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392B1 - 캐빈 부착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캐빈 부착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392B1
KR101660392B1 KR1020117014775A KR20117014775A KR101660392B1 KR 101660392 B1 KR101660392 B1 KR 101660392B1 KR 1020117014775 A KR1020117014775 A KR 1020117014775A KR 20117014775 A KR20117014775 A KR 20117014775A KR 101660392 B1 KR101660392 B1 KR 101660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s
brake
cab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4548A (ko
Inventor
신야 카와시리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4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4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 B62D21/18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type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2D21/02 - B62D21/17 for building site vehicles or multi-purpose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2Vehicle body, not intended to move relatively to the vehicle frame, and mounted on vibration absorbing mountings, e.g. rubber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17Drivers' cabs for tractors or off-the-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작업 차량(1)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과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2)과,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과 오버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11)와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적어도 일부가 보강 부재(11)와 오버랩되도록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의 외측면에 고착된 한 쌍의 장착 스테이(12)를 구비한다. 캐빈(8)은 적어도 한 쌍의 장착 스테이(12)와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9) 또는 미션 케이스(3)의 좌우 2개소의 4개소에 있어서 방진 기구(7)를 통해 방진 지지되어 있다. 상기 작업 차량(1)에 따르면 구조 간소화를 도모하면서 상기 캐빈(8)의 지지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캐빈 부착 작업 차량{WORK VEHICLE WITH CABIN}
본 발명은 캐빈 부착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해서 한 쌍의 전륜 및 한 쌍의 후륜 중 구동륜으로서 작용하는 차륜에 전달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운전석을 둘러싸는 캐빈이 구비된 작업 차량은 종래부터 트랙터 등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캐빈 부착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중량물인 캐빈을 안정적으로 방진 지지한다는 관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캐빈 부착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방부에, 각각 한 쌍의 전방부 플레이트, 한 쌍의 캐빈용 브래킷, 및 전후좌우 4개의 미션 케이스용 브래킷이 고착되고, 상기 전방부 플레이트 및 상기 캐빈용 브래킷에 캐빈이 방진 지지되고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용 브래킷에 미션 케이스가 지지되어 있었다(하기 특허문헌 1 참조).
상세하게는 상기 종래의 캐빈 부착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은 전방부 및 중간부에 있어서, 각각 작업기 연결 장치용 전방부 링크 프레임 및 연결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부 플레이트는 외측 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고 또한 후단부가 상기 전방부 링크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캐빈용 브래킷은 상기 연결 프레임의 직후에 있어서 외측 단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캐빈 부착 작업 차량에 있어서는 상기 전방부 플레이트의 후단부를 상기 전방부 링크 프레임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캐빈용 브래킷을 상기 연결 프레임의 직후에 배치함으로써 캐빈 지지점의 강성 강화를 도모하고 있지만 전후좌우 4개소의 캐빈 지지점이 모두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이기 때문에 상기 캐빈의 지지 안정화를 충분하게는 도모할 수 없다.
일본 공개 특허 평10-218014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미션 케이스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해서 한 쌍의 전륜 및 한 쌍의 후륜 중 구동륜으로서 작용하는 차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캐빈 부착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캐빈의 지지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구조가 간단한 캐빈 부착 작업 차량의 제공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미션 케이스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해서 한 쌍의 전륜 및 한 쌍의 후륜 중 구동륜으로서 작용하는 차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캐빈 부착 작업 차량으로서, 상기 한 쌍의 후륜에 연결된 한 쌍의 후방 차축을 수용하는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rear axle case)가 양 측벽에 연결된 상기 미션 케이스를 상기 엔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간 배치시키고,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에 상기 엔진 및 상기 전륜에 연결된 전방 차축을 수용하는 프론트 액슬 케이스를 지지시키고,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우 측벽 사이를 각각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고,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 오버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와,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 부재와 오버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착된 한 쌍의 장착 스테이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장착 스테이와 상기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 또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우 2개소의 4개소에 있어서 캐빈이 방진 지지된 캐빈 부착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상기 엔진 및 상기 프론트 액슬 케이스와 상기 트랜스미션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업 차량의 전후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중 상기 보강 부재에 의해 연결된 고강성 부위와 상기 미션 케이스 또는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에 의해 상기 캐빈이 방진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캐빈의 지지 안정화를 도모하고 상기 캐빈에 소망의 방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업 차량은 하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엔진의 후단면에 설치된 엔진 마운트 플랜지에 방진 기구를 통해서 연결되는 연결판부를 갖는 브리지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중 상기 장착 스테이를 통해서 상기 캐빈을 지지하는 부위의 강성, 특히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 주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캐빈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의 후단부에 중합된 상태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중합 영역에 걸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전방측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에 방진 지지되고 또한 후방측이 상기 브리지 프레임에 방진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바람직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중합 영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것에 추가해서 상기 엔진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서로에 대해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을 갖는 차량 프레임의 분할 구조를 채용한 것에 의한 취급성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분할 구조에 기인하는 차량 프레임의 강성 악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단부는 스페이서를 통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설치 폭(차량 폭 방향의 이간 거리)을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의 설치 폭과는 독립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캐빈은 하측 프레임부와,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세워서 설치된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측 프레임부와, 상기 상측 프레임부에 적재되는 아우터(outer) 루프와,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플로어부와, 상기 캐빈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플라이 휠 유닛 사이를 차단하는 에어 컷 플레이트(air cut plate)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보다 차량 폭 방향 외측이고 또한 상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보다 차량 폭 방향 바깥쪽이고 또한 상면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과, 대응하는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방진 기구를 통해서 상기 장착 스테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플로어부는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재되는 플로어 부재를 갖고 있다.
