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331B1 -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331B1
KR101662331B1 KR1020107019808A KR20107019808A KR101662331B1 KR 101662331 B1 KR101662331 B1 KR 101662331B1 KR 1020107019808 A KR1020107019808 A KR 1020107019808A KR 20107019808 A KR20107019808 A KR 20107019808A KR 101662331 B1 KR101662331 B1 KR 101662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er
polyoxyethylene
alcohol
present
glyce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350A (ko
Inventor
아유미 아사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00126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도포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이나 탱탱함이 얻어지고, 끈적거림이 없고, 장기 보존 하에서도 점도 저하나 분리 등을 일으키지 않아,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한다. (a) 탄소수 14 ∼ 22 의 고급 알코올과, (b) 친수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와, (c)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를 함유하는 수중유형 화장료로서, (b) 와 (c) 의 알킬 부분이 직사슬형의 포화 알킬 사슬이며, (a) ∼ (c) 의 몰 농도가 [(b)+(c)]/(a) = 0.1 ∼ 1.0 의 관계를 만족하고, 바람직하게는 [(a)+(c)]/(b) = 3 ∼ 20 의 관계를 만족한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OIL-IN-WATER TYPE COSMETIC EMULSION}
본 발명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약제의 첨가나, 분말이나 피막제의 첨가에 상관 없이, 화장료의 적용 부위에 탄력이나 탱탱함을 가져올 수 있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에 있어서, 나이가 듬에 따라 탱탱함이나 탄력의 저하·주름의 발현 등을 지연·예방·은폐하거나 하는 것은 큰 목적 중 하나이다.
이들에 효과가 있는 약제로는, 생약에서 유래된 활성 성분 이외에, 비타민 A 및 그 유도체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카세인을 배합함으로써 비타민 A 에스테르의 피부 침투성을 향상시킨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성분을 화장품에 배합하여 피부에 유효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곤란하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는, 항산화제와 특정량의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배합함으로써, 비타민 A 에스테르의 가수 분해를 방지하여 안정화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는데, 유화 화장료로서 필수인 유화제의 첨가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점성이나 감촉 등의 면에서 반드시 바람직한 화장료가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었다. 또, 상기 약제의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연속적인 적용이 필요하고, 그 계속을 재촉하는 의미에서도, 도포하여 비교적 단시간에 탱탱함이나 탄력의 회복이 느껴지는 것은 화장료로서 중요한 요소이다.
탱탱함이나 탄력의 감각을 단시간에 부여할 수 있는 성분으로는, 지금까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알긴산나트륨, 뮤코다당이나 콜라겐, 달걀 껍질 단백질, 및 그들의 분해물, 아크릴계 수지 등의 피막 형성 성분이나, 구상 그 밖의 분말 (특허문헌 3),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특허문헌 4) 등이 사용되어 왔다.
또, 포수성 (抱水性) 이 우수한 다이머산 및/또는 다이머 디올의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유성 기제 (특허문헌 5) 에, 상기와 같은 피막 형성 성분 및 보습 성분과 조합하여 배합한 화장료가 피부에 양호한 윤기나 탱탱함을 줄 수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6).
그러나, 이들 종래의 성분을 탱탱함이나 탄력이 충분히 느껴지는 양으로 첨가한 경우, 적용시에 뭉침이나 끈적거림이 발생하거나, 장기간 보관 하에서의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다른 첨가 성분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245366호 일본 특허 제36341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9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159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25651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69723호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비타민 A 등의 약제나, 피막 형성 성분이나 분말 등의 유무에 상관 없이, 피부의 탄력이나 탱탱함이 얻어지고, 안정성도 양호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고급 알코올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와,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에 의해 조제되는 조성물이 피부의 탄력이나 탱탱함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는 것을 알아내고, 나아가서는 그 비율을 특정의 것으로 함으로써 장기간 안정성이 유지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은,
(a) 탄소수 14 ∼ 22 의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b) 친수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c)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고,
(b) 와 (c) 의 알킬 부분이 직사슬형의 포화 알킬기이며, (a) ∼ (c) 의 몰 농도가 [(b)+(c)]/(a) = 0.1 ∼ 1.0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이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는, (a) ∼ (c) 의 몰 농도가 [(a)+(c)]/(b) = 3 ∼ 9 의 관계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에 배합되어 있던 비타민 A 류 등의 약제나 피막 형성 성분 등의 유무에 상관 없이, 피부의 탄력이나 탱탱함이 얻어지고, 끈적거림이 없고, 장기 보존 하에서도 점도 저하나 분리 등을 일으키지 않아,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a) 탄소수 14 ∼ 22 의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이하, 「고급 알코올」이라고 한다) 을 함유한다. 이 고급 알코올 (a) 는 직사슬형의 포화 (단결합의)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킬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베헤닐알코올이 1 종 이상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급 알코올 (a) 의 배합량은 0.1 ∼ 7.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 6.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b) 친수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이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라고 한다) 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b) 는 직사슬형의 포화 (단결합의) 알킬 사슬과,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이 에테르 결합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 중에서 친수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친수성」이란, 친수기와 소수기의 상대적인 힘에 의해 구해지는 HLB 값이 10 보다 큰 것을 가리킨다.
