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466B1 -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 Google Patents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466B1
KR101655466B1 KR1020100051629A KR20100051629A KR101655466B1 KR 101655466 B1 KR101655466 B1 KR 101655466B1 KR 1020100051629 A KR1020100051629 A KR 1020100051629A KR 20100051629 A KR20100051629 A KR 20100051629A KR 101655466 B1 KR101655466 B1 KR 101655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ap
hook
wheel cap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930A (ko
Inventor
박범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66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60B7/08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having gripping elements consisting of formations integral with the c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013Hub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4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built-up of several mai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0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 B60B7/061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 B60B7/066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art of the wheels to which the discs, rings or the like are mounted to the hu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 캡이 전체적인 외관형상을 이루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안쪽공간에 내장되어 휠에 형성된 휠보스(30)쪽에 걸려 고정력을 형성하는 후크(4)와, 눌러 가하는 회전력으로 상기 후크(4)쪽에 대한 원주방향 가압력을 약화시켜 상기 휠보스(30)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부재(10)로 구성됨으로써, 휠 캡을 휠쪽에 결합할때나 휠로부터 떼어낼 때 적은 힘으로 간단히 작업함은 물론 휠 캡과 휠쪽에 대한 손상을 야기하지 않고, 상기 케이스(1)의 다양한 외관형상을 이용한 휠 캡 디자인으로 미적감각도 크게 향상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Easy separating and fixing typed wheel cap}
본 발명은 휠캡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휠에 대해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 캡은 휠에 대한 외관형상의 미적감각을 보다 높여주기 위해 사용되는 장식구의 일종이다.
상기 휠 캡은 휠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부위를 이용해 끼우거나 도구로 체결함으로써, 휠을 장식하는 역활을 한다.
휠 캡은 미관측면도 좋고, 필요시 휠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휠에 대한 탈착과 부착 같은 장착성을 좋게 하는 측면이 요구되지만, 양쪽 요구조건을 모두 만족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일례로, 휠 캡이 복잡한 디자인을 갖거나 크기가 커지면 휠 캡의 탈부착성이나 떨림 등 성능 저하가 발생하므로, 실제적인 휠 캡은 적당한 크기를 갖고 휠에 대한 탈착성과 부착성을 양호하게 만들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측면을 만족하하는 휠캡은 휠을 차체에서 떼어내지 않은 상태로 분리하고자 할때, 외부로부터의 분리성이 매우 좋지 않은 측면을 갖는다.
즉, 휠을 차체에서 떼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휠 캡을 휠에서 떼어내기 위해선 휠 캡과 휠 구멍사이의 틈새로 드라이버나 송곳을 끼운 후, 이를 이용하여 휠 캡을 휠 구멍에서 억지로 분리시켜줄 수밖에 없다.
상기와 같이 휠 캡을 떼어냄으로써, 휠과 휠캡이 함께 손상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높은 취약성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휠 캡을 휠 구멍에 위치시켜 누르고 회전해줌으로써, 휠 캡을 휠에 장착하고 휠로부터 손상없이 떼어낼 수 있어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휠쪽에 결합되는 탈장착부위를 휠 캡의 외부로 노출시키지않음으로써, 미관을 향상을 위해 휠 캡의 외부형상을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 캡이 외관형상을 이루고 휠에 형성된 휠보스쪽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안쪽공간에서 원주방향으로 직경을 확장하거나 축소해 상기 휠보스쪽에 걸려 고정력을 형성하거나 고정력을 해제하는 후크와;
상기 케이스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가해진 회전력을 축방향 위치이동으로 전환하고, 축방향 위치이동으로 상기 후크의 직경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작동부재;
를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안쪽 공간에 수용된 상기 후크의 원주방향으로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안쪽공간으로 돌출된 턱부위에 뚫려 밖으로 개구된 가이드홀을 갖춘다.
상기 후크는 상기 휠보스쪽에 걸리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한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을 원주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오므려들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로 구성한다.
상기 걸림단은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4개를 한쌍으로 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케이스의 안쪽공간으로 돌출된 턱부위에 뚫려 밖으로 개구된 가이드홀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걸림단은 각각의 양쪽끝단면에 경사각을 줘 사선으로 형성한다.
상기 탄성체는 양끝단이 벌어진 원형고리형상을 이루어 상기 걸림단의 하면부위로 파여진 홈에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작동부재는 외부로 노출되어 누르고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캡과, 상기 조작캡과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캡의 회전방향에 따른 축방향이동으로 상기 후크의 직경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도록 후크에 밀착된 테이퍼 단면을 형성한 이동실린더와, 한쪽은 상기 조작캡과 반대쪽은 상기 이동실린더에 탄발지지된 탄성체로 구성한다.
