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169B1 -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169B1
KR101655169B1 KR1020150063762A KR20150063762A KR101655169B1 KR 101655169 B1 KR101655169 B1 KR 101655169B1 KR 1020150063762 A KR1020150063762 A KR 1020150063762A KR 20150063762 A KR20150063762 A KR 20150063762A KR 101655169 B1 KR101655169 B1 KR 101655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braking
caliper unit
pressur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희
심재훈
심상현
전갑배
김종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169B1/ko
Priority to US14/959,143 priority patent/US9783177B2/en
Priority to CN201610042172.4A priority patent/CN10611448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6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characterised by specified functions of the control system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pumps directly, i.e. without interposition of accumulators or reservoirs
    • B60T13/161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65Master cylinder integrated or hydraulically coupled with booster
    • B60T13/166Part of the system directly actuated by boost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5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comprising friction brakes and retarders
    • B60T13/586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comprising friction brakes and retarders the retarders being of the electr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43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lay-out
    • B60T8/344Hydraulic systems
    • B60T8/3484 Channe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02Fluid pressure
    • F16D2121/04Fluid pressure acting on a piston-type actuator, e.g. for liq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유압라인과 전동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켜 제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륜과 후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합 캘리퍼 유닛에 의해 주차 제동을 실행하되, 유압라인에 의해 가동되어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도록 복합 캘리퍼 유닛에 배치되는 외부 피스톤을 전동요소에 의해 작동되도록 복합 캘리퍼 유닛에 배치되는 내부 피스톤에 의해 가압하여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압 접촉시키며, 전동요소의 작동을 제한하여 주차 제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b)전동요소에 의한 주차 제동을 해제하되, 복합 캘리퍼 유닛의 외부 피스톤에 대한 내부 피스톤의 가압력이 감소되도록 전동요소에 의한 내부 피스톤의 감압을 실행하는 단계와, (c)유압라인에 의한 제동기능이 수행되도록 복합 캘리퍼 유닛과, 전륜과 후륜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유압 캘리퍼 유닛에 유압을 제공하여 전륜과 후륜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BRAKING SYSTEM USING A BRAKING DEVICE HAVING ELETRO MECHANICAL PARK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기계식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으로 파킹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자 및 기계 복합 식으로 주 제동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 브레이크는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당김으로 주차 케이블에 가해지는 힘을 차륜의 브레이크 기구로 균등하게 분배하게 되고, 이를 통해 브레이크 기구는 차륜을 구속하여 차량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조작하여 차륜을 제동하는 경우에는, 주차 제동을 위해 운전자가 매번 주차 브레이크 레버를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레버의 조작을 잊어버리는 경우에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의 수동식이 갖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주차 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제동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EPB, Electrical Parking Brake)가 사용되고 있다.
전기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는 조작 스위치를 눌러 모터를 구동시키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주차 케이블을 잡아 당겨줌으로써 이퀄라이저(Equalizer)를 매개로 각 차륜에 균등한 제동력을 발생시켜 주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에 관련하여 주차 케이블을 전동식으로 작동시키는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06263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유압 및 전동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캘리퍼를 작동시키는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유압 및 전동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디스크에 대해 캘리퍼를 작동시키는 기술로서, 종래에는 전륜에 유압과 전동요소를 사용하여 캘리퍼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후륜에 유압만을 사용한 브레이크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압 및 전동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장치는 전륜의 유압과 전동요소 중, 전동요소를 사용하여 파킹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파킹기능을 해제시킨 경우에는 전륜과 후륜에 대한 제동력을 유압과 전동요소에 의해 단계적으로 적절히 분배하여 주 제동을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제어과정 상,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이들 사이의 제어전환에 소요되는 천이구간이 3단계 이상으로 진행되어 페달 작동에 대한 응답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천이구간에서 유압공급 혹은 차단을 위한 밸브제어가 빈번하게 실시되어 유압펌프와 유압라인에 적용되어 있는 밸브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의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총 제동력이 필요 이상으로 상승되는 오버 슈트(over shoot) 시점이 2회 이상 발생되어 브레이크 패드의 소모를 가중시키며, 제동안정성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모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 제동 해제 시에 주 제동 상태의 압축 변형력을 유압으로 변환하여 그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보전함으로써 주차 제동을 해제함과 동시에 차량이 제동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기존보다 페달 작동에 대한 응답성을 높일 수 있고, 유압펌프와 유압라인에 적용되는 밸브의 내구성을 더 길게 보장할 수 있으며, 제동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 유압라인과 전동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켜 제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륜과 후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합 캘리퍼 유닛에 의해 주차 제동을 실행하되, 상기 유압라인에 의해 가동되어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도록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에 배치되는 외부 피스톤을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에 배치되는 내부 피스톤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압 접촉시키며, 상기 전동요소의 작동을 제한하여 상기 주차 제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b)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주차 제동을 해제하되,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의 상기 외부 피스톤에 대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가압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감압을 실행하는 단계와, (c) 상기 유압라인에 의한 제동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전륜과 후륜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유압 캘리퍼 유닛에 유압을 제공하여 상기 전륜과 후륜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펌프에 의해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상기 유압을 증압 제공하여 주 