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2548B1 - 횡단보도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횡단보도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2548B1
KR101082548B1 KR1020110058121A KR20110058121A KR101082548B1 KR 101082548 B1 KR101082548 B1 KR 101082548B1 KR 1020110058121 A KR1020110058121 A KR 1020110058121A KR 20110058121 A KR20110058121 A KR 20110058121A KR 101082548 B1 KR101082548 B1 KR 101082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flector
led unit
crosswalk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주
박선일
안정주
Original Assignee
신경준
인타스(주)
(주)드림테크
이경태
이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준, 인타스(주), (주)드림테크, 이경태, 이봉주 filed Critical 신경준
Priority to KR1020110058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25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2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2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2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mixing chambers, e.g. housings with reflectiv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bending, e.g. snap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4개의 반사판을 가지되, 이 4개의 반사판을 형성하는 하단부의 꼭지점들이 LED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먼 장소로 빛을 조사하는 반사판의 하단부를 형성하는 꼭지점일수록 상측에 배치되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을 개시한다. 개시된 횡단보도용 조명등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갖는 리플렉터를 가짐에 따라 렌즈와 더불어 횡단보도에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져 횡단보도에 사각지대 없이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면서도 후사광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횡단보도용 조명등{A lighting apparatus for a crosswalk}
본 발명은 횡단보도용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제공하여 횡단보도의 모든 장소를 용이하게 밝힐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드문 곳에서는 야간에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는 대신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고, 보행자의 횡단을 도울 목적으로 보행신호와 함께 점등되어 횡단보도를 비추는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설치된다.
통상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기둥에 렌즈를 포함하는 LED 유닛 즉, 투광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용 조명등에서 발광된 빛이 횡단보도의 전체 영역에 고르게 조사되지 않거나 또는 분산되어 운전자를 눈부시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설치되는 곳이 주로 보행자가 드문 농경지에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므로, 횡단보도용 조명등에서 조사된 후사광으로 인하여 농작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횡단보도에 사각지대 없이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면서도 후사광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조명등을 제공하는 데 있다 .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은 기둥과, 이 기둥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의 하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LED 모듈은,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하는 LED 유닛과, 상기 LED 유닛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는 케이스와, 상기 LED 유닛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와, 상기 리플렉터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는 홀더와,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횡단보도를 향하는 빛의 진행을 확산시키는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렌즈와 더불어 상기 LED 유닛에서 조사되는 빛이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지도록 반사시키는 4개의 반사판을 가지되, 상기 4개의 반사판이 형성하는 하단부의 꼭지점(A,B,C,D)은 상기 LED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먼 장소로 빛을 조사하는 반사판의 하단부의 꼭지점일수록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판은,
상기 LED 유닛에서 조사된 빛이 횡단보도의 제1변을 넘어서 후방으로 향하지 않도록, 상기 LED 유닛과 대응되는 개구부의 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횡단보도에 가깝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반사판과,
상기 LED 유닛에서 조사된 빛이 횡단보도의 제2변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이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반사판과,
상기 LED 유닛에서 조사된 빛이 다른 LED 모듈의 LED 유닛에서 조사된 빛과 일정 부분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반사판과,
상기 LED 유닛에서 조사된 빛이 횡단보도의 제4변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개구부의 사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반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LED 유닛이 결합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와 상기 제2케이스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 및 상기 렌즈가 배치되되, 상기 제2케이스는 플랜지부를 가져 상기 제2케이스가 상기 제1케이스에 고정될 때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홀더 및 상기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에는 상기 리플렉터의 홀딩부의 단차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렌즈의 내면에는 상기 리플렉터의 반사판이 수용되는 리플렉터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은, 4개의 반사판을 가지되, 이 4개의 반사판을 형성하는 하단부의 꼭지점들이 LED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먼 장소로 빛을 조사하는 반사판의 하단부의 꼭지점일수록 상측에 배침됨에 따라 렌즈와 더불어 횡단보도에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져 횡단보도에 사각지대 없이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면서도 후사광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의 배광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이 횡단보도 인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 중 리플렉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을 일부 절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의 배광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횡단보도용 조명등은 기둥(10)과, 이 기둥(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이 지지판(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기둥(10)은 횡단보도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기둥(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되,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할 때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된다.
지지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10)의 상부에 설치되어 LED 모듈(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판(20)에는 LED 모듈(30)의 휘도 및 횡단보도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LED 모듈이 설치될 수도 있다.
