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597A -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597A
KR20150106597A KR1020140028847A KR20140028847A KR20150106597A KR 20150106597 A KR20150106597 A KR 20150106597A KR 1020140028847 A KR1020140028847 A KR 1020140028847A KR 20140028847 A KR20140028847 A KR 20140028847A KR 20150106597 A KR20150106597 A KR 20150106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
hydraulic
solenoid valve
hydraulic line
br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성
박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597A/ko
Publication of KR20150106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60T13/142Systems with master cylinder
    • B60T13/145Master cylinder integrated or hydraulically coupled with boo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4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comprising an additional fluid circuit including fluid pressu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pressure of the braking fluid, e.g. including wheel driven pumps for detecting a speed condition, or pumps which are controlled by means independent of the braking system
    • B60T8/4072Systems in which a driver input signal is used as a control signal for the additional fluid circuit which is normally used for braking
    • B60T8/4081Systems with stroke simulating devices for driver in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은, 페달 시뮬레이터와 마스터 실린더와 리저버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페달 유닛; 차량의 양측 전륜에 장착되고 유압피스톤 장치를 구비하는 EMB(Electro Mechanical Brake);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상기 EMB의 유압피스톤 장치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1 유압라인; 상기 제1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양측 후륜 브레이크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2 유압라인; 상기 제2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EMB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EMB의 오일이 임시 저장되는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된 제3 유압라인; 상기 제3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유압라인에 구비되는 제3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페달 유닛의 리저버와 연결된 제4 유압라인; 및 상기 제4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4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PARKING CONTROL SYSTEM OF EMB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압 배력 구조를 이용하는 EMB(Electro Mechanical Brake)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EMB(electro mechanical brake)는 유압을 사용하지 않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스크류/너트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피스톤을 가압하는 전동식 제동장치를 말한다. EMB에서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증배한 기어로 스크류 나사 기어가 회전되면, 스핀들이 스크류 나사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피스톤을 가압하고 가압된 피스톤이 패드를 휠디스크에 압착시켜줌으로써 피스톤력에 의한 반력으로 캘리퍼 바디를 움직이게 된다.
관련하여 최근에는 EMB에서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하이브리드형 EMB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EMB에서는 브레이크패드의 마모에 따른 보상을 위해 별도의 마모보상장치가 구성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마모보상을 위한 별도의 모터와 다수의 주변 부품들이 필요하게 되어 EMB의 부피와 중량이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의 경우에는 보다 간단한 구조와 구성으로 마모보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중량과 부피를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비상시에는 기계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제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분한 제동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에 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3851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에 개시된 EMB 시스템에서는 유압에 의해 배력되는 구조를 이용함과 동시에 비상제동을 가능케 하며 유압에 의한 마모 보정 매커니즘을 구현하다 보니, 주차 제동 기능을 추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EMB 시스템에 대해서 주차 제동 기능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에 주차제동 기능을 추가한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은, 페달 시뮬레이터와 마스터 실린더와 리저버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페달 유닛; 차량의 양측 전륜에 장착되고 유압피스톤 장치를 구비하는 EMB(Electro Mechanical Brake);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상기 EMB의 유압피스톤 장치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1 유압라인; 상기 제1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양측 후륜 브레이크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2 유압라인; 상기 제2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EMB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EMB의 오일이 임시 저장되는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된 제3 유압라인; 상기 제3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유압라인에 구비되는 제3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페달 유닛의 리저버와 연결된 제4 유압라인; 및 상기 제4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4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 및 제4 솔레노이드밸브는 제어전류가 제공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유압라인, 제2 유압라인 및 제4 유압라인을 연통시키는 상태를 가지는 노멀리 오픈 타입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는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유압라인과 제2 유압라인을 연통시키는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EMB에서 생성되는 전륜 제동압이 상기 후륜 브레이크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EMB는, 