제동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감압은 상기 전동요소의 작동 제한이 해제되면서 진행되며,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의 내부 피스톤이 상기 외부 피스톤에 대해서 이격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전륜과 후륜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미리 설정된 유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상기 유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제동의 실행 시에는,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해진 휠압이 정해진 목표압 이상일 때까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증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증압을 진행하면서, 상기 휠압의 증가가 없을 때까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감압을 실행하여 상기 내부 피스톤을 초기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는 전동모터이며, 상기 내부 피스톤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핀들에 나사 결합되되, 상기 스핀들과 상기 전동모터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어들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부가 접촉되어 상기 전동요소의 작동 제한 또는 해제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상기 주제동 시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운전자의 답력에 상응하는 운전자 요구 제동력에 따라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압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 피스톤에 의한 상기 외부 피스톤의 가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은, 상기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에 의해 상기 유압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 상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되며, 상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은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작동되며 오일이 저장된 리저버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와 마스터 유압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마스터 유압라인 상에는 마스터 밸브가 배치되며, 상기 마스터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감압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ⅰ)유압라인과 전동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켜 제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륜과 후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합 캘리퍼 유닛과, ⅱ)상기 전륜과 후륜 중 다른 하나에 유압에 의한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유압 캘리퍼 유닛과, ⅲ)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각각 연결되되,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개폐밸브가 배치되는 캘리퍼 유압라인과, ⅳ)상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에 유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유압펌프와, ⅴ)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마스터 실린더와, ⅵ)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을 상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에 제공하도록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라인에 대한 오일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마스터 밸브가 배치되는 마스터 유압라인과, ⅶ)상기 전동요소의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한 가압작용과 상기 마스터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복합 캘리퍼유닛의 주차제동을 실행하며, 상기 전동요소의 감압과 함께 상기 마스터 밸브를 폐쇄하여 주차제동을 해제하는 제동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유압을 제공한 후,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증압을 진행하여 주제동을 실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은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유출입구를 가진 복합 하우징 본체와, 상기 전동요소 및 유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피스톤과, 상기 외부 피스톤에 접촉 혹은 이격되도록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상기 외부 피스톤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는 내부 피스톤과, 상기 내부 피스톤이 이동되도록 상기 내부 피스톤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은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유출입구를 가진 유압 하우징 본체와, 상기 브레이크패드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유압 하우징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압 피스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와 상기 유압 하우징 본체의 유출입구는 상기 유압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압라인에는 상기 유압펌프가 연결되되, 상기 제동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전동요소의 감압의 진행되면서 상기 유출입구가 폐쇄되며, 상기 유압라인을 통해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와 상기 유압 하우징 본체로 유압이 제공된 후, 상기 유압펌프가 가동되어 상기 유압라인에 대한 상기 증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유압라인을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하며,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펌프밸브가 배치되는 펌프공급라인과, 상기 펌프밸브와 상기 유압펌프 사이의 상기 펌프공급라인에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와 함께 연결되며,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 측에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다른 개폐밸브와 함께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은 상기 전륜 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은 상기 후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 제동 해제 시에 주 제동 상태의 압축 변형력을 유압으로 변환하여 그 유압에 의해 제동력을 보전함으로써 주차 제동을 해제함과 동시에 차량이 제동력을 상실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기존에 비해 페달 작동에 대한 응답성을 높이며, 유압펌프와 유압라인에 적용되어 있는 밸브의 내구성을 더 길게 보장하며, 제동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주차 제동에 따라 내부 피스톤이 외부 피스톤에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유압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복합 캘리퍼 유닛의 전동모터에 대한 감압 제어에 따라 내부 피스톤이 외부피스톤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유압 회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복합 캘리퍼 유닛과 유압 캘리퍼 유닛 측에 유압펌프에 의한 오일을 공급하여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증가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유압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이 증가된 상태에서 브레이크페달의 답력에 전동모터가 응답하여 내부 피스톤에 의해 제동력이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유압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주차제동에 따라 내부 피스톤이 외부 피스톤에 접촉된 복합 캘리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복합 캘리퍼 유닛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주차제동 상태가 해제되면서 주 제동 상태로 전환될 때 외부 피스톤으로부터 내부 피스톤이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복합 캘리퍼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복합 캘리퍼 유닛의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1 내지 도 3의 유압 회로도에 상응하여 주차 제동상태, 전동모터에 대한 감압 상태, 그리고 전륜과 후륜의 제동력을 증가시켜 주 제동 상태로 전환된 복합 캘리퍼 유닛과 유압 캘리퍼 유닛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따른 제동력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차량에서의 제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륜에 배치되는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후륜에 배치되는 유압 캘리퍼 유닛(130), 그리고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을 가동시킬 수 있는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135)을 포함한다.
