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283B1 - 장방형 경광등 - Google Patents

장방형 경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283B1
KR101662283B1 KR1020160063347A KR20160063347A KR101662283B1 KR 101662283 B1 KR101662283 B1 KR 101662283B1 KR 1020160063347 A KR1020160063347 A KR 1020160063347A KR 20160063347 A KR20160063347 A KR 20160063347A KR 101662283 B1 KR101662283 B1 KR 10166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compartment
le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헌길
Original Assignee
(주)큐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라이트 filed Critical (주)큐라이트
Priority to KR102016006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2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283B1/ko
Priority to CN201710327012.9A priority patent/CN10712059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21K9/50
    • F21K9/5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5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specially adapted for changing the characteristics or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g. by adjustment of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3/00Produc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or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means of a combination of elements specified in two or more of main groups F21V1/00 - F21V11/00
    • F21V13/02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 F21V13/04Combinations of only two kinds of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4Resilient mountings, e.g. shock absor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2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 F21V3/049Patterns or structured surfaces for diffusing light, e.g. frosted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1/00Gas-tight or water-tight arrangements
    • F21V31/005Sealing arrangemen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41Optical design with conical or pyramidal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21Y2101/02
    • F21Y2103/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이 발광되는 발광부를 기능 및 사용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부를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구성요소의 파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장방형 경광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광부를 엘이디의 전면에 볼록렌즈와 반사체로 구성되는 발광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 및 시인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를 좌측몸체, 우측몸체, 중앙몸체로 구성하고, 각각의 몸체는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로 구성되며, 하부몸체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실을 구성하여 제어부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부몸체에 의해 보호되고, 2차적으로 격실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 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방형 경광등{RECTANGLE PATROL LIGHT}
본 발명은 장방형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빛이 발광되는 발광부를 기능 및 사용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부를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구성요소의 파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장방형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광등은 경찰, 구급, 구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상단 루프에 장착되어 긴급 상황을 고지하거나, 도로의 사고 다발지점, 위험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산업 현장 등과 같이 사람들에게 위험 상황을 고지할 필요성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광을 점멸 구동함으로써, 긴급 상황 또는 위험 상황을 고지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광등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경광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차량의 루프에 설치되는 경광등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중앙설치부(10) 및 좌우의 제 1,2 측면설치부(11, 12) 위에 고정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고정 프레임(20)과; 상기 디스플레이 고정 프레임(20)의 전후면과 측면에 불빛의 순차적인 점멸 및 문자 디스플레이가 동일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구현되며 필요시 전체 점등을 통해 최대 광원을 제공함으로써 작업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연속적으로 부착되는 PCB(22) 및 복수 개의 LED(21a)로 픽셀을 구성한 다수의 LED패널(21)과; 상기 중앙설치부(10) 및 제 1,2 측면설치부(11, 12)에 내부가 투영되도록 씌워져 설치되는 램프커버(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경광등은 중앙설치부, 제1, 2측면설치부로 구성되는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중앙설치부, 제1, 2측면설치부 중 어느 하나만 파손되어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단순히 LED를 통해 빛이 발광되는 구성으로 빛의 시인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의 경광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폭에 대응하는 전장을 가진 경광등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장에 걸쳐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강비드(112)를 가진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1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각각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보다 짧고 나란하게 배열된 전체 길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보강비드(112)의 높이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이 꼭 맞게 삽입되는 요홈(123)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요홈(123)에는 상기 한 쌍의 보강비드(112)들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개구부(123a)가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 투명 수납케이스들(120); 상기 각 사각형 수납케이스들(120)의 측벽 상단 에지가 삽입되는 요홈(132)이 에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 투명 수납커버들(130); 상기 복수의 수납케이스들(120) 각각 내부의 중앙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110) 둘레의 바닥면에 측벽을 마주보고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수납케이스(120)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광을 출사시키는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140); 상기 복수의 수납케이스들(120)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140)을 경광등 동작모드로 점멸 제어하는 제어회로박스(1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수납케이스들 및 수납커버들이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구성요소의 파손에 따른 부분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되나, 내부에 위치되는 제어회로박스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없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제어회로박스가 쉽게 파손되고, 이로 인해 엘이디 광원 모듈을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01055호(2010년 