LED 모듈(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횡단보도를 기준으로 할 때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둥(10)의 상부에 지지판(20)을 통해 설치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LED 모듈(30)은 횡단보도의 절반에 해당되는 제1영역(R1)에 조사되고, 나머지 LED 모듈(30)은 횡단보도의 나머지 절반에 해당되는 제2영역(R2)에 조사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LED 모듈(30)에서 조사되는 제1영역(R1)과, 다른 하나의 LED 모듈(30)에서 조사되는 제2영역(R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조사지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정 부분 중첩된다. 이하에서 설명된 LED 모듈은 제1영역에 조사하는 LED 모듈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의 LED 모듈(3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하는 LED 유닛(50)과, 이 LED 유닛(50)을 수용하며 지지판(20)에 결합되는 케이스(40)와, LED 유닛(50)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Reflector,60)와, 이 리플렉터(60)가 케이스(4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는 홀더(70)와, 리플렉터(60)에서 반사되어 횡단보도를 향하는 빛의 진행을 확산시키는 렌즈(80)를 포함한다.
먼저, LED 유닛(50)은 케이스(40)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이 인쇄회로기판(51) 상에 장착되는 LED 소자(5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51) 상에는 LED 소자(53)와 후술할 리플렉터(60)의 홀딩부(65)가 수용되는 통공(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쇄회로기판(51)에는 외부의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40)는 제1케이스(41)와, 이 제1케이스(41)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43)를 포함한다.
제1케이스(4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상의 프레임으로 마련되며, 그 하면에는 LED 유닛(50)이 고정된다. 여기서 LED 유닛(50)은 나사결합을 통해 제1케이스(41)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41)에는 이 제1케이스(41)가 지지판(20)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결합부(42)가 마련된다. 이때의 나사결합부(42)는 제1케이스(41)의 외측면에서 4방으로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나사결합공(42a)을 갖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케이스(41)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LED 유닛(50)에서 발생되는 열이 방열될 수 있도록 그 외면에 다수의 방열핀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4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케이스(41)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케이스(41)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제2케이스(43)에는 이 제2케이스(43)의 외면에서 절개되어 탄성력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그 상단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4a)가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부재(44)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1케이스(41)에는 이 제1케이스(41)에 제2케이스(43)가 고정될 때 제2케이스(43)의 걸림부재(44)의 돌출부(44a)가 걸리게 되는 걸림부(41a)가 마련된다.
또한, 제2케이스(43)는 제1케이스(41)에 고정될 때 제1케이스(41)와 제2케이스(43)의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과 홀더(70) 및 렌즈(80)가 이탈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2케이스(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케이스(41)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제2케이스(43)의 내면 하단부에는 인쇄회로기판(51)과 홀더(70) 및 렌즈(80)의 이탈을 방지하는 플랜지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2케이스(43)는 걸림부재(44)의 돌출부(44a)가 제1케이스(41)의 걸림부(41a)에 걸림에 따라 제1케이스(41)와 고정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제2케이스(43)의 플랜지부(43a)가 인쇄회로기판(51)과 홀더(70) 및 렌즈(8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리플렉터(60)는 LED 유닛(50)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저출력으로도 높은 휘도를 가지도록 하는 동시에 렌즈(80)와 더불어 횡단보도에서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리플렉터(60)는 후사광을 차단하여 후사광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를 위해 리플렉터(60)는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LED 유닛(50)과 대응되는 개구부(67)를 가지며, 횡단보도에서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지게 하는 4개의 반사판(61,62,63,64)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리플렉터(60)가 횡단보도에서 사각형상의 배광배턴을 가질 수 있도록, 4개의 반사판(61,62,63,64)이 형성하는 하단부의 꼭지점은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먼 장소로 빛을 조사하는 반사판의 하단부의 꼭지점일수록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반사판(61)은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제1변(S1)을 넘어서 후방으로 향하지 않도록, 개구부(67)의 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횡단보도에 가깝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제1반사판(61)은 본 발명의 조명등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기준으로 할 때 우측에 위치됨에 따라 횡단보도의 좌측에도 용이하게 LED 유닛(50)의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의 꼭지점 A가 꼭지점 B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제2반사판(62)은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대략 횡단보도의 제2변(S2)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개구부(67)의 이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 제2반사판(62)은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제2변(S2)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조사되도록, 그 하단부의 꼭지점 A가 꼭지점 C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제3반사판(63)은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다른 LED 유닛에서 조사된 빛과 일정 부분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개구부(67)의 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3반사판(63)은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다른 LED 유닛에서 조사된 빛과 일정 부분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조사되도록 이 제3반사판(63)을 이루는 꼭지점 C,D가 꼭지점 A,B 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꼭지점 C는 꼭지점 D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제4반사판(64)은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대략 횡단보도의 제4변(S4)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개구부(67)의 사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4반사판(64)은 상술한 바와 같이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횡단보도의 제4변(S4)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조사되도록 그 하단부의 꼭지점 D가 꼭지점 B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즉, 본 발명의 조명등에 구비되는 반사판은 상술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짐에 따라 LED 유닛(50)의 빛을 횡단보도의 제1영역(R1)에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지도록 용이하게 조사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플렉터(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70)에 의해 케이스(40)의 내부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리플렉터(60)는 홀더(70)에 홀딩될 수 있도록 단차(66)를 갖는 홀딩부(65)를 갖는다.
