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6097B1 -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6097B1
KR101316097B1 KR1020120121588A KR20120121588A KR101316097B1 KR 101316097 B1 KR101316097 B1 KR 101316097B1 KR 1020120121588 A KR1020120121588 A KR 1020120121588A KR 20120121588 A KR20120121588 A KR 20120121588A KR 101316097 B1 KR101316097 B1 KR 101316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rake
output shaft
coupl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종현
송종엽
Original Assignee
송종엽
송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종엽, 송종현 filed Critical 송종엽
Priority to KR102012012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10Brak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an orbital gear has an axis crossing the main axes of the gearing and has helical teeth or is a w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73Friction devices, e.g. clutches or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기계류 등에서 동력을 단속 가능한 상태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축의 정지 없이 2개의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원통형의 본체 내측으로 입력 베벨기어와 출력 베벨기어 및 2개의 연결 베벨기어를 조합한 차동기어장치와, 차동기어장치의 입력 베벨기어에 결합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과, 차동기어장치의 출력 베벨기어에 결합하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기체에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차동기어장치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출력축에 결합된 드럼에 결합되는 제2브레이크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접링기어의 중심에 선기어를 배치하고, 내접링기어와 선기어를 캐리어에 축결합된 복수의 유성기어로 기어결합한 감속 유성기어장치와, 감속 유성기어장치의 선기어와 일체 형성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과, 유성기어장치의 내접링기어와 일체로 형성하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기체에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상기 내접링기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유성기어들이 결합된 캐리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2브레이크로 구성하거나, 상기 유성기어들이 결합된 캐리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내접링기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2브레이크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Electric power switchable speed reducer}
본 발명은 각종 기계류 등에서 동력을 단속 가능한 상태로 전달할 수 있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축의 정지 없이 2개의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각종 기계류 등에서 입력축의 회전수를 감속 출력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의 감속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특히 입력축과 출력축이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감속장치의 예로는 차동기어장치나 유성기어장치 등이 제공되고 있다.
차동기어장치의 예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B1)10-1990-004654호(공고)(1990.07.02.)의 차동식 자동 감속장치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1986-0009252호(1986.12.20.)의 차동식 감속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또한 유성기어장치의 경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10-0669484호(2006.12.20.)의 감속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A)10-2000-0059738호(2000.10.05.)의 감속장치 등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한 종래 감속기들의 경우 대부분 감속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기능성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한 것으로서, 출력축으로 출력되는 동력을 단속하기 위해서는 입력축으로 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디스크장치를 별도로 부착하거나 또는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 등의 가동을 중지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던 것으로, 업계에서는 감속기 자체에서 동력 단속이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속장치가 요구되어 있는 실정이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요구에 충족하는 감속장치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990004654 B1 1990.07.02. KR 1019860009252 A 1986.12.20. KR 100669484 B1 2006.12.20. KR 1020000059738 A 2000.10.05.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축의 정지 없이 2개의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출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게 함으로 해서 사용 편리성을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원통형의 본체 내측으로 입력 베벨기어와 출력 베벨기어 및 2개의 연결 베벨기어를 조합한 차동기어장치와, 차동기어장치의 입력 베벨기어에 결합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과, 차동기어장치의 출력 베벨기어에 결합하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기체에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차동기어장치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출력축에 결합된 드럼에 결합되는 제2브레이크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접링기어의 중심에 선기어를 배치하고, 내접링기어와 선기어를 캐리어에 축결합된 복수의 유성기어로 기어결합한 감속 유성기어장치와, 감속 유성기어장치의 선기어와 일체 형성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과, 유성기어장치의 내접링기어와 일체로 형성하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기체에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내접링기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유성기어들이 결합된 캐리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2브레이크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접링기어의 중심에 선기어를 배치하고, 내접링기어와 선기어를 캐리어에 축결합된 복수의 유성기어로 기어결합한 감속 유성기어장치와, 감속 유성기어장치의 선기어와 일체 형성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과, 유성기어장치의 캐리어와 일체로 형성되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을 기체에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유성기어들이 결합된 캐리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와, 상기 내접링기어의 외부에 접하는 제2브레이크로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는 입력축과 출력축을 직선상에 배치하는 감속장치를 구성하면서 입력축의 정지 없이 2개의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동력을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외형을 콤팩트하게 제공할 수 있다.
