내 공간활용율을 높여줄 수가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도 2 : 본 발명의 일부정면구성도
도 3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컨베이어의 제1스토퍼 전진작동에 의한 제품의 대기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4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컨베이어에 대기중인 제품의 인출 전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5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컨베이어에 대기중인 제품을 낱개로 인출할 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6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제1푸셔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7 :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제1푸셔 및 제1이송컨베이어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8 : 본 발명 도 6 상태에서 제1푸셔의 작동시를 보여주는 측면구성도
도 9 : 본 발명 도 7 상태에서 제1푸셔의 작동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0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1,2이송컨베이어 및 그 사이에 설치되는 내면연삭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1 : 본 발명 도 10 상태에서 내면연삭기에 의한 내면연삭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2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2,3이송컨베이어 및 그 사이에 설치되는 제1회전체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3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3,4이송컨베이어 및 그 사이에 설치되는 외면연삭기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4 : 본 발명 도 13 상태에서 외면연삭기에 의한 외면연삭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5 :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4,5이송컨베이어와 그 사이에 설치되는 제2회전체와 제2푸셔 및 배출컨베이어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도 16 : 본 발명 도 15 상태에서 제2푸셔에 의한 배출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동일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기술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정면구성도로서, 본 발명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10)는 프레임(12) 타측에 공급컨베이어(14)를 좌우로 길게 설치하고, 상기 공급컨베이어(14)의 상부 일측에는 제1,2스토퍼(16)(18)(20)(22)를 설치하고, 공급컨베이어(14)의 일측에는 고정플레이트(24)를 설치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24)의 인근에는 고정플레이트(24)가 깆는 감지센서(25)(27)의 감지로 작동하는 제1푸셔(26)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플레이트(24) 일측에는 제1이송컨베이어(28)를 후방으로 길게 설치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28)의 상부 후방에는 제1가이드(3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28)의 일측 후방에는 내면연삭기(32)를 설치하고, 상기 내면연삭기(32) 일측에는 제2이송컨베이어(34)를 전방으로 길게 설치하고,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4)의 일측 전방에는 제1회전체(36)를 설치하고, 상기 제1회전체(36)의 일측에는 제3이송컨베이어(38)를 후방으로 길게 설치하고, 제2이송컨베이어(34)와 제1회전체(36) 및 제3이송컨베이어(38) 상에는 이들을 잇는 제2가이드(4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38)의 상부 후방에는 제3가이드(42)를 고정설치하고, 제3이송컨베이어(38)의 일측 후방에는 외면연삭기(44)를 설치하고, 상기 외면연삭기(44)의 일측에는 제4이송컨베이어(46)를 전방으로 길게 설치하고, 상기 제4이송컨베이어(46)의 일측 전방에는 제2회전체(48)를 설치하고, 상기 제2회전체(48) 일측에는 제5이송컨베이어(50)를 후방으로 길게 설치하며, 제4이송컨베이어(46)와 회전체(48) 및 제5이송컨베이어(50) 상에는 이들을 잇는 제4가이드(52)를 고정설치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5이송컨베이어(50)의 타측 후방에는 제5이송컨베이어(50) 전방에 부설되는 감지센서(53)(55)의 