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48B1 -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 Google Patents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48B1
KR101654748B1 KR1020140147246A KR20140147246A KR101654748B1 KR 101654748 B1 KR101654748 B1 KR 101654748B1 KR 1020140147246 A KR1020140147246 A KR 1020140147246A KR 20140147246 A KR20140147246 A KR 20140147246A KR 101654748 B1 KR101654748 B1 KR 10165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element
temperature
heat
prox
hea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717A (ko
Inventor
박현영
노형철
장주찬
서호철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4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01M8/0668Removal of carbon monoxide or carbon diox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313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variables; characterised by the detection or assessment of failure or abnormal function
    • H01M8/0432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에는 일산화탄소(CO)를 제거하는 프록스(10)의 방출 열에 의한 상변화로 프록스(10)의 활성화 온도를 제어하는 히트파이프(20), 전원의 +/-극 방향전환에 의한 흡열시 프록스(10)의 활성화 온도를 제어하고 반면 발열시 프록스(10)를 가열하여 주는 열전소자(70)로 구성된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1)이 적용됨으로써 팬(80)의 구동 없이 이루어지는 프록스 온도 안정화 제어와 함께 열전소자(70)와 히트파이프(20)의 용량에 따른 보조적인 팬 구동이 가능해 팬 수량 및 용량을 크게 축소하고, 특히 프록스(10)와 히트파이프(20)사이에 위치된 열전소자(70)를 이용한 프록스 가열로 시스템 안정성이 크게 개선되는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Self Cooling type PrOx using Thermoelectric Module and Portable Fuel Cell Generator thereby}
본 발명은 프록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전소자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질기에서 생성된 수소(이하, H2)는 연료전지스택 촉매 피독의 원인인 일산화탄소(이하,CO)를 함유하므로 연료로 공급되기 전 프록스(PrOx)의 선택적 산화반응을 통해 제거되거나 제한적인 농도로 낮춰진다.
그러므로, LPG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료전지스택의 발전에 필요한 H2를 발생 시키는 개질기로 구성된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에는 개질기로 부터 나온 개질 수소에 포함 되어있는 CO를 제거하는 부품인 프록스가 포함된다.
또한,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에는 프록스 온도제어를 위한 프록스냉각제어가 더 포함되는데, 이는 프록스는 발열 반응으로 CO제거가 이루어지는 선택적 산화반응 방식임에 기인된다.
상기 프록스냉각제어는 프록스의 온도가 약 100~120℃ 이상으로 상승될 때 팬을 구동시켜줌으로써 프록스의 온도를 냉각하는 강제냉각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록스에는 프록스 온도센서, 온도를 모니터링하고 약 100~120℃ 이상(설정 로직에 따라 다름)의 온도상승 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 제어기의 제어신호로 가동되는 고용량 팬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개질기와 강제냉각방식 프록스를 갖춘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는 발전 시 수소의 산화반응 발생으로 개질 성능을 대폭 하락시키면서 안전에도 치명적인 영항을 미치는 프록스 온도가 200℃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국내특허공개10-2011-0019608(2011년02월28일)
하지만, 팬을 이용한 강제냉각방식은 프록스에서 발열되는 열량이 높을수록 프록스 온도 제어에 어려움이 있고, 유속이 빠른 고 RPM(Revolution per Minute)의 팬을 적용하여야 한다.
특히, 발열되는 열량이 높은 프록스를 적정온도로 신속히 냉각하기 위해선 팬 수량도 늘어나야 함으로써 팬 소음 증가와 함께 팬 가동을 위한 소비전력도 증가된다.