2개의 블레이크를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동력 제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블레이크 패드를 교체하는 수고로움으로 유지 보수가 가능하므로 유지 보수의 편리성과 함께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제1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2의 도 2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제2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제3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실시례 들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제1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의 제1실시례는 차동기어장치(2)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차동기어장치(2)는 외형이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본체(3) 내측으로 입력 베벨기어(4)와 출력 베벨기어(5) 및 2개의 연결 베벨기어(6)를 조립한 구성이다.
제 1실시례는 상기 차동기어장치(2)의 입력 베벨기어(4)에는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7)을 결합하고, 출력 베벨기어(5)에는 출력축(8)을 결합하되, 이들 입력축(7)과 출력축(8)은 기체(9)에 설치한 베어링(10)에 축결합하여 차동기어장치(2)가 기체(9)에서 떨어진 상태로 자유회전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출력축(8)에는 브레이크드럼(11)을 설치한다.
상기 차동기어장치(2)의 본체(3) 외부와 출력축(8)에 설치된 브레이크드럼(11)에는 각각 기체(9)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레이크(12)와, 제2브레이크(13)를 설치한다.
상기 제1,2브레이크(12)(13)는 차동기어장치(2)의 본체(3) 외부와 출력축(8)에 설치된 브레이크드럼(11)의 표면에 면 접촉되는 패드를 교환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서, 기계식, 유압 또는 공압식, 전자식 등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동차나 모터 등의 동력 제어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브레이크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제1실시례에 의하면 입력축(7)을 구동한 상태에서 출력축(8)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먼저 출력축(8)을 구동하는 방법으로는 입력축(7)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12)를 작동시켜 차동기어장치(2)의 본체(3)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차동기어장치(2)의 본체(3)가 정지되면 입력축(7)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 베벨기어(4)의 회전력이 2개의 연결 베벨기어(6)를 통해서 출력 베벨기어(5)에 전달되어 출력축(8)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력축(8)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는 입력축(7)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13)를 작동시켜 출력축(8)에 설치된 브레이크드럼(11)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드럼(11)이 제2브레이크(13)에 의해 정지되면 차동기어장치(2)의 본체(3)가 회전되는데, 이때 입력축(7)에 결합되어 있는 입력 베벨기어(4)의 회전력이 2개의 연결 베벨기어(6)를 통해서 1차 전달된 후 고정 상태의 출력 베벨기어(5)를 따라서 본체(3)와 함께 회전하면서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제2실시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의 제2실시례는 감속 유성기어장치(20)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감속 유성기어장치(20)는 내접링기어(21)의 중심에 선기어(22)를 배치하고, 내접링기어(21)와 선기어(22)를 캐리어(24)에 축결합된 복수의 유성기어(23)로 기어결합한 구성이다.
제 2실시례는 상기 감속 유성기어장치(20)의 선기어(22)에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25)을 일체로 형성하고, 감속 유성기어장치(20)의 캐리어(24)에 출력축(26)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들 입력축(25)과 출력축(26)은 기체(27)에 설치한 베어링(27a)에 축설치하여 감속 유성기어장치(20)가 기체(27)에서 떨어진 상태로 자유회전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감속 유성기어장치(20)의 내접링기어(21) 외부와 유성기어(23)들이 결합된 캐리어(24)의 외부에는 각각 기체(27)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레이크(28)와, 제2브레이크(29)를 설치한다.