이들 중,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캘리퍼 유닛(100)은 유압라인(135)과 전동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가동되어 제동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압작동요소와 전동요소에 의해 복합적으로 구성되며, 유압 캘리퍼 유닛(130)은 유압작동요소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은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접촉되어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패드(137)를 브레이크 디스크(139) 측으로 가압하여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접촉시키도록 작동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은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135)에 연결된다. 이러한 유압라인(135)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오일공급 소스에 해당되는 리저버(150, reservoir)로부터 오일을 공급받는 마스터 실린더(141)와 유압펌프(155)에 연결될 수 있다. 유압라인(135)에는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각각 연결되며,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개폐밸브(136)가 배치되는 캘리퍼 유압라인(156)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압 회로도는 유압회로에 사용되는 기호들로 표시되며, 개폐밸브(136) 또는 후술되는 다른 유압 라인 개폐용 밸브들은 각각의 라인에 대한 오일의 유동을 허용 또는 차단 기능을 갖는데, 일 예로 솔레노이드로 작동되는 스풀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동요소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모터(115)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유압라인(135)에는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156)에 유압을 제공하도록 유압펌프(155)가 연결되며, 브레이크 페달(145)에 의해 작동되는 마스터 실린더(141)가 연결된다.
마스터 실린더(141)와 유압라인(135)은 마스터 실린더(141)의 유압을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156)에 제공하도록 마스터 유압라인(140)에 의해 연결된다. 마스터 유압라인(140)에는 유압라인(135)에 대한 오일 유동의 차단하도록 마스터 밸브(143)가 배치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전술한 유압작동요소와 전동요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동제어유닛(180)에 의해 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동제어유닛(180)은 전동요소의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대한 가압작용과 동시에 개폐밸브(136)와 마스터 밸브(143)의 개방에 의한 유압 해제에 의해 복합 캘리퍼 유닛(100)의 주차제동을 실행하며, 전동요소의 감압과 함께 마스터 밸브(143)를 폐쇄하여 주차제동을 해제하면서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유압을 제공한 후 유압펌프(155)에 의한 증압을 진행하여 주 제동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차 제동 시는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의 오일이 개폐밸브(136)와 마스터 밸브(143)를 통과하여 리저버(150) 측으로 유동 가능하므로 유압에 의한 제동력 해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동요소인 전동모터(115)의 가동에 의해 브레이크패드(137)가 가압된 후 전동모터(115)의 작동된 위치를 고정하는 전동모터(115)에 대한 위치 잠금 작용이 진행되어 주차 제동이 완료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주차 제동 해제 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터 밸브(143)가 차단됨과 동시에 전동모터(115)의 위치 잠금이 해제되면서 전동모터(115)에 대한 감압이 이루어진다.