상기 작업 차량은 또한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로부터 캐빈 실내측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브레이크 조작축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브레이크 보스(brake boss)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브레이크 보스와, 상기 제 1 브레이크 보스 및 제 2 브레이크 보스에 각각 연결된 제 1 브레이크 페달 및 제 2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제 1 브레이크 페달 및 제 2 브레이크 페달로의 인위 조작에 따라 각각 대략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와 상기 트랜스미션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기구 사이를 각각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로서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에 차량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보다 차량 폭 방향 바깥쪽이고 또한 상하 방향에 관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보다 하방에 있어서 캐빈 실내측으로 팽출(膨出)되는 좌우 한 쌍의 팽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 하단부를 상기 좌우 한 쌍의 팽출부를 통해서 상기 캐빈의 실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플로어 부재보다 하방이고 또한 상기 장착 스테이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상기 간극 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중간축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중간 보스를 통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 하단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 전단부를 각각 연결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브레이크 세로 링크 및 상기 브레이크 가로 링크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조작 링크 기구의 조립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내부 구조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프레임 구조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프레임 구조의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메인 프레임 근방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의 보강 부재 근방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의 엔진의 후단측의 지지 부분 근방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 기구 근방을 캐빈의 실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조작 기구의 하방 부분을 옆쪽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조작 기구를 캐빈의 실내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기름 탱크 근방에 있어서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기름 탱크 근방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캐빈의 전방을 지지하는 방진 기구 근방을 후측 하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하는 방진 기구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의 기름 탱크 근방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리어 액슬 케이스 근방을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에 있어서의 플로어부의 부분 장착도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메인 프레임 후단부 근방의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플로어부의 투과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 도시하는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플로어부의 사시 장착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캐빈 부착 작업 차량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의 좌측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작업 차량(1)은 작업기가 설치 가능하게 된 트랙터로 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업 차량(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좌우 한 쌍의 차량 프레임(2)과, 상기 차량 프레임(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미션 케이스(3)와, 상기 차량 프레임(2)에 지지된 엔진(4)과,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5)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5)는 좌우 한 쌍의 전륜(5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52)을 갖고 있다.
상기 작업 차량(1)은 상기 엔진(4)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상기 미션 케이스(3)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전륜(51) 및 좌우 한 쌍의 후륜(52) 중 구동륜으로서 작용하는 차륜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 프레임(2) 및 상기 미션 케이스(3)를 포함하는 고정 구조체(6)에 방진 기구(후술)를 통해서 지지된 캐빈(8)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 프레임(2)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엔진(4)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미션 케이스(3)에는 양 측벽에 상기 좌우 한 쌍의 후륜(52)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후방 차축(54)을 수용하는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9)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차량 프레임(2)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과,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 및 상기 미션 케이스(3)의 좌우 측벽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을 갖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에는 상기 엔진(4) 및 상기 전륜(51)에 연결된 전방 차축(53)을 수용하는 프론트 액슬 케이스(10)가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 내부 구조의 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프레임 구조의 전방 및 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4)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6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메인 프레임(22) 근방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중 좌측의 메인 프레임(22)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8)은 전후좌우의 4개소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체(6)에 방진 지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작업 차량(1)은 도 3,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과 오버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11)와,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 부재(11)와 오버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의 외측면에 고착된 한 쌍의 장착 스테이(12)를 더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빈(8)은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장착 스테이(12)와 상기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9) 또는 상기 미션 케이스(3)의 좌우 2개소의 4개소에 있어서 방진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8)은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장착 스테이(12)와 상기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9)의 4개소에 있어서 방진 기구(7)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엔진(4) 및 상기 프론트 액슬 케이스(10)와 상기 트랜스미션을 차량 전후 방향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작업 차량(1)의 전후 밸런스를 향상시키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중 상기 보강 부재(11)에 의해 연결된 고강성 부위와 상기 미션 케이스(3) 또는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9)에 의해 상기 캐빈(8)을 방진 지지함으로써 상기 캐빈(8)의 지지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캐빈(8)에 대한 소망의 방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11)와 상기 장착 스테이(12)는 차량 전후 방향 대략 동일 위치 또한 차량 상하 방향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만, 상기 보강 부재(11)와 상기 장착 스테이(12)가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오버랩되어 있는 한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에,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보강 부재(11) 근방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7에 있어서는 상기 엔진(4)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1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방향 연장부(111)와, 상기 폭방향 연장부(111)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플랜지부(112)를 갖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112)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의 내표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폭방향 연장부(111)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수직에 걸친 수직판부(111a)와, 상기 수직판부(111a)의 상단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판부(111b)를 갖고 있다. 상기 수평판부(111b)에는 파워 스티어링용 밸브 유닛(13)이 매달려 지지되어 있다.
도 8에,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의 상기 엔진(4)의 후단측의 지지 부분 근방의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엔진(4)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의 중합 영역에 걸쳐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전방측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방진 지지되고 또한 후방측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방진 지지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7 및 도 8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의 후단부에 중합된 상태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에는 엔진 지지 스테이(21a)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4) 전방측은 좌우 한 쌍의 상기 엔진 지지 스테이(21a)에 방진 기구(도시 생략)를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엔진(4)의 후방측은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보강 부재(11)에 지지된 브리지 프레임(16)에 방진 기구(1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리지 프레임(16)은 하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11)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부(16a)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16a)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판부(16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엔진(4)은 후단면에 엔진 마운트 플랜지(14)를 갖고 있고, 상기 엔진의 후방측은 상기 엔진 마운트 플랜지(14) 및 방진 기구(15)를 통해서 상기 브리지 프레임의 상기 연결판부(16b)에 방진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에 있어서는 상기 차량 프레임(2)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과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의 후단부에 중합된 상태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을 갖는 분할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엔진(4)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의 중합 영역에 걸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전방측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에 방진 지지되고 또한 후방측이 상기 브리지 프레임(16)에 방진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프론트 프레임(21) 및 상기 메인 프레임(21)은 상기 중합 영역에 있어서 서로 연결되는 것에 추가해서 상기 엔진(4)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 프레임(2)이 상기 프론트 프레임(21) 및 상기 메인 프레임(22)으로 분할되어 있는 분할 구조를 채용함에 의한 취급성의 향상이라는 효과를 얻으면서 상기 분할 구조에 기인하는 차량 프레임(2)의 강성 악화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2)의 후방측에 상기 방진 기구(15)를 통해서 연결되는 상기 브리지 프레임(16)을 상기 보강 부재(11)에 지지시킴으로써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중 상기 장착 스테이(12)를 통해서 상기 캐빈(8)을 지지하는 부위의 강성, 특히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축 주위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상기 캐빈(8)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전단부는 스페이서(25)를 통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의 설치 폭(차량 폭 방향의 이간 거리)을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21)의 설치 폭과는 독립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8)은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프레임부(81)와, 상기 하측 프레임부(81)에 세워서 설치된 세로 프레임부(82)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82)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측 프레임부(83)와, 상기 상측 프레임부(83)에 적재되는 아우터 루프(84)와, 상기 하측 프레임부(81)에 지지되는 플로어부(85)와, 상기 캐빈(8)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플라이 휠 유닛 사이를 차단하는 에어 컷 플레이트(8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있어서는 상기 아우터 루프(84) 및 상기 플로어부(85)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하측 프레임부(81)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보다 차량 폭 방향 외측이고 또한 상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22)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과,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보다 차량 폭 방향 바깥쪽이고 또한 상면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의 상면과 대략 동일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과, 대응하는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813)로서 상기 방진 기구(7)를 통해서 상기 장착 스테이(12)에 지지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813)를 갖고 있다.