상기 조작캡과 상기 이동실린더는 조작캡에서 돌출된 수나사타입 결합축과, 이동실린더에 형성한 암나사타입 결합홀을 매개로 서로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과 상기 결합홀에 형성된 나사타입은 한쪽의 회전에 대해 다른쪽은 반대로 회전된다.
상기 이동실린더는 그 끝단에 휠쪽부위로 끼워지는 선단보스를 더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휠 캡을 누르고 회전해 휠쪽에 대한 탈장착성을 부여하므로 휠 캡과 휠의 손상을 가져오지 않으면서도 적은 힘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휠쪽에 결합되는 탈장착부위를 휠 캡의 내부로 집어넣을 수 있어, 휠 캡의 다양한 외부 디자인을 통해 미적 감각을 크게 향상하는 효과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의 구성도이고, 도 1에 따른 휠 캡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의 휠쪽 장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을 휠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의 구성도이고, 도 1에 따른 휠 캡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캡은 전체적인 외관형상을 이루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안쪽공간에 내장되어 휠에 형성된 휠보스(30)쪽에 걸려 고정력을 형성하는 후크(4)와, 눌러 가하는 회전력으로 상기 후크(4)쪽에 대한 원주방향 가압력을 약화시켜 상기 휠보스(30)와의 걸림상태를 해제시키는 작동부재(10)로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선 상기 케이스(1)는 휠보스(30)쪽으로 삽입되어 휠쪽에 조립되는 부품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케이스(1)는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헤드(2)와, 상기 플랜지헤드(2)에 일체로 형성되어 휠보스(30)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바디보스(3)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랜지헤드(2)는 그 중앙으로 파여진 중앙위치홀(2a)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위치홀(2a)의 입구쪽은 그 직경을 좁힌 입구턱부위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바디보스(3)는 중공의 몸체 안쪽으로 돌출된 턱부위로 개구된 가이드홀(3a)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홀(3a)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하지만 90도 각도로 4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선 상기 후크(4)는 휠에 형성된 휠보스(30)쪽에 걸려 휠과 고정력을 형성하는 부품으로서, 이를 위해 상기 후크(4)는 휠보스(30)쪽에 걸리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한 걸림단(5)과, 상기 걸림단(5)을 원주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오므려들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6)로 구성한다.
도 2(가)는 본 실시예에 따른 후크(4)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4)는 걸림단(5)에 대해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3개의 걸림단(5a,5b,5c)을 한쌍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4개의 걸림단(5,5a,5b,5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단(5,5a,5b,5c)은 각각의 양쪽끝단면에 도 1(가)와 같이 한쪽방향으로 위에서 아래로 형성한 경사각(a,b)을 만들어줌으로써, 도 2(가)와 같이 상기 걸림단(5,5a,5b,5c)이 90도 각도로 배열되어 원형을 이루게되면, 그 바깥쪽과 안쪽 끝단이 상면에서 하면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직경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각a와 경사각b는 동일한 각도이다.
상기 탄성체(6)는 양끝단이 벌어진 원형고리형상을 이루어 상기 4개의 걸림단(5,5a,5b,5c)의 하면부위로 파여진 홈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4개의 걸림단(5,5a,5b,5c)이 원주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오므려질 수 있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체(6)는 초기 조립상태에서 걸림단(5,5a,5b,5c)을 원주방향으로 오므리려는 힘을 갖도록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선 상기 작동부재(10)는 케이스(1)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누르고 회전시켜 후크(4)의 원주직경을 확장 또는 축소함으로써, 후크(4)를 휠에 형성된 휠보스(30)쪽에 걸리도록 하거나 휠보스(30)쪽에서 떼어낼 수 있도록 작용한다.
도 2(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재(10)의 구성을 나타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10)는 외부로 노출되어 누르고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캡(11)과, 눌려진 상기 조작캡(11)과 결합되면 상기 조작캡(1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이동실린더(14)와, 한쪽은 상기 조작캡(11)과 반대쪽은 상기 이동실린더(14)에 탄발지지된 탄성체(18)로 구성한다.