홀더(70)는 다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플렉터(60)의 홀딩부(65)의 단차(66)를 홀딩한 상태로 제2케이스(43)의 플랜지부(43a)에 접촉됨에 따라 리플렉터(60)를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홀더(70)에는 리플렉터(60)의 홀딩부(65)의 단차(66)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게 하는 통공(7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의 홀더(70)는 LED 유닛(0)을 탄성 지지
렌즈(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홀더(70)와 더불어 제2케이스(43)의 플랜지부(43a)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렌즈(80)는 LED 유닛(50)의 빛이 리플렉터(60)와 더불어 횡단보도의 제1영역(R1) 또는 제2영역(R2)에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으로 조사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를 위해 LED 유닛(50)의 빛을 용이하게 확산시킬 수 있도록 라운드형상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렌즈(80)에는 제2케이스(43)의 플랜지부(43a)에 접촉되는 플랜지부(81)가 형성되고, 렌즈(80)의 내면에는 리플렉터(60)가 수용될 수 있도록 리플렉터 수용홈(8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플렉터 수용홈(83)은 대략 리플렉터(6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반사판을 가지되, 이 4개의 반사판을 형성하는 하단부 꼭지점들은 LED 모듈이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먼 장소로 빛을 조사하는 반사판의 하단부의 꼭지점일수록 상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반사판은 렌즈와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에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져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광패턴과 비교할 때 횡단보도에 사각지대 없이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면서도 후사광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배광패턴을 가지게 된다.
10 : 기둥 20 : 지지판
30 : LED 모듈 40 : 케이스
41 : 제1케이스 41a : 걸림부
43 : 제2케이스 43a : 플랜지
44 : 걸림부재 44a : 돌출부
50 : LED 유닛 60 : 리플렉터
61 : 제1반사판 62 : 제2반사판
63 : 제3반사판 64 : 제4반사판
65 : 홀딩부 66 : 단차
67 : 개구부 70 : 홀더
71 : 통공 80 : 렌즈
83 : 리플렉터 수용홈

Claims (5)

  1. 기둥(10)과, 상기 기둥(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판(20)과, 상기 지지판(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 모듈(30)을 포함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에 있어서,
    상기 LED 모듈(30)은,
    횡단보도에 빛을 조사하는 LED 유닛(50)과, 상기 LED 유닛(50)을 수용하며 상기 지지판(20)에 결합되는 케이스(40)와, 상기 LED 유닛(50)을 통해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리플렉터(60)와, 상기 리플렉터(60)가 상기 케이스(40)의 내부에서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하는 홀더(70)와, 상기 리플렉터(60)에서 반사되어 횡단보도를 향하는 빛의 진행을 확산시키는 렌즈(80)를 포함하고,
    상기 리플렉터(60)는 상기 LED 유닛(50)에서 조사되는 빛을 사각형상의 배광패턴을 가지도록 반사시키는 4개의 반사판을 가지되, 상기 4개의 반사판을 형성하는 하단부의 꼭지점들(A,B,C,D)은 상기 LED 모듈(30)이 설치되는 장소로부터 먼 장소로 빛을 조사하는 반사판의 하단부의 꼭지점일수록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횡단보도의 제1변(S1)을 넘어서 후방으로 향하지 않도록, 상기 LED 유닛(50)과 대응되는 개구부(67)의 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횡단보도에 가깝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반사판(61)과,
    상기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횡단보도의 제2변(S2)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개구부(67)의 이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내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반사판(62)과,
    상기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다른 LED 모듈의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과 일정 부분 중첩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부분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개구부(67)의 삼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3반사판(63)과,