상기 플로어부(85)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상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재되는 플로어 부재(851)를 갖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상기 작업 차량(1)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조작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에,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브레이크 조작 기구 근방을 캐빈(8)의 실내측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 도 9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조작 기구의 하방 부분을 옆쪽으로부터 바라본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1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브레이크 조작 기구를 캐빈(8)의 실내측으로부터 바라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작업 차량(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86)로부터 캐빈(8) 실내측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86)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브레이크 조작축(111)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브레이크 보스(112)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브레이크 보스(113)와, 상기 제 1 브레이크 보스 및 제 2 브레이크 보스(112, 113)에 각각 연결된 제 1 브레이크 페달 및 제 2 브레이크 페달(114, 1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1)은 상기 제 1 브레이크 페달 및 제 2 브레이크 페달(114, 115)로의 인위 조작에 따라 각각 대략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와 상기 트랜스미션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기구(도시 생략) 사이를 각각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117)로서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11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86)에는 차량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보다 차량 폭 방향 바깥쪽이고 또한 상하 방향에 관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보다 하방에 있어서 캐빈(8)의 실내측으로 팽출되는 좌우 한 쌍의 팽출부(86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 하단부는 상기 좌우 한 쌍의 팽출부(86a)를 통해서 상기 캐빈(8)의 실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 하단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117) 전단부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어 부재(851)보다 하방이고 또한 상기 장착 스테이(12)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사이의 상기 간극 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중간축(118)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중간 보스(119)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브레이크 중간 보스(119)에는 상기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가 연결되는 세로 링크 연결 플레이트(119a) 및 상기 브레이크 가로 링크(117)가 연결되는 가로 링크 연결 플레이트(119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 및 상기 브레이크 가로 링크(117)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조작 링크 기구의 조립성을 악화시키지 않고 공간 절약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레이크 페달(114) 및 상기 제 2 브레이크 페달(115)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86)의 우측 후방에 차량 폭 방향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브레이크 보스(112)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의 우단부에 있어서 지지된 우측 브레이크 보스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브레이크 보스(113)는 상기 제 1 브레이크 보스(112)의 왼쪽 옆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에 지지된 좌측 브레이크 보스로 되어 있다.
상기 우측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의 상단부는 상기 제 1 브레이크 보스(112)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트 부재(112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브레이크 페달(114)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 1 브레이크 보스(112), 상기 우측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 및 상기 우측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117)를 통해서 상기 우측의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된다.
한편, 상기 좌측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의 상단부는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에 상대 회전 불가능으로 고정된 브레이크 중계 보스(120)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트 부재(120a)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2 브레이크 페달(115)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 2 브레이크 보스(113),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 상기 브레이크 중계 보스(120), 상기 좌측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116), 및 상기 좌측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117)를 통해서 상기 좌측의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작업 차량(1)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클러치 보스(121)와, 상기 클러치 보스(121)에 연결된 클러치 페달(12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클러치 보스(121)는 클러치 링크를 통해서 클러치(도시 생략)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보스(121)는 상기 브레이크 중계 보스(120)의 우측 옆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11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 페달(122)은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86)의 좌측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부(82)는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수직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전단부에 용접된 한 쌍의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결 부재(813)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 동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 및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의 하면에 있어서의 전방 부분끼리를 연결하고 또한 대응하는 상기 차량 프레임(2)에 상기 방진 기구(7)를 통해서 지지되는 지지면(813a)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작업 차량(1)은 도 1, 도 3∼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차량 프레임(2)의 한쪽으로부터 차량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빈(8)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쪽의 차량 프레임(2)에 지지된 기름 탱크(17)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기름 탱크(17) 근방에 있어서의 확대 측면도를 도시한다.
