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311B1 -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및 그 장치의 빗살 - Google Patents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및 그 장치의 빗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311B1
KR101656311B1 KR1020150163540A KR20150163540A KR101656311B1 KR 101656311 B1 KR101656311 B1 KR 101656311B1 KR 1020150163540 A KR1020150163540 A KR 1020150163540A KR 20150163540 A KR20150163540 A KR 20150163540A KR 101656311 B1 KR101656311 B1 KR 1016563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cross
groove
depth
p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준우
Original Assignee
서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준우 filed Critical 서준우
Priority to KR102015016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3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2Apparatus with rollers and cutting discs or blades for shaping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24Apparatus for cutting out noodles from a sheet or ribbon of dough by an engaging pair of grooved roll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면면발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합공정에서 반죽되어 압입된 면대를 십자형상의 라면면발로 세절하기 위한 다수의 피치(4)가 형성된 절출롤러(2a)(2b)와, 상기 절출롤러(2a)(2b)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치(4)에 잔류하는 반죽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피치(4)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18)를 형성한 빗살(16)로 구성함으로써, 새로운 식감과 함께 다양한 기호에 맞는 십사형상의 라면면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라면면발을 십자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면의 강도, 인장력이 우수하고 씹는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CROSS-SHAPE NOODLE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라면면발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라면면발 제조장치의 세절단계에서 면의 형상을 십자형상으로 절출하는 라면면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통상의 라면 제조방법은 배합공정, 제면공정, 증숙공정, 성형공정, 유탕공정, 냉각공정, 포장공정으로 구분해 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배합공정에서는 소맥분과 배합수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제면공정에서는 반죽된 소맥분을 롤러에 압연시켜 가며 면대를 만들고, 압연된 면대를 제면기를 이용하여 국수모양(국수발)을 만든 후 이어서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를 조절하여 라면 특유의 꼬불꼬불한 면발 형태를 만들어주게 되며 증숙공정에서는 스팀박스를 통과시키면서 국수를 알파화시키는데, 이때 소화가 잘 되는 알파 호환전분을 만들기 위해 100℃ 이상의 스팀을 이용한다.
또한 성형공정에서는 증숙된 면을 일정한 모양으로 만들기위해 납형(納型) 케이스를 이용하고, 유탕공정에서는 알파화된 증숙면을 정제유지로 150℃ 정도에서 튀겨줌으로 알파화상태를 계속 유지 및 증가시켜 주며, 면의 수분을 휘발시키는 한편 면에 기름을 흡착시켜주고 냉각공정에서 유탕에서 나온 면을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동시켜 가면서 상온으로 냉각시켜주며 마지막으로 포장공정에서 냉각된 면과 스프를 자동포장기를 이용하여 완제품 라면으로 포장하여 1차적으로 창고에 보관되고 유통시장에 넘겨지며 다시 음식점이나 소비자에게 판매되어 유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중 제면공정에서는 제면기를 통해 라면의 면발의 형태를 세절하게 되며, 종래에는 이러한 라면면발을 원형, 타원형, 사각형, 직사각형의 형태로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식생활의 새로운 변화에 따라 다양한 식감과 기호에 맞는 라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51566호, '제면부와 증숙부를 구비한 자동 라면면발 제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식감과 다양한 기호에 맞는 라면을 제공하기 위해 라면면발을 십자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한 라면면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라면면발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합공정에서 반죽되어 압입된 면대를 십자형상의 라면면발로 세절하기 위한 다수의 피치(4)가 형성된 절출롤러(2a)(2b)와, 상기 절출롤러(2a)(2b)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치(4)에 잔류하는 반죽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피치(4)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18)를 형성한 빗살(16)로 구성함을 특징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라면면발의 형상을 십자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새로운 식감과 함께 다양한 기호에 맞는 라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라면면발을 십자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면의 강도, 인장력이 우수하고 씹는 맛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의 절출롤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절출롤러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피치의 형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2의 피치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출롤러의 일측에 설치된 빗살의 형태도,
도 5는 빗살에 형성된 돌출부의 형태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의 상세구성을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전단의 배합공정에서 반죽한 면대를 십자형상의 라면면발로 세절하여 배출하는 절출롤러(2a)(2b)와, 상기 절출롤러(2a)(2b)의 일측에 설치되어 절출롤러(2a)(2b)에 묻은 반죽과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빗살(16)로 구성한다.