이러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b) 로는,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 (10)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11)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0)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0)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0) 베헤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30) 베헤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b) 는 폴리옥시에틸렌사슬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 30 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옥시에틸렌 (20) 스테아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20) 베헤닐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b) 의 배합량은 0.01 ∼ 3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2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는 (c)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이하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라고 한다) 을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c) 는 직사슬형의 포화 (단결합의) 알킬 사슬과, 글리세린이 에테르 결합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글리세린모노세틸에테르 (키밀알코올),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릴에테르 (바틸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그들 중에서도,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c) 의 배합량은 0.01 ∼ 5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3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a) ∼ (c) 의 몰 농도는 [(b)+(c)]/(a) = 0.1 ∼ 1.0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b)+(c)]/(a) = 0.1 ∼ 0.9, 가장 바람직하게는 0.2 ∼ 0.8 이다. [(b)+(c)]/(a)의 값이 0.1 보다 작은 경우에는, 장기간의 보관 중에 고급 알코올이 석출되기 쉬워지고, 1.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고온 하에서 분리나 점도 변화 등의 상태 불량이 일어나기 때문에, 모두 안정성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 있어서의 (a) ∼ (c) 의 몰 농도는 [(a)+(c)]/(b) = 3 ∼ 20 의 관계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a)+(c)]/(b) = 5 ∼ 19 이다. [(a)+(c)]/(b) 의 값이 3 보다 작은 경우에는, 안정적인 유화물을 얻어지지 않아, 탱탱함 및 끈적거림도 불만족스럽게 되는 경우가 있다. [(a)+(c)]/(b) 의 값이 2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안정적인 유화물이 얻어지지 않아, 탱탱함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실시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유액, 크림, 미용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헤어 스타일링제, 헤어 케어제 등의 각 형태에 따른 상태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부에 적용하는 것으로서, 유액, 크림, 미용액,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등으로의 이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화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 이외에,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분말, 유분, 활성제, 보습제, 약제, 피막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코올, 분기 사슬 또는 다중 결합을 갖는 고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산화 방지제, 방부제, 향료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해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서술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로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표에서,
*1 은 직사슬형의 포화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킬 부분을 갖는 것
*2 는 분기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킬 부분을 갖는 것
*3 은 불포화 알킬 사슬로 이루어지는 알킬 부분을 갖는 것
을 나타낸다.
실시예 1 ∼ 4, 비교예 1 ∼ 8
하기 표 1 ∼ 3 에 나타내는 처방으로 후기하는 방법에 따라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조제하였다.
계속해서, 이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의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 3 에 함께 나타낸다. 평가 항목은 조제 직후의 상태, 탱탱함, 끈적거림이 없음, 뭉침이 없음, 시간 경과에 따른 상태 안정성이며, 평가 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조제 직후의 상태)
시험품을 조제한 후, 현미경 관찰 및 육안에 의해, 유화 입자의 응집이나 합일, 결정 석출, 분리 등의 외관의 이상 유무에 대해 평가하였다.
○ (양호) : 이상이 없다.
△ (약간 불량) : 유화 입자 혹은 외관에 경미한 이상이 관찰된다.