상기 기름 탱크(17)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캐빈(8)과의 사이에 간극을 존재시킨 상태에서 상기 캐빈(8)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본체 부분(171)과, 평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기 캐빈(8)과는 중합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 부분(171)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급유구(17a)가 설치된 연장 부분(172)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기름 탱크(17)의 상기 본체 부분(171)은 상기 캐빈(8)에 있어서의 수평면과 대향하는 수평면 대향 영역(171a)을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 부재(813)의 상기 지지면(813a)이 상기 캐빈(8)에 있어서의 상기 수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름 탱크(17)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 부분(171) 중 상기 지지면(813a)과 대향하는 상기 수평면 대향 영역(171a)에서의 간극(A)이 상기 수평면 대향 영역(171a)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의 간극보다 좁아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즉, 상기 기름 탱크(17)는, 예를 들면 상기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기름 탱크(17)의 상면의 간극(B)이 상기 간극(A)보다 넓어지는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기름 탱크(17)의 저장 공간의 가급적인 대형화를 도모하면서 상기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 등 상기 캐빈(8)의 구성 부재에 의해 상기 기름 탱크(17)가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작업 차량(1)에 있어서는 상기 기름 탱크(17)가 상기 캐빈(8)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본체 부분(171)에 추가해서 평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기 캐빈(8)과는 중합하지 않도록 상기 본체 부분(171)으로부터 연장되고 또한 상기 급유구(17a)가 형성된 상기 연장 부분(172)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기름 탱크(17)의 저장 공간을 넓힐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름 탱크(17)는 상기 본체 부분(171) 중 상기 캐빈(8)의 상기 수평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 부재(813)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면(813a)]과 대향하는 수평면 대향 영역(171a)과 상기 캐빈(8)의 상하 간극(A)이 상기 수평면 대향 영역(171a) 이외의 다른 영역과 상기 캐빈(8) 사이의 상하 간극[예를 들면 상기 간극(B)]보다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 차량(1)의 전도(傳倒)시 등에 있어서 상기 캐빈(8)에 큰 힘이 작용해서 상기 캐빈(8)을 구성하는 프레임이 만곡해서 상기 캐빈(8)과 상기 기름 탱크(17)가 접촉하는 사태가 생겼다고 해도, 이 때에는 상기 기름 탱크(17)의 상기 수평면 대향 영역(171a)이 상기 캐빈(8)의 상기 수평면에 접촉하게 된다. 즉, 상기 작업 차량(1)의 전도시 등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 하단부 등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기름 탱크(17)에 접촉해서 상기 기름 탱크(17)가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하면서 상기 기름 탱크(17)와 상기 캐빈(8)의 간극을 좁히도록 상기 기름 탱크(17)를 상방으로 팽출시켜서 상기 기름 탱크(17)의 저장 공간의 가급적인 대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3에,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기름 탱크(17) 근방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8)은 도 1∼도 5, 도 11∼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에 연결된 승강 스텝(18)을 갖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 스텝(18)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에 연결된 상단부로부터 차량 폭 방향 바깥쪽 또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암부(181)와, 상기 한 쌍의 암부(181)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스텝부(182)를 갖고 있다.
상기 연장 부분(172)은 도 11∼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 스텝(18)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정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기 승강 스텝(18)과 오버랩되도록 상기 본체 부분(171)으로부터 상기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용접점(X)의 바로 밑을 통과하여 차량 폭 방향 바깥 쪽 또한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기름 탱크(17)가 상기 작업 차량(1)의 폭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면서 상기 연장 부분(172)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차량 후진 주행 중에 상기 연장 부분(172)이 후진 방향으로 존재하는 외부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상기 승강 스텝(18)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름 탱크(17)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 부분(171) 중 상기 수평면 대향 영역(171a) 이외의 영역의 상면에 저장유 잔량 센서(173)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저장유 잔량 센서(173)가 상기 캐빈(8)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저장유 잔량 센서(173)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전후 방향에 관해 상기 캐빈(8)의 상기 수평면[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 부재(813)의 상기 수평면(813a)]의 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에 관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유 잔량 센서(173)의 상면과 상기 캐빈(8)의 간극은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저장유 잔량 센서(173)의 상면과 상기 플로어 부재(851)의 간극(C)이며 상기 간극(A)보다 크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 차량(1)의 전도시 등에 있어서 상기 캐빈(8)에 큰 힘이 작용했다고 해도 상기 저장유 잔량 센서(173)가 상기 캐빈(8)과 접촉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부가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전단부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813)는 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전단부를 덮도록 상기 지지면(813a)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전면(前面)(813b)을 갖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 상기 연결 부재(813), 및 상기 플로어 부재(851)가 차량 폭 방향 내측 및 후방측이 개구된 자루 형상부(19)를 형성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루 형상부(19)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어 부재(851)의 하면과 상기 연결 부재(813)의 전면(813b) 및 지지면(813a)과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의 전단부로 구획되는 내측 개구(19a)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자루 형상부(19)는 상기 플로어 부재(851)의 하면과,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의 외측면과,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내측면으로 구획되는 후방측 개구(19b)를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기 자루 형상부(19)를, 예를 들면 일단부가 엔진(4)의 근방에 배치된 컴프레서에 연결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캐빈(8)의 후단에 설치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캐빈(8) 내의 에어콘 유닛에 연결되는 에어콘 호스, 상기 엔진(4)의 발열에 의해 따뜻해진 온수를 상기 캐빈(8)의 후단에 설치된 개구를 통해서 상기 캐빈(8) 내의 에어콘 유닛에 유입되는 히터 호스, 및/또는 일단부가 상기 엔진(4)의 거버너(governor)에 연결되고 또한 타단부가 상기 캐빈(8) 내의 액셀러레이터 조작 부재에 연결된 액셀러레이터 와이어 등의 설치 경로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813)의 지지면(813a)은 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면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하면에 고착되고, 하면이 상기 방진 기구(7)에 지지되어 있다.
도 14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의 캐빈(8)의 전방을 지지하는 상기 방진 기구(7) 근방을 후측 하방으로부터 바라본 도면을 도시한다. 또한 도 15에, 도 14에 도시하는 상기 방진 기구(7)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진 기구(7)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착 스테이(12)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 구멍(12a)에 삽입되는 중공의 소경부(71a) 및 상기 소경부(71a) 중 상기 장착 스테이(12)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대경부(71b)를 갖는 제 1 방진 고무(71)를 갖고 있고, 상단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813)의 지지면(813a)의 하면에 접촉하고 또한 상기 대경부(71b)의 하면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장착 스테이(12)의 상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캐빈(8)이 상기 장착 스테이(12)에 방진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진 기구(7)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방진 고무(71)에 추가해서 상기 제 1 방진 고무(71) 및 상기 장착 스테이(12) 사이에 삽입되는 제 1 장착 커버(72)와, 상기 제 1 방진 고무(71)의 상기 소경부(71a) 중 상기 장착 스테이(12)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외삽되는 제 2 방진 고무(73)와, 상기 제 2 방진 고무(73) 하단면을 덮는 제 2 장착 커버(74)와, 상기 소경부(71a)에 내삽되는 체결 볼트(75)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장착 커버(72)는 상기 장착 스테이(12)의 상기 장착 구멍(12a)에 상방으로부터 삽입되고 또한 상기 소경부(71a)가 내삽되는 소경 통부(72a)와, 상기 소경 통부(72a)의 상단으로부터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확경된 직경 방향 연장부(72b)와, 상기 직경 방향 연장부(72b)의 직경 방향 바깥 끝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대경부(71b)를 둘러싸는 주벽부(72c)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방진 고무(73)는 상기 소경부(71a)가 내삽되는 것을 허용하는 내경을 갖고 또한 상기 장착 스테이(12)의 하면에 접촉하는 것을 허용하는 외경을 갖고 있다.