상기 절출롤러(2a)(2b)는 좌우가 한 쌍으로 설치되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출롤러(2a)(2b)의 외주연에는 반죽되어 압입된 면대를 십자형상의 라면면발로 세절하기 위한 다수의 피치(4)를 형성한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피치(4)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피치(4)는 각각 제1피치(6)와 제2피치(1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제2피치(6)(10)가 교대로 반복되게 형성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절출롤러(2a)(2b)에 형성된 제1피치(6)와 제2피치(10)가 일직선상에 지그재그로 맞물리면서[절출롤러(2a)에 형성된 제1피치(6)와 절출롤러(2b)에 형성된 제2피치(10)가 서로 마주보게 맞닿음] '
Figure 112015113609033-pat00001
'모양의 십자홈부(14)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절출롤러(2a)(2b) 중 일측의 절출롤러(2a)의 구성만을 설명하며, 이에 대응하는 타측의 절출롤러(2b)는 동일한 형태로 제1피치(6)와 제2피치(10)가 서로 지그재그로 대칭하여 마주하게 형성[절출롤러(2a)에 형성된 제1피치(6)와 절출롤러(2b)에 형성된 제2피치(10)가 서로 마주보게 맞닿음]되는 것이다.
즉,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절출롤러(2a)의 제1피치(6)와 타측 절출롤러(2b)의 제2피치(10)가 마주하여 십자홈부(14)를 형성하며, 연속적으로 제2피치(10)와 제1피치(6)가 마주하여 십자홈부(14)를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한 쌍의 절출롤러(2a)(2b)에 의해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다수의 십자홈부(14)를 형성한다.
상기 피치(4)에 대해 도 3a 및 3b를 통해 살펴보면 한 쌍의 절출롤러(2a)(2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십자홈부(14)를 이루는 피치(4)는 제1피치(6)와 제2피치(10)가 교대로 반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피치(6)는 좌우에 수평부(8)를 형성하고, 좌우 수평부(8) 사이에 홈부(9)가 형성된다.
제2피치(10)는 제1피치(6)의 수평부(8)에서 단차벽부(12)에 의해 단차진 제1피치로 형성된다. 즉 내측에 제1피치(6)와 동일한 형태의 홈부(9)를 형성한 상태에서 상부에 벽부(12)가 형성되어 절출롤러(2a)(2b) 내측으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좁아지는 계단형 홈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출롤러(2a)(2b)에 형성된 제1,제2피치(6)(10)에 의해 십자홈부(14)를 형성함으로써 절출롤러(2a)(2b)에 공급되는 면대를 세절하여 십자형상의 라면면발(N)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부(8)의 좌측 수평부 폭(W1)과 우측 수평부 폭(W3)는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즉 좌우 대칭형의 면발을 형성시는 폭(W1)과 폭(W3)동일하고, 좌우 비대칭형의 면발을 형성시는 폭(W1)과 폭(W3)을 다르게 하며, 폭(W1)과 폭(W3)은 0.2~3mm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부(9)의 폭(W2)역시 0.2~3mm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부 폭(W1, W3) 및 홈부(9)의 폭(W2)를 0.2~3mm로 수치한정하는 것은 세면의 경우 면발(N)의 횡축 폭을을 0.6mm로 성형하고, 굵은 면의 경우 면발(N)의 횡축 폭을 9mm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치한정 범위에 미치지 못하면 라면 면발의 두께가 너무 얇아 씹는 식감이 떨어질 뿐아니라 면의 강도와 인장력이 약해 면대를 세절하는 공정이나 후단의 공정에서 면발이 끊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배합된 반죽이 