캘리퍼바디; 상기 캘리퍼바디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기어에서 배력시켜 브레이크디스크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EMB액추에이터; 및 상기 캘리퍼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EMB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EMB액추에이터에 대하여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스터 피스톤과, 유압실을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피스톤을 가압시키는 유압 작용으로 직선 슬라이딩되는 슬레이브 피스톤과, 상기 마스터 피스톤 및 상기 EMB액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는 씨일로 이루어지는 유압피스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MB의 오일은 상기 후륜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이 정차된 경우 상기 제3 유압라인을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출되어 저장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오일은 차량의 전원 오프(Off) 후 상기 페달 유닛의 리저버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에서의 EMB 주차제동 제어방법은,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후륜 브레이크에 전륜 제동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픈 제어하는 제1단계; 후륜 제동압(P1)이 기준 주차 제동압(P2)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Closed) 제어하는 제2단계; 상기 EMB의 오일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3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픈 제어하는 제3단계; 및 상기 EMB의 제동이 완료되면 주차 제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EMB의 EMB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EMB의 전륜 제동압이 생성되고 상기 전륜 제동압이 상기 후륜 브레이크로 전달되어 상기 후륜 제동압(P1)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가 차단 제어되면 상기 후륜 브레이크는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EMB의 오일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출되는 동안 상기 EMB액추에이터는 상기 유압피스톤장치를 가압하도록 계속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4단계에서, 상기 EMB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EMB의 제동이 완료되면 상기 EMB액추에이터의 구동을 멈추고 EMB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구속함으로써 주차제동을 완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EMB액추에이터에 의해 전륜 EMB에 생성된 제동압이 후륜 브레이크로 전달되어 EPB 주차제동시 후륜 브레이크에 의한 제동 상태에서 EPB 제동주차가 이루어져 주차 동안의 차량 밀림 동작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EMB 시스템에서 피스톤의 가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B의 주차제동 제어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공지된 구조 및 공지된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EMB 시스템에서 피스톤의 가압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에 대해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38510호(2011.06.16 공개)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10)은 페달 시뮬레이터와 마스터 실린더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페달 유닛(11)과, 페달 유닛(11)의 마스터 실린더와 유압라인(14)으로 연결되는 EMB(12)와, 유압라인(14)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13)를 포함한다.
페달 유닛(11)은 상기 페달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페달의 제동 조작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페달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상태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ECU(15, Electronic control unit)로 공급하고, ECU(15)는 상기 페달센서의 신호를 받아 각 휠ECU(Wheel ECU)에 정보를 송부하여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솔레노이드밸브(13)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압라인(14)에는 유압라인(14)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밸브(13)가 구비되어 ECU(15)에 의해 제어되며, 솔레노이드밸브(13)는 제어전류가 제공되지 않을 때, 유압라인(14)을 연통시키는 상태를 가지는 노멀리 오픈 타입(Normally open type)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전기 장치의 이상으로 솔레노이드밸브(13)를 제어하는 제어전류가 적절히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솔레노이드밸브(13)가 유압라인(14)을 연통상태로 유지하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발생되는 유압으로 EMB(12)를 통해 비상 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10)은 유압식 마모 보정 구조를 가지며, 일반 EMB 장치에 있어 소음을 줄이고 액추에이터 효율을 높이며 사이즈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기구적 비상 제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10)에서의 피스톤의 가압구조는 휠디스크를 가압하는 클램핑력(Clamping force)로 제동을 수행하는 캘리퍼바디(1)와, 캘리퍼바디(1)에 장착되고 구동모터(2)의 회전력을 기어(미도시)에서 배력시켜 브레이크디스크(3,4)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EMB액추에이터(5)와, 캘리퍼바디(1)에 고정되어 EMB액추에이터(5)에 의해 EMB액추에이터(5)에 대하여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스터 피스톤(6, master piston)과, 마스터 피스톤(6)을 가압시키는 유압 작용으로 직선 슬라이딩되는 슬레이브 피스톤(7, slave piston)과, 마스터 피스톤(6) 및 EMB액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는 씨일(8)로 이루어지는 유압피스톤 장치(9)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EMB액추에이터(5) 또는 유압 작용에 의해 유압피스톤 장치(9)가 전진하면 유압피스톤 장치(9)가 안쪽에 위치한 브레이크디스크(3)를 휠디스크에 압착시켜줌으로써 피스톤력에 의한 반력으로 캘리퍼바디(1)의 움직임이 발생되고, 캘리퍼바디(1)의 움직임은 바깥쪽에 위치한 브레이크디스크(4)를 상기 휠디스크에 압착해줌으로써 양쪽 브레이크디스크(3,4)에 의한 클램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EMB액추에이터(5)에 의해 발생된 피스톤 가압력은 유압피스톤 장치(9)를 이루는 슬레이브 피스톤(7)에 직접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마스터 피스톤(6)을 가압하는 것이고, 동시에 마스터 피스톤(6)을 가압시키는 유압 작용으로 슬레이브 피스톤(7)을 전진시키게 된다. 이때, 마스터 피스톤(6)과 슬레이브 피스톤(7)의 단면적 차이에 따른 배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기어에 의한 배력은 최소화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므로 기어를 사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구조와 효율 저하 요인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기어열을 최소화 하면서 액추에이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에 유리하다.