01월. 06일 공개) 디스플레이 확장면을 갖는 차량용 경광등 특허문헌 2 :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18492호(2011년 02월 24일 공개) 경광등 어셈블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빛이 발광되는 발광부를 기능 및 사용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부를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구성요소의 파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장방형 경광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히, 발광부를 엘이디의 전면에 볼록렌즈와 반사체로 구성되는 발광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 및 시인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장방형 경광등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또한, 몸체부를 좌측몸체, 우측몸체, 중앙몸체로 구성하고, 각각의 몸체는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로 구성되며, 하부몸체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실을 구성하여 제어부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부몸체에 의해 보호되고, 2차적으로 격실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 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장방형 경광등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돌출된 보강비드(22)를 갖는 장방향의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로 구성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40)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보드(50)와; 상기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광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발광부(40)는 상기 몸체부(3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브라켓(41)과;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결합되고, 내부공간(421)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되는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21)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엘이디(431)가 형성되는 기판(43)과; 상기 기판(43)의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발광체(44)와; 상기 하우징(42)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광체(44)를 통해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그로브(45) 및; 상기 하우징(42)과 그로브(45)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42)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발광체(44)는 상기 기판(43)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43)에 형성되는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볼록렌즈(441)와; 상기 볼록렌즈(441)를 통해 증대된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반사체(4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반사체(442)는 상기 볼록렌즈(441)가 위치되도록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의 상하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반사판(442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반사판(4421)은 장방향의 판이 다수개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판은 각각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그로브(45)는 세로 방향으로 줄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보강비드(22)와 대응되도록 홈(32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어부(60)를 보호하기 위한 격실(322)이 형성되며, 상기 격실(322)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23)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기 발광부(40)의 내측에 결합구(324)가 형성되는 하부몸체(32)와; 하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상면에 상기 하부몸체(32)의 결합구(32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결합구(34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3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발광부(40) 및 상기 하부몸체(32)를 덮도록 형성되는 상부몸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하부몸체(32)와 상부몸체(34)의 결합구(324, 341)는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342)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하부몸체(32)는 상기 격실(322) 내측에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2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25)을 통해 상기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의 격실(322)에 위치된 제어부(60)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상기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격실(322)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부에 외부의 전원케이블 인출구(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 의하면, 빛이 발광되는 발광부를 기능 및 사용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부를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구성요소의 파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발광부를 엘이디의 전면에 볼록렌즈와 반사체로 구성되는 발광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 및 시인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를 좌측몸체, 우측몸체, 중앙몸체로 구성하고, 각각의 몸체는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로 구성되며, 하부몸체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실을 구성하여 제어부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부몸체에 의해 보호되고, 2차적으로 격실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 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의 일부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의 평면도 및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발광부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발광부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서 발광부의 엘이디가 경직형 엘이디로 구성되어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11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11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10)은 베이스 프레임(20), 몸체부(30), 발광부(40), 상부보드(50), 제어부(60) 및 고정브라켓(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베이스 프레임(20)은 장방향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돌출되는 보강비드(22)를 갖는다. 이때, 보강비드(22)의 상부에 몸체부(30)가 결합되는데,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보강비드(22) 사이의 공간에는 몸체부(30)의 각 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제어부(60)와 접속하는 케이블이 수납되게 된다.
한편,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면은 발광부(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부(24)가 길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다. 이때, 방열부(24)는 보강비드(22)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30)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고, 경광등 전체를 구성하는 요소로써,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로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중앙몸체(30c)를 하나로 구성하였지만, 사용 특성에 따라 2개, 3개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는 개별적으로 형성되되, 구성요소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는 각각 하부몸체(32)와 상부몸체(34)로 이루어진다.