× (불량) : 유화 입자 또는/또한 외관에 명확한 이상이 관찰된다.
(탱탱함)
전문 패널 20 명에 의해 피부에 적용한 후의 탱탱함을 평가하였다.
○ (양호) : 탱탱함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 패널이 15 명 이상
△ (약간 불량) : 탱탱함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 패널이 8 명 이상 14 명 이하
× (불량) : 탱탱함이 있는 것으로 평가한 패널이 7 명 이하
(끈적거림이 없음)
전문 패널 20 명에 의해 피부에 적용한 후의 끈적거림이 없는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 (양호) : 끈적거림이 없는 것으로 평이한 패널이 15 명 이상
△ (약간 불량) : 끈적거림이 없는 것으로 평이한 패널이 8 명 이상 14 명 이하
× (불량) : 끈적거림이 없는 것으로 평이한 패널이 7 명 이하
(뭉침이 없음)
전문 패널 20 명에 의해, 피부에 적용한 후에 뭉침이 없는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 (양호) : 뭉침이 없는 것으로 평이한 패널이 15 명 이상
△ (약간 불량) : 뭉침이 없는 것으로 평이한 패널이 8 명 이상 14 명 이하
× (불량) : 뭉침이 없는 것으로 평이한 패널이 7 명 이하
(시간 경과에 따른 상태 안정성)
시료를 50 ℃ 에서 3 개월 보관하고, 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양호) : 외관의 변화가 없고, 초기와 비교하여 점도 저하·상승은 25 % 미만이다.
△ (약간 불량) : 기액 계면에서의 약간의 기름 뭉침 또는/또한 25 % 이상 50 % 미만의 점도 저하·상승을 볼 수 있다.
× (불량) : 분리나 50 % 이상의 점도 저하·상승을 볼 수 있다.
(제조 방법)
성분 13 ∼ 21 을 균일하게 용해시킨 것을 70 ℃ 로 가열하고, 1 ∼ 12 를 75 ℃ 에서 혼합한 것을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40 ℃ 로 냉각시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를 얻었다.
Figure 112010057656273-pct00001
Figure 112010057656273-pct00002
Figure 112010057656273-pct00003
이상 얻어진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성분 (a) ∼ (c) 를 전부 함유하고, 그들의 몰 농도가 소정의 관계를 만족하는 경우 (실시예 1 ∼ 4) 에는, 시간 경과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조제 직후의 상태, 탱탱함, 끈적거림이 없음, 뭉침이 없음, 시간 경과적 상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그에 반해,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에서는, (a) 성분의 몰 농도에 대한 (b) 성분과 (c) 성분의 몰 농도의 합계 비율 ([(b)+(c)]/(a)) 이 본원 소정의 범위 밖이기 때문에, 모두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었다. 비교예 3 에서는, 첨가되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가 친수성이 아니기 (HLB = 7) 때문에, 양호한 유화 상태로 조제할 수 없었다. 또,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b) 로 바꾸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를 사용한 비교예 4 에서는, 탱탱함이 얻어지지 않았다. 또 이 비교예 4 에 종래 탱탱함을 가져오는 것으로 되어 있는 폴리비닐알코올이나 포수성의 유분을 첨가한 비교예 5 및 6 에서는, 탱탱함은 부여할 수 있지만, 끈적거림이나 뭉침도 부여되어, 화장료로서 바람직한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b) 로 바꾸어 알킬 사슬이 분기되어 있는 폴리옥시에틸렌이소스테아릴에테르를 사용한 비교예 7 에서는, 균일한 유화 상태가 얻어지지 않아 상태가 안정적인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또 한편,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 (c) 로 바꾸어 알킬 사슬에 이중 결합을 갖는 글리세린모노올레일에테르를 사용한 비교예 8 의 경우에도 시간 경과적 상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또, (b) 성분의 몰 농도에 대한 (a) 성분과 (c) 성분의 몰 농도의 합계의 비율 ([(a)+(c)]/(b)) 이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는 범위 밖인 비교예 9 및 10 에서는, 균일한 유화 상태가 얻어지지 않아, 일부러 피부에 사용해도 탱탱함이나 끈적거림이 없는 점에서 만족할 수 있는 화장료는 얻어지지 않았다.
