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492A - 경광등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경광등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492A
KR20110018492A KR1020090075983A KR20090075983A KR20110018492A KR 20110018492 A KR20110018492 A KR 20110018492A KR 1020090075983 A KR1020090075983 A KR 1020090075983A KR 20090075983 A KR20090075983 A KR 20090075983A KR 20110018492 A KR20110018492 A KR 20110018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led light
light source
storage
source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문
Original Assignee
(주)청주석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주석회 filed Critical (주)청주석회
Priority to KR102009007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8492A/ko
Publication of KR2011001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4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4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reflectors and refr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경광등 어셈블리는 베이스 프레임, 수납 케이스들, 수납커버들, 엘이디 광원 모듈들, 제어회로박스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은 전장에 걸쳐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강비드를 가진다. 수납 케이스들은 베이스 프레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각각의 길이는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고 나란하게 배열된 전체 길이는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며, 보강비드의 높이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각각의 저면에는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폭이 꼭 맞게 삽입되는 요홈이 각각 형성되며, 요홈에는 한 쌍의 보강비드들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의 투명 구조를 갖는다. 수납커버들은 각 수납케이스들의 측벽 상단 에지가 삽입되는 요홈이 에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상을 갖는다. 엘이디 광원 모듈들은 복수의 수납케이스들 각각 내부의 중앙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 둘레의 바닥면에 측벽을 마주보고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수납케이스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광을 출사시킨다. 제어회로박스는 복수의 수납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을 경광등 동작모드로 점멸 제어한다. 따라서 저전력 고휘도 구동이 가능한 경광등 어셈블리의 구성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경광등 어셈블리{Emergency vehicles light assembly}
본 발명은 경광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찰차, 긴급차, 구난차 또는 위험 지역 등에서 점멸 동작을 통해 위급 상황 또는 위험 상황을 고지할 때 사용되는 경광등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광등 어셈블리는 경찰, 구급, 구난 등을 목적으로 하는 차량의 상단 루프에 장착되어 긴급 상황을 고지하거나, 도로의 사고 다발지점, 위험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산업 현장 등과 같이 사람들에게 위험 상황을 고지할 필요성이 있는 곳에 설치되어 광을 점멸 구동함으로써, 긴급 상황 또는 위험 상황을 고지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는 경광등 어셈블리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과 광원 둘레를 회전하는 반구 형상의 반사체로 이루어지며, 반사체의 회전을 통해 광원의 점멸 효과를 구현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광원은 일반적인 램프가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고휘도의 램프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광등 어셈블리는 차량에 이용되는 경우 차량의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며, 위험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전기적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간이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종래의 경광등 어셈블리에서 고휘도 램프의 경우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으며, 광의 점멸 동작을 위해서는 반사체의 회전동작이 수반되어야 하므로 추가적인 전력 소모를 동반하게 되므로 전원을 조기에 소진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사체가 회전하는 기계적 구성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회전 기구의 마모나 고장이 유발되어 수리가 빈번하게 요구되고 있다. 또한, 램프의 기계적인 수명이 제한되어 있고, 고가의 고휘도 램프의 수명이 짧아 빈번하게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회전기구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회전축의 마모 등으로 진동 소음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계적인 작동부가 없이 고휘도 광의 점멸 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며, 수명이 길고 저전력 구동이 가능한 경광등 어셈블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고휘도의 엘이디 램프를 사용함으로써 기계적인 작동부가 없으며, 수명이 길고, 저전력으로 고휘도의 광 점멸 구동이 가능한 경광등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효율을 증대시키고 조립성이 우수한 경광등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경광등 표시를 프로그램 할 수 있는 경광등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는 차량의 전폭에 대응하는 전장을 가지며, 베이스 프레임, 복수의 투명 수납 케이스들, 복수의 투명 수납커버들,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 및 제어회로박스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장에 걸쳐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강비드를 가진 장방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투명 수납케이스들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각각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고 나란하게 배열된 전체 길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보강비드의 높이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이 꼭 맞게 삽입되는 요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상기 한 쌍의 보강비드들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형상을 갖는다. 상기 투명 수납커버들은 상기 각 사각형 수납케이스들의 측벽 상단 에지가 삽입되는 요홈이 에지를 따라 형성된 사각 형상을 갖는다. 상기 엘이디 광원 모듈들은 상기 복수의 수납케이스들 각각 내부의 중앙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 둘레의 바닥면에 측벽을 마주보고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수납케이스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광을 출사시킨다. 