마스터 피스톤(6)의 스트로크는 마모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제동에 필요한 스트로크만 확보하면 된다. 한편, 브레이크디스크(3,4)의 마모 보정은 슬레이브 피스톤(7)을 잡고 실링을 하고 있는 씨일(8)의 구조와 제동 후에 솔레노이드밸브(13, 도 1 참조)가 열림에 의해 일반 유압 제동 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마스터 피스톤(6)의 작동 스트로크는 마모 보정을 고려하여 길이 설계를 할 필요는 없다. 한편, 씨일(8)은 마스터 피스톤(6)과 EMB액추에이터(5)중 어느 하나에 상대적으로 형성된 씨일홈(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마스터 피스톤(6)의 경우 스핀들 너트(SPINDLE NUT)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스핀들 너트는 스핀들 스크류(SPINDLE SCREW, 6a)와 연결되어 배치된다. 스핀들 스크류(6a)는 구동모터(2)로부터 전달되는 기어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10)에 추가 구성요소를 마련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자 주차 제동 명령이 입력될 경우, 전륜 EMB에 인가되는 제동압과 동일한 크기의 제동압이 후륜 EMB에도 동일하게 인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유압라인과 솔레노이드밸브가 더 추가된 것이다.
EMB 주차제동 시스템(100)은 페달 시뮬레이터와 마스터 실린더와 리저버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페달 유닛(11)과, 차량의 양측 전륜에 장착되고 유압피스톤 장치를 구비하는 EMB(12)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양측 전륜 EMB(12)의 유압피스톤 장치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1 유압라인(110)과, 제1 유압라인(110)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111)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양측 후륜 브레이크(16)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2 유압라인(120)과, 제2 유압라인(120)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121)와, 전륜 EMB(12)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111)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EMB(12)의 오일이 임시 저장되는 어큐뮬레이터(17;ACC; Accumulator)와 연결된 제3 유압라인(130)과, 제3 유압라인(130)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제3 유압라인(130)에 구비되는 제3 솔레노이드밸브(131)와, 어큐뮬레이터(17)와 페달 유닛(11)의 리저버와 연결된 제4 유압라인(140)과, 제4 유압라인(140)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4 솔레노이드밸브(14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EMB(120)는 상술한 도 2에서 설명한 캘리퍼바디(1), EMB액추에이터(5), 및 유압피스톤 장치(9)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기재되었음을 밝혀둔다. 상기 캘리퍼바디, EMB액추에이터 및 유압피스톤 장치에 대해서는 상술하였으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페달 유닛(110)은 페달 시뮬레이터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브레이크 페달의 제동 조작감을 제공함과 아울러, 페달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상태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ECU(미도시)로 공급하고, 상기 ECU는 상기 페달센서의 신호를 받아 EMB액추에이터(5)를 구동하여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제1 내지 제4 솔레노이드밸브(111,121,131,141)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ECU는 EPB 제동 명령이 입력되면 이하 서술할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따라 EMB액추에이터(5) 및 제1 내지 제4 솔레노이드밸브(111,121,131,141)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차제동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유압라인(140)에는 각 유압라인(110,120,130,140)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각각 제 1 내지 제4 솔레노이드밸브(111,121,131,141)가 구비되며, 솔레노이드밸브(111,121,131,141)는 ECU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제1 유압라인(110)과 제2 유압라인(120)과 제4 유압라인(140)에 구비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111)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121)와 제4 솔레노이드밸브(141)는 제어전류가 제공되지 않을 때, 제1 유압라인(110), 제2 유압라인(120) 및 제4 유압라인(140)을 연통시키는 상태를 가지는 노멀리 오픈 타입(Normally open type)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후륜 브레이크에 전륜 제동압이 전달되도록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1단계; 후륜 제동압이 기준 주차 제동압 이상인 경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2단계; 전륜 EMB의 오일이 어큐뮬레이터로 유출되도록 제3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하는 제3단계; 전륜 EMB의 제동이 완료되면 주차 제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계에서,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페달 유닛(11)의 마스터 실린더의 유압을 체크하여 현재 후륜 브레이크(16)의 후륜 제동압(P1)을 체크하고, 전륜 EMB(12) EMB액추에이터(5)를 구동시켜 전륜 EMB(12)의 전륜 제동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전륜 EMB와 후륜 브레이크(16)의 제1 유압라인(110)과 제2 유압라인(120)이 연통되도록 제1 솔레노이드밸브(111)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121)가 연통된다. 이로 인해 전륜 EMB(12)에서 생성된 전륜 제동압이 후륜 브레이크(16)로 전달되어 후륜 제동압(P1)이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제4 솔레노이드밸브(141)는 제4 유압라인(140)을 차단하도록 구동된다.
