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877B1 -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877B1
KR101654877B1 KR1020160028257A KR20160028257A KR101654877B1 KR 101654877 B1 KR101654877 B1 KR 101654877B1 KR 1020160028257 A KR1020160028257 A KR 1020160028257A KR 20160028257 A KR20160028257 A KR 20160028257A KR 101654877 B1 KR101654877 B1 KR 10165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rope
frame
fixed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028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8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4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with specially-shaped head or shaft in order to fix the bolt on or in an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 B66D2700/0191Cable guiding during winding or paying 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le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르래에 감겨진 상태로 이동하는 로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도르래(10)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들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로프(20)를 지지하여, 로프(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프유동방지부재(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ROPE SEPARATION PREVENTION APPARATUS FOR PULLEY}
본 발명은 도르래에 감겨진 상태로 이동하는 로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르래는 풀리에 와이어를 걸어서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기 위한 것으로 엘리베이터나 기중기와 같은 기계장치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르래의 사용 중에 풀리에서 와이어가 이탈되어 기계장치의 고장이 발생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와이어가 풀리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와이어의 이동이 보장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6573호가 2002.08.08.일 자로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르래에 감겨진 상태로 이동하는 로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할 수 있는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는, 도르래(10)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들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로프(20)를 지지하여, 로프(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프유동방지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00)은 도르래(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일측프레임(110)와, 일측프레임(110)에 절곡된 상태로 연이어지면서 도르래(10)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측프레임(110) 및 타측프레임(120)은 'ㄱ'형태로 절곡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측프레임(110)은 도르래프레임(12)에 장착되는 일측장착부(111)가 끝부분에 형성되고, 타측프레임(120)은 도르래프레임(12)에 장착되는 타측장착부(121)가 끝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측장착부(111)는 홀로 구성되고, 타측장착부(121)는 장홀이나 장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로프유동방지부재(200)는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는 양단에 베어링(210)이 장착되고, 베어링(210)에는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너트(22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는, 도르래에 감겨진 상태로 이동하는 로프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할 수 있어서, 로프가 도르래에서 이탈됨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용 로프이탈방지 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도르래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도르래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도르래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도르래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이 도르래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로프유동방지부재(200)를 포함한다.
먼저, 도르래(10)는 로프(20)가 감기는 풀리(11)와, 풀리(1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도르래프레임(12) 및 도르래프레임(12)들을 연결하는 연결핀(13)을 포함한다.
풀리(11)는 외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홈에 삽입되어서 감겨지는 로프(20)들이 서로 겹쳐지지 않으면서 이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르래프레임(12)은 풀리(11)의 양측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복수의 판재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에 연결핀(13)이 고정되도록 홀이 형성되는 연결핀장착부(14)가 형성되고, 하부에 구조물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고정부가 형성된다. 구조물고정부는 도르래프레임(12)의 일단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돌기(15)와, 도르래프레임(12)의 일단에 형성되어 구조물에 볼팅으로 고정되는 고정편(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5)를 구조물에 걸어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편(16)을 구조물에 볼팅으로 체결시키면, 도르래프레임(12)이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핀(13)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거나 장방형의 롤러로 구성되어, 도르래프레임(12)들의 연결핀장착부(14)에 양단이 볼팅으로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도르래프레임(12)들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리(11)에 감겨진 상태로 이동되는 로프(20)를 가이드할 수도 있다.
프레임(100)은 도르래(10)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복수로 구성된다.
