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627B1 -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627B1
KR101663627B1 KR1020130027193A KR20130027193A KR101663627B1 KR 101663627 B1 KR101663627 B1 KR 101663627B1 KR 1020130027193 A KR1020130027193 A KR 1020130027193A KR 20130027193 A KR20130027193 A KR 20130027193A KR 101663627 B1 KR101663627 B1 KR 101663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floor
mode
ign
purg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749A (ko
Inventor
최의현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6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voiding uncomfortable feeling, e.g. sudden temperature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IGN 1 및 IGN 2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차량 키 조작으로 ON 단계 또는 시동 온(ON) 단계에 진입되는 것과 무관하게 공조장치의 플로어퍼지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키 조작에 따른 플로어퍼지모드가 중복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키 조작으로 IGN(Ignition) 1 및 IGN(Ignition) 2의 전원이 온(ON)된 후 IGN 1 또는 IGN 2의 유지시간을 카운트(A)하고; IGN 1 및 IGN 2 전원 온(ON)에 의해 플로어퍼지모드가 실행되는 실행시간을 카운트(B)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시간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설정된 실행시간에 도달되면, 차량 키 조작에 의해 ON 단계 또는 시동 온(ON) 단계에 상관없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IGN(Ignition) 1 및 IGN 2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차량 키 조작으로 ON 단계 또는 시동 온(ON) 단계에 진입되는 것과 무관하게 공조장치의 플로어퍼지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키 조작에 따른 플로어퍼지모드가 중복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1)와,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조절하는 내/외기전환도어(2)와,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3)와,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열 교환시킴으로써 온기를 형성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 4)와, 냉기 및 온기를 혼합시켜 적정온도의 혼합공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도어(5)와,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로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에 따라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6a), 페이스벤트(Face Vent, 6b), 플로어벤트(Floor Vent, 6c)와, 상기 각각의 벤트(6a)(6b)(6c)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디프로스트도어(Defrost Door, 7a), 페이스도어(Face Door, 7b), 플로어도어(Floor Door, 7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공조제어부(10)를 포함한다.
최근들어, 차량용 공조장치는, 외부의 조건에 따라 냉,난방시스템을 통해 토출되는 냉기 및 온기를 적절히 혼합하여 실내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제어방식(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FATC)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제어방식은, 차량의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실내온도센서(11)와, 차량의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실외온도센서(12), 일사량을 측정하는 일사센서(13), 창유리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4) 및 증발기(3)의 온도를 측정하는 증발기온도센서(15)의 측정값들이 상기 공조제어부(10)로 입력되어, 상기 공조제어부(10)에서 상기한 각 센서들의 측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토출온도 및 풍량을 조절한다.
또한, 차량용 공조장치의 토출모드는, 페이스도어(7b)가 100% 개방되는 벤트모드(Vent Mode)와, 페이스도어(7b) 50%와 플로어도어(7c) 50%가 개방되는 바이레벨모드(Bi-Level Mode)와, 플로어도어(7c) 100%와 디프로스트도어(7a) 30%가 개방되는 플로어모드(Floor Mode)와, 디프로스트도어(7a) 50%와 플로어도어(7c) 50%가 개방되는 믹스모드(Mix Mode) 및 디프로스트도어(7a) 100%가 개방되는 디프모드(Def Mode)의 총 5단계로 이루어진다.
한편, 종래에는, 차량 냉방시스템의 초기 가동으로 발생할 수 있는 습기 또는 냄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동안 플로어모드로 전환시켜 습기 또는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플로어벤트(6c)를 통해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불쾌감을 해소시키고자 하였다.
그런데, 플로어모드는 통상 플로어도어(7c) 100% 개방과 함께 디프로스트도어(7a)도 30% 개방상태이므로, 냉방시스템 초기 가동으로 발생하는 습기 또는 냄새가 상기 디프로스트도어(7a)를 통해서도 토출됨에 따라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바이레벨모드와 플로어모드 사이에 플로어퍼지모드(Floor-Purge Mode)를 구비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플로어퍼지모드는, 플로어도어(7c)는 100% 개방하고 디프로스트도어(7a)는 닫힘상태를 유지하는 모드이다.