상기 제1,2브레이크(28)(29)는 상기 제1실시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의 제2실시례에 의하면 입력축(25)을 구동한 상태에서 출력축(26)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먼저 출력축(26)을 구동하는 방법으로는 입력축(25)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28)를 작동시켜 내접링기어(21)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내접링기어(21)가 정지되면 입력축(25)과 일체 형성된 선기어(22)의 회전력이 유성기어(23)들을 회전시키게 되며, 유성기어(23)들은 정지상태의 내접링기어(21)를 따라서 회전되면서 출력축(26)이 일체 형성된 캐리어(24)를 회전시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력축(26)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는 입력축(25)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29)를 작동시켜 출력축(26)이 일체 형성된 캐리어(24)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24)가 제2브레이크(29)에 의해 정지되면 감속 유성기어장치(20)의 내접링기어(21)가 회전되는데, 이때 입력축(25)에 일체 형성된 선기어(22)의 회전력이 유성기어(23)들을 통해서 1차 전달된 후 내접링기어(21)를 회전시키면서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의 제3실시례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 3실시례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는 상기 제2실시례와 같이 감속 유성기어장치(30)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감속 유성기어장치(30)는 내접링기어(31)의 중심에 선기어(32)를 배치하고, 내접링기어(31)와 선기어(32)를 캐리어(34)에 축결합된 복수의 유성기어(33)로 기어결합한 구성이다.
상기 감속 유성기어장치(30)의 선기어(32)에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35)을 일체로 형성하고, 감속 유성기어장치(30)의 내접링기어(31)에 출력축(36)을 일체로 형성하며, 이들 입력축(35)과 출력축(36)은 기체(37)에 설치한 베어링(37a)에 축결합하여 감속 유성기어장치(30)가 기체(37)에서 떨어진 상태로 자유회전될 수 있게 설치한다.
상기 감속 유성기어장치(30)의 유성기어(33)들이 결합된 캐리어(34)의 외부와 내접링기어(31) 외부에는 각각 기체(37)에 고정 설치되는 제1브레이크(38)와, 제2브레이크(39)를 설치한다.
상기 제1,2브레이크(38)(39)는 상기 제1실시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의 제3실시례에 의하면 입력축(35)을 구동한 상태에서 출력축(36)으로 동력을 전달하거나 또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먼저 출력축(36)을 구동하는 방법으로는 입력축(35)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브레이크(38)를 작동시켜 캐리어(34)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캐리어(34)가 정지되면 입력축(35)과 일체 형성된 선기어(32)의 회전력이 유성기어(33)들을 회전시키게 되며, 유성기어(33)들은 출력축(36)이 일체 형성된 내접링기어(31)를 회전시켜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력축(36)을 정지시키는 방법으로는 입력축(35)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제2브레이크(39)를 작동시켜 출력축(36)이 일체 형성된 내접링기어(31)를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내접링기어(31)가 제2브레이크(39)에 의해 정지되면 감속 유성기어장치(30)의 유성기어(33)들과 함께 캐리어(34)가 회전되면서 동력 전달이 차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2:차동기어장치 3:본체
4:입력 베벨기어 5:출력 베벨기어
6:연결 베벨기어 7:입력축
8:출력축 9:기체
10:베어링 11:브레이크드럼
12:제1브레이크 13:제2브레이크
20,30:감속 유성기어장치 21,31:내접링기어
22,32:선기어 23,33:유성기어
24,34:캐리어 25,35:입력축
26,36:출력축 27,37:기체
28,38:제1브레이크 29,39:제2브레이크

Claims (3)

  1.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에 있어서,
    원통형의 본체(3) 내측으로 입력 베벨기어(4)와 출력 베벨기어(5) 및 2개의 연결 베벨기어(6)를 조합한 차동기어장치(2)와,
    차동기어장치(2)의 입력 베벨기어(4)에 결합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7)과,
    차동기어장치(2)의 출력 베벨기어(5)에 결합하는 출력축(8)과,
    상기 입력축(7)과 출력축(8)을 기체(9)에 지지하는 베어링(10)과,
    상기 차동기어장치(2)의 외부에 접하도록 기체(9)에 설치한 제1브레이크(12)와,
    상기 출력축(8)에 결합된 브레이크드럼(11)에 결합되는 제2브레이크(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2.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에 있어서,
