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8644B1 -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 Google Patents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8644B1
KR101478644B1 KR20130081714A KR20130081714A KR101478644B1 KR 101478644 B1 KR101478644 B1 KR 101478644B1 KR 20130081714 A KR20130081714 A KR 20130081714A KR 20130081714 A KR20130081714 A KR 20130081714A KR 101478644 B1 KR101478644 B1 KR 10147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clutch
low
speed clutch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민
백승기
길병구
김성용
Original Assignee
우림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기계(주) filed Critical 우림기계(주)
Priority to KR2013008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8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8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6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 F16D25/062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 F16D25/063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 F16D25/0635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 F16D25/0638Fluid-actuated clutches in which the fluid actuates a piston incorporated in, i.e. rotating with the clutch the clutch having friction surfaces with clutch members exclusively moving axially with flat friction surfaces, e.g. discs with more than two discs, e.g. multip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10Brak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2057/0203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16H2057/02069Gearbox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 F16H2057/02073Reduction gearboxes for indus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 장치로써; 케이싱과 유성기어감속기의 링기어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는 저속클러치(20)와; 단부에 유성기어감속기의 태양기어가 형성된 입력축과 상기 링기어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는 고속클러치(30); 일단부가 상기 저속클러치(20)에 접촉하여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1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브레이크실린더(210); 일단부가 상기 고속클러치(30)를 가압하여 고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클러치실린더(220); 공급되는 유압원에 의하여 상기 고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클러치실린더를 고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고속유로(P10); 그리고 공급되는 유압원에 의하여 상기 저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실린더를 저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저속유로(P20)을 포함하다. 그리고 고속유로 및 저속유로를 통하여 동시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실린더 및 브레이크 실린더가 고속 및 저속클러치를 모두 오픈시킨다.

Description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Transmission apparatus using planitary gear decelerator}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굴삭기 등과 같은 중장비에 이용되는 것으로,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하면서 내부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트랜스미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와 같은 중장비에 사용되는 트랜스미션은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이용하여 고속모드 또는 저속모드로 주행할 수 있도록 제어하거나, 파킹 또는 굴삭 작업시 필요한 파킹브레이크 모드, 그리고 고장 등과 같은 상황하에서 외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중립모드로 제어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중장비용으로 사용되는 트랜스미션으로써의 구동장치에 대한 일례가 WO 2003/029038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의하여 개시되고 있는 구동장치는 한 쌍의 클러치를 이용하면서 상기 클러치에 의하여 동력전달계가 변환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내부의 구성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의 내부 구성을 더욱 단순화함과 동시에 동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이 내부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구성부품 수의 감소에 의한 제조 코스트 상의 장점을 가짐은 물론이고, 조립 공정에서도 이에 대응하는 만큼의 생산성 향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 장치로써; 케이싱과 유성기어감속기의 링기어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는 저속클러치와; 단부에 유성기어감속기의 태양기어가 형성된 입력축과 상기 링기어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는 고속클러치; 일단부가 상기 저속클러치에 접촉하여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브레이크실린더; 일단부가 상기 고속클러치를 가압하여 고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또 하나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클러치실린더; 공급되는 유압원에 의하여 상기 고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클러치실린더를 고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고속유로; 그리고 공급되는 유압원에 의하여 상기 저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실린더를 저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저속유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속유로 및 저속유로를 통하여 동시에 유압이 공급되면, 상기 클러치실린더 및 브레이크 실린더가 고속 및 저속클러치를 모두 오픈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압블럭은, 내부통로를 구비하는 원통상의 블럭과, 상기 블럭의 내부 통로에서 