상기 제어회로박스는 상기 복수의 수납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된 전원과 제어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을 경광등 동작모드로 점멸 제어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에서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 각각은 금속 브래킷, 회로기판 및 투명 확산캡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브래킷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측벽을 마주보는 수직벽을 가지며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브래킷의 수직벽에 고정되고 복수의 엘이디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투명 확산캡은 상기 회로기판을 덮고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의 확산렌즈들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에서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 중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된 엘이디 광원 모듈들과 상기 복수의 사각형 수납케이스들 중 좌우 종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수납케이스들의 측방을 향하는 엘이디 광원 모듈들은 고휘도 할로겐 백색광을 표시하고, 나머지 엘이디 광원 모듈들은 황색광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는 램프와 회전 반사체를 이용한 기계적인 작동부를 생략하고 고휘도의 엘이디(LED)를 광원으로 사용하여 점멸 동작을 구현함으로써, 저전력으로 고휘도의 광을 점멸하는 경광등 어셈블리의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기계적인 작동부가 생략되므로 회전 기구의 마모나 고장으로 인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납 케이스 및 투명 수납커버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길이방향으로 4분할하여 구성하므로 수납커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고 부품의 생산 및 보관 운반 등에 편리성을 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은 경광등 동작모드가 단순하고 프로그램 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경광등 동작모드를 제어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프로그램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다양한 경광등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엘이디 광원을 사용하여 발열이 적으므로 저온에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부드러우면서도 선명한 경광등 표시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 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조립 수직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엘이디 광원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복수의 투명 수납 케이스(120)들, 복수의 투명 수납커버(130)들,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 및 제어회로박스(150)를 포함한다.
상기 경광등 어셈블리(100)는 경찰차량, 구급 차량, 구난 차량, 긴급 차량 등의 루프에 장착되어 긴급 상황을 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경광등 어셈블리(100)는 도로의 사고 다발지점, 위험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산업 현장 등에서 위험 상황을 고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광등 어셈블리(100)는 차량에 사용될 경우에 통상 차량의 전폭에 대응하는 전장을 갖는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전장에 걸쳐서 연장되는 장방형의 판상부재이며,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0)은 알루미늄 압출재, 금속판절곡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강비드(112)를 가진다. 보강 비드(112)은 길이 방 향을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장에 걸쳐 연장된다. 한 쌍의 보강비드(112)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제어회로박스(150)가 설치된다. 또한, 한 쌍의 보강비드(112)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제어회로박스(150)와 상기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152)들이 수납되는 수납 공간의 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방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하진 않았지만 베이스 프레임(110)은 효과적으로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선형 비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다수의 비드들에 의해 대기중에 노출되는 면적이 증가되어 열의 방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상기 경광등 어셈블리(100)를 설치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래킷(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 브래킷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설치 장소(혹은 설치 위치)에 적합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고정 브래킷은 경광등 어셈블리(100)를 안정적으로 설치 고정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복수의 투명 수납케이스(120)들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설치되며, 상기 엘이디 광원 모듈(140)이 설치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수납케이스(120)들 각각은 사각 형상을 가지며,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모서리들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측벽(122)들로 구성된다. 즉, 수납케이스(120)는 상단 이 개구된 사각형 박스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투명 수납케이스(120)들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나란하게 배열되어 설치된다. 각 수납케이스(12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그 길이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다. 아울러,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수납케이스(120)들의 전체 길이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각 수납케이스(120)의 높이(예컨대 측벽(122)의 높이)는 보강비드(112)의 높이보다 높게 구성된다.
또한, 수납케이스(120)들 각각은 저면(예컨대 바닥면(121))에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의 폭이 꼭 맞게 삽입되는 요홈(123)이 각각 구비된다. 나란하게 배열된 수납케이스(120)들의 요홈(123)에 베이스 프레임(1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결합함으로써, 베이스 프레임(110)과 수납케이스(120)들이 결합된다. 상기 요홈(123)에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형성된 한 쌍의 보강비드(112)들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개구부(123a)가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23a)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구부(123a)를 통해서 보강비드(112) 사이의 영역이 노출된다. 따라서, 개구부(123a)를 통해서 보강비드(112) 사이의 영역에 설치된 제어회로박스(150)들이 수납케이스(120)에 수납된 상태가 된다.