감지로 작동하는 제2푸셔(54)를 설치하고, 상기 제2푸셔(54)의 일측에는 제5이송컨베이어(50)를 사이에 두고 배출컨베이어(56)를 좌우로 길게 설치하며, 이러한 공급컨베이어(14)를 통하여 공급된 브레이크라이닝(58)이 내,외면연삭기(32)(44)에 의한 연삭 후 배출컨베이어(56)를 통하여 배출되게 하는 작동이 제어기에 의한 제어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는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공급컨베이어(14)는 프레임(12)측에 모터와 연결설치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좌우로 길게 연결형성되는 벨트로 이루어져 곡면형의 브레이크라이닝(58)을 그 만곡요입부가 공급방향인 일측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공급해 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공급컨베이어(14)의 상부 일측에 갖는 제1,2스토퍼(16)(18)(20)(22)는 각각 수평실린더에 연결형성되는 걸림핀이 공급컨베이어(14)가 갖는 벨트를 사이에 두고 전후 서로 마주하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브레이크라이닝(58)이 갖는 두께와 같은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하여 작업속도에 따라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이송되어 온 브레이크라이닝(58)을 고정플레이트(24)에 낱개로 인출해 주도록 구성되는데, 제2스토퍼(20)(22) 타측에는 소정거리를 두고 제어기와 접속되는 감지센서(21)(23)를 부설하여 브레이크라이닝(58)의 대기량에 따른 감지센서(21)(23)의 감지로 제1,2스토퍼(16)(18)(20)(22)가 작동하여 브레이크러이닝(58)의 인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제1푸셔를 도시한 것으로서, 공급컨베이어(14) 일측에 갖는 고정플레이트(24)는 공급컨베이어(14)와 제1이송컨베이어(28) 사이에서 이들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고정형성되는 안내판의 상부 전후에 감지센서(25)(27)를 부설하여 브레이크라이닝(58)이 공급컨베이어(14)로 부터 안내판 상에 이송되어 오면 감지센서(25)(27)를 통한 감지로 제어기가 제1푸셔(26)를 작동시켜서 브레이크라이닝(58)을 제1이송컨베이어(28)로 이송시켜 주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정플레이트(24) 인근에 설치되는 제1푸셔(26)는 공급컨베이어(14) 후방의 프레임(12)측에 수평실린더(60)와 LM가이드에 의해 수평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대(62) 및 상기 이송대(62)로부터 수직실린더(64)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밀대(66)로 이루어져 고정플레이트(24)의 상부 타측에서 공급컨베이어(14)로 부터 고정플레이트(24) 상에 이송된 브레이크라이닝(58)을 제1이송컨베이어(28)로 이송시켜 주도록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1,2이송컨베이어 및 내면연삭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서, 제1,2이송컨베이어(28)(34)는 각각 프레임(12)측에 모터와 연결설치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연결형성되는 벨트로 구성되는데, 이는 고정플레이트(24) 일측에 서로간에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전후로 나란히 설치하여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폭방향으로 공급되는 브레이크라이닝(58)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도록 하고 또 제1이송컨베이어(28)의 상부 후방에 갖는 제1가이드(30)는 벨트의 상부 타측과 내면연삭기(32) 사이에 만곡되게 고정설치하여 제1이송컨베이어(28)를 따라 이송되어온 브레이크라이닝(58)을 내면연삭기(32)로 안내해 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내면연삭기(32)는 제1,2이송컨베이어(28)(34) 사이에 위치하여 모터(68)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연삭휠(70) 및 상기 연삭휠(70)과 소정간격을 두고 이 역시 모터(71)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드럼(72)으로 이루어져 브레이크마찰재(58)가 갖는 만곡요입면이 연삭휠(70)과 접촉상태로 상기 연삭휠(70)과 지지드럼(72)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게 되면 브레이크라이닝(58)의 내면연삭이 이루어지게 되며, 내면연삭기(32)에 의해 내면연삭이 이루어진 브레이크라이닝(58)은 내면연삭기(32)의 통과 후 제2이송컨베이어(34)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2,3이송컨베이어 및 그 사이에 설치되는 제1회전체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서, 제1회전체(36)는 