이하, 본 발명의 처방예를 실시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의 화장료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조제되고, 조제 직후의 상태, 탱탱함, 끈적거림이 없음, 뭉침이 없음, 시간 경과적 상태 안정성에 있어서 양호한 것이었다.
실시예 5 (유액)
성분 배합량 (질량%)
1 디메틸폴리실록산 2
2 경화유 3
3 스쿠알란 6
4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트 2
5 베헤닐알코올 1
6 바틸알코올 *1 0.4
7 폴리옥시에틸렌 (30) 베헤닐에테르 *1 0.7
8 글리세린 5
9 1,3-부틸렌글리콜 7
10 에리트리톨 2
11 사르코신 1
12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나트륨 0.1
13 메타인산나트륨 0.05
14 페녹시에탄올 0.5
15 정제수 잔량
실시예 6 (크림)
성분 배합량 (질량%)
1 스쿠알란 2
2 테트라옥탄산펜타에리트리틸 15
3 메틸폴리실록산 4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3
5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
6 베헤닐알코올 3
7 스테아릴알코올 0.5
8 바틸알코올 *1 1.7
9 폴리옥시에틸렌 (20) 베헤닐에테르 *1 1
10 글리세린 10
11 부틸렌글리콜 5
12 트라넥삼산 2
13 카르노신 1.5
14 글리시리진산디칼륨 0.1
15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0.1
16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칼륨 0.1
17 파라벤 0.2
18 메타인산나트륨 0.05
19 정제수 잔량
실시예 7 (자외선 차단 화장료)
성분 배합량 (질량%)
1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5
2 옥토크릴렌 5
3 t-부틸메톡시벤조일메탄 2
4 페닐벤즈이미다졸술폰산 2
5 세바크산디이소프로필 2
6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5
7 디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1
8 호호바유 2
9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
10 폴리옥시에틸렌 (20) 스테아릴에테르 *1 1.5
11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0.2
12 바틸알코올 *1 0.5
13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0.3
14 트리에탄올아민 1.5
15 부틸렌글리콜 10
16 무수 규산 2
17 날개콩 엑기스 0.5
18 에탄올 5
19 아세트산토코페롤 0.1
20 피로아황산나트륨 0.01
21 페녹시에탄올 0.3
22 에데트산나트륨 0.05
23 완충제 적량
24 정제수 잔량
실시예 8 (메이크업 베이스)
성분 배합량 (질량%)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
2 트리메틸실록규산 0.5
3 메틸폴리실록산 2
4 가교형 메틸폴리실록산 3
5 말산디이소스테아릴 2
6 세탄올 1
7 스테아릴알코올 1
8 바틸알코올 *1 1
9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1
10 바틸알코올 *1 0.7
11 스테아르산 0.5
12 베헨산 0.5
13 폴리옥시에틸렌 (15) 스테아릴에테르 0.5
14 글리세린 1
15 프로필렌글리콜 5
16 벤토나이트 1
17 니코틴산아미드 1
18 잔탄검 0.1
19 무수 규산 5
20 탤크 1
21 산화티탄 1
22 황산화철 피복 운모 티탄 0.5
23 에탄올 5
24 페녹시에탄올 0.5
25 에데트산나트륨 0.1
26 정제수 잔량

Claims (6)

  1. (a) 탄소수 14 ∼ 22 의 고급 알코올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b) 친수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c) 글리세린모노알킬에테르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
    을 함유하고, 상기 (b) 와 (c) 의 알킬 부분이 직사슬형의 포화 알킬 사슬로서, (a) ∼ (c) 의 몰 농도가 [(b)+(c)]/(a) = 0.1 ∼ 1.0 의 관계를 만족하고, [(a)+(c)]/(b) = 5 ∼ 19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a) 의 알킬 부분이 직사슬형의 포화 알킬 사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a) ∼ (c) 의 몰 농도가 [(b)+(c)]/(a) = 0.1 ∼ 0.9 의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 가 글리세린모노스테아릴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b) 의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의 평균 부가 몰수가 10 ∼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6. 삭제
KR1020107019808A 2008-03-11 2009-03-11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KR1016623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60824 2008-03-11
JPJP-P-2008-060824 2008-03-11
PCT/JP2009/001085 WO2009113302A1 (ja) 2008-03-11 2009-03-11 水中油型乳化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350A KR20100126350A (ko) 2010-12-01
KR101662331B1 true KR101662331B1 (ko) 2016-10-04

Family

ID=4106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808A KR101662331B1 (ko) 2008-03-11 2009-03-11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765821B2 (ko)
