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841B1 -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841B1
KR101655841B1 KR1020150024246A KR20150024246A KR101655841B1 KR 101655841 B1 KR101655841 B1 KR 101655841B1 KR 1020150024246 A KR1020150024246 A KR 1020150024246A KR 20150024246 A KR20150024246 A KR 20150024246A KR 101655841 B1 KR101655841 B1 KR 101655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ylinder
low
speed clutc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4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1793A (ko
Inventor
길병구
김성용
정종열
Original Assignee
우림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기계(주) filed Critical 우림기계(주)
Priority to KR1020150024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4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1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17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22Brakes applied by springs or weights and released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5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rate at which pressure is reapplied to or released from the brake
    • B60T8/5018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 B60T8/5025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 B60T8/5037Pressure reapplication using restrictions in hydraulic brake systems clos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장치는, 저속클러치(20)를 가압하여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1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브레이크실린더(210); 고속클러치(30)를 가압하여 고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클러치실린더(220); 상기 탄성부재(212)를 사이에 두고, 브레이크실린더(210)를 지지하는 브레이크피스톤(310); 상기 고속클러치(30)를 오픈 상태로 하기 위하여 클러치실린더(220)를 고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피스톤(310)과 클러치실린더(2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Rb)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고속유로포트(P10); 그리고 상기 저속클러치(20)를 오픈 상태로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실린더(210)를 저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제2공간(Ra)로 오일을 공급하는 저속유로포트(P20)로 구성된다. 저속 상태에서는, 브레이크피스톤(31)이 직접 브레이크실린더(210)를 저속클러치로 밀어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212)가 압축되면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이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에 작용하게 된다.

Description

중장비용 트랜스미션{Transmission of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의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 사용되는 트랜스미션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고속모드 또는 저속모드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파킹 또는 굴삭 작업시 필요한 파킹브레이크 모드, 그리고 고장 등과 같은 상황하에서 외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중립모드로 제어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장비용으로 사용되는 트랜스미션으로써의 구동장치에 대한 일례가 WO 2003/029038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보에 의하여 개시되는 구동장치는 한 쌍의 클러치를 이용하면서 상기 클러치에 의하여 동력전달계가 변환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굴삭기의 중립모드의 제어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중립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자체의 구성도 복잡하다는 단점이 지적될 수 있다.
그리고 한국 특허 제10-0895130호에 의하여 개시되는 트랜스미션에 의하면, 제1작동장치는 가압에 의하여 개방방향(클러치개방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고, 무압 상태로의 전환 시, 스프링력에 의하여 폐쇄 방향(클러치 폐쇄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작동장치는 가압에 의하여 개방 방향으로 작동하고, 무압 상태로의 전환 시 스프링력에 의하여 폐쇄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상태에서 작용하는 힘이 단순히 스프링의 힘에 의존하거나 유압의 힘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유압과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프링의 힘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적어도 특정한 조건에서는 스프링력과 유압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더욱 신뢰성 있는 동작 상태를 실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속클러치 및 저속클러치가 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굴착기용 트랜스미션 장치에서,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유압에 의하여 이동하는 브레이크피스톤이 직접 브레이크실린더를 밀어서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함과 동시에, 브레이크피스톤에 의하여 압축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도 브레이크실린더에 가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하기 위한 브레이크실린더에는, 탄성부재의 복원력과 브레이크피스톤의 하중이 동시에 가해짐으로써 저속클러치의 클로즈 상태를 보다 원활하면서도 신뢰도 높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기대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장치는, 고속주행을 위한 고속클러치와 저속주행을 위한 저속클러치가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 장치이고, 저속클러치를 가압하여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브레이크실린더; 상기 고속클러치를 가압하여 고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클러치실린더; 상기 탄성부재를 사이에 두고, 브레이크실린더를 지지하는 브레이크피스톤; 상기 고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하기 위하여 클러치실린더를 고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피스톤과 클러치실린더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고속유로포트; 그리고 상기 저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실린더를 저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제2공간로 오일을 공급하는 저속유로포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하는 경우, 상기 저속유로포트를 통하여 제2공간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피스톤이 직접 브레이크실린더를 저속클러치로 밀어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되면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이 상기 브레이크실린더에 작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속클러치의 클로즈 상태 유지가 