이때는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 측에 전동모터(115)의 감압과 반대로 유압이 제공되면서 제동이 이루어지며, 이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펌프(155)에 의한 유압의 증압이 이루어져 목표압까지 제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전동모터(115)의 감압과 동시에 마스터 밸브(143)의 차단이 이루어지며 유압펌프(155)에 의한 유압이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제공되어 페달 작동에 대한 응답성을 기존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유압펌프(155)와 유압라인(135)들에 적용되어 있는 밸브들의 작동 횟수를 줄이어 밸브들과 유압라인(135)의 내구성을 더 길게 보장할 수 있으며, 전동모터(115)에 의한 가압력과 유압펌프(155)에 의한 가압력이 함께 작용하는 급격한 압력변화가 있는 오버 슈트가 방지되므로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 전환시의 제동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동제어유닛(180)의 자세한 제어과정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설명하게 되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현 상태에서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a, 10b 그리고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구성요소들에 대해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도 7 그리고 도 10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캘리퍼 유닛(100)은 유압라인(135)에 연결되는 유출입구(111)가 마련되는 복합 하우징 본체(110)와, 전동모터(115) 및 유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복합 하우징 본체(110)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피스톤(116)과, 외부 피스톤(116)에 접촉 혹은 이격되도록 전동모터(115)에 의해 외부 피스톤(116)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복합 하우징 본체(110)에 마련되는 내부 피스톤(117)과, 내부 피스톤(117)이 이동되도록 내부 피스톤(117)에 나사 결합되며, 전동모터(115)에 의해 구동되며 나선이 형성된 스핀들(11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캘리퍼 유닛(100)은, 주로 전륜의 제동을 위해 전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전동모터(115)에 의해 전륜을 제동시켜 주차 제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차 제동의 해제 후에는 유압 캘리퍼 유닛(130)과 유압에 의해 가동되어 주 제동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캘리퍼 유닛(100)은 주차 제동 시에 전동요소에 해당되는 전동모터(115)에 의해 스핀들(118)을 회전시켜 내부 피스톤(117)을 외부 피스톤(116)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피스톤(116)이 내부 피스톤(117)에 의해 가압되어 브레이크패드(137)가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가압 접촉될 수 있으며, 전동모터(115)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127)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부(125)에 의해 작동 위치가 잠김 고정됨으로써 주차 제동이 완료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제동은 차량의 내부에 있는 주차 레버, 주차 버튼, 또는 주차 페달을 사용하여 주차 스위치를 연결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피스톤(116)과 내부 피스톤(117) 사이의 내부공간에 브레이크 오일이 존재하며, 외부 피스톤(116)과 내부 피스톤(117)이 이격된 상태에서는 외부 피스톤(116)과 내부 피스톤(117)의 상이한 단면적으로 인해 배력이 형성되며, 외부 피스톤(116)이 내부 피스톤(117)에 접촉된 후에는 배력이 소멸된다. 이러한 주차 제동 시에는 외부 피스톤(116)에 내부 피스톤(117)이 접촉된 상태이다.
반면,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피스톤(116)과 내부 피스톤(117)은 주 제동 시에 배력 발생을 위하여 상호 적절한 간극(gap, d)으로 떨어져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캘리퍼 유닛(130)은 유압라인(135)에 연결되는 유출입구(111)가 전술한 복합 하우징 본체(110)와 같이 마련되는 유압 하우징 본체(131)와, 브레이크패드(137)를 이동시키도록 유압 하우징 본체(131)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유압 피스톤(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 하우징 본체(110)와 유압 하우징 본체(131)의 유출입구(111)는 유압라인(135)과 연결되며, 유압라인(135)에는 유압펌프(155)가 연결된다.
한편, 운전자가 주행상태에서 차량을 경사로와 같은 장소에 정차 배치하는 경우에는, 차량의 주차 제동을 수행하게 되며, 정차상태에서 다시 주행 시에는 차량의 경사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 페달(145)을 밟고 주차제동을 해제하면서 가속페달을 밟아 주행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6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으로 전환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은 제동제어유닛(180)에 의해 전동요소 즉 전술한 복합 캘리퍼 유닛(100)에 있는 전동모터(115)의 감압이 진행되면서 유입되는 오일이 배출될 수 없도록 유출입구(111)가 폐쇄되며, 유압라인(135)을 통해 복합 하우징 본체(110)와 유압 하우징 본체(131)로 유압이 제공된 후, 유압펌프(155)가 가동되어 유압라인(135)에 대한 증압이 진행될 수 있다.이때, 내부 피스톤(117)이 외부 피스톤(116)으로부터 이격되며 복합 하우징 본체(110)와 유압 하우징 본체(131)로 제공되는 유압에 의해 외부 피스톤(116)과 유압 피스톤(132)이 동시에 가압되어 브레이크패드(137)가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가압 접촉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대한 제동상태가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은 마스터 유압라인(140)을 유압펌프(155)에 연결하며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펌프밸브(161)가 배치되는 펌프공급라인(160)과, 펌프밸브(161)와 유압펌프(155) 사이의 펌프공급라인(160)에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170)와 함께 연결되며 유압 캘리퍼 유닛(130) 측에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다른 개폐밸브(136)와 함께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165, accumulato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165)에는 주차 제동 전에 일정 압력의 유압을 제공할 수 있는 오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으로 전환될 때 유압회로 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 측으로 일정 제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적절한 유압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는 어큐뮬레이터(165)의 유압이 전동모터(115)에 의한 감압이 시작될 때 유압라인(135)을 통해 복합 하우징 본체(110)와 유압 하우징 본체(131)에 제공될 수 있다.