상기 조작캡(11)은 누르고 잡고 회전할 수 있는 노출헤드(12)와, 상기 노출헤드(12)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그 외주면으로 나사를 형성한 결합축(13)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노출헤드(12)의 하단부에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턱을 형성하는 걸림턱(12a)을 형성함으로써, 조작캡(11)이 케이스(1)의 플랜지헤드(2)에 형성된 중앙위치홀(2a)의 입구부위에 상기 걸림턱(12a)부위가 걸려 분리되지 않도록 작용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헤드(2)에 형성된 중앙위치홀(2a)의 입구부위쪽 직경은 노출헤드(12)를 잡고 회전시켜줄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지만, 상기 걸림턱(12a)의 직경보단 작게 형성한다.
상기 이동실린더(14)는 축중심에 뚫려진 결합홀(15a)이 선단부위로 형성된 실린더축(15)과, 상기 실린더축(15)의 양끝단을 남겨두고 동심원으로 증대시킨 직경을 갖는 실린더바디(16)와, 휠쪽의 위치판(20)에 끼워져 고정력을 형성하도록 상기 실린더축(15)의 끝단에서 돌출된 선단보스(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실린더(14)의 축중심에 뚫려진 결합홀(15a)에는 그 내면에 나사를 형성하며, 상기 결합홀(15a)의 나사는 조작캡(11)의 결합축(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의 회전방향과 반대로 회전하면서 축방향 이동을 구현한다.
일례로, 상기 결합홀(15a)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가 오른나사이면, 상기 조작캡(11)의 결합축(1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는 왼나사로 만들어 준다.
본 실시예에선 상기와 같이 서로 결합되는 상기 조작캡(11)과 상기 이동실린더(14)의 나사 타입을 달리함으로써, 조작캡(11)의 축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실린더(1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조작캡(11)쪽으로 축방향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실린더(14)의 실린더바디(16)는 실린더축(15)의 선단부위쪽에서 후단부위쪽으로 하방향 경사각(c)을 갖는 테이퍼단면을 형성한다.
이는 도 1(나)와 같이, 상기 실린더바디(16)의 외주면으로 후크(4)를 이루는 걸림단(5,5a,5b,5c)의 한쪽 끝단면이 밀착됨으로써, 상기 실린더바디(16)의 승·하강이동시 상기 걸림단(5,5a,5b,5c)이 원주방향으로 확장되거나 또는 좁아지는 원주방향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선 상기 실린더바디(16)의 외주면 경사각c는 상기 걸림단(5,5a,5b,5c)의 경사각a 및 경사각b와 동일한 각도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8)는 코일스프링 타입을 적용함으로써, 조작캡(11)을 눌러줄 때 압축되도록 조립한다.
한편, 휠보스(30)는 휠쪽에 형성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캡을 장착하는 부분으로서, 도 3엔 상기 휠보스(3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보스(30)는 그 내부의 빈공간 안쪽으로 돌출된 내주돌출턱(3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주돌출턱(31)의 위쪽부위를 상측공간부(32)로 구획하고, 그 아래쪽부위를 하측공간부(33)로 구획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의 휠쪽 장착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캡을 이루는 케이스(1)가 휠보스(30)에 결합되면, 상기 케이스(1)의 플랜지헤드(2)쪽이 내주돌출턱(31)의 위쪽부위인 상측공간부(32)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1)의 바디보스(3)쪽이 내주돌출턱(31)의 아래쪽부위인 하측공간부(33)로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1)의 외부로 노출된 후크(4)쪽이 내주돌출턱(31)에 걸려짐으로써, 휠 캡이 휠보스(30)를 이용해 휠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휠 캡의 장착상태는 후크(4)가 휠보스(30)쪽에 걸려 고정된 상태이고, 작동부재(10)를 이루는 조작캡(11)과 이동실린더(14)는 서로간 결합을 최소로 하며, 상기 조작캡(11)과 상기 이동실린더(14)에 탄발지지된 탄성체(18)는 최소 압축상태로 하고, 상기 이동실린더(14)의 끝단인 선단보스(17)는 휠쪽의 위치판(20)에 끼워진 상태이다.
이러한 장착상태에서 케이스(1)의 플랜지헤드(2)의 중앙위치홀(2a)에 수용된 상기 조작캡(11)은 도 1(나)와 같이, 상기 케이스(1)의 외부로 어느 정도 높이(K)로 돌출됨으로써, 손이나 도구로 잡기 용이한 조건을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을 휠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캡이 휠에서 분리되는 과정은 휠 캡쪽을 누르고 회전(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해 간단히 수행됨으로써, 분리시 휠을 차륜에서 분리하는 번거로움이나 예기치 못한 휠 캡이나 휠쪽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캡 분리는 휠보스(30)의 외부로 노출된 조작캡(11)쪽에 힘(Fa)을 가해 누르고, 이어 시계방향으로 회전(Ma)시키는 동작만으로 충분히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가해진 동작으로 상기 조작캡(11)의 결합축(13)이 이동실린더(14)의 실린더축(15)에 뚫린 결합홀(15a)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축(13)의 시계방향으로 회전(Ma)으로 실린더축(15)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력(Fb)이 발생된다.
