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783B1 -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783B1
KR101657783B1 KR1020140167440A KR20140167440A KR101657783B1 KR 101657783 B1 KR101657783 B1 KR 101657783B1 KR 1020140167440 A KR1020140167440 A KR 1020140167440A KR 20140167440 A KR20140167440 A KR 20140167440A KR 101657783 B1 KR101657783 B1 KR 10165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nsion
speed
wire rod
conta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325A (ko
Inventor
김형진
이종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67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7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005Means compensating the yarn tension in relation with its moving due to traversing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8/00Coating apparatus
    • Y10S118/20Wire and cord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는,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레이저 속도계와,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는 장력 연산부와,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선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코블 발생 및 치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ENSION OF WIRE ROD}
본 출원은, 선재의 장력 제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재의 제조 공정에서는 단면적 160×160mm인 빌렛(billet)을 가열로에서 압연 가능한 900~12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조압연, 중간 조압연, 중간 사상 압연, 사상 압연 및 최종 압연(사이징 압연) 등의 일련의 압연 공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압연된 소재는 권취 공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직경이 대략 5.5~50mm의 선재로 생산된다. 즉, 가열로를 거친 소재는 위에서 설명한 일련의 압연 공정을 거치면서 일정 직경으로 열간 압연되고, 압연된 소재는 목표하는 재질 확보를 위하여 수냉대를 거쳐 수냉되고, 선재 직경에 따라 직경 16mm 미만의 소경 선재는 레잉헤드에서 권취 후 집적된다.
상술한 압연 공정에서는 선재의 장력 제어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즉, 선재의 장력이 작아지면 선재가 압연 라인을 벗어나는 코블(cobble)이 발생되며, 장력이 너무 과다하면 선재의 치수 편차가 발생되어 치수 불량으로 인한 실수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술한 장력 제어를 위해서는 선재에 걸리는 장력을 구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나, 현재는 선재의 장력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작업자의 주관적인 경험에 의존하고 있다. 즉, 작업자가 나무막대 등을 이용하여 선재를 들어올려 대략의 장력을 추정하고, 이 추정된 장력에 따라 선재의 장력을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코블 발생 및 치수 불량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39536호(‘선재 압연기의 루퍼 형상 자동제어장치’, 공개일: 2003년 05월 22일)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39536호(‘선재 압연기의 루퍼 형상 자동제어장치’, 공개일: 2003년 05월 22일)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코블 발생 및 치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 라인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선재의 쳐짐에 의한 사행과 무관하게 선재의 장력을 구할 수 있으며, 레이저 간섭계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더욱 정확하게 장력을 구할 수 있는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레이저 속도계; 상기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는 장력 연산부; 및 상기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선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장력 연산부는, 하기의 수학식 1:
Figure 112014115272412-pat00001
에 따라 장력을 구하며, 여기서, σ는 장력, Vm은 선재의 미들부 속도, Vt는 선재의 톱부 속도인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장력 연산부는, 선재의 강종 및 치수에 기초한 보정 계수를 곱하여 상기 장력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레이저 속도계는,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상부에서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의 좌우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는, 상기 레이저 속도계의 오염을 감지하는 오염 감지부; 및 상기 오염이 감지되면 음향 시각적으로 오염 여부를 알리는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에 의한 장력 제어는, 사상 압연기와 최종 압연기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일정 범위는, -0.1 내지 0.3 사이의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레이저 속도계에서,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제1 단계; 장력 연산부에서, 상기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는 제2 단계; 및 장력 제어부에서, 상기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선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
Figure 112014115272412-pat00002
에 따라 장력을 구하며, 여기서, σ는 장력, Vm은 선재의 미들부 속도, Vt는 선재의 톱부 속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2 단계는, 선재의 강종 및 치수에 기초한 보정 계수를 곱하여 상기 장력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상부에서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의 좌우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은, 오염 감지부에서, 상기 레이저 속도계의 오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부에서, 상기 오염이 감지되면 음향 시각적으로 오염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은, 사상 압연기와 최종 압연기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고, 구한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선재의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코블 발생 및 치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상부에 레이저 속도계를 배치한 후, 선재의 이송 방향의 좌우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선재 라인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선재의 쳐짐에 의한 사행과 무관하게 선재의 장력을 구할 수 있으며, 레이저 간섭계의 오염이 감지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장력을 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의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레이저 속도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장력 제어에 의한 속도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의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레이저 속도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장력 제어에 의한 속도 편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는 레이저 속도계(110), 장력 연산부(120), 장력 제어부(130), 오염 감지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선재(S)는 사상 압연기(No Twist Mill, NTM)(10)로부터 최종 압연기(Reducing and Sizing Mill, RSM)(20)쪽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장력 제어는 사상 압연기(10)와 최종 압연기(20) 사이에 대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조압연, 중간 조압연, 중간 사상 압연, 사상 압연 및 최종 압연(사이징 압연) 중 어느 단계에서도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속도계(110)는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할 수 있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S)의 톱부(210)가 지나갈 때 선재(S)의 톱부 속도를 구한다. 