조정볼트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압블럭에는 조정볼트의 노멀상태에서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압을 고속유로와 연결시키는 제1포트와 외부에서의 유압을 저속유로와 연결시키는 제2포트가 구비되고, 조정볼트가 이동한 중립상태에서 상기 제1유로 및 제2유로에 동시에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제3포트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함ㄴ, 상기 블럭은 제1포트 내지 제3포트 및 제1출구포트 및 제2출구포트를 구비하고; 입구를 구비하는 이동블럭은 내부통로와,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내지 제3유로을 구비하며; 노멀상태에서 제1포트는 제1출구포트와 연결되어 고속유로로 유압이 제공될 수 있고, 제2포트는 제유로를 통하여 제2출구포트와 연결되어 저속유로로 유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조정볼트가 이동한 중립상태에서는 내부통로의 입구가 제3유로과 연결되고 내부통로는 제1유로 및 제3유로을 통하여 제1출구포트 및 제2출구포트로 연결되어, 트랜스미션의 고속유로 및 저속유로로 유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장치는, 케이싱의 내부에 브레이크실린더 및 클러치실린더라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한 쌍의 클러치를 각각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내부 구성이 현저하게 단순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의 단순함은 구성부품 수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제조 코스트의 저감, 그리고 조립공정에서의 생산성 향상이라는 작용효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 장치의 제1상태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 장치의 제2상태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 장치의 제3상태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유압제어를 위한 유압블럭의 제1상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압제어를 위한 유압블럭의 제2상태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랜스미션장치의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유성기어감속기(100)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의 입력축(Sa), 즉 엔진의 출력에 기초한 회전력이 인가되는 입력축은 태양기어(1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태양기어(120)는 입력축(Sa)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성기어감속기(100)는, 입력축(Sa)과 연결되는 태양기어(120)와, 태양기어의 외측면에 맞물려 있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112), 그리고 상기 유성기어(112)가 내접하도록 그 외측에 맞물리고 있는 링기어(110), 그리고 다수개의 유성기어(112)의 공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감속된 회전수를 출력하는 캐리어(11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유성기어감속기 자체의 원리는 공지된 것이어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캐리어(114)는 종동기어(118)과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118)는 출력축(12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출력축(124)의 회전은 실질적으로 굴삭기의 주행모드를 결정하게 될 것이다.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클러치(20,3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20,30)는 습식다판클러치로 구성되는 것이고 그 구조 자체는 공지된 것이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입력축을 중심으로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저속클러치(20)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케이싱(10)과 링기어(110)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저속클러치(20)의 일측은 링기어(1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케이싱(10)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저속클러치(20)가 클로즈상태가 되면 링기어(110)는 케이싱(10)과 연결되기 때문에 링기어(110)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참고로 상기 링기어(110)는 유성기어(112)의 외측을 감싸면서 치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면상 우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저속클러치(20)의 내측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클러치(30)는 고속클러치로써, 태양기어(120)와 링기어(110) 사이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속클러치(30)도 습식다판클러치로 구성되고, 일측은 상기 태양기어(120)와 연결되고 타측은 링기어(11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속클러치(30)가 클로즈 상태가 되면 상기 태양기어(120)와 링기어(110)가 서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상태, 즉 연동하여 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오픈되면 그 사이의 동력이 차단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고속클러치(30) 및 저속클러치(20)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도 1의 케이싱(10) 내부의 우측 부분을 참고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태양기어(120)가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입력축(Sa)의 주위에는, 브레이크실린더(210)와 클러치실린더(2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는, 그 좌측단부가 저속클러치(20)와 접촉 또는 해제되어 클로즈 또는 오픈상태로 할 수 있는 대략 실린더형상의 부재이고, 그 우측단부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212)에 의하여 케이싱(10) 내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는 탄성부재(212)의 탄성력에 기초하여 상기 저속클러치(20) 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있고, 이러한 상태는 상기 저속클러치(2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의 내측부분에는 클러치실린더(220)가 입력축(Sa)를 중심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실린더(220)의 좌측단부는 연동실린더(230)의 단부와 접촉되어 있고, 우측단부는 케이싱과의 사이에서 또 하나의 탄성부재(222)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실린더(220)는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면상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연동실린더(230)를 좌측으로 밀고 있는 상태이다.