이러한 작용은 상기 결합축(13)엔 왼나사를 형성하지만 결합축(13)을 체결한 결합홀(15a)엔 오른나사를 형성함과 같이 서로 상반된 나사타입에 따른 것으로, 이로 인해 상기 조작캡(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Ma)할 때 이동실린더(14)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조작캡(11)쪽으로 올라감에 기인한다.
이때, 상기 이동실린더(14)의 선단보스(17)는 위치판(20)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은 이동실린더(14)의 상승은 이동실린더(14)의 높낮이 위치를 변화시키고, 이러한 위치이동은 후크(4)를 이루는 탄성체(6)로 묶어진 걸림단(5,5a,5b,5c)과 이동실린더(14)의 실린더바디(16)간 밀착부위에 대한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상기 이동실린더(14)가 후크(4)쪽에 가하는 원주방향 가압력을 약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는, 상기 이동실린더(14)의 위치변화로 상기 걸림단(5,5a,5b,5c)의 안쪽끝단면에 대한 실린더바디(16)의 외주면이 갖는 밀착부위가 경사각이 깊어지는 쪽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변화는 상기 걸림단(5,5a,5b,5c)이 실린더바디(16)쪽으로 더 깊게 들어오려는 이동력(Fc)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단(5,5a,5b,5c)에서 발생하는 이동력(Fc)은 걸림단(5,5a,5b,5c)을 한데 묶은 탄성체(6)의 초기 상태복원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걸림단(5,5a,5b,5c)이 실린더바디(16)쪽으로 더 깊게 들어옴으로써, 상기 걸림단(5,5a,5b,5c)의 반대쪽 끝단은 휠보스(30)의 내주돌출턱(31)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후크(4)와 휠보스(30)간 걸림상태가 없어져 휠보스(30)에 대한 휠 캡의 고정력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되므로, 케이스(1)나 조작캡(11)부위를 잡아 빼면 휠보스(30)로부터 휠 캡이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캡은 회전력을 축방향 위치이동으로 전환하는 나사결합된 조작캡(11)과 이동실린더(14)를 갖추고, 이동실린더(14)의 축방향 위치이동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확장되거나 축소되어 휠쪽에 구속되거나 구속해제되는 후크(4)를 갖춤으로써, 휠 캡을 휠쪽에 결합할때나 휠로부터 떼어낼 때 적은 힘으로 간단히 작업함은 물론 휠 캡과 휠쪽에 대한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휠 캡은 구성부품을 모두 내부공간으로 수용하는 케이스(1)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케이스(1)의 다양한 외관형상을 이용한 휠 캡 디자인으로 미적감각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1 : 케이스 2 : 플랜지헤드
2a : 중앙위치홀 3 : 바디보스
3a : 가이드홀 4 : 후크
5,5a,5b,5c : 걸림단
6,18 : 탄성체 10 : 작동부재
11 : 조작캡 12 : 노출헤드
12a : 걸림턱 13 : 결합축
14 : 이동실린더 15 : 실린더축
15a : 결합홀 16 : 실린더바디
17 : 선단보스
20 : 위치판 30 : 휠보스
31 : 내주돌출턱 32 : 상측공간부
33 : 하측공간부

Claims (10)

  1. 외관형상을 이루고 휠에 형성된 휠보스쪽에 삽입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안쪽공간에서 원주방향으로 직경을 확장하거나 축소해 상기 휠보스쪽에 걸려 고정력을 형성하거나 고정력을 해제하는 후크와;
    상기 케이스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에 가해진 회전력을 축방향 위치이동으로 전환하고, 축방향 위치이동으로 상기 후크의 직경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외부로 노출되어 누르고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캡과, 상기 조작캡과 결합된 상태에서 조작캡의 회전방향에 따른 축방향이동으로 상기 후크의 직경을 확장하거나 축소하도록 후크에 밀착된 테이퍼 단면을 형성한 이동실린더와, 한쪽은 상기 조작캡과 반대쪽은 상기 이동실린더에 탄발지지된 탄성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안쪽 공간에 수용된 상기 후크의 원주방향으로 움직임을 안내하도록, 안쪽공간으로 돌출된 턱부위에 뚫려 밖으로 개구된 가이드홀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휠보스쪽에 걸리는 적어도 1개 이상으로 형성한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을 원주방향으로 확장하거나 오므려들 수 있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90도 각도로 배치되는 4개를 한쌍으로 하고, 상기 걸림단은 상기 케이스의 안쪽공간으로 돌출된 턱부위에 뚫려 밖으로 개구된 가이드홀에 각각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은 각각의 양쪽끝단면에 경사각을 줘 사선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양끝단이 벌어진 원형고리형상을 이루어 상기 걸림단의 하면부위로 파여진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캡과 상기 이동실린더는 조작캡에서 돌출된 수나사타입 결합축과, 상기 이동실린더에 형성한 암나사타입 결합홀을 매개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과 상기 결합홀에 형성된 나사타입은 한쪽의 회전에 대해 다른쪽은 반대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실린더는 그 끝단에 휠쪽부위로 끼워지는 선단보스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 캡.