상기 제 2 장착 커버(74)는 상기 제 1 방진 고무(71)의 상기 소경부(71a)의 하면 및 상기 제 2 방진 고무(73)의 하면에 접촉되는 직경 방향 연장부(74a)와, 상기 직경 방향 연장부(74a)의 외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제 2 방진 고무(73)를 둘러싸는 주벽부(74b)를 갖고 있다.
상기 체결 볼트(75)는 상기 연결 부재(813)의 지지면(813a)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헤드부(75a)와, 상기 헤드부(75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축부(75b)로서 상기 제 2 장착 커버(74)보다 하방으로 연장된 축부(75b)를 갖고 있고, 상기 축부(75b)에는 너트(76)가 체결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방진 기구(7)에 의하면 상기 캐빈(8)의 상기 장착 스테이(12)로의 조립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우선 상기 제 1 장착 커버(72)의 상기 소경 통부(72a)를 상기 장착 스테이(12)의 상기 장착 구멍(12a)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또한 상기 제 1 방진 고무(71)의 상기 소경부(71a)를 상방으로부터 상기 소경 통부(72a)에 삽입하고나서, 상기 캐빈(8)을 상기 제 1 방진 고무(71)의 상기 대경부(71b)의 상면에 적재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캐빈(8)은 상기 제 1 방진 고무(71)를 통해서 상기 장착 스테이(12)에 방진 상태로 적재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볼트(75)를 상기 연결 부재(813)의 지지면(813a)의 상방으로부터 상기 소경부(71a)에 내삽시킨다.
그 후에, 상기 제 2 방진 고무(73)를 상기 제 1 방진 고무(71)의 상기 소경부(71a)에 하방으로부터 외삽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장착 커버(74)를 상기 제 2 방진 고무(73)에 하방으로부터 외삽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부(75b)에 상기 너트(76)를 체결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름 탱크(17)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기 장착 스테이(12)에 대향하는 영역이 도려내어진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6,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의 기름 탱크(17) 근방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813)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상기 기름 탱크(17)는 적합하게는 블로어 성형되지만 이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유구(17a)와 상기 급유구(17a)로부터 가장 이간되는 부분을 연결하는 가상 수직면(P1)으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각진 형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특성을 반대로 이용해서 상기 기름 탱크(17)가 상기 장착 스테이와 저촉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기름 탱크(17)의 가급적인 대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기름 탱크(17)의 상기 본체 부분(171)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길이 방향 길이가 차량 폭 방향 길이보다 긴 형상으로 되고, 또한 전방측 및 차량 폭 방향 내측의 코너부(171a)가 상기 장착 스테이(1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구(17a)가 설치된 상기 연장 부분(172)은 상기 본체 부분(171)의 전방측 및 차량 폭 방향 외측의 코너부(171b)로부터 전방 또한 차량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기름 탱크(17) 중 상기 장착 스테이(12)의 하방에 위치하는 장착 스테이 바로 밑 영역[상기 코너부(171a)]을 상기 가상 수직면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블로어 성형시에 상기 장착 스테이 바로 밑 영역이 각지지 않는 처진 형상이 된다.
따라서, 통상의 블로어 성형에 의해 상기 기름 탱크(17)를 형성하면서 상기 장착 스테이 바로 밑 영역이 상기 장착 스테이(12)에 간섭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813)는 도 7,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면(813a)의 상기 방진 기구(7)가 지지되는 부위보다 후방에 있어서 상기 수평면(813a)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후면(813c)을 더 갖고 있다. 상기 후면(813c)은 상단부가 상기 플로어 부재(851)에 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플로어 부재(851)의 지지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후면(813c)에 있어서의 좌우의 측단부 중 한쪽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또는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 중 어느 한쪽의 측면에 접하고 또한 상기 좌우의 측단부 중 다른쪽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또는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 중 어느 다른쪽의 측면과 이간한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후면(813c)은 상기 우측단부가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의 측면에 접하고 또한 상기 좌측단부가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측면과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후방측 개구(19b)는 상기 플로어 부재(851)의 하면과,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또는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 중 어느 다른쪽의 측면과, 상기 지지면(813a)의 상면과, 상기 후면(813c)의 좌우측 단부 중 다른쪽으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자루 형상부(19)의 내부에는 경질 고무 스폰지 등의 완충 부재로서 상기 호스 및/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개구를 갖는 완충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졌을 경우에는 상기 호스 및/또는 와이어가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이나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에 슬라이딩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충 부재는 상기 연결 부재(813)의 상기 수평면(813a)에 연결되는 상기 방진 기구(7)의 장착 부재(예를 들면, 설치 볼트나 리벳 등)를 덮도록 상기 자루 형상부(19)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졌을 경우에는 상기 방진 기구(7)의 장착 부재가 뜻에 반해서 느슨해지거나 상기 호스 및/또는 와이어가 상기 장착 부재에 슬라이딩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8)은 하기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측 프레임부(81)는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차량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리어 프레임(814)을 더 갖고 있다.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리어 프레임(814)은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로 감에 따라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로 프레임부(82)는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에 추가해서 상단부가 상기 상측 프레임부(83)의 후단 부근의 부분에 연결되고 또한 하단부가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리어 프레임(814)의 후단부에 연결된 한 쌍의 세로 리어 프레임(822)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세로 프레임부(82)는 상기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리어 프레임(814)의 중간 부위에 세워서 설치된 한 쌍의 세로 중간 프레임(823)을 갖고 있다.