제2,3이송컨베이어(34)(38)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판(74) 및 상기 회전판(74)을 회전시켜 주는 모터(76)로 이루어지고 또 그 일측에 갖는 제3이송컨베이어(38)는 이 역시 모터와 연결된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로 이루어지며, 제2가이드(40)는 제2이송컨베이어(34)와 제1회전체(36)가 갖는 회전판(74) 및 제3이송컨베이어(38) 상에 설치 구성하여 제2이송컨베이어(34)를 따라 이송되어 온 브레이크라이닝(58)을 제3이송컨베이어(38)로 안내하여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38)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3,4이송컨베이어 및 외면연삭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서, 제3이송컨베이어(38)의 상부 후방에 갖는 제3가이드(42)는 벨트의 상부 타측과 내면연삭기(44) 사이에 만곡되게 고정설치하여 제3이송컨베이어(38)를 따라 이송되어 온 브레이크라이닝(58)을 외면연삭기(44)로 안내해 주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외면연삭기(44)는 제3,4이송컨베이어(38)(46) 사이에 모터(77)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드럼(78) 및 상기 지지드럼(78) 인근에 이 역시 모터(80)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연삭휠(82)로 이루어져 브레이크마찰재(58)가 갖는 만곡돌출부가 연삭휠(82)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지지드럼(78)과 연삭휠(82)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게 되면 브레이크라이닝(58)의 외면연삭이 이루어지게 되며, 외면연삭기(44)에 의해 외면연삭이 이루어진 브레이크라이닝(58)은 외면연삭기(44)의 통과후 제4이송컨베이어(46)를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4,5이송컨베이어와 제2푸셔 및 배출컨베이어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평면구성도로서, 제2회전체(48)는 제4,5이송컨베이어(46)(50)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판(84) 및 상기 회전판(84)을 회전시켜 주는 모터(86)로 이루어지고 또 그 일측에 갖는 제5이송컨베이어(50)는 이 역시 모터와 연결된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연결되는 벨트로 이루어지며, 제4가이드(52)는 제4이송컨베이어(46)와 제2회전체(48)가 갖는 회전판(84) 및 제5이송컨베이어(50) 상에 설치 고정하여 제4이송컨베이어(46)를 따라 이송되어 온 브레이크라이닝(58)을 제5이송컨베이어(50)로 안내하여 상기 제5이송컨베이어(5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푸셔(54)의 작동을 위한 감지센서(53)(55)는 제5이송컨베이어 전방에 부설하고 또 제2푸셔(54)는 제5이송컨베이어(50)의 후방 타측에 좌우로 설치되는 수평실린더(88) 및 상기 수평실린더(88)에 연결설치되는 밀대(90)로 구성하며, 배출컨베이어(56)는 모터와 연결되는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및 상기 구동롤러와 피동롤러 사이에 연결형성되는 벨트로 구성하여 내,외면이 연삭가공된 브레이크라이닝(58)이 제5이송컨베이어(50)를 따라 이송되어 오면 감지센서(53)(55)를 통하여 이를 감지한 제어기는 감지후 이송속도를 감안하여 제2푸셔(54)를 작동시켜서 제5이송컨베이어(50) 상의 브레이크라이닝(58)을 배출컨베이어(56)로 이동시켜서 상기 배출컨베이어(58)를 따라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제어기는 단순히 브레이크라이닝(58)의 연삭작업이 자동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은 제어기를 통한 자동제어 외에 스위치나 버튼 등에 의해 제어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10)는 원하는 곡율을 지닌 만곡된 형태로 성형된 브레이크라이닝(58)이 그 만곡요입면이 일측방향을 향하도록 한 상태로 공급컨베이어(14) 상에 공급되어 상기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일측으로 이송되어 오면 그 일측에 이르러 제1스토퍼(16)(18)가 갖는 전후걸림핀 사이에 걸려 폭방향으로 밀착된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또한 공급컨베이어(14) 상에서 제1스토퍼(16)(18)에 의해 대기중인 브레이크라이닝(58)은 대기량이 증가하여 그 타측에 부설되는 감지센서(21)(23)에 감지되면 제어기는 제2스토퍼(20)(22)를 전진작동시켜서 그 일측으로 부터 두번째 위치한 브레이크라이닝(58)을 지지하여 대기가 지속되게 한 상태에서 제1스토퍼(16)(18)을 후퇴작동시켜서 최전방에 위치한 하나의 브레이크라이닝(58)을 인출하여 재이송시켜 주게 되는데, 이때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재이송되는 최전방 브레이크라이닝(58)은 공급컨베이어(14) 단부에 이르게 되면 관성에 의해 공급컨베이어(14)로부터 고정플레이트(24)로 이송된다.