EP (1) EP2255777B1 (ko)
JP (1) JP5781759B2 (ko)
KR (1) KR101662331B1 (ko)
CN (1) CN102006851B (ko)
ES (1) ES2609677T3 (ko)
HK (2) HK1152955A1 (ko)
WO (1) WO20091133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5120B2 (ja) * 2010-01-19 2015-02-25 株式会社 資生堂 乳化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50911A (en) * 1980-09-12 1982-03-25 Lion Corp Hair cosmetic
JPH05933A (ja) 1990-03-19 1993-01-08 Ken Prod Kk しわ伸ばし化粧用液状組成物
JP3093930B2 (ja) * 1994-08-26 2000-10-03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保湿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3439871B2 (ja) 1995-03-16 2003-08-25 有限会社野々川商事 化粧料
JPH09169618A (ja) * 1995-12-20 1997-06-30 Kiran Keshohin Kk 乳化組成物
JPH09315936A (ja) 1996-05-28 1997-12-09 Kanebo Ltd 化粧料
JP3634139B2 (ja) 1998-02-10 2005-03-30 株式会社資生堂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1999040887A1 (fr) * 1998-02-10 1999-08-19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 emulsionnees de type aqueux
WO2001006993A1 (fr) * 1999-07-27 2001-02-01 Shiseido Company, Ltd. Composition d'emulsion huile dans l'eau
JP4745565B2 (ja) * 2001-09-13 2011-08-10 ホーユー株式会社 脱色剤組成物及び染毛剤組成物
JP4331584B2 (ja) 2003-02-04 2009-09-16 日本精化株式会社 油性基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JP4574384B2 (ja) * 2005-02-17 2010-11-04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コラーゲン産生促進用の皮膚外用剤
JP4326512B2 (ja) 2005-08-29 2009-09-09 日光ケミカルズ株式会社 美白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JP2007269723A (ja) 2006-03-31 2007-10-18 Kose Corp 化粧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6851B (zh) 2013-07-17
HK1152955A1 (en) 2012-03-16
EP2255777A4 (en) 2014-07-23
KR20100126350A (ko) 2010-12-01
EP2255777A1 (en) 2010-12-01
ES2609677T3 (es) 2017-04-21
EP2255777B1 (en) 2016-12-14
JP5781759B2 (ja) 2015-09-24
US8765821B2 (en) 2014-07-01
HK1155076A1 (en) 2012-05-11
US20110054041A1 (en) 2011-03-03
JPWO2009113302A1 (ja) 2011-07-21
WO2009113302A1 (ja) 2009-09-17
CN102006851A (zh)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1808B2 (ja) 水中油型液状組成物
EP3278789A1 (en) Cosmetic composition with multiple emulsion formulation having lamellar liquid crystal structure
JP6339376B2 (ja) 化粧料
KR20140062696A (ko) 실리콘유중수형 매크로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JP2011195510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組成物
JP5690779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70123612A (ko) 나노에멀션 유화용 조성물, 양연속 마이크로에멀션,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JP5662774B2 (ja) 乳化組成物
JP4171333B2 (ja) 水中油型多相乳化組成物
JP5572356B2 (ja)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JP4808445B2 (ja) W/o型乳化組成物
JP2011195511A (ja) 水中油型乳化皮膚外用組成物
JP2012206986A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11213601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10189351A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3865300B2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20031879A (ko) 유화 조성물
KR101662331B1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JP2004307414A (ja) W/o/wエマルション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60462A (ja) 皮膚化粧料
JP2010189352A (ja) 経皮吸収促進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H11180820A (ja) O/w/o型乳化組成物
JP2007169174A (ja) O/w型乳化組成物
JP3898657B2 (ja) W/o/wエマルション皮膚外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124433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