상기 캐빈(8)은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세로 리어 프레임(822)의 하단 부근의 부분을 연결하는 가로 리어 프레임(87)과, 상단부가 상기 가로 리어 프레임(87)의 바깥 끝 부근의 부분에 연결되고 또한 하단부가 하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세로 리어 하방 프레임(88)을 갖고 있다.
도 17에, 도 3에 도시하는 작업 차량(1)의 내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9) 근방을 후방으로부터 바라본 사시도를 도시한다.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의 후단부는 도 3∼도 5,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세로 리어 하방 프레임(88)에 연결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은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후방 영역을 갖고 있다.
상기 후방 영역은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으로 감에 따라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고, 후단부가 상기 한 쌍의 세로 리어 하방 프레임(88)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부(8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프론트 루프 프레임(831)과,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 및 상기 한 쌍의 세로 리어 프레임(822)의 차량 폭 방향에 관해 동일측의 상단부끼리를 각각 연결하는 한 쌍의 사이드 루프 프레임(832)과, 상기 한 쌍의 세로 리어 프레임(822)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는 리어 루프 프레임(833)을 갖고 있고, 상기 아우터 루프(8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루프 프레임(831), 상기 한 쌍의 사이드 루프 프레임(832), 및 상기 리어 루프 프레임(833) 상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8)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 또는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은 중공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리어 프레임(814)은 단면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대신에 단면 L자 형상 또는 단면 H자 형상의 골격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캐빈(8)은 도 3∼도 5,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전석(80)이 적재되는 운전석 마운트 플레이트(89)를 갖고 있다. 상기 운전석 마운트 플레이트(89)는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한 쌍의 세로 리어 하방 프레임(88)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캐빈(8)은 대략 수평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한 쌍의 세로 리어 하방 프레임(88)에 지지된 한 쌍의 후방측 마운트 플레이트(90)를 갖고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방측 마운트 플레이트(90)는 방진 기구(7)를 통해서 상기 미션 케이스(3) 또는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9)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리어 액슬 케이스(9)에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86)는 도 3∼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상기 플로어 부재(851)에 용접되고 또한 상방 부분이 상기 한 쌍의 세로 프론트 프레임(821)에 연결된 한 쌍의 가로 프론트 프레임(91)에 용접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은 도 6, 도 7, 도 14, 및 도 19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하 방향에 관해서 상기 차량 프레임(2)에 오버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상기 플로어부(85)가 설치되어 있는 영역에 있어서의 하면(811a, 812a)은 상기 메인 프레임(22)의 상면(22a)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상기 플로어부(85)가 설치되는 영역의 상면(811b, 812B)은 상기 메인 프레임(22)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플로어부(85)를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작업 차량(1)의 전체 높이를 억제하면서 상기 캐빈(8)의 실내 높이를 높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8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에 있어서의 플로어부(85)의 부분 장착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부재(851)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량 폭 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상방에 위치하고 또한 차량 폭 방향 내측 단부가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811)보다 차량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한 좌우 한 쌍의 플로어 부재(851)로 되어 있다.
즉, 상기 플로어 부재(851)는 차량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22) 사이에 개구(851a)를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어부(85)는 상기 개구(851a)를 폐쇄하기 위한 센터 커버(852)를 갖고 있다. 상기 센터 커버(852)는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86) 및 상기 좌우 한 쌍의 플로어 부재(851)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22) 사이에 배치되는 여러가지의 부품의 장착이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851a)는 차량 폭 방향에 관해 상기 메인 프레임(22) 사이 폭의 1/3 이상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9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업 차량(1)의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메인 프레임(22) 후단부 근방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2)은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랜스미션 케이스(3)와의 연결부(22b)가 상하 방향에 관해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22)의 판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고, 상기 메인 프레임(22)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3)와의 연결에 의해 강도가 필요하게 되는 부분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차량 프레임(2)에 있어서 높은 강도를 확보하면서 가급적으로 경량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2)은 상기 미션 케이스(3)와의 연결부(22b)가 되는 후단부가 상하 방향에 관해 다른 부분보다 폭이 넓게 되어 있고, 상기 메인 프레임(22)에 있어서의 폭이 넓은 후단부는 상단부가 상기 플로어 부재(851)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로어 부재(851) 및/또는 상기 운전석 마운트 플레이트(89)는 차량 전후 방향에 관해 상기 메인 프레임(22)의 상기 연결부(22b)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812)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22)과 상기 플로어 부재(851) 및/또는 상기 운전석 마운트 플레이트(89) 사이에 간극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캐빈(8)이 진동했을 때에 상기 캐빈(8)이 상기 차량 프레임(2)에 접촉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부(85)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로어 부재(851) 및 상기 센터 커버(852)의 상방을 덮는 플로어 매트(853)를 갖고 있다.