이후,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S)의 미들부(220)가 지나갈 때 선재(S)의 미들부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구한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는 장력 연산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레이저 속도계(110)는, 예컨대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레이저 도플러 속도계는 레이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물체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계이다. 여기서, 레이저 도플러 효과란 레이저 광의 발생 위치와 이를 측정하는 위치 중 한 점 또는 양쪽 지점이 이동함에 따라 측정되는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을 일컫는데, 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물체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면 광은 산란하고 산란광은 물체의 속도에 비례하는 주파수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이 변화된 주파수를 광 비트 신호로 측정하면 물체의 이동 속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속도계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레이저 속도계(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S)의 이송 방향(D1)에 수직(90도)한 선재(S)의 상부에 배치되며, 선재(S)의 이송 방향(D1)의 좌우 방향(D2)으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면서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a)는 선재(S)를 이송 방향 쪽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3의 (b)는 선재(S)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즉, 선재(S)는 매우 빠른 이송 속도로 이송되며, 좌우 사행으로 인해 레이저 속도계(110)의 검출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레이저 속도계(110)는 선재(S)의 이송 방향(D1)에 수직한 상부에 배치시킨 후, 선재(S)의 이송 방향(D1)의 좌우 방향(D2)으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시키면서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도록 함으로써, 선재(S)의 사행에도 불구하고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한편, 장력 연산부(120)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선재(S)의 장력을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5272412-pat00003
여기서, σ는 장력, Vm은 선재의 미들부 속도, Vt는 선재의 톱부 속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선재(S)의 강종 및 치수를 더 고려하여 수학식 1에서 구한 장력을 보정할 수 있다. 즉,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선재(S)의 강종 및 치수에 기초한 보정 계수(α)를 곱하여 위에서 구한 장력을 보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4115272412-pat00004
여기서, σ는 장력, α는 보정 계수, Vm은 선재(S)의 미들부 속도, Vt는 선재(S)의 톱부 속도일 수 있다.
하기의 표 1에는 수학식 2에서 설명된 선재(S)의 강종 및 치수에 따른 보정 계수(α)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록 표 1에서 보정 계수는 구체적인 수치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 실시 형태에 따라 구체적인 수치는 변경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Figure 112014115272412-pat00005
그리고, 장력 제어부(130)는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루퍼(30)를 통해 선재(S)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일정 범위는 예컨대 -0.1 내지 0.3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상술한 수치는, 본 발명의 장력 제어를 함에 있어서 경험적인 수치로, 상술한 범위 내의 값으로 제어할 때 적절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필요에 따라 상술한 값을 변경 실시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장력 제어에 의한 속도 편차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 (a)는 장력 제어 전의 사상 압연기(10)의 압연 속도를,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장력 제어 후의 사상 압연기(10)의 압연 속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장력 제어 후에는 사상 압연기(10)의 압연 속도의 편차가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염 감지부(140) 및 출력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레이저 속도계(110) 내부의 미러와 같은 광학부에 오염 물질이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된 오염 물질로 인해 선재(S)의 속도가 부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오염 감지부(140)는 레이저 속도계(110)의 오염을 감지하고, 출력부(150)는 오염이 감지되면 음향 시각적으로 오염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려 오염 물질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고, 구한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선재의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코블 발생 및 치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상부에 레이저 속도계를 배치한 후, 선재의 이송 방향의 좌우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선재 라인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선재의 쳐짐에 의한 사행과 무관하게 선재의 장력을 구할 수 있으며, 레이저 간섭계의 오염이 감지되면 이를 작업자에게 알려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장력을 구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사항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레이저 속도계(110)는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할 수 있다(S501).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S)의 톱부(210)가 지나갈 때 선재(S)의 톱부 속도를 구한다. 이후,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재(S)의 미들부(220)가 지나갈 때 선재(S)의 미들부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구한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는 장력 연산부(12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 장력 연산부(120)는 상술한 수학식 1에 따라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선재(S)의 장력을 구할 수 있다(S502).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는 선재(S)의 강종 및 치수를 더 고려하여 수학식 1에서 구한 장력을 보정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장력 제어부(130)는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루퍼(30)를 통해 선재(S)의 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S503). 상술한 일정 범위는 예컨대 -0.1 내지 0.3 사이의 값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레이저 속도계(110)는 선재(S)의 이송 방향(D1)에 수직한 상부에 배치시킨 후, 선재(S)의 이송 방향(D1)의 좌우 방향(D2)으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시키면서 선재(S)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할 수 있으며, 오염 감지부(140)는 레이저 속도계(110)의 오염을 감지하고, 출력부(150)는 오염이 감지되면 음향 시각적으로 오염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려 오염 물질을 제거하도록 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고, 구한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선재의 장력을 제어함으로써, 코블 발생 및 치수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선재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상부에 레이저 속도계를 배치한 후, 선재의 이송 방향의 좌우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선재 라인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선재의 쳐짐에 의한 사행과 무관하게 선재의 장력을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 사상 압연기 20: 최종 압연기
30: 루퍼 110: 레이저 속도계
120: 장력 연산부 130: 장력 제어부
140: 오염 감지부 150: 출력부
210: 선재의 톱부 220: 선재의 미들부
S: 선재