    상기 LED 유닛(50)에서 조사된 빛이 횡단보도의 제4변(S4)의 내측으로 조사되도록 상기 개구부(67)의 사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되 그 하단부가 상단부와 비교할 때 외측을 향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4반사판(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LED 유닛(50)이 결합되는 제1케이스(41)와, 상기 제1케이스(41)에 고정되는 제2케이스(43)를 포함하되,
    상기 제1케이스(41)와 상기 제2케이스(43)의 사이에는 상기 홀더(70) 및 상기 렌즈(80)가 배치되되, 상기 제2케이스(43)는 플랜지부(43a)를 가져 상기 제2케이스(43)가 상기 제1케이스(41)에 고정될 때 상기 플랜지부(43a)가 상기 홀더(70) 및 상기 렌즈(8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70)에는 상기 리플렉터(60)의 홀딩부(65)의 단차(66)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통공(7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80)의 내면에는 상기 리플렉터(60)의 반사판이 수용되는 리플렉터 수용홈(8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보도용 조명등.
KR1020110058121A 2011-06-15 2011-06-15 횡단보도용 조명등 KR101082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121A KR101082548B1 (ko) 2011-06-15 2011-06-15 횡단보도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121A KR101082548B1 (ko) 2011-06-15 2011-06-15 횡단보도용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2548B1 true KR101082548B1 (ko) 2011-11-15

Family

ID=45397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121A KR101082548B1 (ko) 2011-06-15 2011-06-15 횡단보도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25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2341A (ko) 2019-03-21 2019-03-27 한국광기술원 자유형상 렌즈 구조를 갖고 광원의 각도 제어가 가능한 조명장치
KR20200049042A (ko) 2018-10-31 2020-05-08 한국광기술원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7Y1 (ko) 2008-02-05 2010-07-01 주식회사 이츠웰 엘이디 가로등
KR100986736B1 (ko) 2009-12-23 2010-10-08 황남극 배광분포 가변형가로등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37Y1 (ko) 2008-02-05 2010-07-01 주식회사 이츠웰 엘이디 가로등
KR100986736B1 (ko) 2009-12-23 2010-10-08 황남극 배광분포 가변형가로등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042A (ko) 2018-10-31 2020-05-08 한국광기술원 자유 형상 렌즈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90032341A (ko) 2019-03-21 2019-03-27 한국광기술원 자유형상 렌즈 구조를 갖고 광원의 각도 제어가 가능한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0397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JP5747546B2 (ja) 照明装置
RU2513865C2 (ru) Блок освещения и фонарь для освещения дороги и/или улицы
KR100715039B1 (ko) 엘이디 램프 조립체
US20110026253A1 (en) Lighting apparatus using light emitting diode
JP2010153399A (ja) 照明装置
JP6070083B2 (ja) 光学素子、光学素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100933022B1 (ko) 조도가 향상된 엘이디 가로등
JP5708983B2 (ja) 照明装置
KR101082548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
KR100933020B1 (ko) 방열 및 조도 기능이 향상된 엘이디 가로등
KR101723164B1 (ko) Led 등기구
KR101814016B1 (ko) 엘이디 조명등
KR100929356B1 (ko) 엘이디기판에 반사갓이 결합되는 엘이디 가로등
JP6223782B2 (ja) Ledライセンスランプ
KR101511664B1 (ko) 의료용 조명등 광원모듈
JP6711328B2 (ja) 照明装置
JP5887910B2 (ja) 灯具
KR101664425B1 (ko) 조명 장치
KR101144750B1 (ko) 장방형 배광을 지닌 led 조명기구
KR101033541B1 (ko) Led 전용 프리즘 조명기구
KR101361261B1 (ko) 엘이디용 렌즈장치
KR101049834B1 (ko) 눈부심 방지 및 배광조절이 용이한 엘이디조명기구 및 엘이디조명기구를 가지는 엘이디가로등
KR200236552Y1 (ko)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JP2016122535A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