도면에서 미 설명된 도면 참조부호 134는 주차 제동 상태 전환 시 발생된 유압으로 오픈되어 어큐뮬레이터(165)에 브레이크 액을 저장하기 위한 아웃렛 밸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11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 도 6,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먼저 유압라인(135)과 전동모터(1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켜 제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륜에 마련되는 복합 캘리퍼 유닛(100)에 의해 주차제동을 실행하되 유압라인(135)에 의해 가동되어 브레이크패드(137)를 가압하도록 복합 캘리퍼 유닛(100)에 배치되는 외부 피스톤(116)을 전동모터(115)에 의해 작동되도록 복합 캘리퍼 유닛(100)에 배치되는 내부 피스톤(117)에 의해 가압하여 브레이크패드(137)를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가압 접촉시키며, 전동모터(115)의 작동을 제한하여 주차제동을 실행하는 단계가 진행되며, 이후에 전동모터(115)에 의한 주차제동을 해제하되 복합 캘리퍼 유닛(100)의 외부 피스톤(116)에 대한 내부피스톤의 가압력이 감소되도록 전동모터(115)에 의한 내부 피스톤(117)의 감압을 실행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다음으로는 유압라인(135)에 의한 제동기능이 수행되도록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후륜에 마련되는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유압을 제공하여 전륜과 후륜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가 진행되며, 유압라인(135)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펌프(155)에 의해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유압을 증압 제공하여 주제동을 실행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제동에서 주제동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전동모터(115)의 감압에 따른 제동력을 보상하도록 마스터 밸브(143)가 차단되어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전동모터(115)의 감압에 따른 압력보상이 즉 제동보상이 즉시 이루어지며, 유압펌프(155)에 의한 유압이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더 공급되어 목표 제동력까지 이르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보다 페달 작동에 대한 응답성을 높일 수 있으며, 유압펌프(155)와 유압라인(135)들에 적용되어 있는 밸브의 작동 횟수를 줄이어 밸브와 유압라인(135)의 내구성을 더 길게 보장할 수 있으며, 전동모터(115)에 의한 가압력과 유압펌프(155)에 의한 가압력이 함께 작용하는 오버 슈트가 방지되므로 제동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도 8과 도 9 그리고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제동 상태에서 전동모터(115)에 대한 감압이 진행되어 외부 피스톤(116)에 가해지는 오일압력에 의해 내부 피스톤(117)이 외부 피스톤(116)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오일압력에 의한 가압력이 외부 피스톤(116)에 작용하여 유압만에 의한 제동력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전동모터(115)에 의한 내부 피스톤(117)의 감압은, 전동모터(115)의 작동 제한이 해제되면서 진행되며, 복합 캘리퍼 유닛(100)의 내부 피스톤(117)이 외부 피스톤(116)에 대해서 이격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이때에는 전륜과 후륜에 전동모터(115)의 감압에 의해 감소되는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로서, 미리 설정된 유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165)로부터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유압이 제공될 수 있다.
이후로도, 전동요소 즉 전동모터(115)에 대한 감압이 계속 진행되며, 유압펌프(155)가 가동되어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대한 증압이 여전히 진행될 수 있다.
유압펌프(155)의 증압은 전술한 복합 하우징본체(110)의 외부 피스톤(116)과 유압 하우징 본체(131)의 유압 피스톤(132)에 대해 목표압에 이를 때까지 유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증압 후에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답력에 상응하여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처럼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의 전환 실행 시에는, 브레이크 패드(137)에 의해서 브레이크 디스크(139)에 가해진 휠 압이 정해진 전술한 목표압 이상일 때까지 유압펌프(155)에 의한 증압이 진행될 수 있다.