상기 수납케이스(120)들 각각의 바닥부(121)에는 상기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을 설치하여 고정하기 위한 설치 가이드용 돌기(124)들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 가이드용 돌기(124)들은 판상으로 비교적 두께가 얇은 바닥부(121) 에 직접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이 설치될 경우 바닥부(121)가 파손되는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납케이스(120)들에는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이 수납 설치되며, 엘이디 광원 모듈(140)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조사한다. 따라서, 일 예로 수납케이스(12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엘이디 광원 모듈(140)로부터의 광은 측벽(122)을 통해서 외부로 조사되므로, 직접 광이 투과되는 측벽(122)은 투명하게 구성하고, 바닥부(121)는 간접적으로 광이 투과되므로 반투명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케이스(120)들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방식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납케이스(120)는 다양한 제조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납케이스(120)들을 나란하게 배열한 구조를 통해 전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분리 구조는 부품 사이즈를 소형화시킬 수 있어서 부품의 운반 및 적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수납케이스(120)들 중에서 양 종단에 위치하는 두 수납케이스(120)의 종단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적어도 3개의 변으로 구성된다. 즉,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수납케이스(120)들에서 길이방향의 일 방향 종단부에 형성된 변부와,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 종단부에 형성된 변부는 각각 광이 적어도 3방향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수납커버(130)들은 복수의 수납케이스(120)들의 상단 개방부를 커버(예컨대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납커버(130)들은 수납케이스(120) 들에 일대일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수납케이스(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수납커버(130)는 수납케이스(120)가 사각 형상을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사각 형상을 가지며, 수납케이스(120)에 대응하는 폭 및 길이를 갖는다. 또한, 수납커버(130)는 수납케이스(120)의 측벽 상단 에지가 삽입되는 요홈(132)이 에지를 따라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수납커버(130)들은 수납케이스(120)와 체결된 후 나사 등과 같은 결합 부재(134)들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납커버(130)들은 수납케이스(120)의 상단 개방부를 커버함으로써,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이 수납되는 수납케이스(120)들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수납커버(130)들은 사출 성형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납케이스(12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커버(130)는 투명하게 구성될 있으나, 수납커버(130)를 통해서 광이 투과될 필요는 없으므로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130)들은 수납케이스(120)의 내부에 수납된다. 구체적으로, 엘이디 광원 모듈(130)들은 수납케이스(120)들 각각의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되며, 각 수납케이스(120)의 내부의 중앙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110) 둘레의 바닥면에 측벽(122)을 마주보고 길이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엘이디 광원 모듈(130)들은 수납케이스(120)의 측벽(122)을 따라서 설치됨으로써 수납케이스(120)들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배열된 구조를 가지며, 측벽(122)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측벽(122)을 통해 외부로 광을 출사시킨다.
상기 엘이디 광원 모듈(130)들은 배선(152)을 통해서 제어회로박스(150)에 연결되고, 제어회로박스(150)의 제어에 의해 점멸 동작한다. 도 1에서는 도면을 간략화 하기 위하여 배선(152)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 엘이디 광원 모듈(140)은 광원으로 엘이디((Luminescent diode: LED)를 이용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 광원 모듈(140)은 설치 고정을 위한 브래킷(141)과, 복수의 엘이디(142a)들이 배열되어 있는 회로기판(142) 및 엘이디(142a)들의 광을 확산시키기 위한 투명 확산캡(143)을 포함한다.