신뢰성있는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점은 실질적으로 유압의 공급이 일시적으로 문제 시 되는 등의 상황에서도 저속상태의 유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 장치의 제1상태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 장치의 제2상태 단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장치의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유성기어감속기(10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의 입력축(Sa), 즉 엔진의 출력에 기초한 회전력이 인가되는 입력축은 태양기어(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태양기어(120)는 입력축(Sa)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성기어감속기(100)는, 입력축(Sa)과 연결되는 태양기어(120)와, 태양기어의 외측면에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112),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112)가 내접하도록 그 외측에 맞물리고 있는 링기어(110), 그리고 다수개의 유성기어(112)의 공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감속된 회전수를 출력하는 캐리어(11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성기어감속기 자체의 원리는 공지된 것이어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캐리어(114)는 종동기어(118)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118)는 출력축(12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출력축(124)의 회전은 실질적으로 굴삭기의 주행모드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행모드의 결정을 위하여 케이싱(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클러치(20,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20,30)는 습식다판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이고 그 구조 자체는 공지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입력축(Sa)을 중심으로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저속클러치(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케이싱(10)과 링기어(110)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저속클러치(20)의 일측은 링기어(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싱(10)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저속클러치(20)가 클로즈상태가 되면 링기어(110)는 케이싱(10)과 연결되기 때문에 링기어(110)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참고로 상기 링기어(110)는 유성기어(112)의 외측을 감싸면서 치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속클러치(20)의 내측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30)는 고속클러치로써, 태양기어(120)와 링기어(110) 사이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고속클러치(30)도 습식다판클러치로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태양기어(120)와 연결되고 타측은 링기어(110)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고속클러치(30)가 클로즈 상태가 되면 상기 태양기어(120)와 링기어(110)가 서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 즉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오픈되면 그 사이의 동력이 차단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고속클러치(30) 및 저속클러치(2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태양기어(120)가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축(Sa)의 주위에는, 브레이크실린더(210)와 클러치실린더(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는, 그 좌측단부가 저속클러치(20)와 접촉 또는 해제되는 것에 의하여 저속클러치(20)를 클로즈상태 또는 오픈상태로 할 수 있는 대략 실린더형상의 부재이다. 그리고 브레이크실린더(210)의 우측은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212)에 의하여 케이싱(10)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는 탄성부재(212)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속클러치(20)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저속클러치(20)는 클로즈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의 내측부분에는 클러치실린더(220)가 입력축(Sa)를 중심으로 일정구간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실린더(220)의 좌측단부는 연동실린더(230)의 단부와 접촉되어 있고, 우측단부는 케이싱과의 사이에서 또 하나의 탄성부재(22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실린더(220)는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면상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연동실린더(230)를 좌측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연동실린더(230)의 좌측단부는 고속클러치(30)를 좌측으로 밀어서 클로즈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실린더(220)는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연동실린더(230)를 밀어서 실질적으로 고속클러치(3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실린더(220)의 좌측단부는, 상기 연동실린더(230)를 좌측으로 밀 수 있도록 구성되면 충분하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러치실린더(220)의 좌측단부는 연동실린더(230)의 걸림턱(232)에 걸려서 연동클러치를 좌측으로 밀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Sa)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분과 연동실린더(230) 사이에는 스프링(234)이 개재되어, 상기 연동실린더(230)를 우측으로 미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234)은 유압이 공급된 경우 상기 연동실린더(230)가 우측으로 밀리도록 하는 것으로,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클러치실린더(220) 및 연동실린더(230)는 고속클러치(30)을 가압하여 클로즈 상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미션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는 파킹브레이크 모드이고, 예를 들면 굴삭기의 굴삭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굴삭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즉 유압의 공급이 없는 상태이고, 탄성부재(212,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실린더(220) 및 브레이크실린더(210)이 모두 클로즈 상태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클러치실린더(220) 및 브레이크실린더(210)는 유압의 공급에 의하여 동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에는 고속유로포트(P10)와 저속유로포트(P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포트(P10,P20)를 통한 오일의 공급과 주행 모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고속주행모드는, 일정한 압력을 가지는 오일이 고속유로포트(P10)로 공급되는 것에 의하여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 고속유로(P10)의 내부로 유압이 공급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실린더(210)는 예를 들면 케이싱(10) 내부의 스토퍼(217)의 구성에 의하여, 케이싱(10) 내부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저속클러치(20)는 오픈상태로 되고 탄성부재(212)는 압축된 상태이다.