그러므로, 팬을 이용한 강제적인 프록스 냉각방식은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의 시스템 편의적인 사항과 전기적 효율적인 면에서 크게 불리할 수밖에 없다.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프록스에 열전소자와 히트파이프를 적용함으로써 팬 구동없이 이루어지는 프록스 온도 안정화 제어와 함께 열전소자와 히트파이프의 용량에 따른 보조적인 팬 구동으로 팬 수량 및 용량을 크게 축소하고, 특히 프록스와 히트파이프사이에 위치된 열전소자를 이용한 프록스 가열로 시스템 안정성이 크게 개선된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은 선택적 산화반응에 의한 일산화탄소(CO)제거를 위해 활성화 온도로 가열되는 프록스의 활성화 온도 초과 시 상기 프록스의 방출열로 상변화되는 작동유체 순환에 의한 열 흡수와 공급전원을 통한 흡열작용으로 열 흡수가 함께 구현되어 상기 프록스의 온도제어가 이루어지고, 반면 공급전원을 통한 발열작용으로 상기 프록스의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유체 순환에 의한 열 흡수는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공급을 통한 흡열 및 발열작용은 열전소자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록스에는 직렬로 적층된 상기 히트파이프와 상기 열전소자가 프록스 하우징의 한쪽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프록스 하우징의 양쪽으로 결합된다. 상기 열전소자의 한쪽부위가 상기 프록스 하우징에 결합되고, 반대쪽부위가 상기 히트파이프에 결합된다.
상기 히트파이프는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프록스로부터 전달된 방출 열로 증기로 상변환시켜주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나온 증기에서 열을 빼앗아 다시 액체로 상변환시켜주는 냉각기,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각기를 연결하는 라인, 상기 냉각기에 형성된 방열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열전소자(70)는 전원의 +/-극 인가시 흡열작용이 일어나고 -/+극 인가시 발열작용이 일어나거나 또는 전원의 -/+극 인가시 흡열작용이 일어나고 +/-극 인가시 발열작용이 일어나는 P-N 반도체를 구비한다.
상기 프록스에는 팬이 더 포함되고, 상기 팬은 상기 프록스의 활성화 온도 초과 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로 제어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급전원의 +/-극 방향을 전환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는 공급된 연료에서 수소(H2)를 발생하는 개질기; 선택적 산화반응에 의한 일산화탄소(CO)제거를 위해 활성화 온도로 가열되는 프록스, 상기 프록스의 방출 열로 작동유체의 액체 및 기체 상변화가 이루어지면서 순환되는 과정에 의한 열 흡수로 상기 프록스의 활성화 온도 초과를 낮추어주는 히트파이프, 전원의 +/-극 방향에 의한 흡열시 상기 프록스의 활성화 온도초과를 낮추어주고 반면 발열시 상기 프록스를 가열하여 주는 열전소자로 구성된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 상기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에서 일산화탄소(CO)가 제거되거나 농도를 낮춘 수소(H2)를 공급받아 발전이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스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에 적용된 프록스(PrOx)가 열전소자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자체냉각방식으로 온도 제어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로 프록스 승온 대기 시간 감소로 개질기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시스템 초기 기동 시간 단축이 이루어지며, 둘째로 낮은 외기에 의하여 프록스 승온 실패 위험 제거가 이루어지고, 셋째로 프록스 온도에 따른 열전소자 사용이 없는 평상시모드와 열전소자 사용이 있는 과열시모드로 프록스 과열이 방지됨으로써 안정적이면서 신속한 프록스 온도 조절이 이루어지며, 넷째로 열전소자/히트파이프를 이용한 고효율 냉각 및 프록스 냉각용 팬 소비전력 감소로 발전기 시스템 전체 효율 향상이 이루어지고, 다섯째로 프록스 냉각용 팬 회전 속도 감소를 통한 팬 소음 저감과 발전기 시스템 저소음 적용 및 사용자 편의성 향상이 이루어지며, 여섯째로 프록스 냉각 효율 향상을 통한 프록스 내부 선택적 산화반응 온도 안정화 및 CO 제거 성능 확보로 발전기 시스템안전성 향상이 이루어지고, 끝으로 열전소자를 이용해 프록스 온도 상승이 이루어짐으로써 발전기 시스템 시동성 향상이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단일형 프록스 유닛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복합형 프록스 유닛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에 적용된 히트파이프의 작동원리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에 적용된 열전소자의 작동원리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이 적용된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의 발전 시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프록스의 온도제어 상태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의 발전 시 열전소자와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프록스의 온도제어 상태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가 프록스 가열에 열전소자를 이용하는 상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단일 프록스 유닛(1)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단일 프록스 유닛(1)은 프록스(10), 프록스(10)의 한쪽 부위로 장착된 히트파이프(20), 프록스(10)와 히트파이프(20)사이로 위치된 열전소자(70)로 구성된다.