상기 플로어 매트(853)는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고 또한 하면이 후단부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22)의 상기 연결부(22b)에 대응하는 부분을 따라 경사진 경사면(853a)을 갖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플로어부(85)의 상면에 있어서 평탄한 면적을 가급적으로 크게 할 수 있고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 및 21에, 도 19에 도시하는 프레임 구조에 있어서의 플로어부(85)의 투과 평면도 및 사시 장착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터 커버(852)는 도 18로부터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플로어 부재(85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고정 부재(854)(체결 볼트 등)에 의해 록킹하기 위한 관통 구멍(852a)을 갖고, 상기 센터 커버(852)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고정 부재(854)가 더욱 돌출된 상태로 록킹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어 매트(853)는 도 19∼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센터 커버(85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고정 부재(854)의 주위를 둘러싸는 복수의 리브(853b)가 하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플로어 매트(853)를 클립 등의 다른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 등을 이용하여 상기 플로어 매트(853)를 고정하고 있었던 종래 구성에 비해서 비용의 저감 및 조립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들어 올림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 등을 사용하는 종래 구성에 비해서 청소시 등의 유지보수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플로어 매트(853)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리브(853b)는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다만, 상기 리브(853b)의 형상은 상기 고정 부재(854)에 의해 상기 플로어 매트(853)의 수평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는 형상이면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 직사각형 형상 등 여러 가지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853b)는 상기 센터 커버(852)의 고정 부재(854)에 대응하는 위치 이외의 개소에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상기 플로어 매트(853)의 침입을 방지하면서 상기 플로어 매트(853)와 상기 플로어 부재(851) 및 상기 센터 커버(852)에 형성되는 바닥면 사이에 간극(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바닥면으로부터의 진동의 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극에 우레탄폼 등의 흡음재를 장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흡음재를 장착할 때는 상기 흡음재에 상기 플로어 매트(853)의 상기 리브(853b)와 대략 동일한 직경 또는 보다 소경의 구멍을 형성해서 상기 구멍에 상기 리브(853b)를 끼워넣어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흡음재를 상기 플로어 매트(853)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한편 간단하게 뗄 수도 있기 때문에 상기 플로어 매트(853)의 청소시 등의 유지보수시에 있어서 작업성을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플로어 매트(853)만을 교체할 수도 있어 유지보수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개량, 변경, 수정이 가능하다.
1 : 작업 차량 3 : 미션 케이스
4 : 엔진 7 : 방진 기구
8 : 캐빈 9 : 리어 액슬 케이스
10 : 프론트 액슬 케이스 11 : 보강 부재
12 : 장착 스테이 14 : 엔진 마운트 플랜지
15 : 방진 기구 16 : 브리지 프레임
16a : 측판부 16b : 연결판부
21 : 프론트 프레임 22 : 메인 프레임
25 : 스페이서 51 : 전륜
52 : 후륜 53 : 전방 차축
54 : 후방 차축 81 : 하측 프레임부
82 : 세로 프레임부 83 : 상측 프레임부
84 : 아우터 루프 85 : 플로어부
86 : 에어 컷 플레이트 86a : 팽출부
111 : 브레이크 조작축 112 : 제 1 브레이크 보스
113 : 제 2 브레이크 보스 114 : 제 1 브레이크 페달
115 : 제 2 브레이크 페달 116 : 브레이크 세로 링크
117 : 브레이크 가로 링크 118 : 브레이크 중간축
119 : 브레이크 중간 보스 811 :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
812 :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 813 : 연결 부재

Claims (5)

  1. 엔진으로부터의 회전 동력을 미션 케이스를 포함하는 트랜스미션에 의해 변속해서 한 쌍의 전륜 및 한 쌍의 후륜 중 구동륜으로서 작용하는 차륜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캐빈 부착 작업 차량으로써;
    상기 한 쌍의 후륜에 연결된 한 쌍의 후방 차축을 수용하는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가 양 측벽에 연결된 상기 미션 케이스를 상기 엔진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간 배치시키고;
    차량 전방측에 배치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에 상기 전륜에 연결된 전방 차축을 수용하는 프론트 액슬 케이스를 지지시키고;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우 측벽 사이를 각각 좌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에 의해 연결하고;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 오버랩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 부재와,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보강 부재와 오버랩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외측면에 고착된 한 쌍의 장착 스테이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한 쌍의 장착 스테이와 상기 한 쌍의 리어 액슬 케이스 또는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우 2개소의 4개소에 있어서 캐빈이 방진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부착 작업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단부가 상기 보강 부재의 좌우 단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단부가 상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부와, 상기 한 쌍의 측판부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또한 상기 엔진의 후단면에 설치된 엔진 마운트 플랜지에 방진 기구를 통해서 연결되는 연결판부를 갖는 브리지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부착 작업 차량.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의 차량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측면으로부터 바라볼때 전단부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의 후단부에 중합된 상태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엔진은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중합 영역에 걸쳐서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전방측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에 방진 지지되고 또한 후방측이 상기 브리지 프레임에 방진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부착 작업 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단부는 스페이서를 통해서 상기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부착 작업 차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은 하측 프레임부와,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세워서 설치된 세로 프레임부와, 상기 세로 프레임부의 상단부에 지지된 상측 프레임부와, 상기 상측 프레임부에 적재되는 아우터 루프와, 상기 하측 프레임부에 지지되는 플로어부와, 상기 캐빈의 전방에 배치되는 엔진·플라이 휠 유닛 사이를 차단하는 에어 컷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프레임부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보다 차량 폭 방향 외측이고 또한 상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면보다 상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보다 차량 폭 방향 바깥쪽이고 또한 상면이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과 동일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차량 전후 방향을 따른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과, 대응하는 상기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로서 방진 기구를 통해서 상기 장착 스테이에 지지되는 한 쌍의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플로어부는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아우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적재된 플로어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작업 차량은 또한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보다 캐빈 실내측에 있어서 차량 폭 방향을 따르도록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된 브레이크 조작축과,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브레이크 보스와,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 2 브레이크 보스와, 상기 제 1 브레이크 보스 및 제 2 브레이크 보스에 각각 연결된 제 1 브레이크 페달 및 제 2 브레이크 페달과, 상기 제 1 브레이크 페달 및 제 2 브레이크 페달로의 인위 조작에 따라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와,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와 상기 트랜스미션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기구 사이를 각각 작동적으로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로서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 상하 방향 이동에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컷 플레이트에 차량 폭 방향에 관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보다 차량 폭 방향 바깥쪽이고 또한 상하 방향에 관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축보다 하방에 있어서 캐빈 실내측으로 팽출되는 좌우 한 쌍의 팽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 하단부를 상기 좌우 한 쌍의 팽출부를 통해서 상기 캐빈의 실내로부터 하방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플로어 부재보다 하방이고 또한 상기 장착 스테이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하측 이너 사이드 프레임 사이의 상기 간극 내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중간축에 각각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중간 보스를 통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세로 링크 하단부와 상기 좌우 한 쌍의 브레이크 가로 링크 전단부를 각각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빈 부착 작업 차량.