여기서 도면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탄성부재(212)의 좌측에는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지지되고 탄성부재(212)의 우측에는 브레이크피스톤(310)이 지지된다. 즉 탄성부재(212)는 브레이크실린더(210)와 브레이크피스톤(310) 사이에서 지지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브레이크피스톤(310)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좌우(도면을 중심으로)로 일정 구간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고속유로포트(P10)로 오일이 공급된 고속주행모드에서는, 공간(Rb)에 오일이 머물게 되면서 이러한 유압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는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하고, 탄성부재(212)는 압축되며, 브레이크피스톤(310)는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1은 이와 같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러치실린더(220) 및 연동실린더(230)가 도면상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연동실린더(230)에 의하여 고속클러치(30)가 클로즈 상태로 된다. 따라서 고속클러치(30)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속클러치(30)가 클로즈된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기어(120)가 단부에 형성된 입력축(Sa)의 회전력은 링기어(110)을 회전시키게 되고, 링기어(110)의 회전에 따라서 그 내부에 있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112)도 공정하고, 이에 따라서 캐리어(114)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실질적으로 유성기어감속기의 감속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캐리어(114)와 맞물린 종동기어(118) 및 출력축(124)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굴삭기에서는 이와 같은 출력축(124)의 고속 회전에 따라서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는 고속주행모드가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저속주행모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저속주행모드는 저속유포포트(P20)로 고압의 오일이 공급되는 것에 이하여 이루어지고, 이러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속유로포트(P20)는, 케이싱(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브레이크피스톤(310)을 통과하여, 브레이크피스톤(310)과 클러치실린더(220) 사이의 공간(Ra)으로 오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피스톤(310)에 형성된 저속유로포트(P20)의 일부분은 브레이크피스톤(310)의 일정한 좌우 이동에도 상기 공간(Ra)으로 오일이 흐를 수 있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속유로(P20)를 통하여 오일이 트랜스미션의 내부로 공급되면, 이러한 오일은 실질적으로 클러치실린더(220)와 브레이크피스톤(310) 사이의 공간(Ra)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클러치실린더(22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브레이크피스톤(31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브레이크피스톤(31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부재(212)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브레이크피스톤(310)의 외측(케이싱 내측에 접하는 부분)의 단부가 직접 브레이크실린더(210)에 접촉하여 이를 좌측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결국은,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저속클러치(20)를 좌측으로 밀어서, 저속클러치(20)를 클로즈 상태로 만들게 되어, 실질적으로 케이싱(10)과 링기어(110)가 서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링기어(110)가 케이싱(10)에 고정됨에 따라서, 유성치차감속기는 감속된 회전수를 출력하게 된다. 즉, 입력축(Sa)의 회전은 태양기어(120)을 통하여 유성기어(112)를 회전시킨다. 유성기어(112)는, 케이싱에 고정된 상태의 링기어(110)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되고 이러한 공전은 캐리어(114)의 회전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캐리어(114)는 감속된 비율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캐리어(114)와 맞물린 종동기어(118) 및 출력축(124)도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굴삭기의 저속 주행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속주행모드를 살펴보면, 저속유로포트(P20)로 오일이 유입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피스톤(310)이 도면 상 좌측으로 밀리면서 브레이크피스톤(310)이 직접 브레이크실린더(210)를 밀게 되는 것과 동시에 브레이크피스톤(310)이 탄성부재(212)를 가압하게 되면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이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를 가압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저속모드에서 저속클러치(20)를 좌측으로 가압하는 브레이크실린더(210)는, 저속유압포트(P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일의 유압이 브레이크피스톤(310)을 통하여 전달되는 힘을 받음과 동시에 탄성부재(2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힘도 같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저속클러치(20)의 클로즈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각 상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랜스미션에 유압이 공급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파킹브레이크 모드는, 탄성부재(212,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실린더(220) 및 브레이크실린더(210)이 모두 클로즈 상태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속모드 상태는, 고속유로포트(P10)를 통하여 오일이 공간(Rb)에 유입됨으로써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저속클러치(20)에서 이격되고,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러치실린더(220) 및 연동실린더(230)가 도면상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연동실린더(230)에 의하여 고속클러치(30)가 클로즈 상태로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저속모드에서는, 저속클러치(20)를 좌측으로 가압하는 브레이크실린더(210)는, 저속유압포트(P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일의 유압이 브레이크피스톤(310)을 통하여 전달되는 힘을 받음과 동시에 탄성부재(212)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힘도 같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중립모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중립모드는 상술한 브레이크실린더(210) 및 클러치실린더(220)를 모두 오픈시킴으로써, 굴삭기가 외력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파킹모드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등 굴삭기를 자체의 동력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 트랜스미션을 중립모드로 설정해야만 적어도 외력에 의해서는 굴삭기가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고속클러치(30) 및 저속클러치(20)가 모두 오픈되어야 한다. 