상기 브래킷(141)은 수납케이스(120)의 바닥부(121)에 형성된 돌기(124)들을 통해서 설치 고정된다. 브래킷(141)은 돌기(124)들에 설치되는 수평판(141a)과, 상기 수평판(141a)으로부터 절곡형태로 연장되어 수납케이스(120)의 측벽(122)을 마주보는 수직벽(141b)을 갖는다. 예를 들어, 브래킷(141)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141)의 수직벽(141b)에는 회로기판(142)이 고정 설치된다. 이때, 브래킷(141)의 수직벽(141b)에는 중앙에 개구부(141c)가 구비되며, 수직벽(141b)의 개구부(141c)를 통해 제어회로박스(150)로부터의 배선(152)이 회로기판(142)에 연결된다. 회로기판(142)에는 광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엘이디(142a)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142)에는 엘이디(142a)들이 2열로 배열된다. 이와 달리. 회로기판(142)에 엘이디(142a)들이 1열 또는 3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확산캡(143)은 브래킷(141)의 수직벽(141b)에 체결되어 회로기판(142)을 수납하는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즉, 확산캡(143)은 회로기판(142)을 덮도록 설치된다. 확산캡(143)은 엘이디(142a)들의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확산캡(143)에는 회로기판(142)에 배열된 엘이디(142a)들에 대응하여 복수의 확산렌즈(143a)들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엘이디(142a)의 광이 확산렌즈(143a)로 집중되도록 광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돌기(143b)들을 포함한다. 안내 돌기(143b)는 원통형 내부 공간을 갖는 고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안내 돌기(143b)는 엘이디(142a)들로부터의 광을 확산 렌즈(143a)로 집중시키는 것이 주된 역할이지만, 그 자체로도 어느 정도의 광 확산 효과를 갖는다. 또한, 확산캡(143)은 확산 효과의 증가를 위해 바깥면에 확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확산캡(143)의 바깥면에 형성되는 확산 패턴의 일 예로 선형 요철 패턴을 들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은 고휘도 할로겐 백색광을 표시하는 엘이디 광원 모듈(140)과, 황색광을 표시하는 엘이디 광원 모듈(140)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 중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된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과 복수의 사각형 수납케이스(120)들 중 좌우 종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수납케이스(120)들의 측방을 향하는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은 고휘도 할로겐 백색광을 표시하고, 나머지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은 황색광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추가적으로 적색광을 표시하는 엘이디 광원 모듈(140)과, 청색광을 표시하는 엘이디 광원 모듈(140)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회로박스(15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수납케이스(120)의 요홈(123)에 형성된 개구부(123a)를 통해 어느 하나의 수납케이스(120)에 수납된다. 제어회로박스(150)는 외부로부터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을 경광등 동작모드로 점멸 제어한다. 즉, 제어회로박스(150) 는 제공받은 제어신호에 따라서 경광등 동작모드를 다양하게 프로그램 하여 점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경광등 어셈블리(100)는 사용자가 경광등 동작모드를 프로그램 할 수 있도록 조작부(160)를 포함한다. 조작부(16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회로박스(150)에 제어신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램 한 경광등 동작모드를 구현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광등 어셈블리(100)는 경광등 동작을 위한 점멸 구동이 엘이디 광원 모듈(140)이 직접 점멸 동작함에 의해 수득된다. 다시 말해서, 점멸 구동은 기계적인 작동부 없이 엘이디 광원 모듈(140)의 발광체인 엘이디(142a)들의 점멸 동작에 의해 수득된다. 즉,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설치된 제어회로박스(150)가 엘이디 광원 모듈(140)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에 따라서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이 온/오프 동작하여 점멸 구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경광등 어셈블리(100)는 점멸 구동을 위해 기계적인 작동부가 필요치 않으며, 엘이디 광원 모듈(140)들에 의해 직접적으로 점멸 동작하게 되므로, 사이즈를 축소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경광등 어셈블리(100)의 두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설치상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차량 등에 설치할 경우 공기 저항의 줄일 수 있어, 차량의 안정적인 운행에 도움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는 발광체로서 저전력 고휘도의 특성을 갖는 엘이디들을 이용하며, 점멸 구동은 기계적 인 작동부 없이 엘이디들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수득하게 된다. 따라서, 고휘도 및 저전력 구동의 경광등 어셈블리 구성이 가능하다.