또한,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복합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복합 프록스 유닛(1-1)은 프록스(10), 프록스(10)의 양쪽 부위로 장착된 좌,우측 히트파이프(20-1,20-2), 프록스(10)와 좌측 히트파이프(20-1)사이로 위치된 좌측열전소자(70-1), 프록스(10)와 우측 히트파이프(20-2)사이로 위치된 우측열전소자(70-2)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록스(10)는 발열 반응으로 CO제거가 이루어지는 선택적 산화반응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히트파이프(20)와 상기 좌측 히트파이프(20-1) 및 상기 우측 히트파이프(20-2)는 모두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단지 도 1의 히트파이프(20)가 프록스(10)의 양쪽으로 각각 장착됨으로써 히트파이프(20)의 구분을 위해 각각 좌측 히트파이프(20-1)와 우측 히트파이프(20-2)로 구분되어 불리는 명칭 차이밖에 없다. 또한, 상기 좌측열전소자(70-1)와 상기 우측열전소자(70-2)는 도 1의 열전소자(70)가 프록스(10)의 양쪽으로 각각 장착됨으로써 열전소자(70)의 구분을 위해 각각 좌측 열전소자(70-1)와 우측 열전소자(70-2)로 구분되어 불리는 명칭 차이밖에 없다.
그러므로, 좌,우측 히트파이프(20-1,20-2)에 대한 설명은 히트파이프(20)에 대한 기술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좌,우측 열전소자(70-1,70-2)에 대한 설명은 열전소자(70)에 대한 기술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트파이프(20)는 내부에서 순환되는 액체를 프록스(10)로부터 전달된 열로 증기로 상변환시켜주는 증발기(30), 증발기(30)에서 나온 증기에서 열을 빼앗아 다시 액체로 상변환시켜주는 냉각기(40), 증발기(30)에서 나온 증기를 냉각기(40)로 보내주는 기체라인(50-1), 냉각기(40)에서 나온 액체를 증발기(30)로 보내주는 액체라인(50-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기(40)에는 열 방출성능을 높이도록 방열핀(40-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히트파이프(20)의 작동원리는 도 3을 통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파이프(20)는 감압(減壓)한 파이프 내부에 물 또는 알코올 등의 액체를 넣고 한쪽을 가열하면 액체가 증기로 되어 다른 쪽으로 흐르고, 그곳에서 방열하여 액체가 되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액체가 가열부로 되돌아오며, 이러한 작용의 반복으로 열을 증발기(30)에서 냉각기(40)로 전달하는 원리를 응용한 열전도(熱傳導)방식이다.