예컨대, 자동모드일 경우, 차량 키(Key)를 조작하여 ON단계에 위치시키면 공조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토출모드는 플로어퍼지모드로 전환되어 8초 정도 유지되고, 송풍기는 3.8V로 3초 동안 유지됨에 따라, 습기 또는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플로어 측으로 토출된다.
이어서, 차량 키를 조작하여 ON단계에서 스타트(Start)단계로 위치시키면, 일시적으로 IGN 2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가 됨에 따라 공조장치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된다.
이때, 상기 스타트단계에서 시동 온(ON) 상태가 되면, 토출모드는 플로어퍼지모드로 전환되어 8초 정도를 유지하고 송풍기는 3.8V로 3초 동안 유지됨에 따라, 습기 또는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가 플로어 측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키 조작으로 ON단계에서 1차 플로어퍼지모드가 작동된 상태에서 스타트 후 시동 온(ON) 상태에서 다시 2차 플로어퍼지모드가 작동됨으로써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아래의 [표 1]은 차량 키 조작에 따른 전원공급상태에 따라 플로어퍼지모드가 실행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OFF ACC ON START 시동 ON
키 조작방향 ------------> ------------> ------------> ------------> ------------>
IGN 1 OFF OFF ON ON ON
IGN 2 OFF OFF ON OFF ON
플로어퍼지
모드 실행
실행 재실행
예컨대, 탑승자가 키 조작으로 ON 단계에서 5초 정도를 유지한 상태라면, 플로어퍼지모드도 5초 정도 실행된 상태이고, 이후 스타트 단계를 거쳐 시동 온(ON)되면, 플로어퍼지모드가 재실행되어 8초 정도 유지되어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IGN 1 및 IGN 2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차량 키 조작으로 ON 단계 또는 시동 온(ON) 단계에 진입되는 것과 무관하게 공조장치의 플로어퍼지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키 조작에 따른 플로어퍼지모드가 중복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키 조작으로 IGN(Ignition) 1 및 IGN(Ignition) 2의 전원이 온(ON)된 후 IGN 1 또는 IGN 2의 유지시간을 카운트(A)하고; IGN 1 및 IGN 2 전원 온(ON)에 의해 플로어퍼지모드가 실행되는 실행시간을 카운트(B)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시간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설정된 실행시간에 도달되면, 차량 키 조작에 의해 ON 단계 또는 시동 온(ON) 단계에 상관없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로어퍼지모드는, 송풍기의 작동시간을 카운트(B1)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1시간이 상기 송풍기의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송풍기의 작동제어를 해제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로어퍼지모드는, 토출모드의 작동시간을 카운트(B2)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2시간이 상기 토출모드의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토출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로어퍼지모드는, 송풍기 및 토출모드 각각의 작동시간을 카운트(B1)(B2)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1 및 B2시간이 설정된 실행시간에 도달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제어를 해제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풍기는, 3.8V로 일정시간 동안 풍력을 발생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토출모드는, 플로어도어의 100% 개방 또는 플로어모드로 전환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로어퍼지모드는, 상기 송풍기가 3.8V로 일정시간 동안 풍력을 발생하고; 상기 토출모드는 플로어도어의 100% 개방 또는 플로어모드로 전환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IGN 1 및 IGN 2의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차량 키 조작으로 ON 단계 또는 시동 온(ON) 단계에 진입되는 것과 무관하게 공조장치의 플로어퍼지모드가 일정시간 동안 실행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키 조작에 따른 플로어퍼지모드가 중복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풍력을 발생하는 송풍기(1)와,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시키도록 조절하는 내/외기전환도어(2)와,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3)와,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열 교환시킴으로써 온기를 형성하는 히터코어(Heater Core, 4)와, 냉기 및 온기를 혼합시켜 적정온도의 혼합공기가 형성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도어(5)와, 공기가 토출되는 통로로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에 따라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6a), 페이스벤트(Face Vent, 6b), 플로어벤트(Floor Vent, 6c)와, 상기 각각의 벤트(6a)(6b)(6c)에 구비되어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디프로스트도어(Defrost Door, 7a), 페이스도어(Face Door, 7b), 플로어도어(Floor Door, 7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공조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공조제어부(1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키를 조작하여 ON 단계로 진입한다(S1).