제1,제2피치(6)(10) 내측 홈부(9)로 완전히 유입되지 못해 라면면발의 형상이 십자형상을 성형되는데 어려움이 있고, 유입이 되더라고 반죽이 제1,제2피치(6)(10)의 홈부(9)에 끼여있게 되어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모양이 제대로 세절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치한정 범위를 넘어서면 면발의 강도와 인장력은 좋을 수 있으나 면발이 너무 두꺼워 씹는 식감이 떨어질 뿐아니라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후단 공정인 증숙공정에서 면발을 스팀박스에 통과시켜 소화가 잘되도록 알파화 시키는 과정에서 면발의 익힘 정도가 덜해 섭취시 소화가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 단차벽부(12)의 단차의 깊이(D1)는 0.1~3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피치의 깊이인 홈부(9)의 깊이(D2)는 0.2~8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피치의 깊이(D3)는 0.3~11mm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십자홈부(14)의 두께(D4)는 0.5~19mm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한정 역시 수치한정 범위에 미치지 못하거나 벗어나면 십자홈부(14)를 통해 성형된 면발(N)의 두께가 너무 두껍거나 얇아 식감이 떨어질 뿐아니라 성형과정에서 수율이 떨어질 수 있고 증숙공정에서 면발의 익힘 정도가 덜해 섭취시 소화가 잘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제1피치의 깊이인 홈부(9)의 깊이(D2)를 0.2~8mm로 한정하는 것은 도 2의 십자홈부(14)에 성형되는 면발(N)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치의 깊이인 홈부(9)에는 성형된 면발이 꽉차는 것이 아니고 한쌍의 절출롤러(2a, 2b) 사이에 투입되는 면대가 단차벽부(12)의 단차의 깊이(D1) 보다 얇을 경우는 성형된 면발(N)의 종축 두께는 면대의 두께와 같게 형성되고,
한쌍의 절출롤러(2a, 2b) 사이에 투입되는 면대가 단차벽부(12)의 단차의 깊이(D1) 보다 두꺼울 경우는 십자홈부(14)의 상하부에 대응되는 홈부(9)로 면대가 확장되므로 십자홈부(14)를 통해 성형되는 면발(N)의 종축 두께는 단차 깊이(D1)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단차벽부(12)의 단차의 깊이(D1) 보다 면대가 두꺼울수록 면발(N)의 종축 두께는 d1, d2, d3, d4로 점점 뚜꺼워진다[도 2의 십자홈부 내 성형되는 면발(N) 확대도 참고].
즉 홈부 깊이(D2)를 충분히 여유있게 형성함으로써 성형된 면발의 종축 두께를 한쌍의 절출롤러(2a, 2b) 사이에 투입되는 면대의 두께에 의해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십자홈을 형성하는 폭(W)과 깊이(D)의 상대적 수치는 (W1=W2=W3) < D1 < D2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대적 수치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십자홈을 형성하는 폭(W)과 깊이(D)의 수치 비는 (W3=W5=W2) : D1 : D2 = 1:1.5:2.5 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 또한 국한되지는 않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대적 수치의 크기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절출롤러(2a)(2b)의 일측에 설치되어 면대를 십자형상의 라면면발로 세절하는 제1,제2피치(6)(10) 내측에 끼이는 반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빗살(16)을 구성한다.
도 4 내지 도 5를 참도하면, 본 발명의 빗살(16)은 다수의 돌출부(18)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18)는 절출롤러(2a)(2b)에 형성된 제1,제2피치(6)(10)에 맞춤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다.