또한 공급컨베이어(14)로 부터 고정플레이트(24)로 이송된 브레이크라이닝(58)은 그 전방에 부설되는 감지센서(25)(27)에 감지되면 제어기는 제1푸셔(26)를 작동시켜서 상기 제1푸셔(26)가 갖는 밀대(66)가 수직실린더(64)에 의한 하강상태에서 수평실린더(60)에 의한 전진작동으로 고정플레이트(24) 상의 브레이크라이닝(58)을 제1이송컨베이어(28)로 이송시켜 준 뒤 복귀하도록 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1스토퍼(16)(18)를 전진작동시켜 줌과 아울러 제2스토퍼(20)(22)는 후퇴작동시켜서 대기중인 브레이크라이닝(58)들이 제1스토퍼(16)(18)에 의해 지지되어 대기하도록 하며, 이후 대기중인 브레이크라이닝(58)이 감지센서(21)(23)에 감지되면 제어기는 다시 제1,2스토퍼(16)(18)(20)(22)를 작동시켜서 최전방의 브레이크라이닝(58)을 고정플레이트(24) 이송시켜 주도록 하는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앞서 제1이송컨베이어(28)에 공급된 브레이크라이닝(58)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28)를 따라 이송되어 그 후방에 이르게 되면 제1가이드(30)의 안내로 내면연삭기(32)에 공급되는데, 상기 내면연삭기(32)는 각각 모터(68)(71)와 연결된 연삭휠(70)과 지지드럼(72)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1가이드(30)의 안내로 브레이크라이닝(58)이 연삭휠(70)과 지지드럼(72)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이들의 회전력에 의해 연삭휠(70)과 지지드럼(72)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연삭휠(70)과 지지드럼(72) 사이에 주어지는 간격에 따라 브레이크라이닝(58)의 내면연삭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내면연삭기(32)에 의해 내면연삭이 이루어진 브레이크라이닝(58)은 상기 내면연삭기(32) 일측에 갖는 제2이송컨베이어(34) 상에 배출되어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4)를 따라 이송되면서 그 전방에 이르게 되면 제2가이드(40)의 안내 및 제1회전체(36)가 갖는 회전판(74)의 회전에 의해 제3이송컨베이어(38)에 공급되어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38)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다.
또한 제3이송컨베이어(38)를 따라 이송되는 브레이크라이닝(58)이 그 후방에 이르게 되면 제3가이드(42)의 안내로 외면연삭기(44)에 공급되어 상기 외면연삭기(44)가 갖는 지지드럼(78)과 연삭휠(80) 사이를 통과하면서 지지드럼(78)과 연삭휠(80) 사이에 주어진 간격에 따라 외면연삭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외면연삭기(44)에 의해 외면연삭까지 완료된 브레이크라이닝(58)은 그 일측에 갖는 제4이송컨베이어(46) 상에 배출되어 상기 제4이송컨베이어(46)를 따라 이송되면서 그 전방에 이르게 되면 제4가이드(52)의 안내 및 제2회전체(48)의 회전에 의해 제5이송컨베이어(50)에 공급되어 상기 제5이송컨베이어(5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내,외면의 연삭가공이 이루어진 브레이크라이닝(56)은 제5이송컨베이어(5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면서 감지센서(53)(55)에 감지되면 제어기는 감지후 이송속도를 감안하여 제2푸셔(54)를 작동시켜서 상기 제5이송컨베이어(50) 상의 브레이크라이닝(58)을 그 일측에 갖는 배출컨베이어(56)에 폭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상기 배출컨베이어(56)를 따라 배출되게 하는 작동을 반복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라이닝(58)의 내,외면 연삭을 위한 내면연삭기(32)와 외면연삭기(44)를 일련적으로 설치해 줄 수가 있어 설치비용절감 및 연삭작업시간단축을 가져오도록 할 수가 있고 또 좌우로 설치된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폭방향으로 공급되는 브레이크라이닝(58)이 전후로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28)(34) (38)(46)(50)를 따라 이송되면서 내면연삭기(32)와 외면연삭기(44)에 의해 내,외면 연삭이 이루어지도록 한 뒤 좌우로 설치된 배출컨베이어(56)를 따라 폭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내,외면 연삭을 위한 기기의 좌우설치길이를 줄여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12)--프레임 (14)--공급컨베이어
(16)(18)--제1스토퍼 (20)(22)--제2스토퍼
(21)(23)--감지센서 (24)--고정플레이트
(25)(27)--감지센서 (26)--제1푸셔
(28)--제1이송컨베이어 (30)--제1가이드
(32)--내면연삭기 (34)--제2이송컨베이어
(36)--제1회전체 (38)--제3이송컨베이어
(40)--제2가이드 (42)--제3가이드
(44)--외면연삭기 (46)--제4이송컨베이어
(48)--제2회전체 (50)--제5이송컨베이어
(52)--제4가이드 (53)(55)--감지센서
(54)--제2푸셔 (56)--배출컨베이어
(58)--브레이크라이닝 (60)--수평실린더
(62)--이송대 (64)--수직실린더
(66)--밀대 (68)(71)--모터
(70)--연삭휠 (72)--지지드럼
(74)--회전판 (76)--모터
(77)(80)--모터 (78)--지지드럼
(82)--연삭휠 (84)--회전판
(86)--모터 (88)--수평실린더
(90)--밀대

Claims (5)