고속클러치(30) 및 저속클러치(20)를 모두 오픈시키기 위해서는, 고속유로포트(P10) 및 저속유로포트(P20)로 동시에 오일이 공급되어야 한다. 상기 고속유로(P10) 및 저속유로(P20)를 통하여 유압이 동시에 공급되면, 브레이크실린더(210) 및 클러치실린더(220)가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고속유로포트(P10)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저속유로포트(P20)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클러치실린더(22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고속클러치(30) 및 저속클러치(20)를 오픈 상태로 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중립 상태에서 굴삭기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진 다른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 ..... 케이싱
20 ..... 저속클러치
30 ..... 고속클러치
100 ..... 유성기어감속기
110 ..... 링기어
112 ..... 유성기어
114 ..... 캐리어
120 ..... 태양기어
210 ..... 브레이크실린더
212 ..... 탄성부재
220 ..... 클러치실린더
222 ..... 탄성부재
310 ..... 브레이크피스톤
P10 ..... 고속유로포트
P20 ..... 저속유로포트

Claims (1)

  1. 고속주행을 위한 고속클러치(30)와 저속주행을 위한 저속클러치(20)가 케이싱(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구비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 장치이고;
    상기 저속클러치(20)를 가압하여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1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브레이크실린더(210);
    상기 고속클러치(30)를 가압하여 고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클러치실린더(220);
    상기 탄성부재(212)를 사이에 두고, 브레이크실린더(210)를 지지하는 브레이크피스톤(310);
    상기 고속클러치(30)를 오픈 상태로 하기 위하여 클러치실린더(220)를 고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킬 수 있도록, 브레이크피스톤(310)과 클러치실린더(220) 사이에 형성되는 제1공간(Ra)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저속유로포트(P20); 그리고
    상기 저속클러치(20)를 오픈 상태로 하기 위하여, 브레이크실린더(210)를 저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제2공간(Rb)으로 오일을 공급하는 고속유로포트(P10)로 구성되고;
    상기 저속유로포트(P20)를 통하여 제1공간(Ra)으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하여, 브레이크피스톤(310)이 브레이크실린더(210)를 저속클러치 측으로 밀어서이동시키고, 상기 탄성부재(212)가 압축되면서 발생하는 탄성복원력이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에 같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장치.
KR1020150024246A 2015-02-17 2015-02-17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KR101655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246A KR101655841B1 (ko) 2015-02-17 2015-02-17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4246A KR101655841B1 (ko) 2015-02-17 2015-02-17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93A KR20160101793A (ko) 2016-08-26
KR101655841B1 true KR101655841B1 (ko) 2016-09-09

Family

ID=56885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4246A KR101655841B1 (ko) 2015-02-17 2015-02-17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8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1380A (ja) 2011-02-17 2012-09-10 Yanmar Co Ltd 作業車両
KR101332338B1 (ko) 2013-03-19 2013-11-22 우림기계(주) 중립 강제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미션
KR101412669B1 (ko) 2013-07-11 2014-06-27 우림기계(주)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KR101478644B1 (ko) 2013-07-11 2015-01-02 우림기계(주)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1380A (ja) 2011-02-17 2012-09-10 Yanmar Co Ltd 作業車両
KR101332338B1 (ko) 2013-03-19 2013-11-22 우림기계(주) 중립 강제 구조를 가지는 트랜스미션
KR101412669B1 (ko) 2013-07-11 2014-06-27 우림기계(주)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KR101478644B1 (ko) 2013-07-11 2015-01-02 우림기계(주)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1793A (ko) 2016-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90879B (zh) 多重离合装置和用于机动车的混合动力模块
JP5854900B2 (ja) 動力伝達装置
KR101580934B1 (ko) 쇼벨
US4279330A (en) Double-acting disc brake
KR102634032B1 (ko) 자동차용 멀티 클러치 장치 및 하이브리드 모듈
KR101655841B1 (ko)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KR101580936B1 (ko) 쇼벨
CN104999909A (zh) 车辆用动力传递装置
KR101580930B1 (ko) 쇼벨
KR101478644B1 (ko)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KR101412669B1 (ko)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US10760660B2 (en) Hydraulic unit
CN102840249B (zh) 离合器和工程机械
KR101473574B1 (ko) 차량용 다판 클러치의 구동장치
KR102324433B1 (ko) 변속 시스템
CN104685251A (zh) 通气构造
CN204610734U (zh) 一种具有辅助制动功能的行星减速机
KR102324421B1 (ko) 변속 시스템
CN208268323U (zh) 一种单控片式双离合器平行轴变速器
KR20150128089A (ko) 중장비 트랜스미션의 중립 제어를 위한 유압밸브체
KR101598364B1 (ko) 용적형 클러치, 용적형 클러치와 용적형 제동장치를 포함하는 동력전달 시스템 및 용적형 클러치를 이용한 변속장치
KR20040055954A (ko) 굴삭기용 선회 감속기의 브레이크 장치
KR102343033B1 (ko) 유압 시스템
KR100461433B1 (ko) 유성기어를 이용한 클러치
CN104662337A (zh) 具备带锁定机构的摩擦元件的自动变速器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