아울러, 점멸 구동을 위한 기계적인 작동부가 생략되므로 기계적인 작동부에 기인하는 마모나 고장으로 인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경광등 어셈블리의 조립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엘이디 광원 모듈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경광등 어셈블리 110: 베이스 프레임
112: 보강비드 120: 수납케이스
121: 바닥부 122: 측벽
123: 요홈 123a: 개구부
124: 설치용 돌기 130: 수납케이스
132: 요홈 134: 결합 부재
140: 엘이디 광원 모듈 141: 금속 브래킷
141a: 수평판 141b: 수직벽
141c: 개구부 142: 회로기판
142a: 엘이디 143: 확산캡
143a: 확산 렌즈 143b: 안내 돌기
150: 제어회로박스 152: 배선
160: 조작부

Claims (3)

  1. 차량의 전폭에 대응하는 전장을 가진 경광등 어셈블리에 있어서,
    전장에 걸쳐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보강비드를 가진 장방형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 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각각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보다 짧고 나란하게 배열된 전체 길이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보다 길며, 상기 보강비드의 높이 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며, 각각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폭이 꼭 맞게 삽입되는 요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상기 한 쌍의 보강비드들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가진 개구부가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 투명 수납케이스들;
    상기 각 사각형 수납케이스들의 측벽 상단 에지가 삽입되는 요홈이 에지를 따라 형성된 복수의 사각형 투명 수납커버들;
    상기 복수의 수납케이스들 각각 내부의 중앙에 배치된 베이스 프레임 둘레의 바닥면에 측벽을 마주보고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수납케이스의 측벽을 통해 외부로 광을 출사시키는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
    상기 복수의 수납케이스들 중 어느 하나에 수납되고, 외부로부터 전원과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을 경광등 동작모드로 점멸 제어하는 제어회로박스를 구비한 것을 엘이디 경광등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 각각은
    상기 수납케이스의 측벽을 마주보는 수직벽을 가지며 바닥면에 고정된 금속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수직벽에 고정되고 복수의 엘이디들이 수평방향으로 배열된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을 덮고 상기 복수의 엘이디들 각각에 대응하여 복수의 확산렌즈들이 형성된 투명 확산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엘이디 광원 모듈들 중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에 배치된 엘이디 광원 모듈들과 상기 복수의 사각형 수납케이스들 중 좌우 종단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수납케이스들의 측방을 향하는 엘이디 광원 모듈들은 고휘도 할로겐 백색광을 표시하고, 나머지 엘이디 광원 모듈들은 황색광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광등 어셈블리.
KR1020090075983A 2009-08-18 2009-08-18 경광등 어셈블리 KR201100184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983A KR20110018492A (ko) 2009-08-18 2009-08-18 경광등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983A KR20110018492A (ko) 2009-08-18 2009-08-18 경광등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492A true KR20110018492A (ko) 2011-02-24

Family

ID=4377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983A KR20110018492A (ko) 2009-08-18 2009-08-18 경광등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84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83B1 (ko) 2016-05-24 2016-10-04 (주)큐라이트 장방형 경광등
GB2539520A (en) * 2015-06-15 2016-12-21 Fed Signal Vama Sa Modular bridge for emergency vehicle lighting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9520A (en) * 2015-06-15 2016-12-21 Fed Signal Vama Sa Modular bridge for emergency vehicle lighting
GB2539520B (en) * 2015-06-15 2020-09-09 Fed Signal Vama Sa Modular bridge for emergency vehicle lighting
KR101662283B1 (ko) 2016-05-24 2016-10-04 (주)큐라이트 장방형 경광등
CN107120593A (zh) * 2016-05-24 2017-09-01 上海可莱特电子有限公司 长方形警示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8697A (ko) 조명장치
KR100699690B1 (ko) Led를 이용한 자동차의 조명장치
KR100963584B1 (ko) 경광등 어셈블리
KR20120001803U (ko) 엘이디 조명 장치
US5678335A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element unit
KR20110018492A (ko) 경광등 어셈블리
US10670218B2 (en) Electrical device for a vehicle running board
KR101108102B1 (ko) 엘이디 경광등
KR200462159Y1 (ko) Led 조명장치
KR101529045B1 (ko) 차량 출입 경고 장치
KR200445356Y1 (ko) Led를 이용한 소형 경광등
KR20090010169U (ko) 경광등
KR20190043904A (ko) Led 조명장치
CN217503405U (zh) 一种线条灯模块化上出光光学模组
JPH07334100A (ja) 表示装置及び表示素子ユニット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101519820B1 (ko) 차량용 led 경광등
KR200418942Y1 (ko) 엘이디램프가 장착된 비상유도등
CN217259802U (zh) 一种车门灯及客车
KR200437716Y1 (ko) 백 라이트를 이용한 차량의 비상스위치용 무드램프
JP4601540B2 (ja) 街灯
CN218209368U (zh) 大角度发光底盘灯
CN214751262U (zh) 轨道车辆用红外补光灯及监测系统
JP3113900U (ja) 自動車用ランプ
JP7242126B2 (ja) 複合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