이때 상술한 [표 1]과 같이, IGN 1 및 IGN 2로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공조장치가 플로어퍼지모드를 실행한다(S2).
또한, 공조제어부(10)는 IGN 1 또는 IGN 2의 전원이 온(ON)되는 시간을 카운트(A)한다(S3).
또한, 공조제어부(10)는 플로어퍼지모드가 실행되는 시간을 카운트(B)한다(S4).
상기 플로어퍼지모드는, 송풍기가 3.8V로 설정된 일정시간(B1) 동안 풍력을 발생시키고, 토출모드는 플로어도어(7c) 100% 개방 또는 플로어모드로 전환되어 설정된 일정시간(B2) 동안 유지하는 모드이다. 여기에서 설정된 시간이란, 송풍기의 설정시간(B1)은 2 ~ 4초이고, 토출모드의 설정시간(B2)은 7 ~ 12초 정도 유지하는 시간을 의미한다.
상기 송풍기의 설정시간(B1)이 2초 미만이면 공조장치 내의 습기 또는 냄새가 미쳐 토출되지 못한 상태가 되고, 4초를 초과하면 플로어벤트(6c)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량이 많아져 탑승자가 습기 또는 냄새를 느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토출모드의 설정시간(B2)이 7초 미만이면 공조장치 내에 습기 또는 냄새가 잔존한 상태로 정상모드로 변환될 경우 습기 또는 냄새에 의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도 있고, 12초를 초과하면 습기 또는 냄새가 완전히 토출된 상태이므로 플로어퍼지모드를 유지할 목적을 상실하게 된다.
만약, 차량 키 조작으로 스타트 단계로 진입되었다면, 일시적으로 IGN 2의 전원이 오프(OFF)됨으로 공조장치의 플로어퍼지모드는 일시정지되고, 공조제어부도 플로어퍼지모드의 실행시간 카운트(B)를 일시정지한다.
이어서, 시동 온(ON) 또는 온(ON)상태로 복귀되어 IGN 1 및 IGN 2 전원이 온(ON)이 되면, 일시정지된 공조장치의 플로어퍼지모드가 실행되고, 공조제어부는 플로어퍼지모드 실행시간 카운트(B)의 일시정지를 해제하고 이전 카운트시간을 누적하여 플로어퍼지모드 실행시간을 계속해서 카운트(B)한다.
이어서, 상기 플로어퍼지모드의 실행시간을 카운트(B)한 시간이 상기 플로어퍼지모드의 설정된 실행시간에 도달되고, 상기 플로어퍼지모드의 카운트(B)된 시간이 IGN 1 또는 IGN 2의 온(ON) 시간을 카운트하는 A시간을 초과하면, 상기 플로어퍼지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카운트되는 A시간이 송풍기의 작동시간을 설정한 B1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
만약, IGN 1 또는 IGN 2의 온(ON) 시간을 카운트하는 A시간이 송풍기의 설정된 작동제어시간(B1)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송풍기의 작동제어를 해제한다(S6).
또는, A시간이 송풍기의 작동제어시간(B1)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S2단계로 진입한다.
이어서, 카운트되는 A시간이 토출모드의 작동시간을 설정한 B2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7).
만약, IGN 1 또는 IGN 2의 온(ON) 시간을 카운트하는 A시간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설정된 작동제어시간(B2)을 초과하였다면, 상기 플로어퍼지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한다(S8).
또는, A시간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작동제어시간(B2)을 초과하지 않았다면, S2단계로 진입한다.
또는, 상기 송풍기의 작동제어 및 플로어퍼지모드가 동시에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설정된 B1 또는 B2시간이 A시간을 초과할 경우에는 순차적으로 작동제어를 해제한다.