상기 연동실린더(230)의 좌측단부는 고속클러치(30)를 좌측으로 밀어서 클로즈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이 공급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클러치실린더(220)는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연동실린더(230)를 밀어서 실질적으로 고속클러치(30)를 클로즈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클러치실린더(220)의 좌측단부는, 상기 연동실린더(230)를 좌측으로 밀 수 있도록 구성되면 충분하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러치실린더(220)의 좌측단부는 연동실린더(230)의 걸림턱(232)에 걸쳐서 연동클러치를 좌측으로 밀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Sa)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분과 연동실린더(230) 사이에는 스프링(234)이 개재되어, 상기 연동실린더(230)를 우측으로 미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234)은 유압이 공급된 경우 상기 연동실린더(230)가 우측으로 밀리도록 하는 것으로,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클러치실린더(220) 및 연동실린더(230)는 고속클러치(30)을 가압하여 클로즈 상태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미션에 유압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는 파킹브레이크 모드이고, 예를 들면 굴삭기의 굴삭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굴삭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즉 유압의 공급이 없는 상태이고, 탄성부재(212,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클러치실린더(220) 및 브레이크실린더(210)이 모두 클로즈 상태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술한 클러치실린더(220) 및 브레이크실린더(210)는 유압의 공급에 의하여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유압은 유압블럭(160)을 경유하여, 트랜스미션의 내부로 공급된다. 본 발명의 트랜스미션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유압블럭(160)의 상세한 내부 구성이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유압블럭(160)의 구성 및 유압의 공급에 의한 트랜스미션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유압블럭(160)는, 일측이 개구되고, 중앙에 내부 통로를 가지는 블럭(162)과, 상기 블럭(162)의 내부 통로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블럭(170)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블럭(170) 및 블럭(162)의 내부통로는 원통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럭(162)에는 외부에서 유압이 공급되기 위한 입구로써 세 개의 포트(Pa,Pb,Pn)이 마련되어 있고, 트랜스미션의 내부로 들어가는 두 개의 출구포트(Pao,Pbo)가 마련되어 있다.
제1포트(Pa)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일을 고속유로(P10)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고, 제2포트(Pb)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오일을 저속유로(P10)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며, 이들 포트(Pa,Pb)는 실질적으로 작업자의 선택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또 하나의 포트(Pn)은 중립 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고속유로(P10) 및 저속유로(P20)는, 트랜스미션의 내부로 유압이 공급되는 통로 및 트랜스미션의 내부에서 공급된 유로가 머물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실린더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오일이 멈추는 리저버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유압블럭(160)의 각각의 포트를 통하여 유압의 공급에 의한 주행 모드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고속주행모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노멀모드에서 제1포트(Pa)를 통해서만 유압이 공급되면, 이는 내부의 통로를 거쳐서 제1출구포트(Pao)를 거쳐, 고속유로(P10)로 유압이 공급된다. 상기 고속유로(P10)의 내부로 유압이 공급되어 머물게 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실린더(210)는 예를 들면 케이싱(10) 내부의 스토퍼(217)의 구성에 의하여, 케이싱(10) 내부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저속클러치(20)는 오픈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탄성부재(222)의 탄성력에 의하여 클러치실린더(220) 및 연동실린더(230)가 도면상 좌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상기 연동실린더(230)에 의하여 고속클러치(30)가 클로즈 상태로 된다. 따라서 고속클러치(30)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고속클러치(30)가 클로즈된 상태이기 때문에, 태양기어(120)가 단부에 형성된 입력축(Sa)의 회전력은 링기어(110)을 회전시키게 되고, 링기어(110)의 회전에 따라서 그 내부에 있는 복수 개의 유성기어(112)도 공정하고, 이에 따라서 캐리어(114)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은 실질적으로 유성기어감속기의 감속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라고 할 수 있고, 캐리어(114)와 맞물린 종동기어(118) 및 출력축(124)이 고속으로 회전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굴삭기에서는 이와 같은 출력축(124)의 고속 회전에 따라서 고속으로 주행할 수 있는 고속주행모드가 되는 것이다.