KR1020117014775A 2009-01-14 2010-01-05 캐빈 부착 작업 차량 KR1016603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05546A JP5137859B2 (ja) 2009-01-14 2009-01-14 キャビン付き作業車輌
JPJP-P-2009-005546 2009-01-14
PCT/JP2010/050022 WO2010082511A1 (ja) 2009-01-14 2010-01-05 キャビン付き作業車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4548A KR20110114548A (ko) 2011-10-19
KR101660392B1 true KR101660392B1 (ko) 2016-10-10

Family

ID=42339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4775A KR101660392B1 (ko) 2009-01-14 2010-01-05 캐빈 부착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2955B2 (ko)
EP (1) EP2380803B1 (ko)
JP (1) JP5137859B2 (ko)
KR (1) KR101660392B1 (ko)
CN (1) CN102282060B (ko)
WO (1) WO20100825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1409B2 (ja) * 2009-02-02 2013-01-0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輌
CN102642567A (zh) * 2012-05-14 2012-08-22 江苏友邦精工实业有限公司 用于重型工程车的单边驾驶室结构
EP3053810B1 (en) * 2013-09-30 2018-02-21 Yanmar Co., Ltd. Work vehicle
JP2016008029A (ja) * 2014-06-26 2016-01-1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2016030559A (ja) 2014-07-30 2016-03-07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US9580890B2 (en) * 2014-11-07 2017-02-28 Caterpillar Inc. Machine activity monitor with speed based conditional
KR102146079B1 (ko) * 2014-12-26 2020-08-2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트랙터
WO2016182033A1 (ja) 2015-05-13 2016-11-1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上部旋回体
JP6541614B2 (ja) 2015-08-07 2019-07-10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EP3127790B1 (en) * 2015-08-07 2018-07-18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EP3702253B1 (en) * 2017-10-23 2023-05-03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CN108100055A (zh) * 2017-11-24 2018-06-01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拖拉机驾驶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766A (ja) 2001-07-18 2002-04-02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825A (ja) * 1981-11-09 1983-05-17 Yanmar Diesel Engine Co Ltd 農用トラクタ−
JPH10218014A (ja) 1997-02-03 1998-08-18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キャビン付走行車輌
EP0958993B9 (en) * 1997-02-10 2007-05-09 Yanmar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Small-sized passenger work vehicle
JP2002059761A (ja) * 2000-08-23 2002-02-26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ダッシュボード取付装置
US6758301B2 (en) * 2000-09-14 2004-07-06 Kenji Shiba Tractor
JP3717428B2 (ja) * 2001-07-19 2005-11-16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
JP2007290705A (ja) * 2002-01-18 2007-11-08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作業車輌
JP2003212147A (ja) * 2002-01-21 2003-07-30 Kanzaki Kokyukoki Mfg Co Ltd 乗用トラクタのフレーム
JP2004074939A (ja) * 2002-08-20 2004-03-11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のフレーム構造
US7111705B2 (en) * 2004-02-02 2006-09-26 Kurashiki Kako Co., Ltd. Vibration isolating mount device
JP4458531B2 (ja) * 2004-10-01 2010-04-28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2007076557A (ja) * 2005-09-15 2007-03-29 Yanmar Co Ltd トラクタの組立工法
JP5035866B2 (ja) * 2005-10-04 2012-09-26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における動力伝達装置
JP4422668B2 (ja) * 2005-10-19 2010-02-24 ヤンマー株式会社 トラクターローダーバックホーのフレーム構造
JP4312221B2 (ja) * 2006-09-29 2009-08-12 株式会社クボタ トラクタ
JP4913541B2 (ja) * 2006-10-25 2012-04-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キャビン付作業車両
JP4934401B2 (ja) * 2006-10-25 2012-05-16 ヤンマー株式会社 キャビン付作業車両
CN101548049B (zh) * 2006-12-08 2012-12-12 株式会社小松制作所 轮式装载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6766A (ja) 2001-07-18 2002-04-02 Kubota Corp キャビン付き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80803B1 (en) 2013-08-28
CN102282060B (zh) 2013-09-11
EP2380803A1 (en) 2011-10-26
EP2380803A4 (en) 2012-06-06
CN102282060A (zh) 2011-12-14
US8312955B2 (en) 2012-11-20
WO2010082511A1 (ja) 2010-07-22
US20110272966A1 (en) 2011-11-10
JP5137859B2 (ja) 2013-02-06
KR20110114548A (ko) 2011-10-19
JP2010162977A (ja) 2010-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0392B1 (ko) 캐빈 부착 작업 차량
JP5588207B2 (ja) トラクタ
JP6048231B2 (ja) 車両のラジエータ支持装置
KR101703596B1 (ko) 전방 차체 구조
JP6230515B2 (ja) 作業車
JP2007203777A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2004210219A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KR20140046180A (ko) 자동차의 프런트 쇽업소버용 강성 보강 장치
JP5872962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2017036032A (ja) 作業車
JP4951459B2 (ja) 車体前部構造
JP5622045B2 (ja) パワートレインの支持装置
JPH10218020A (ja) トラクタのガードフレーム支持部構造
JP3697614B2 (ja) 自動車エンジン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WO2010082510A1 (ja) 作業車輌
KR100643961B1 (ko) 차량의 쇽업소버 장착브라켓의 보강구조
JP200525506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クロスメンバ
JP7434401B2 (ja) 車両
JP2020044998A (ja) サスペンションサブフレーム構造
JP3719059B2 (ja) 産業車両の車体構造
JP3890990B2 (ja) キャブオーバー型トラック
JP2023142205A (ja) 車両の燃料タンク配置構造
JP5313702B2 (ja) 作業車輌
KR101304882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부 입력점 강성 보강 장치
JP2000289428A (ja) 電気自動車の車体下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