제2단계에서, 전륜 EMB액추에이터(5)는 전륜 제동압을 지속적으로 생성하도록 계속 구동되며, 이로 인해 후륜 브레이크(16)의 후륜 제동압도 전륜 제동압에 대응하여 증가될 수 있다. 후륜 제동압(P1)이 차량의 정차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준 주차 제동압(P2) 이상인 경우, 제1 유압라인(110)과 제2 유압라인(120)이 차단되도록 제1 솔레노이드밸브(111)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121)는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륜 브레이크(16)는 차량의 정차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제동압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제3단계에서, 전륜 EMB(12)의 오일이 어큐뮬레이터(17)로 유출되도록 제3 솔레노이드밸브(131)가 제3 유압라인(130)을 연통하도록 제어되며, 전륜 EMB액추에이터(5)는 유압피스톤장치(9)를 가압하도록 계속 구동된다. 이때 후륜 브레이크(16)에는 차량의 정차상태를 유지하는 제동압이 유지되고 있는바, 차량의 밀림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4단계에서, 전륜 EMB의 제동이 완료되면 주차 제동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전륜 제동력과 전륜 EMB의 클램핑력(F)을 비교하여 전륜 제동력이 클램핑력(F) 이상이 되는 경우 전륜 EMB의 제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륜 EMB액추에이터(5)의 구동을 멈추고 EMB액추에이터(5)의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액추에이터 모터의 회전력을 구속함으로써 EPB 주차제동이 완료될 수 있다.
이후,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즉 차량의 전원이 모두 Off 상태가 되면 어큐뮬레이터(17)에 보관된 오일은 제4 유압라인(140)을 통해 패달유닛(11)의 리저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4 유압라인(140)을 차단하고 있던 제4 솔레노이드밸브(141)가 전원 Off시 자동으로 열리는 Normally Open Type 솔레노이드밸브이므로, 차량의 전원 Off시 제4 솔레노이드밸브(141)가 제4 유압라인(140)을 연통시킨 상태를 유지하는 바 어큐뮬레이터(17)에 보관된 오일이 자동으로 리저버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 시스템에서 전륜 EMB에서 생성된 전륜 제동압이 후륜 브레이크로 전달되도록 솔레노이드밸브를 제어함으로써, EPB 주차제동시 후륜 브레이크에 주차 제동력이 인가되어 있는 바 차량의 밀림 없이 EPB 주차제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페달 시뮬레이터와 마스터 실린더와 리저버가 결합된 형태를 갖는 페달 유닛; 차량의 양측 전륜에 장착되고 유압피스톤 장치를 구비하는 EMB(Electro Mechanical Brake);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상기 EMB의 유압피스톤 장치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1 유압라인; 상기 제1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유압을 양측 후륜 브레이크로 공급하도록 연결된 제2 유압라인; 상기 제2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2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EMB와 제1 솔레노이드밸브 사이로부터 연장되어 EMB의 오일이 임시 저장되는 어큐뮬레이터와 연결된 제3 유압라인; 상기 제3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상기 제3 유압라인에 구비되는 제3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어큐뮬레이터와 상기 페달 유닛의 리저버와 연결된 제4 유압라인; 및 상기 제4 유압라인의 연통상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4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 및 제4 솔레노이드밸브는 제어전류가 제공되지 않을 때, 상기 제1 유압라인, 제2 유압라인 및 제4 유압라인을 연통시키는 상태를 가지는 노멀리 오픈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는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유압라인과 제2 유압라인을 연통시키는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EMB에서 생성되는 전륜 제동압이 상기 후륜 브레이크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EMB는, 캘리퍼바디;
    상기 캘리퍼바디에 장착되고,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기어에서 배력시켜 브레이크디스크에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EMB액추에이터; 및
    상기 캘리퍼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EMB액추에이터에 의해 상기 EMB액추에이터에 대하여 직선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스터 피스톤과, 유압실을 구비하며 상기 마스터 피스톤을 가압시키는 유압 작용으로 직선 슬라이딩되는 슬레이브 피스톤과, 상기 마스터 피스톤 및 상기 EMB액추에이터 사이에 구비되는 씨일로 이루어지는 유압피스톤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EMB의 오일은 상기 후륜 브레이크에 의해 차량이 정차된 경우 상기 제3 유압라인을 통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출되어 저장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저장된 오일은 차량의 전원 오프(Off) 후 상기 페달 유닛의 리저버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6. 청구항 5에 따른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에서의 EMB 주차제동 제어방법에 있어서,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후륜 브레이크에 전륜 제동압이 전달되도록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픈 제어하는 제1단계;
    후륜 제동압(P1)이 기준 주차 제동압(P2)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솔레노이드밸브와 제2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Closed) 제어하는 제2단계;
    상기 EMB의 오일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출되도록 상기 제3 솔레노이드밸브를 오픈 제어하는 제3단계; 및