다음에는 저속주행모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서 제2포트(Pb)만을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면, 이동블럭(170)의 외주연에 형성된 제2유로(Fb) 및 제2출구포트(Pbo)를 통하여 트랜스미션 내의 저속유로(P20)로 오일이 공급되어 유압이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속유로(P20)를 통하여 유압이 트랜스미션의 내부로 공급되면 오일은 실질적으로 클러치실린더(200)와 브레이크실린더(210) 사이로 공급된다. 따라서 클러치실린더(220)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브레이크실린더(21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단부가 저속클러치(20)를 클로즈 상태로 만들게 되어, 실질적으로 케이싱(10)과 링기어(110)가 서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링기어(110)가 케이싱(10)에 고정됨에 따라서, 유성치차감속기는 감속된 회전수를 출력하게 된다. 즉, 입력축(Sa)의 회전은 태양기어(120)을 통하여 유성기어(112)를 회전시킨다. 유성기어(112)는, 케이싱에 고정된 상태의 링기어(110)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되고 이러한 공전은 캐리어(114)의 회전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캐리어(114)는 감속된 비율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캐리어(114)와 맞물린 종동기어(118) 및 출력축(124)도 저속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는 굴삭기의 저속 주행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다음에는 중립모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중립모드는 상술한 브레이크실린더(210) 및 클러치실린더(220)를 모두 오픈시킴으로써, 굴삭기가 외력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블럭(160)를 조작해야 한다. 즉, 블럭(162)의 개구된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정볼트(18)를 회전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이동블럭(170)을 예를 들면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유압블럭(160) 자체를 중립모드로 전환한다.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진행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이동블럭(170)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1유로(Fa)는 제1출구포트(Pao)과 연결되고, 제3유로(Fn)는 제출구포트(Pb)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3포트(Pn)을 통하여 외부에서 유압이 제공되면, 이동블럭(170)의 입구(174a)에서 내부유로(17)를 따라, 그리고 제1 및 제2출구포트(Pao,Pbo)를 통하여 고속유로(P10) 및 저속유로(P20)로 동시에 유압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3포트(Pn)을 통한 유압의 공급은 통상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3포트를 통하여 유압의 공급도 작업자가 조작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속유로(P10) 및 저속유로(P20)를 통하여 유압이 동시에 공급되면,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실린더(210) 및 클러치실린더(220)가 동시에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고속유로(P10)에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브레이크실린더(210)가 우측으로 이동하고, 저속유로(P20)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클러치실린더(220)도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브레이크실린더(210) 및 클러치실린더(220)이 모두 고속클러치(30) 및 저속클러치(20)와는 무관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두 개의 클러치(20,30)가 모두 오픈 상태인 중립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립상태에서 굴삭기는 외력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블럭(160)의 구성을 정리하면, 외부에서 유입이 제공될 수 있는 입력포트로써 제1 내지 제3포트(Pa,Pb,Pn)와, 출력포트(트랜스미션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포트)로써 제1출력포트(Pao) 및 제2출력포트(Pbo)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70)의 외주연에는 세 개의 유로(Fa,Fb,Fc)가 환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유로(17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유로(174)는 제1유로(Fa) 및 제3유로(Fn)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블럭(170)의 위치조정에 의하여 입력 포트에 대한 출력 포트가 변경될 수 있고, 이동블럭(170)의 위치조정은 조정볼트(18)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4에 도시한 일반적인 모드(노멀모드)에서는, 제1포트(Pa)를 통한 유압의 제공은 제1출구포트(Pao)를 통하여 고속유로(P10)로, 그리고 제2포트(Pb)를 통하여 유압은 제2유로(Fb) 및 제2출구포트(Pbo)를 경유하여 저속유로(P20)로 각각 제공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조정볼트(18)가 결합되는 위치, 즉 통로 내부에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내부포트(174)위 입구(174a)를 통한 유압이 내부유로(174)를 통하여 제1유로(Fa) 및 제3유로(Fn)을 통하여 고속유로(P10) 및 저속유로(P20)로 동시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의 내부에는 브레이크실린더(210)와 클러치실린더(220)라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두 개의 클러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여러 가진 다른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그 보호범위가 결정되어야 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10 ..... 케이싱
18 ..... 조정볼트
20 ..... 저속클러치
30 ..... 고속클러치
100 ..... 유성기어감속기
110 ..... 링기어
112 ..... 유성기어
114 ..... 캐리어
120 ..... 태양기어
160 ..... 유압블럭
162 ..... 블럭
170 ..... 이동블럭
210 ..... 브레이크실린더
212 ..... 탄성부재
220 ..... 클러치실린더
222 ..... 탄성부재

Claims (3)

  1.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하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 장치로써;
    케이싱과 유성기어감속기의 링기어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는 저속클러치(20)와;
    단부에 유성기어감속기의 태양기어가 형성된 입력축과 상기 링기어 사이의 동력을 단속하는 고속클러치(30);
    일단부가 상기 저속클러치(20)에 접촉하여 저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1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브레이크실린더(210);
    일단부가 상기 고속클러치(30)를 가압하여 고속클러치를 클로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서 탄성부재(222)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는 클러치실린더(220);
    공급되는 유압원에 의하여 상기 고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클러치실린더를 고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고속유로(P10);
    공급되는 유압원에 의하여 상기 저속클러치를 오픈 상태로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실린더를 저속클러치에서 이격시키는 저속유로(P20); 그리고
    상기 고속유로 및 저속유로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블럭(1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압블럭(160)은, 내부통로를 구비하는 원통상의 블럭(162)과, 상기 블럭의 내부 통로에서 조정볼트(18)에 의하여 이동 가능한 이동블럭(170)을 포함하고;
    상기 블럭(162)은 제1포트 내지 제3포트(Pa,Pb,Pn)와 제1출구포트(Pao) 및 제2출구포트(Pbo)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블럭(170)은 입구(174a)를 가지는 내부통로(174)와, 외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제1 내지 제3유로(Fa,Fb,Fn)을 구비하여;
    노멀상태에서, 제1포트(Pa)는 제1출구포트(Pao)와 연결되어 고속유로로 유압이 제공될 수 있고, 제2포트(Pb)는 제2유로(Fb)를 통하여 제2출구포트(Pbo)와 연결되어 저속유로로 유압이 제공될 수 있으며, 조정볼트가 이동한 중립상태에서는 내부통로의 입구(174a)가 제3유로(Fn)과 연결되고 내부통로(174)는 제1유로(Fa) 및 제3유로(Fn)을 통하여 제1출구포트 및 제2출구포트로 연결되어, 트랜스미션의 고속유로 및 저속유로로 동시에 유압이 공급되어 클러치실린더 및 브레이크 실린더가 고속 및 저속클러치를 모두 오픈시키는 굴삭기용 트랜스미션장치.