하부몸체(32)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베이스 프레임(20)의 보강비드(22)와 대응되도록 홈(32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어부(60)를 보호하기 위한 격실(322)이 형성되며, 격실(322)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23)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발광부(40)의 내측에 결합구(324)가 형성된다. 이때, 격실(322)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23)는 패킹(326)이 구비되어 격실(322)의 기밀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하부몸체(32)는 격실(322) 내측에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25)이 형성되고, 관통홀(325)을 통해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의 격실(322)에 위치된 제어부(60)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진다.
상부몸체(34)는 하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상면에 하부몸체(32)의 결합구(32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결합구(341)가 형성되고, 하부몸체(3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발광부(40) 및 하부몸체(32)를 덮도록 형성되어 진다. 이때, 하부몸체(32)와 상부몸체(34)는 결합구(324, 341)를 통해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을 통해 결합되어 진다.
한편, 하부몸체(32)와 상부몸체(34)로 이루어지는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제어부(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부몸체(32)에 외부의 전원케이블이 인출되는 전원케이블 인출구(36)가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10)에서 몸체부(30)를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로 구성함으로써 파손시 파손된 구성요소 하나만 분리하여 교체가 가능하기 때문에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를 이루는 하부몸체(32)와 상부몸체(34)의 결합을 패킹을 통해 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인접되는 몸체의 파손에도 영향을 받지 않아 각각의 몸체는 제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부몸체(32)의 격실(322)을 패킹(326)과 커버(323)로 덮도록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방수, 방진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발광부(40)는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듈형으로 구성되어 몸체부(30)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된다. 즉,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발광부(40)는 몸체부(3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브라켓(41)과, 고정브라켓(41)에 결합되고, 내부공간(421)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되는 하우징(42)과, 하우징(42)의 내부공간(421)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엘이디(431)가 형성되는 기판(43)과, 기판(43)의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발광체(44)와, 하우징(42)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발광체(44)를 통해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그로브(45) 및 하우징(42)과 그로브(45) 사이에 위치되어 하우징(42)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4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42)은 후면에 엘이디(43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해 방열부(422)가 형성되고, 고정브라켓(41)은 몸체부(3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고정된다.
발광체(44)는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더욱 증대시켜 빛의 시인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판(43)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기판(43)에 형성되는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볼록렌즈(441)와, 볼록렌즈(441)를 통해 증대된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다면 구조의 반사체(4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반사체(442)는 볼록렌즈(441)가 위치되도록 개구되고, 개구된 부분의 상하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반사판(4421)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반사판(4421)은 장방향의 판이 다수개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판은 각각 경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한다.
한편, 그로브(45)는 세로 방향으로 줄무늬가 형성되어 진다. 그로브(45)에 세로 방향의 줄무늬가 형성됨으로써 다면 구조의 반사체(442)를 통해 증대된 빛은 가오 방향으로 발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10)에서 발광부(40)를 모듈형으로 구성하고, 고정브라켓(41)을 통해 몸체부(30)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게 함으로써 발광부(40)의 사용 특성에 따라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광부(40)를 엘이디(431)의 전면에 볼록렌즈(441)와 반사체(442)로 구성되는 발광체(44)를 위치시킴으로써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 및 시인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사체(442)의 반사판(4421)을 장방향의 판이 다수개가 서로 인접되어 절곡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볼록렌즈(441)를 통해 발광되는 빛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10)에서 발광부(40)의 엘이디(431)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빛을 한곳에 집중적으로 조사하는 엘이디(431)로 이루어져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대상에 빛을 집중적으로 비추는 경직용 엘이디(431)로 이루어진 발광부(40a)는 일반적으로 엘이디(431)로 이루어진 발광부(40) 사이에 자유롭게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점등, 점멸, 순차점멸, 스트로브 등 LED발광 방식의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상부보드(50)는 몸체부(3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되어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발광부(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60)는 발광부(4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어부(60)는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에 형성된 격실(322)에 고정되고,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설치된 인출구(36)를 통해 외부의 전원케이블과 접속되어 관통홀(325)을 통해 인접되는 몸체의 제어부(60)와 접속된다.