    내접링기어(21)의 중심에 선기어(22)를 배치하고, 내접링기어(21)와 선기어(22)를 캐리어(24)에 축결합된 복수의 유성기어(23)로 기어결합한 감속 유성기어장치(20)와,
    감속 유성기어장치(20)의 선기어(22)와 일체 형성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25)과,
    감속 유성기어장치(20)의 캐리어(24)와 일체로 형성되는 출력축(26)과,
    상기 입력축(25)과 출력축(26)을 기체(27)에 지지하는 베어링(27a)과,
    상기 내접링기어(21)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28)와,
    상기 유성기어(23)들이 결합된 캐리어(24)의 외부에 접하는 제2브레이크(29)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3.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1)에 있어서,
    내접링기어(31)의 중심에 선기어(32)를 배치하고, 내접링기어(31)와 선기어(32)를 캐리어(34)에 축결합된 복수의 유성기어(33)로 기어결합한 감속 유성기어장치(30)와,
    감속 유성기어장치(30)의 선기어(32)와 일체 형성되어 모터나 기타 동력에 의해 제공되는 구동력을 입력하는 입력축(35)과,
    감속 유성기어장치(30)의 내접링기어(31)와 일체로 형성되는 출력축(36)과,
    상기 입력축(35)과 출력축(36)을 기체(37)에 지지하는 베어링(37a)과,
    상기 유성기어(33)들이 결합된 캐리어(34)의 외부에 접하는 제1브레이크(28)와,
    상기 내접링기어(31)의 외부에 접하는 제2브레이크(39)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KR1020120121588A 2012-10-30 2012-10-30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KR101316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88A KR101316097B1 (ko) 2012-10-30 2012-10-30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588A KR101316097B1 (ko) 2012-10-30 2012-10-30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097B1 true KR101316097B1 (ko) 2013-10-11

Family

ID=4963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588A KR101316097B1 (ko) 2012-10-30 2012-10-30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0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552A (ja) * 1985-07-30 1987-02-06 Daihatsu Motor Co Ltd 前後進切換装置
KR200325585Y1 (ko) 2003-05-24 2003-09-06 박영원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워엄감속기
JP2005221053A (ja) 2004-02-09 2005-08-18 Hitachi Ltd 動力伝達装置および車両の操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552A (ja) * 1985-07-30 1987-02-06 Daihatsu Motor Co Ltd 前後進切換装置
KR200325585Y1 (ko) 2003-05-24 2003-09-06 박영원 브레이크 장치가 구비된 워엄감속기
JP2005221053A (ja) 2004-02-09 2005-08-18 Hitachi Ltd 動力伝達装置および車両の操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2172A1 (ja) 作業用車両の動力伝達装置
US9447830B2 (en) Electric brake actuator for vehicles
KR20140109300A (ko) 전기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시프트 기어박스
JP2014199108A (ja) ショベル
CN103062242A (zh) 电动操作驱动器的动力传递装置和磁流变联轴器
EP3597810B1 (en) Washing machine decelerating clutch and washing machine
CN102042373A (zh) 一种利用单向轴承单向驱动特性的变速系统
JP5980711B2 (ja) ショベル
KR20170036448A (ko) 일방향 감속장치
CN103321017A (zh) 一种双动力洗衣机直驱离合器
KR101316097B1 (ko) 동력 단속이 가능한 감속장치
JP6170321B2 (ja) ショベル
CN104956004B (zh) 工程机械的回转驱动装置
JP7365714B2 (ja) 回転式変速機構
CN104956123A (zh) 变速装置
CN204597715U (zh) 带有减速机构的电机
JP6011310B2 (ja) 動力伝達装置
KR101307576B1 (ko) 다단 변속형 구동장치
KR101691307B1 (ko) 유성기어 감속기
JP6242150B2 (ja) ショベル、及び減速機
CN103670870B (zh) 一种启动发电传动装置
JP6182428B2 (ja) 遊星歯車減速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1617B1 (ko) 전기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
TWI476335B (zh) Reducer
JP2015120410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