  2. 삭제
  3. 삭제
KR20130081714A 2013-07-11 2013-07-11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KR10147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714A KR101478644B1 (ko) 2013-07-11 2013-07-11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1714A KR101478644B1 (ko) 2013-07-11 2013-07-11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8644B1 true KR101478644B1 (ko) 2015-01-02

Family

ID=52587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1714A KR101478644B1 (ko) 2013-07-11 2013-07-11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8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793A (ko) * 2015-02-17 2016-08-26 우림기계(주)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441U (ko) * 1986-07-30 1988-02-18
JPH10325454A (ja) * 1997-05-26 1998-12-08 Komatsu Ltd 建設車両の走行駆動装置
KR20030097842A (ko) * 2001-05-03 2003-12-31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변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4441U (ko) * 1986-07-30 1988-02-18
JPH10325454A (ja) * 1997-05-26 1998-12-08 Komatsu Ltd 建設車両の走行駆動装置
KR20030097842A (ko) * 2001-05-03 2003-12-31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변속기
US20040121872A1 (en) 2001-05-03 2004-06-24 Helmut Eymuller Shiftable transmiss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793A (ko) * 2015-02-17 2016-08-26 우림기계(주)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KR101655841B1 (ko) 2015-02-17 2016-09-09 우림기계(주)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0934B1 (ko) 쇼벨
US20070240962A1 (en) Infinitely-Variable Transmission with Double Mode Power Transmission Controlled by a Sliding Dog for a Motor Vehicle
CN103883686B (zh) 双速比行走减速机
WO2011062172A1 (ja) 作業用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5597645B2 (ja) 車両用の駆動機構
KR20140073435A (ko) 역회전 방향 휠 시스템에 따른 댐핑 발생 예방이 가능한 양방향으로 입력하고 고정된 방향으로 출력하는 휠 시스템
KR101478644B1 (ko)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KR101580936B1 (ko) 쇼벨
KR101412669B1 (ko) 유성기어감속기를 이용한 트랜스미션장치
KR101580930B1 (ko) 쇼벨
KR101655841B1 (ko) 중장비용 트랜스미션
US20150072820A1 (en) Manipulatable Epicyclic Type Clutch Device Coupled with Hybrid Power Train
KR101467058B1 (ko) 변속 시 토크 드롭이 방지된 변속장치
CN107269781B (zh) 可控周转轮组离合装置及应用动力系统
WO2014119844A1 (ko) 건설기계의 선회구동장치
KR20150128089A (ko) 중장비 트랜스미션의 중립 제어를 위한 유압밸브체
CN204610734U (zh) 一种具有辅助制动功能的行星减速机
KR101473574B1 (ko) 차량용 다판 클러치의 구동장치
CN103711448A (zh) 一种连续管作业机滚筒排管转换装置及其控制系统
JP6944417B2 (ja) 動力伝達装置
CN102359581A (zh) 旋转中心换挡的啮合套操纵机构
KR101316097B1 (ko)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JP2008185096A (ja) 回転及び動力伝達切換装置
KR101733188B1 (ko) 단일구동제공형 이중 출력용 유성감속장치
TW201303185A (zh) 可控周轉輪組離合裝置及應用動力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