Claims (14)

  1.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레이저 속도계;
    상기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는 장력 연산부; 및
    상기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선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장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속도계는,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상부에서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의 좌우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연산부는,
    하기의 수학식 1:
    Figure 112014115272412-pat00006

    에 따라 장력을 구하며, 여기서, σ는 장력, Vm은 선재의 미들부 속도, Vt는 선재의 톱부 속도인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연산부는,
    선재의 강종 및 치수에 기초한 보정 계수를 곱하여 상기 장력을 보정하는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는,
    상기 레이저 속도계의 오염을 감지하는 오염 감지부; 및
    상기 오염이 감지되면 음향 시각적으로 오염 여부를 알리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에 의한 장력 제어는,
    사상 압연기와 최종 압연기 사이에서 수행되는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범위는,
    -0.1 내지 0.3 사이의 값인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8. 레이저 속도계에서,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제1 단계;
    장력 연산부에서, 상기 선재의 톱부 속도 및 미들부 속도에 기초하여 장력을 구하는 제2 단계; 및
    장력 제어부에서, 상기 장력이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선재의 장력을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에 수직한 상부에서 상기 선재의 이송 방향의 좌우로 일정 각도 이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선재의 톱부 및 미들부 속도를 구하는 단계인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하기의 수학식 1:
    Figure 112014115272412-pat00007

    에 따라 장력을 구하며, 여기서, σ는 장력, Vm은 선재의 미들부 속도, Vt는 선재의 톱부 속도인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선재의 강종 및 치수에 기초한 보정 계수를 곱하여 상기 장력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
  11. 삭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은,
    오염 감지부에서, 상기 레이저 속도계의 오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부에서, 상기 오염이 감지되면 음향 시각적으로 오염 여부를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은,
    사상 압연기와 최종 압연기 사이에서 수행되는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범위는,
    -0.1 내지 0.3 사이의 값인 선재의 장력 제어 방법.
KR1020140167440A 2014-11-27 2014-11-27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5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40A KR101657783B1 (ko) 2014-11-27 2014-11-27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440A KR101657783B1 (ko) 2014-11-27 2014-11-27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325A KR20160064325A (ko) 2016-06-08
KR101657783B1 true KR101657783B1 (ko) 2016-09-20

Family

ID=56193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440A KR101657783B1 (ko) 2014-11-27 2014-11-27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7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116Y2 (ja) * 1993-11-18 1997-08-27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冷間圧延機の板速度測定装置
JPH08143220A (ja) * 1994-11-18 1996-06-04 Toray Ind Inc シート状物の張力分布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0812154B1 (ko) 2001-11-13 2008-03-12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압연기의 루퍼형상 자동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325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07892B (zh) 连轧穿带过程中带材头部纠偏的方法
US1073008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ot-rolled steel sheet, steel sheet cutting location setting device, steel sheet cutting location setting method, and steel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10209199B2 (en) Surface inspection method, surface inspection device, manufacturing system, method of identifying defect formed area,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pipe
CN107433287A (zh) 一种热轧飞剪头尾剪切起始位置的动态控制方法
KR101657783B1 (ko) 선재의 장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4907467B2 (ja) スラブの研削方法、熱間圧延用スラブ及びそれらを用いた鋼板の製造方法
KR100856276B1 (ko) 압연 소재 두께 측정 장치
JP2009113109A (ja) 連続圧延機の負荷配分制御装置
JP5348275B2 (ja) スラブの研削方法及び研削装置
JP2013107127A (ja) 溶削異常検出装置および溶削異常検出方法
JP5598583B2 (ja) 差厚鋼板の自動矯正制御装置
JP6089907B2 (ja) スパイラル鋼管エッジポジション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746991B1 (ko) 소재 냉각영역 검출 장치 및 선재 냉각영역 검출 방법
JPWO2010109637A1 (ja) 基準位置調整監視装置
JP5949691B2 (ja) 板幅制御方法及び板幅制御装置
JP2005254287A (ja) 被圧延材の先端反り抑制方法
JP2006234540A (ja) H形鋼の形状測定方法
JP6627609B2 (ja) 冷却制御方法及び冷却装置
JP6245144B2 (ja) 形状検出装置
KR20190130319A (ko) 롤 피치 계산 장치 및 방법
JP6540644B2 (ja) 巻取装置及び鋼板尾端停止位置の制御方法
JP6733612B2 (ja) 圧延ラインの制御装置
JP6429375B2 (ja) カレンダ装置
JPH02212015A (ja) 熱鋼圧延における端部切断方法
JP6223845B2 (ja) 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