고정브라켓(70)은 장방형 경광등(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브라켓(70)은 일측이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측에는 구조물(경찰차, 구급차, 긴급차 또는 위험지역 등)에 고정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패킹(72)이 형성되어 진다.
한편, 고정브라켓(7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하고, 설치 장소 또는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에 의하면, 빛이 발광되는 발광부를 기능 및 사용 특성에 따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몸체부를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구성요소의 파손에 따른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특히, 발광부를 엘이디의 전면에 볼록렌즈와 반사체로 구성되는 발광체를 위치시킴으로써 엘이디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 및 시인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를 좌측몸체, 우측몸체, 중앙몸체로 구성하고, 각각의 몸체는 하부몸체 및 상부몸체로 구성되며, 하부몸체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는 격실을 구성하여 제어부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부몸체에 의해 보호되고, 2차적으로 격실에 의해 보호되어 외부의 충격 또는 오염 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방형 경광등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장방형 경광등
20 : 베이스 프레임 22 : 보강비드
30 : 몸체부 30a : 좌측몸체
30b : 우측몸체 30c : 중앙몸체
32 : 하부몸체 321 : 홈
322 : 격실 323 : 커버
324 : 결합구 325 : 관통홀
34 : 상부몸체 341 : 결합구
36 : 인출구 40 : 발광부
41 : 고정브라켓 42 : 하우징
43 : 기판 431 : 엘이디
44 : 발광체 441 : 볼록렌즈
442 : 반사체 4421 : 반사판
45 : 그로브 46 : 패킹
50 : 상부보드 60 : 제어부
70 : 고정브라켓

Claims (10)

  1.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돌출된 보강비드(22)를 갖고, 하면에 상기 보강비드(22)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방열부(24)를 갖는 장방향의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상부에 결합되고,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로 구성되는 몸체부(30)와;
    상기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발광부(40)와;
    상기 몸체부(30)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보드(50)와;
    상기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 각각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광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하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브라켓(70)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40)는 상기 몸체부(3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고정브라켓(41)과; 상기 고정브라켓(41)에 결합되고, 내부공간(421)을 가지며,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방열부(422)를 갖는 하우징(42)과; 상기 하우징(42)의 내부공간(421)에 위치되고,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엘이디(431)가 형성되는 기판(43)과; 상기 기판(43)의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발광체(44)와; 상기 하우징(42)의 개구된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발광체(44)를 통해 발광되는 빛을 투과시키는 그로브(45) 및; 상기 하우징(42)과 그로브(45)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42)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46)을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44)는 상기 기판(43)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43)에 형성되는 엘이디(431)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볼록렌즈(441)와; 상기 볼록렌즈(441)를 통해 증대된 빛의 발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반사체(442)를 포함하며,
    상기 반사체(442)는 상기 볼록렌즈(441)가 위치되도록 개구되고, 상기 개구된 부분의 상하부에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반사판(44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판(4421)은 장방향의 판이 다수개로 이루어져 다수개의 판은 각각 경사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경광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로브(45)는 세로 방향으로 줄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경광등.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30)의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보강비드(22)와 대응되도록 홈(321)이 형성되고,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어부(60)를 보호하기 위한 격실(322)이 형성되며, 상기 격실(322)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23)가 형성되고,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상기 발광부(40)의 내측에 결합구(324)가 형성되는 하부몸체(32)와;
    하부가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 상면에 상기 하부몸체(32)의 결합구(324)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결합구(34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몸체(3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발광부(40) 및 상기 하부몸체(32)를 덮도록 형성되는 상부몸체(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경광등.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32)와 상부몸체(34)의 결합구(324, 341)는 결합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패킹을 통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경광등.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32)는 상기 격실(322) 내측에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25)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25)을 통해 상기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앙몸체(30c)의 격실(322)에 위치된 제어부(60)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경광등.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몸체(30a), 우측몸체(30b) 중 선택된 어느 하나는 격실(322)에 위치된 상기 제어부(6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부에 외부의 전원케이블 인출구(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방형 경광등.