이에 따라, 차량 키(Key)조작으로 IGN 1 및 IGN 2 전원이 온(ON)된 후 IGN 1 또는 IGN 2의 온(ON) 시간을 카운트(A)하고, 상기 IGN 1 및 IGN 2 전원 온(ON)에 의해 플로어퍼지모드가 작동되는 시간을 카운트(B)하여, 상기 A시간이 B시간을 초과하였을 경우 상기 플로어퍼지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함으로써, 차량 키조작에 의해 IGN 1 또는 IGN 2 전원이 반복적으로 온(ON)/오프(OFF) 동작됨에 따라 플로어퍼지모드가 중복되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송풍기 2: 내/외기 전환도어
3: 증발기 4: 히터코어(Heater Core)
5: 온도조절도어 6a: 디프로스트벤트(Defrost Vent)
6b: 페이스벤트(Face Vent) 6c: 플로어벤트(Floor Vent)
7a: 디프로스트도어(Defrost Door) 7b: 페이스벤트(Face Door)
7c: 플로어도어(Floor Door) 10: 공조제어부
11: 실내온도센서 12: 실외온도센서
13: 일사센서 14: 습도센서
15: 증발기온도센서

Claims (7)

  1.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차량 키 조작으로 IGN(Ignition) 1 및 IGN(Ignition) 2의 전원이 온(ON)된 후 IGN 1 또는 IGN 2의 유지시간을 카운트(A)하고;
    IGN 1 및 IGN 2 전원 온(ON)에 의해 플로어퍼지모드가 실행되는 실행시간을 카운트(B)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시간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설정된 실행시간에 도달되면, 차량 키 조작에 의해 ON 단계 또는 시동 온(ON) 단계에 상관없이 플로어퍼지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하고,
    상기 플로어퍼지모드는, 송풍기(1) 및 토출모드 각각의 작동시간을 카운트(B1)(B2)하여;
    상기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1 및 B2시간이 설정된 실행시간에 도달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제어를 해제하도록 하고,
    일시적으로 상기 IGN 1 또는 IGN 2의 전원이 오프(OFF)되는 경우,
    공조장치의 플로어퍼지모드는 일시 정지되고, 공조제어부도 플로어퍼지모드의 실행시간 카운트를 일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퍼지모드는, 송풍기(1)의 작동시간을 카운트(B1)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1시간이 상기 송풍기(1)의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송풍기(1)의 작동제어를 해제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퍼지모드는, 토출모드의 작동시간을 카운트(B2)하여;
    A시간이 카운트되는 동안 B2시간이 상기 토출모드의 설정시간에 도달되면, 상기 토출모드의 작동제어를 해제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1)는, 3.8V로 일정시간 동안 풍력을 발생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토출모드는, 플로어도어(7c)의 100% 개방 또는 플로어모드로 전환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퍼지모드는, 상기 송풍기(1)가 3.8V로 일정시간 동안 풍력을 발생하고;
    상기 토출모드는 플로어도어(7c)의 100% 개방 또는 플로어모드로 전환되어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30027193A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663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93A KR101663627B1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193A KR101663627B1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749A KR20140112749A (ko) 2014-09-24
KR101663627B1 true KR101663627B1 (ko) 2016-10-07

Family

ID=51757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193A KR101663627B1 (ko) 2013-03-14 2013-03-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6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777B1 (ko) 2006-11-07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윈드실드의 포그방지를 위한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56637A (ja) * 1993-12-07 1995-06-20 Zexel Corp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80038907A (ko) * 2006-10-31 2008-05-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장치의 포깅 방지 방법
KR100986277B1 (ko) * 2008-07-22 2010-10-07 주식회사 두원공조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초기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777B1 (ko) 2006-11-07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윈드실드의 포그방지를 위한 공조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749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7583B1 (ko) 태양열을 이용한 공조장치 구동 시스템 및 방법
JP316105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1106441A (ja) アイドルストップ制御装置
WO2013084168A1 (en) Control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air reheating based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olant flow control
JP200730813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4054966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70084729A (ko) 차량용 에어컨 습기 제거장치 및 그 방법
KR10166362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JP2010120414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1223657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50044120A (ko) 전기자동차용 공조장치
KR1016824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2269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0836117B1 (ko) 정숙모드를 갖는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01230B1 (ko) 아이들 스톱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5872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57281A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써머 모드 제어방법
KR10172965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623308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66153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0163052A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
JP200703879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079653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636151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1205504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