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6552Y1 -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 Google Patents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6552Y1
KR200236552Y1 KR2020010007349U KR20010007349U KR200236552Y1 KR 200236552 Y1 KR200236552 Y1 KR 200236552Y1 KR 2020010007349 U KR2020010007349 U KR 2020010007349U KR 20010007349 U KR20010007349 U KR 20010007349U KR 200236552 Y1 KR200236552 Y1 KR 200236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ing plate
light source
curved surf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재
Original Assignee
이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재 filed Critical 이덕재
Priority to KR2020010007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6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6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6552Y1/ko

Link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원의 상하에 반사 판을 형성하여서 수평방향으로의 빛을 최대한 밝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반사 판을 형성한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광원(11)이 중심에 위치하고 상측에는 중앙이 볼록한 곡면(3)을 갖인 원형의 상측 반사 판(1)과 하측에는 중앙이 볼록하게 곡면을 갖이고 광원(11)을 삽입 고정할 수 있는 구멍(4)이 형성된 원형의 하측 반사 판(2)을 장착하여서 빛의 반사를 수평방향(A, A')으로 집중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omitted}
본 고안은 경광등의 가시 범위가 수평 방향임을 감안하여 수평 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빛을 조사하게 하므로서 더 밝은 경광등을 제공하므로서 경고의 효과를높임으로 위험을 효과적으로 알리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위험한 장소임을 알리거나 비상시임을 알리는 경광등에 있어서,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집중 조사하므로서 더욱 효과적인 경광등을 제작하기 위한 반사 판을 형성한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광등의 반사판으로는 양방향으로 만 빛을 반사시켜 사용하는 경우와 한쪽 방향으로 만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으나 이는 움직이는 차량이나 360도 전 방향으로 위험을 알리는 곳에서의 사용에는 효과가 없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반사판이 있는 광원을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고장의 원인이 되고 수명이 짧은 등의 결점이 있었다.
그런데, 근래에는 광원으로 종래에 사용하여 온 전구를 고압 방전램프로 교체하여 사용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는데 이 경우는 고압의 사용으로 인하여 회전시키는 것은 어렵게 되었다. 그리하여 그냥 좌우 상하 전 방향으로 빛이 조사되게 되므로 효과적인 빛의 이용이 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는 상하 양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양인 33퍼센트의 손실이 발생하므로 불필요하게 에너지의 낭비를 가져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적은 에너지의 공급으로 최대한의 빛의 광도를 발휘 할 수 있도록 기하학적인 곡면을 형성한 반사 판을 상부 측과 하부 측에 형성하여 360도 전 방향각의 수평방향으로 빛을 집중 조사 시키므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위험과 비상을 알릴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반사 판을 형성한 경광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상측 반사판(1)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하측 반사판(2)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반사판(1),(2)을 결착한 일부 사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측 반사판 2. 하측 반사판
3. 볼록한 곡면 4. 광원 삽입 구멍
5, 6, 12, 13. 지주 결착 구멍 7, 8. 간격 유지 포스트
9, 10. 상하 반사판 결착 지주 11. 광원
14. 렌즈 15. 몸체
A. 방향 A'. 방향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의 상측 반사 판(1)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앙이 볼록한 곡면(3)을 갖게 하고 동일 원주 상에 결착 구멍(5),(6)을 다수 형성하여서 지주(9),(10)로 하측의 반사판(2)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형의 하측 반사 판(2)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앙이 볼록한 곡면 상에 광원 삽입구(4)를 형성하고 동일 원주 상에 결착 구멍(12),(13)을 다수 형성하여서 지주(9),(10)로 상측 반사판(1)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측 반사 판(2)의 곡면의 반대편에 전자회로 기판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동일 원주 상에 간격 유지 포스트(7),(8)를 일체로 형성시켰다. 이와 같은 상측 반사 판(1)과 하측 반사 판(2)을 광원(11)에서 일정한 위치에 지주(9),(10)로 결착 하여서 몸체(15)에 고정시키고 경광등 렌즈(14)를 삽착 시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본 고안의 경광등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원 스위치를 켜게 되면 광원(11)이 회로의 작용으로 점멸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때에 광원(11)에서 빛이 6면 전체의 방향으로 방사되며 이 중에서 상측 방향과 하측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은 상 측 반사 판(1)과 하측 반사 판(2)의 곡면(3)에 반사되어서 수평방향인 A-A'으로 집중 조사되게 됩니다. 이 빛은 원래 A-A'방향으로 방사되던 빛과 합쳐지므로 인하여 약 30%의 더 밝은 빛으로 나타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 하측으로 조사되는 불필요한 빛을 수평 방향으로 만 집중 조사시키므로 빛의 밝기를 더 밝게 해주는 작용이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곡면(3)으로 형성된 상측 반사 판(1)과 하측 반사 판(2)을 광원(11)에서 일정한 위치에 지주(9), (10)로 고정시키는 간단한 구조를 형성하여서 상, 하측으로 조사되는 약 30퍼센트의 빛을 수평방향으로 집중하여 조사 시키므로서 동일한 광원을 가지고서도 더욱 밝은 빛을 낼 수 있는 것으로 매우 효과적으로 위험과 비상임을 알릴 수 있는 매우 유익한 특징을 지닌 반사 판을 형성한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Claims (1)

  1. 광원(11)에서 일정한 위치에 중앙이 볼록한 곡면(3)을 이룬 원형의 상측 반사 판(1)과 중앙이 볼록하게 곡면을 이루고 광원(11) 삽입구멍(4)이 형성된 하측 반사 판(2)을 지주(9),(10)로 고정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한 반사 판을 형성한 경광등.
KR2020010007349U 2001-03-17 2001-03-17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KR200236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49U KR200236552Y1 (ko) 2001-03-17 2001-03-17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349U KR200236552Y1 (ko) 2001-03-17 2001-03-17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6552Y1 true KR200236552Y1 (ko) 2001-10-08

Family

ID=7308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349U KR200236552Y1 (ko) 2001-03-17 2001-03-17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65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14Y1 (ko) 2011-06-22 2012-08-20 이원규 개량 경광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014Y1 (ko) 2011-06-22 2012-08-20 이원규 개량 경광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68364B2 (en) Compact light emitting diode retrofit lamp and method for traffic signal lights
KR100715039B1 (ko) 엘이디 램프 조립체
CA2489061C (en) Garage light luminaire with circular compact fluorescent emergency lighting optics
CN106500026B (zh) 车辆用灯具
JP2003031011A (ja) 灯具用線状光源
RU2008144016A (ru) Газоразрядная лампа высокой интенсивности для направленного освещения
KR200236552Y1 (ko) 반사판을 형성한 경광등
KR101082548B1 (ko) 횡단보도용 조명등
JP2008243602A (ja) 照射範囲可変スポットライト
JP2006144483A (ja) 内照式標識の代替led発光源
JP2010009764A (ja) 照明器具
KR101348463B1 (ko) 차량용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JP5853128B2 (ja) 照明器具
KR20110093590A (ko) 엘이디조명장치
JP2011222297A (ja) 照明装置付き拡大鏡
CN220958115U (zh) 灯具
RU2235942C2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плафон на светодиодах
CN217635401U (zh) 出光率高的警示灯
KR101383864B1 (ko) 조명용 광엔진
KR101991837B1 (ko) 의료용 조명등 커버 구조
JP2004127751A (ja) 投光器
JPH10275507A (ja) 道路灯
KR20100111571A (ko) 엘이디 등기구
KR100993016B1 (ko) 학습용 광제어 led 조명 스탠드
KR100955321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