즉, 한 쌍의 절출롤러(2a)(2b)가 맞닿아 회전하면서 반죽된 면대를 십자형상의 라면면발을 세절한 후, 일측에 설치된 빗살(16)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8)가 제1,제2피치(6)(10)의 내측을 긁어내어 홈부에 남아 있는 반죽이나 기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빗살(16)은 한 쌍으로 구성된 절출롤러(2a)(2b)의 일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제2피치(6)(10)의 형상에 맞는 제1돌출부(20)와 제2돌출부(22)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며, 제1,제2돌출부(20)(22)의 폭은 제1,제2피치(6)(10)에 형성된 홈부(9)의 폭(W1)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여 내측의 반죽과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돌출부(18)의 돌출길이는 제1,제2피치(6)(10)의 깊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a)(2b)-- 절출롤러 (4)-- 피치
(6)-- 제1피치 (8)-- 수평부
(9)-- 홈부 (10)-- 제2피치
(12)-- 단차벽부 (14)-- 십자홈부
(16)-- 빗살 (18)-- 돌출부
(20)-- 제1돌출부 (22)-- 제2돌출부
(W1)-- 좌측 수평부 폭 (W2)-- 홈부 폭
(W3)-- 우측 수평부 폭 (W4)-- 십자홈부 폭
(D1)-- 단차벽부의 단차의 깊이 (D2)-- 제1피치의 깊이(홈부의 깊이)
(D3)-- 제2피치의 깊이 (D4)-- 십자홈부의 깊이
(N)-- 성형 면발

Claims (9)

  1. 라면면발 제조장치에 있어서,
    배합공정에서 반죽되어 압입된 면대를 십자형상의 라면면발로 세절하기 위한 다수의 피치(4)가 형성된 절출롤러(2a)(2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한 쌍의 절출롤러(2a)(2b) 각각에는, 좌우에 수평부(8)가 형성되고 좌우 수평부(8) 사이에 홈부(9)가 형성된 제1피치와 제1피치(6)의 수평부(8)에서 단차벽부(12)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된 제1피치(6)로 이루어진 제2피치(10)가 연속 배열되며,
    상기 절출롤러(2a)의 제1피치와 절출롤러(2b)의 제2피치(10)가 마주하여 십자홈부(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출롤러(2a)(2b)의 일측에 설치되어 피치(4)의 홈부(9) 단차벽부(12) 및 수평부(8)에 잔류하는 반죽과 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피치(4)의 홈부(9) 단차벽부(12) 및 수평부(8)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18)로 형성된 빗살(16)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십자홈부(14)는 '
    Figure 112015125880655-pat00010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8)는 제1피치(6)와 제2피치(1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돌출부(20)와 제2돌출부(2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수평부(8)의 폭(W1, W3)과 홈부(9)의 폭과(W2)은 동일하고, 상기 단차벽부(12)의 단차 깊이(D1)와 홈부(9)의 깊이(D2)의 치수 크기는 (W1=W2=W3) < D1 < D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피치(6)(10)에 형성된 홈부(9)의 폭(W2)은 0.2~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치(6) 및 제2피치(10)의 홈부(9)의 깊이(D2)는 0.2~8mm로 형성하고, 제2피치(10)의 단차벽부(12)의 단차 깊이(D1)는 0.1~3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십자홈부(14)의 깊이(D4)는 0.5~19mm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9. 라면면발제조장치의 절출롤러에 잔류하는 반죽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라면면발제조장치의 빗살(16)에 있어서,
    상기 절출롤러의 일측에 설치되는 빗살(16)은,
    좌우에 수평부(8)가 형성되고 좌우 수평부(8) 사이에 홈부(9)가 형성된 제1피치와 제1피치(6)의 수평부(8)에서 단차벽부(12)에 의해 단차지게 형성된 제1피치(6)로 이루어진 제2피치(10)가 연속 배열되는 절출롤러의 홈부(9) 단차벽부(12) 및 수평부(8)와 동일한 폭을 갖는 다수의 돌출부(18)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십자형 라면면발 제조장치의 빗살.