이후에는 유압펌프(155)에 의한 증압을 진행하면서, 휠 압의 증가가 없는, 즉 내부 피스톤(117)의 위치가 초기화될 때까지 전동모터(115)에 의한 내부 피스톤(117)의 감압을 피드백 제어로 실행하게 되며, 내부 피스톤(117)의 위치가 초기화되면 주차 제동에서 주 제동으로의 전환이 완료되어 제동제어유닛(180)에 의한 주차제동에서 주 제동으로 전환하는 제어가 종료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동요소는 전동모터(115)이며, 내부 피스톤(117)은 전동모터(115)에 의해 회전되는 스핀들(118)에 나사 결합되며, 스핀들(118)과 전동모터(115)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어들(120)이 배치되며, 기어들(120) 중 어느 하나에 솔레노이드(127)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부(125)가 접촉되어 전동요소의 작동 제한 또는 해제 즉 잠김 또는 잠김 해제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주 제동 시, 브레이크 페달(145)에 대한 운전자의 답력에 상응하는 운전자 요구 제동력에 따라 전동모터(115)에 의한 내부 피스톤(117)의 압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내부 피스톤(117)에 의한 외부 피스톤(116)의 가압력이 조절되는 제어가 실행될 있다. 이에, 운전자 요구 제동력에 따라 전동모터(115)의 토크가 증가 또는 감소되면서 내부 피스톤(117)의 가압력이 조절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합 캘리퍼 유닛(100)과 유압 캘리퍼 유닛(130)은, 유압라인(135)과 연결되는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156)에 의해 유압펌프(155)와 연결되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156) 상에는 개폐밸브(136)가 배치되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156)은 브레이크 페달(145)에 의해 작동되며, 오일이 저장된 리저버(150)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141)와 마스터 유압라인(140)에 의해 연결되며, 마스터 유압라인(140) 상에는 마스터 밸브(143)가 배치되며, 마스터 밸브(143)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동모터(115)에 의한 내부 피스톤(117)의 감압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주로 복합 캘리퍼 유닛(100) 측에서 전동모터(115)에 의한 주차 제동이 진행된 후, 다시 주 제동으로 전환될 때 전술한 제동제어유닛(180)에 해당되는 ESC에 의해 실행되며, ESC에는 이러한 제어방법이 하드웨어적으로 또는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주차 제동 구간과, 주차 제동과 주 제동 사이의 천이 구간, 그리고 주 제동 구간에서 전륜 제동력, 전륜 유압 제동력, 전륜 모터 클램핑력, 후륜 유압 제동력을 도시한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전륜 제동력은, 복합 캘리퍼 유닛(100)에 의해 전륜에 제공되는 제동력이며, 전륜 유압 제동력은 복합 캘리퍼 유닛(100)에 유압 작용 시에 제공되는 제동력이며, 전륜 모터 클램핑력은 주차 제동 시 전동모터(115)에 의해 제공되는 제동력이며, 후륜 유압 제동력은 유압 캘리퍼 유닛(130)에 의해 후륜에 제공되는 제동력이다.
이를 참조할 때, 주차 제동 구간과 주 제동 구간 사이의 천이구간에서는 총 제동력의 급격한 상승에 의한 오버 슈트 없이 총 제동력이 변화되며, 전륜 유압 제동력과 후륜 유압 제동력은 제공되지 않는 상태에서 주차 제동 구간에서는 전륜 모터 클램핑력 만이 작용하여 주차제동이 이루어진다.
이후, 주차 제동과 주 제동 사이의 천이 구간에서는, 전륜 모터 클램핑력이 중간 정도의 시점을 기준으로 경사도의 변화가 있으면서 감소되며, 전륜 유압 제동력은 전륜 모터 클램핑력의 감소를 보상하도록 증가되며, 후륜 유압 제동력은 전륜 유압 제동력에 비해 상당히 완만하게 증가된다.
이때, 천이 구간이 끝나는 시점을 기준으로 전륜 제동력은 거의 전륜 유압 제동력에 인접하게 되며, 후륜 제동력은 일정하게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에 따라, 총 제동력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전동모터(115)가 응답하여 전륜의 제동력이 조절되어 총 제동력이 운전자 요구 제동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복합 캘리퍼 유닛 110: 복합 하우징 본체
111: 유출입구 115: 전동모터
116: 외부 피스톤 117: 내부 피스톤
118: 스핀들 120: 기어들
125: 브레이크부 127: 솔레노이드
130: 유압 캘리퍼 유닛 131: 유압 하우징 본체
132: 유압 피스톤 134: 아웃렛 밸브
135: 유압라인 136: 개폐밸브
137: 브레이크패드 139: 브레이크 디스크
140: 마스터 유압라인 141: 마스터 실린더
143: 마스터 밸브 145: 브레이크 페달
150: 리저버 155: 유압펌프
156: 캘리퍼 유압라인 160: 펌프공급라인
161: 펌프밸브 165: 어큐뮬레이터
170: 체크밸브 180: 제동제어유닛

Claims (16)

  1. 유압라인과 전동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켜 제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륜과 후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합 캘리퍼 유닛에 의해 주차 제동을 실행하되, 상기 유압라인에 의해 가동되어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도록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에 배치되는 외부 피스톤을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작동되도록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에 배치되는 내부 피스톤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압 접촉시키며, 상기 전동요소의 작동을 제한하여 상기 주차 제동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주차 제동을 해제하되,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의 상기 외부 피스톤에 대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가압력이 감소되도록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감압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유압라인에 의한 제동기능이 수행되도록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전륜과 후륜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유압 캘리퍼 유닛에 유압을 제공하여 상기 전륜과 후륜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유압펌프에 의해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상기 유압을 증압 제공하여 주 제동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감압은 상기 전동요소의 작동 제한이 해제되면서 진행되며,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의 내부 피스톤이 상기 외부 피스톤에 대해서 이격될 때까지 진행되는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과 후륜에 소정의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경우, 미리 설정된 유압을 제공할 수 있도록 오일이 저장되어 있는 어큐뮬레이터로부터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상기 유압이 제공되는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주제동의 실행 시에는, 브레이크 패드에 의해서 브레이크 디스크에 가해진 휠압이 정해진 목표압 이상일 때까지 유압펌프에 의한 증압이 진행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증압을 진행하면서, 상기 휠압의 증가가 없을 때까지 상기 전동요소에 의한 상기 내부 피스톤의 감압을 실행하여 상기 내부 피스톤을 초기화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요소는 전동모터이며, 상기 내부 피스톤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스핀들에 나사 결합되되, 상기 스핀들과 상기 전동모터 사이에는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어들이 배치되며,