    상기 EMB의 제동이 완료되면 주차 제동상태를 유지시키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EPB 제동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EMB의 EMB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상기 EMB의 전륜 제동압이 생성되고 상기 전륜 제동압이 상기 후륜 브레이크로 전달되어 상기 후륜 제동압(P1)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제1 및 제2 솔레노이드밸브가 차단 제어되면 상기 후륜 브레이크는 차량의 정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상기 EMB의 오일이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유출되는 동안 상기 EMB액추에이터는 상기 유압피스톤장치를 가압하도록 계속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제4단계에서,
    상기 EMB액추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EMB의 제동이 완료되면 상기 EMB액추에이터의 구동을 멈추고 EMB 액추에이터의 회전력을 구속함으로써 주차제동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40028847A 2014-03-12 2014-03-12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50106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47A KR20150106597A (ko) 2014-03-12 2014-03-12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847A KR20150106597A (ko) 2014-03-12 2014-03-12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597A true KR20150106597A (ko) 2015-09-22

Family

ID=5424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47A KR20150106597A (ko) 2014-03-12 2014-03-12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59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1566A (zh) * 2017-05-23 2017-08-1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功率电传飞机刹车装置
CN110562227A (zh) * 2019-08-22 2019-12-1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液耦合制动系统及车辆
KR20200042101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와 그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1566A (zh) * 2017-05-23 2017-08-18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功率电传飞机刹车装置
CN107061566B (zh) * 2017-05-23 2018-10-19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功率电传飞机刹车装置
KR20200042101A (ko) * 2018-10-15 2020-04-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브레이크 장치와 그 제어 방법
US10988127B2 (en) 2018-10-15 2021-04-27 Hyundai Motor Company Brake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603084B2 (en) 2018-10-15 2023-03-14 Hyundai Motor Company Brake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0562227A (zh) * 2019-08-22 2019-12-1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液耦合制动系统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2226B1 (ko) 브레이크 시스템 및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US10525958B2 (en) Electric parking brake having twin independent actuators
KR102155831B1 (ko)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US20110254357A1 (en) Brake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1063955A3 (de) Bremssystem mit speichereinrichtung mit mehrfachfunktion
KR101655169B1 (ko) 전자기계식 파킹기능을 갖는 브레이크장치를 이용한 제동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0506844A (ja) ブレーキモータ制御器、電気ブレーキモータを備えた車両用ブレーキシステム、およびブレーキモータ制御器を起動させる方法
WO2010069659A3 (de)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remsbetätigung einer hydraulischen fahrzeugbremsanlage und elektromechanischer bremskraftverstärker
WO2016084837A1 (ja) 車両の制動装置
US20180148028A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 Hydraulic Brake System, Brake System
KR102142832B1 (ko) 전자기계식 브레이크의 초기화 장치 및 방법
JP4635622B2 (ja) 常用兼駐車ブレーキ装置
KR20150106597A (ko) 유압장치를 병용하는 emb의 주차제동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7522398A (ja) 車両用油圧ブレーキ
CN112298125B (zh) 线控制动系统和车辆
US7277786B2 (en) Chassis-supported secondary braking system or emergency braking system
CN114728641B (zh) 用于操控车辆中的液压的制动系统的方法
JP2007100723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4491829B2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CN112303150B (zh) 线控制动系统和车辆
WO2020004525A1 (ja)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2016372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KR101990646B1 (ko) 통합형 제동 시스템
JP5872252B2 (ja) 液圧発生装置
JP4552528B2 (ja) 常用兼駐車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