  1. 프레임(12) 타측에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성형된 브레이크라이닝(58)을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14)와;
    상기 공급컨베이어(14)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공급되어온 브레이크라이닝(58)을 대기시켜서 낱개로 인출되게 하는 제1,2스토퍼(16)(18)(20)(22)와;
    공급컨베이어(14) 일측에 고정설치되어 공급컨베이어(14)를 따라 이송되어 온 브레이크라이닝(58)이 관성에 의해 안착되게 하는 고정플레이트(24)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4) 인근에 설치되어 밀대(66)를 통하여 고정플레이트(24) 상의 브레이크라이닝(58)을 일측으로 이송시켜 주는 제1푸셔(26)와;
    상기 고정플레이트(24)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1이송컨베이어(28)와;
    상기 제1이송컨베이어(28)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제1가이드(30)와;
    제1이송컨베이어(28)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제1가이드(30)의 안내로 공급되는 브레이크라이닝(58)의 내면을 연삭하는 내면연삭기(32)와;
    상기 내면연삭기(32)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2이송컨베이어(34)와;
    상기 제2이송컨베이어(34)의 일측 전방에 설치되는 제1회전체(36)와;
    상기 제1회전체(36)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3이송컨베이어(38)와;
    제2이송컨베이어(34)와 제1회전체(36) 및 제3이송컨베이어(38)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2가이드(40)와;
    제3이송컨베이어(38)의 상부 후방에 고정설치되는 제3가이드(42)와;
    상기 제3이송컨베이어(38)의 일측 후방에 설치되어 브레이크라이닝(58)의 외면을 연삭하는 외면연삭기(44)와;
    상기 외면연삭기(44)의 일측으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4이송컨베이어(46)와;
    상기 제4이송컨베이어(46)의 일측 전방에 설치되는 제2회전체(48)와;
    상기 제2회전체(48)의 일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길게 설치되는 제5이송컨베이어(50)와;
    제4이송컨베이어(46)와 제2회전체(48) 및 제5이송컨베이어(50) 상에 고정설치되는 제4가이드(52)와;
    제5이송컨베이어(50)의 후방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5이송컨베이어(50)를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어온 브레이크라이닝(58)을 일측으로 이송시켜주는 제2푸셔(54)와;
    상기 제5이송컨베이어(50)를 사이에 두고 제2푸셔(54)와 마주하도록 좌우로 길게 설치되어 제2푸셔(54)에 의해 공급된 브레이크라이닝(58)을 배출시켜주는 배출컨베이어(56)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스토퍼(16)(18)(20)(22)는 각각 수평실린더에 연결된 걸림핀이 전후로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져 좌우로 브레이크라이닝(58)이 갖는 두께만큼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셔(26)는 공급컨베이어 후방의 프레임(12) 측에 수평실린더(60)에 의해 수평작동하도록 설치되는 이송대(62) 및 상기 이송대(62)로 부터 수직실린더(64)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도록 연결설치되는 밀대(66)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면연삭기(32)(44)는 각각 모터(68)(80)에 의해 회전하는 연삭휠(70)(82) 및 이 역시 모터(71)(77)에 의해 회전하는 지지드럼(72)(78)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2회전체(36)(48)는 각각 모터(76)(86) 및 상기 모터(76)(86)에 연결설치되는 회전판(74)(84)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KR1020130164308A 2013-12-26 2013-12-26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KR10153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08A KR101538783B1 (ko) 2013-12-26 2013-12-26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308A KR101538783B1 (ko) 2013-12-26 2013-12-26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00A KR20150075900A (ko) 2015-07-06
KR101538783B1 true KR101538783B1 (ko) 2015-07-22

Family

ID=53788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308A KR101538783B1 (ko) 2013-12-26 2013-12-26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7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6706A (zh) * 2016-08-30 2016-11-30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刹车片外弧磨床
CN106166707A (zh) * 2016-08-30 2016-11-30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出料的刹车片外弧磨床