KR1020100051629A 2010-06-01 2010-06-01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KR101655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29A KR101655466B1 (ko) 2010-06-01 2010-06-01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629A KR101655466B1 (ko) 2010-06-01 2010-06-01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30A KR20110131930A (ko) 2011-12-07
KR101655466B1 true KR101655466B1 (ko) 2016-09-07

Family

ID=4550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629A KR101655466B1 (ko) 2010-06-01 2010-06-01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4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4593A1 (it) * 2020-06-18 2021-12-18 Seri Plast S R L Dispositivo copriruota rimovibile, atto a proteggere la porzione centrale dei cerchioni di veicoli durante la verniciatura
KR20230046099A (ko) 2021-09-29 2023-04-05 (주)세아씨엔티 지능형 휠캡 자동 압입 조립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6341B2 (ja) * 2014-11-27 2017-07-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キャップ
KR20200054427A (ko) 2018-11-09 2020-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어셈블리
CN114466801B (zh) 2019-09-18 2022-12-09 株式会社玛娜 密闭容器
EP4357151A1 (en) * 2022-10-21 2024-04-24 Zanini Auto Grup, S.A. Insert for vehicle whee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806U (ja) * 1993-01-13 1994-08-02 金井 宏之 自動車用ホイールキャップ
KR200158649Y1 (ko) * 1997-11-17 1999-10-15 정몽규 자동차용 휠커버의 체결구조
KR20040049664A (ko) * 2002-12-06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휠 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000014593A1 (it) * 2020-06-18 2021-12-18 Seri Plast S R L Dispositivo copriruota rimovibile, atto a proteggere la porzione centrale dei cerchioni di veicoli durante la verniciatura
KR20230046099A (ko) 2021-09-29 2023-04-05 (주)세아씨엔티 지능형 휠캡 자동 압입 조립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930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466B1 (ko) 손쉬운 탈장착성을 갖는 휠캡
TWI604986B (zh)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disc brake disc to the bicycle hub
JP6399777B2 (ja) 締付け装置
JP5658980B2 (ja) 粉体圧縮成形機の杵
TW201124638A (en) Anchor bolt
JP5646636B2 (ja) プラスチックキャップ式パネル固定装置の製造方法
JP6250835B2 (ja) 伸縮可能な位置制限構造体、カメラのボディとカメラ
TWI569989B (zh) Easy to switch the left and right drive state ratchet hub
CN109018308B (zh) 一种螺旋桨快拆装置及具有其的无人机
US20160229042A1 (en) Barrel type ratchet wrench with a snap-in structure
US6779853B1 (en) Spoke fastener for mounting a spoke on a wheel rim
WO2018047831A1 (ja) 容器
JP5190130B2 (ja) ボルト及びボルト締め付け具
CN107942467B (zh) 一种镜头锁紧拆装机构及方法
KR101831895B1 (ko) 크레인용 샤클
JP2005145426A (ja) 油圧式ホイール構造
JP2010083555A (ja) 容器用ポンプのストッパ
KR101106207B1 (ko) 다양한 붓이 붓대에 착탈 가능한 붓 조립체
WO2008046248A1 (fr) Mandrin de blocage manuel pourvu d'un mecanisme auto-bloquant a friction pour foret
JP3544204B1 (ja) 光コネクタの雌プラグ
JP6547066B2 (ja) 洗濯機
JPH0744403Y2 (ja) 治工具等の着脱装置
CN219256151U (zh) 一种新型雪钉及轮胎模具
JP3143187U (ja) 電動回転工具装着ビットへの連結離脱構造
CN218294178U (zh) 一种折叠防松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