    상기 기어들 중 어느 하나에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되는 브레이크부가 접촉되어 상기 전동요소의 작동 제한 또는 해제가 실행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주제동 시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운전자의 답력에 상응하는 운전자 요구 제동력에 따라 전동요소에 의한 내부 피스톤의 압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내부 피스톤에 의한 외부 피스톤의 가압력이 조절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유압 캘리퍼 유닛은,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에 의해 유압펌프와 연결되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 상에는 개폐밸브가 마련되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은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작동되며 오일이 저장된 리저버에 연결되어 있는 마스터 실린더와 마스터 유압라인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마스터 유압라인 상에는 마스터 밸브가 배치되며, 상기 마스터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전동요소에 의한 내부 피스톤의 감압이 진행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유압라인과 전동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동시켜 제동기능을 수행하도록 전륜과 후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합 캘리퍼 유닛;
    상기 전륜과 후륜 중 다른 하나에 유압에 의한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유압 캘리퍼 유닛;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유압을 제공하는 유압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각각 연결되되,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개폐밸브가 배치되는 캘리퍼 유압라인;
    상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에 유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유압펌프;
    브레이크 페달에 의해 작동되는 마스터 실린더;
    상기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을 상기 각각의 캘리퍼 유압라인에 제공하도록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유압라인에 대한 오일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마스터 밸브가 배치되는 마스터 유압라인; 및
    상기 전동요소의 브레이크 디스크에 대한 가압작용과 상기 마스터 밸브의 개방에 의해 상기 복합 캘리퍼유닛의 주차제동을 실행하며, 상기 전동요소의 감압과 함께 상기 마스터 밸브를 폐쇄하여 주차제동을 해제하는 제동제어유닛;
    을 포함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제어유닛은,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과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에 유압을 제공한 후, 상기 유압펌프에 의한 증압을 진행하여 주제동을 실행하도록 마련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은,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유출입구를 가진 복합 하우징 본체;
    상기 전동요소 및 유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외부 피스톤;
    상기 외부 피스톤에 접촉 혹은 이격되도록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상기 외부 피스톤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에 마련되는 내부 피스톤; 및
    상기 내부 피스톤이 이동되도록 상기 내부 피스톤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전동요소에 의해 구동되는 스핀들;
    을 포함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은,
    상기 유압라인에 연결되는 유출입구를 가진 유압 하우징 본체; 및
    상기 유압 하우징 본체에 상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브레이크 패드를 이동시키는 유압 피스톤;
    을 포함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와 상기 유압 하우징 본체의 유출입구는 상기 유압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유압라인에는 유압펌프가 연결되되, 상기 제동제어유닛에 의해 전동요소의 감압이 진행되면서 상기 유출입구가 폐쇄되며, 상기 유압라인을 통해 상기 복합 하우징 본체와 유압 하우징 본체로 유압이 제공된 후, 상기 유압펌프가 가동되어 상기 유압라인에 대한 증압이 진행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유압라인을 상기 유압펌프에 연결하며,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펌프밸브가 배치되는 펌프공급라인; 및
    상기 펌프밸브와 상기 유압펌프 사이의 상기 펌프공급라인에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와 함께 연결되며,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 측에 오일 유동의 차단을 위한 다른 개폐밸브와 함께 연결되는 어큐뮬레이터;
    를 더 포함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캘리퍼 유닛은,
    상기 전륜 측에 배치되며, 상기 유압 캘리퍼 유닛은 상기 후륜 측에 배치되는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KR1020150063762A 2015-05-07 2015-05-07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55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62A KR101655169B1 (ko) 2015-05-07 2015-05-07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4/959,143 US9783177B2 (en) 2015-05-07 2015-12-04 Braking system having electromechanical brak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201610042172.4A CN106114484B (zh) 2015-05-07 2016-01-21 具有电动机械制动功能的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762A KR101655169B1 (ko) 2015-05-07 2015-05-07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169B1 true KR101655169B1 (ko) 2016-09-07