CN106166705A (zh) * 2016-08-30 2016-11-30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检测来料的刹车片外弧磨床
CN106181690A (zh) * 2016-08-30 2016-12-07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刹车片外弧磨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27859B (zh) * 2015-08-24 2017-03-22 苏州隆士丹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刹车片毛刺打磨机
CN105619214A (zh) * 2016-03-18 2016-06-01 浙江安吉双虎竹木业有限公司 一种自动砂光装置
CN106112749B (zh) * 2016-08-25 2018-02-16 海盐欧亚特汽配有限公司 一种刹车片打磨装置
CN108145559A (zh) * 2017-12-22 2018-06-12 新昌县三源轴承有限公司 一种多工位轴承磨削装置
CN108115483A (zh) * 2017-12-22 2018-06-05 新昌县三源轴承有限公司 一种自动进出料的轴承双端面抛光机
CN110900384B (zh) * 2019-12-02 2021-04-27 湖北文理学院 一种自动进出料的非等厚鼓式刹车片外弧磨削生产线
CN111318941A (zh) * 2020-03-31 2020-06-23 巩义市力峰机电科技有限公司 摩托车鼓式刹车片生产线
CN112296723B (zh) * 2020-10-19 2021-09-28 青岛智研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刹车盘机加工机器人上下料生产线及生产方法
CN113400146B (zh) * 2021-06-07 2022-10-18 湖北龙运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鼓式刹车片外弧磨床
CN115446701B (zh) * 2022-10-10 2024-05-07 四川博瑞中控科技有限公司 一种模具生产加工完毕后自动顶出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662A (ja) * 1992-03-24 1993-10-19 Akebono Brake Ind Co Ltd ライニング供給装置及び接着剤塗布装置
KR101063731B1 (ko) * 2009-02-27 2011-09-08 상신이엔지 주식회사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슈의 브러싱장치
KR20110106675A (ko) * 2010-03-23 2011-09-29 주식회사 화인트로 브레이크 패드용 블랭킹가공 백플레이트의 버르제거장치
KR101074107B1 (ko) * 2008-07-10 2011-10-17 (주)이노알앤씨 자동차용 부싱링플레이트의 고무버자동사상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0662A (ja) * 1992-03-24 1993-10-19 Akebono Brake Ind Co Ltd ライニング供給装置及び接着剤塗布装置
KR101074107B1 (ko) * 2008-07-10 2011-10-17 (주)이노알앤씨 자동차용 부싱링플레이트의 고무버자동사상시스템
KR101063731B1 (ko) * 2009-02-27 2011-09-08 상신이엔지 주식회사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슈의 브러싱장치
KR20110106675A (ko) * 2010-03-23 2011-09-29 주식회사 화인트로 브레이크 패드용 블랭킹가공 백플레이트의 버르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6706A (zh) * 2016-08-30 2016-11-30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刹车片外弧磨床
CN106166707A (zh) * 2016-08-30 2016-11-30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出料的刹车片外弧磨床
CN106166705A (zh) * 2016-08-30 2016-11-30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检测来料的刹车片外弧磨床
CN106181690A (zh) * 2016-08-30 2016-12-07 湖北东方玉扬电子科技有限公司 自动刹车片外弧磨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900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8783B1 (ko) 자동차 드럼브레이크용 브레이크라이닝 연삭장치
KR20150072664A (ko) 판재 절단장치
CN106077284A (zh) 一种自动上下料的压型模具的自动控制系统
CN105775681A (zh) 一种停歇式自动供料机
CN205771894U (zh) 一种滚轮输送装置
CN110217554A (zh) 自动进料装置及自动化磨床
CN104097120B (zh) 内外圆磨机
CN105857794A (zh) 撕膜设备
CN106670928A (zh) 一种全自动滚轮打磨机
JP6411796B2 (ja) 振分装置
KR20150002537U (ko) 판재 절단장치
KR102065772B1 (ko) 가래떡 분리공급장치
CN115009873B (zh) 移动加料机
CN206540813U (zh) 高速棒材图像检测行星轮机构
CN103878653A (zh) 一种双端面磨床专用双料槽绞龙送料装置
KR101484905B1 (ko) 소재 위치 보정형 로터리 다이커팅장치
CN205573060U (zh) 半钢成型机带束层供料架
CN206415998U (zh) 一种全自动滚轮打磨机
CN105599999A (zh) 一种面条包装整理装置
CN218402173U (zh) 一种扫推分拣设备
KR101424470B1 (ko) 연원료 불출장치
CN214923018U (zh) 延伸式玻璃磨边机
KR101600542B1 (ko) 제함기용 박스이송장치
CN219708210U (zh) 一种布料机的非接触式定位装置
JP6867173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