프레임(100)은 도르래(10)의 일측에 고정되는 일측프레임(110)와, 일측프레임(110)에 절곡된 상태로 연이어지면서 도르래(10)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측프레임(110) 및 타측프레임(120)은 'ㄱ'형태로 절곡되게 연결되면서 판재형태로 형성된다. 즉, 일측프레임(110) 및 타측프레임(120)은 대략 직각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ㄱ'형태로 절곡되는 일측프레임(110) 및 타측프레임(120)의 사이에 설치되는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가 로프(20)를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측프레임(110)은 도르래프레임(12)에 장착되는 일측장착부(111)가 끝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일측장착부(111)는 홀로 구성되어 도르래프레임(12)의 연결핀장착부(14)에 연결핀(13)을 장착시키는 볼트에 관통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즉, 볼트가 일측장착부(111)인 홀을 관통하고, 도르래프레임(12)의 연결핀장착부(14)에 관통한 상태로 연결핀(13)의 단부에 체결됨에 따라, 일측프레임(110)이 도르래(10)에 고정된다.
타측프레임(120)은 도르래프레임(12)에 장착되는 타측장착부(121)가 끝부분에 형성된다. 이러한, 타측장착부(121)는 핀이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122)가 관통되도록 타측프레임(120)의 끝부분에 형성되는 장홀이나 장홈으로 구성될 수 있어서, 규격이 다른 도르래(10)들에 타측프레임(120)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와 같은 체결부(122)가 타측장착부(121)인 장홀이나 장홈에 삽입된 후에 장홀이나 장홈을 따라 이동된 상태로 도르래(1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타측프레임(120)의 끝단이 도르래프레임(12)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로프유동방지부재(200)는 프레임(100)들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로프(20)를 지지하여, 로프(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으로, 프레임(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로프(20)의 진동이 감소됨에 따라 로프(20)가 도르래(10)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롤러는 원통형태로 형성되므로 로프(20)가 감겨지는 상태로 지지될 수도 있어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배열되는 도르래(10)들이 상하로 어긋난 상태가 되어도 로프(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는 양단에 베어링(210)이 장착되고, 베어링(210)에는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너트(220)가 장착되어 있어서, 프레임(100)을 관통한 볼트가 너트(220)에 체결됨에 의해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가 프레임(100)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가 로프(20)에 접촉되어서 가압하는 상태이므로 로프(20)가 도르래(10)의 풀리(11)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계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가 공회전 되므로 로프(20)가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어도 마찰됨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 및 로프(20)의 마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는 로프(20)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도록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거나, 우레탄이나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로프(20)에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측프레임(110) 및 타측프레임(120)이 프레임(100)의 양측에 고정됨에 따라, 로프유동방지부재(200)인 롤러가 도르래(10)에 감겨진 로프(20)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지지되므로, 로프(20)가 도르래(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로프유동방지부재(200)로 전달되어서 감소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로프유동방지부재(200)를 통해 로프(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해소되므로 로프(20)가 도르래(1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도르래(10)에 다수의 로프(20)들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감겨져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로프(20)들이 도르래(10)를 지나면서 상방으로 약간 올려진 상태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로프유동방지부재(200)에 지지되므로 도르래(10)에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르래(10)들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나열되고 나열된 도르래(10)들에 로프(20)들이 연이어진 상태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도르래(10)들이 일렬로 나란하지 않고 약간씩 어긋난 상태에서는 로프(20)가 도르래(10)에 비스듬한 상태로 감겨서 안내되면서 로프유동방지부재(200)에 지지되므로 도르래(10)에서 이탈됨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로프의 이탈을 방지하여 로프의 안정적인 이동을 보장할 수 있어서, 도르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도르래
20 : 로프
100 : 프레임
110 : 일측프레임
111 : 일측장착부
120 : 타측프레임