KR1020160063347A 2016-05-24 2016-05-24 장방형 경광등 KR10166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47A KR101662283B1 (ko) 2016-05-24 2016-05-24 장방형 경광등
CN201710327012.9A CN107120593A (zh) 2016-05-24 2017-05-10 长方形警示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47A KR101662283B1 (ko) 2016-05-24 2016-05-24 장방형 경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283B1 true KR101662283B1 (ko) 2016-10-04

Family

ID=5716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347A KR101662283B1 (ko) 2016-05-24 2016-05-24 장방형 경광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62283B1 (ko)
CN (1) CN1071205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26205A (zh) * 2018-03-28 2018-08-21 上海壹墨图文设计制作有限公司 一种安全指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757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경찰차의 경광등 취부구조
KR20090006194U (ko) * 2007-12-18 2009-06-23 정풍기 제논램프를 적용한 이동식 스포트라이트
KR20100001055A (ko) 2008-06-26 2010-01-06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확장면을 갖는 차량용 경광등
KR20110018492A (ko) 2009-08-18 2011-02-24 (주)청주석회 경광등 어셈블리
KR101182585B1 (ko) * 2012-02-20 2012-09-18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용 엘이디 전조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259131Y (zh) * 2008-10-08 2009-06-17 虞锋 长排警灯
CN202012830U (zh) * 2010-10-26 2011-10-19 宁波市鄞州赛艾富光电科技有限公司 超薄led长排警灯
CN204005560U (zh) * 2014-08-05 2014-12-10 陈秋胜 Led铁路信号灯
CN204943148U (zh) * 2015-07-21 2016-01-06 杭州鸿雁东贝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ed路灯
CN204829646U (zh) * 2015-08-18 2015-12-02 陈初英 一种可快速定位组装的led汽车示宽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2757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경찰차의 경광등 취부구조
KR20090006194U (ko) * 2007-12-18 2009-06-23 정풍기 제논램프를 적용한 이동식 스포트라이트
KR20100001055A (ko) 2008-06-26 2010-01-06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확장면을 갖는 차량용 경광등
KR20110018492A (ko) 2009-08-18 2011-02-24 (주)청주석회 경광등 어셈블리
KR101182585B1 (ko) * 2012-02-20 2012-09-18 한국철도공사 철도차량용 엘이디 전조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20593A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8032B2 (en) Area luminaire with heat fins
ES2883643T3 (es) Elemento de iluminación para un vehículo
US6347880B1 (en) Light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JP7345494B2 (ja) 車両用装置
US10054283B2 (en) Compact multi-function LED lighthead
KR20190035591A (ko) 보조 라이트
KR102281080B1 (ko) 지중 방열수단이 구비된 led발광 바닥신호등
JP2016119282A (ja) 車両用ledランプモジュール
CN110513654B (zh) 车辆用警光灯
KR101662283B1 (ko) 장방형 경광등
KR101578039B1 (ko) 조명타워의 엘이디 투광등
KR20120007178A (ko) 엘이디 일체형 차량용 안개등
KR20080104708A (ko) Led를 이용한 전등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US20230192315A1 (en) Lighting device for an airport runway
KR100963584B1 (ko) 경광등 어셈블리
JP6901116B2 (ja) 照明器具
KR101108102B1 (ko) 엘이디 경광등
JP6720593B2 (ja) 道路照明用レンズ、及び道路照明器具
KR20110004594U (ko) 차량용 섬광 스트로브 경광등
KR102370518B1 (ko) 항공기용 등기구
KR101573876B1 (ko) Led 디스플레이 보드
KR101082548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
KR200405961Y1 (ko) 도로 표지병.
JP6966267B2 (ja) 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