KR1020150163540A 2015-11-20 2015-11-20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및 그 장치의 빗살 KR101656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40A KR101656311B1 (ko) 2015-11-20 2015-11-20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및 그 장치의 빗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540A KR101656311B1 (ko) 2015-11-20 2015-11-20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및 그 장치의 빗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311B1 true KR101656311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540A KR101656311B1 (ko) 2015-11-20 2015-11-20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및 그 장치의 빗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3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9194A (ja) * 2019-08-27 2021-03-01 サンヨー食品株式会社 波状断面を有する麺線の製造方法
CN114828637A (zh) * 2019-12-23 2022-07-29 三洋食品株式会社 面条切出装置、面类的制造装置及面类和速食面的制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0429A (ja) * 1990-02-16 1991-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製麺機
JPH08256669A (ja) * 1995-03-20 1996-10-08 Yukiko Niitsu 製麺用ロール
JP2005224174A (ja) * 2004-02-13 2005-08-25 Myojo Foods Co Ltd 製麺の切り出し工程における麺線の分割切り出し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た手揉み風麺の製造方法並びに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手揉み風麺
KR20080051566A (ko) 2006-12-06 2008-06-11 이성현 제면부와 증숙부를 구비한 즉석 자동 라면면발 제조장치
JP2010029103A (ja) * 2008-07-29 2010-02-12 Kaneko Seisakusho:Kk 製麺機に於ける切刃ローラ用スクレーパー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0429A (ja) * 1990-02-16 1991-10-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製麺機
JPH08256669A (ja) * 1995-03-20 1996-10-08 Yukiko Niitsu 製麺用ロール
JP2005224174A (ja) * 2004-02-13 2005-08-25 Myojo Foods Co Ltd 製麺の切り出し工程における麺線の分割切り出し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た手揉み風麺の製造方法並びに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手揉み風麺
KR20080051566A (ko) 2006-12-06 2008-06-11 이성현 제면부와 증숙부를 구비한 즉석 자동 라면면발 제조장치
JP2010029103A (ja) * 2008-07-29 2010-02-12 Kaneko Seisakusho:Kk 製麺機に於ける切刃ローラ用スクレーパー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9194A (ja) * 2019-08-27 2021-03-01 サンヨー食品株式会社 波状断面を有する麺線の製造方法
WO2021039473A1 (ja) * 2019-08-27 2021-03-04 サンヨー食品株式会社 波状断面を有する麺線の製造方法
CN114258267A (zh) * 2019-08-27 2022-03-29 三洋食品株式会社 具有波状截面的面条的制造方法
JP7325265B2 (ja) 2019-08-27 2023-08-14 サンヨー食品株式会社 波状断面を有する麺線の製造方法
EP4023069A4 (en) * 2019-08-27 2023-09-27 Sanyo Foods Co., Ltd. METHOD FOR PRODUCING NOODLE STRANDS WITH CORRUGATED CROSS-SECTION
CN114828637A (zh) * 2019-12-23 2022-07-29 三洋食品株式会社 面条切出装置、面类的制造装置及面类和速食面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311B1 (ko) 십자형상의 라면면발 제조장치 및 그 장치의 빗살
US5968570A (en) Folded pastry product
AR038384A1 (es) Metodo de extrusion de masa de pan y productos obtenidos
JP6217973B2 (ja) 麺類用混合切刃及びその細断方法
CN103385265B (zh) 带式油酥面皮整型方法
CN210470840U (zh) 一种夹芯面条的制造设备及夹芯面条
JP3984338B2 (ja) 三角麺類または五角麺類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H08256669A (ja) 製麺用ロール
JPS6352869B2 (ko)
CN205830939U (zh) 面条成型辊切刀具
KR102239050B1 (ko) 납작만두 제조방법
US7802979B2 (en) Dough Moulder
JP2007089564A (ja) 溝付きスパゲッティ
CN218681620U (zh) 面皮成型辊压刀具结构
CN218748248U (zh) 自动对切模具
KR20120136981A (ko) 떡볶이용 떡 인출 장치와 그 인출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떡볶이용 떡
CN114258267B (zh) 具有波状截面的面条的制造方法
KR100599007B1 (ko) 이중면, 이중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ITTV940045A1 (it) Perfezionamento in una linea di produzione in continuo particolarmente di pellets o snacks anche complessi e prodotto cosi&#39; ottenuto.
JPH0494658A (ja) 麺類の製造装置
JP3220880U (ja) 油揚げ
JP4395187B2 (ja) 麺帯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JP4075271B2 (ja) 層状小麦粉膨化食品連続生産ライン用油脂加工食品
WO2024042522A1 (en) Flattened wafer tube
CN206426136U (zh) 一种设置在海苔凤凰卷生产线上的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