121 : 일측장착부
200 : 로프유동방지부재
210 : 베어링
220 : 너트

Claims (7)

  1. 도르래(10)의 양측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들에 양단이 고정된 상태로 로프(20)를 지지하여, 로프(2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켜서 로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로프유동방지부재(200)를 포함하며,
    도르래(10)는 로프(20)가 감기는 풀리(11)와, 풀리(1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도르래프레임(12) 및 도르래프레임(12)들을 연결하는 연결핀(13)을 포함하고,
    연결핀(13)은 원통형태로 형성되거나 롤러로 구성되어, 도르래프레임(12)들의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면서, 풀리(11)에 감겨진 상태로 이동되는 로프(20)를 가이드하며,
    프레임(100)은
    도르래(10)의 연결핀(13)에 고정되는 일측프레임(110)와,
    일측프레임(110)에 연이어지면서 도르래(10)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프레임(120)을 포함하고,
    일측프레임(110) 및 타측프레임(120)은 'ㄱ'형태로 절곡되게 연결되며,
    일측프레임(110)은 도르래(10)의 연결핀(13)에 장착되는 일측장착부(111)가 끝부분에 형성되고,
    타측프레임(120)은 도르래(10)의 도르래프레임(12)에 장착되는 타측장착부(121)가 끝부분에 형성되며,
    일측장착부(111)는 홀로 구성되고,
    타측장착부(121)는 장홈으로 구성되며,
    로프유동방지부재(200)는 롤러로 구성되되, 양단에 베어링(210)이 장착되고, 베어링(210)에는 볼트가 나사결합되는 너트(220)가 장착되며, 일측프레임(110) 및 타측프레임(120)이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되어, 도르래(10)의 연결핀(13)보다 높은 위치이면서 도르래(10)의 도르래프레임(12)에서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28257A 2016-03-09 2016-03-09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KR10165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257A KR101654877B1 (ko) 2016-03-09 2016-03-09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257A KR101654877B1 (ko) 2016-03-09 2016-03-09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877B1 true KR101654877B1 (ko) 2016-09-06

Family

ID=5694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257A KR101654877B1 (ko) 2016-03-09 2016-03-09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8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036B1 (ko) * 2019-04-11 2019-07-0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용 처짐 및 편심방지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575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루퍼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130003682U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동식 혼합 준비대
KR20140113849A (ko) * 2013-03-15 2014-09-25 박태진 조립기능이 부가된 케이블 보호 가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575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루퍼 와이어 이탈방지장치
KR20130003682U (ko) * 2011-12-12 2013-06-2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이동식 혼합 준비대
KR20140113849A (ko) * 2013-03-15 2014-09-25 박태진 조립기능이 부가된 케이블 보호 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5036B1 (ko) * 2019-04-11 2019-07-02 그린엘리베이터(주) 엘리베이터용 처짐 및 편심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2266C (en) Elevator installation with flat-belt-type suspension means arranged in parallel
US20170081152A1 (en) Hook block and rope hoist
TWI423913B (zh) 傳送帶保持引導器
KR101328197B1 (ko) 무대장치용 와이어로프 안내장치
KR100893145B1 (ko) 무대용 로프 안내활차
CN209904753U (zh) 快装快卸式超薄型吊装轨道机器人及其行走装置
KR101654877B1 (ko) 도르래용 로프 이탈 방지 장치
KR20090115645A (ko) 무대구동장치
KR100262999B1 (ko) 수동 체인 블록
JP2010037049A (ja) コンベヤのテークアップ装置
GB2571193A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ving objects
JP2017145118A (ja) 脱輪防止装置
KR20100113210A (ko) 전동 윈치 시스템
KR101913756B1 (ko) 레일에의 탈부착이 용이한 레일 주행 장치
KR101772959B1 (ko) 로프인양장치
KR20190028585A (ko) 레이스웨이 유닛 및 이를 갖는 oht
CN108193453B (zh) 环形晾衣架及智能晾衣架
KR200401381Y1 (ko) 삭도용 수평 캐리지
JP2007512202A5 (ko)
JP2007120593A (ja) テンション装置
KR102013738B1 (ko) 무대설비 승강용 와이어로프의 활차
US20190106123A1 (en) Rope management apparatus
FI128652B (fi) Köysinostimen nostovaunu
KR101635399B1 (ko) 무대 장치용 각도 조절 활차
KR101266938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케이블 포설용 가이드롤러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