Family

ID=56949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762A KR101655169B1 (ko) 2015-05-07 2015-05-07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83177B2 (ko)
KR (1) KR101655169B1 (ko)
CN (1) CN1061144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874A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만도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0377B (zh) * 2014-07-09 2018-07-13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电子机械式制动装置的初始化方法
DE102016205298A1 (de) * 2016-03-31 2017-10-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Bremskraft in einem Fahrzeug
US10093291B2 (en) * 2017-02-02 2018-10-09 Goodrich Corporation Hydraulic park brake system and method
KR102345394B1 (ko) 2017-06-21 2021-12-31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8162940A (zh) * 2018-02-06 2018-06-15 吉林大学 智能汽车复合线控制动系统及其制动控制方法
KR102586489B1 (ko) * 2018-10-15 2023-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와 그 제어 방법
US20230096418A1 (en) * 2021-09-29 2023-03-30 ZF Active Safety US Inc. Hydraulic brake wear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CN114321069A (zh) * 2021-12-31 2022-04-12 南通航泰机械有限公司 一种节省能源的弹簧式液压动力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059A (ko) * 2007-03-28 2008-10-0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복합제동장치
JP2014061892A (ja) * 2006-08-31 2014-04-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4992B4 (de) * 2004-01-30 2008-03-13 Lucas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der Bremsausrüstung eines Fahrzeugs
JP4752781B2 (ja) * 2007-02-01 2011-08-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及び、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の制御方法
KR20110026588A (ko) 2009-09-08 2011-03-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제동시스템
JP5333114B2 (ja) * 2009-09-18 2013-11-0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DE102010033254A1 (de) * 2010-08-03 2012-02-09 Lucas Automotive Gmbh Fahrzeugbrem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des Fahrzeugbremssystems
WO2013088475A1 (ja) * 2011-12-14 2013-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および制動制御装置
KR102155831B1 (ko) * 2013-09-16 2020-09-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61892A (ja) * 2006-08-31 2014-04-10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080088059A (ko) * 2007-03-28 2008-10-02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복합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4874A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만도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2032723B1 (ko) * 2017-10-23 2019-10-16 주식회사 만도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83177B2 (en) 2017-10-10
US20160325724A1 (en) 2016-11-10
CN106114484A (zh) 2016-11-16
CN106114484B (zh)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169B1 (ko)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10162B1 (ko)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의 제어방법
JP5317069B2 (ja) マスタシリンダ装置
JP4887010B2 (ja) 駐車ブレーキの油圧作動用の装置と、そのような装置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JP5333364B2 (ja) マスタシリンダ装置
KR100935563B1 (ko) 차량용 제동 장치
US8978377B2 (en) Cylinder device
CN107650900B (zh) 用于运行自动化的驻车制动器的方法
JP4553123B2 (ja) 常用兼駐車ブレーキ装置
KR102142832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의 초기화 장치 및 방법
JP5158137B2 (ja) マスタシリンダ装置
CN108068785A (zh) 用于运行机动车的制动器的方法和设备、制动器
US8714662B2 (en) Hydraulic brake system
JP2006200715A (ja) 常用兼駐車ブレーキ装置
JP200710072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610154B1 (ko)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06597A (ko)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18537350A (ja) パーキングブレーキ機能を実行することができる制動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4552528B2 (ja) 常用兼駐車ブレーキ装置
KR100576376B1 (ko) 주차기능을 갖춘 디스크브레이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069649A (ja) ブレーキ・バイ・ワイヤ装置
US20190031167A1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Brake System
JP4552529B2 (ja) 常用兼駐車ブレーキ装置
JP4271118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JP5471913B2 (ja) シリ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