그러므로, 도 1,2를 통해 기술된 히트파이프(20)는 열 이송을 위해 밀폐된 용기(단일 또는 환형 파이프)인 증발기(30)내에 작동 유체로 물 또는 알콜을 주입한 후 진공상태를 형성함으로써 프록스(10)에서 전달되는 열로 가열되고, 가열을 통해 증발기(30)의 내부에 충진된 작동유체가 기화됨에 따른 압력 차로 기체라인(50-1)을 이용해 냉각기(40)로 빠져나감으로써 방열핀(40-1)의 냉각촉진을 통해 주변으로 열을 방출한 후 다시 응축의 과정을 거쳐 액체로 상변환되고, 이어 액체라인(50-2)을 통해 다시 증발기(30)로 귀환됨으로써 프록스(10)가 냉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트파이프(20)는 작동유체의 귀환 방법에 따라 메쉬와 그루브 등의 윅에 의한 모세관력을 이용한 방식이나 또는 증발기가 응축기 보다 아래쪽에 위치된 중력을 이용한 열싸이펀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히트 파이프 형태에 따라 단일형이나 환형 고리 형태의 루프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트파이프(20)는 인공위성, 발전기 등 대형 장비에서 소형 전자 기기 냉각, 태양열, 지열, 폐열회수등에 적용되는 모든 종류의 히트파이프가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구체적으로 상기 열전소자(70)는 증발기(30)에 면접촉되도록 체결됨으로써 히트파이프(20)와 서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는다. 특히, 상기 열전소자(70)는 연결된 전원의 +와 - 역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전원인가 시 프록스(10)로부터 전달된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70)와 상기 히트파이프(20)는 볼팅 체결방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70)와 상기 프록스(10)의 결합은 프록스 하우징을 이용한 직접적인 장착도 가능하나, 프록스 브래킷(60)을 매개로 프록스 하우징에 결합되는 간접적인 장착방식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프록스 브래킷(60)과 프록스(10)를 용접하도록 프록스 브래킷(60)의 한쪽면에 프록스 외관을 감싸는 구조로 하고, 프록스 브래킷(60)과 열전소자(70)를 볼팅체결하도록 프록스 브래킷(60)의 반대쪽 면에 볼팅홀을 뚫은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열전소자(70)의 작동원리는 도 4를 통해 예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70)는 재료 양단의 온도차에 의하여 전압이 발생하는 Seebeck 효과와 재료 양단간에 전류를 통하면 한 면이 발열하고 반대면이 흡열하는 Peltier 효과의 열전특성을 갖는 열전재료로서, 에너지 직접변환이 가능한 재료로 열전발전이나 열전냉각 분야에 이용되는 종류이다. 그러므로, 도 1,2를 통해 기술된 열전소자(70)는 판형의 모듈내에 작게 P-N 반도체가 있으며, +/-극(전선)에 전력을 가하면 ??형의 편에 한쪽은 냉각 한쪽은 가열이 이루어지고, 전력의 극을 +/-에서 -/+로 바꾸어 인가하면 냉각부와 가열부가 뒤바뀌게 됨으로써 전력의 제어로 한쪽면에서 냉각 또는 가열이 가능한 방식이다. 특히, 열전소자(70)는 냉각부가 프록스(10)와 결합된 프록스 브래킷(60)으로 위치됨으로써 프록스(10)를 직접냉각또는 가열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1)이 적용된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는 히트파이프 작동유체가 상변환되어 순환함과 더불어 +/-극의 전원이 공급되는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 팬(80), 제어기(90), 개질기(100), 연료전지스택(200)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은 단일형으로 구성되었으나,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는 복합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으로 구성됨으로써 복합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단일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이나 상기 복합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은 도 1내지 도 4를 통해 기술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 팬(80)은 공급된 전원으로 회전됨으로써 끌어들인 바람을 프록스(10)쪽으로 보내주는 작용을 하고, 상기 제어기(90)는 프록스(10)의 온도 제어 효율을 향상하도록 프록스 온도 조건에 따라 팬(80)의 가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단일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나 상기 복합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은 팬(80) 및 제어기(90)와 함께 구성됨으로써 프록스(10)의 온도 제어 시 제어기(90)에 의한 팬(80)의 구동으로 온도제어성능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제어효율향상은 프록스 온도 제어를 위한 보조수단으로 팬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저용량 팬 적용이 가능하면서 동시에 팬 수량도 축소되는 효과로 구현된다. 특히 프록스(10)와 히트파이프(20)사이에 위치된 열전소자(70)도 제어기(90)에 의한 전원공급제어로 히트파이프(20)로 감당하기 어려운 프록스 과열 시 보다 신속한 프록스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작동됨으로써 프록스 냉각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로 구현된다. 특히, 상기 제어기(90)는 열전소자(70)에 인가되는 전원의 +와-를 제어함으로써 열전소자(70)를 흡열상태로 작동시키거나 발열상태로 작동시킨다. 상기 흡열상태는 프록스(10)의 온도를 낮추는 경우이고 반면 발열상태는 프록스(10)의 온도를 높이는 경우이다.
상기 개질기(100)는 개질기연소부(100-1)와 개질기촉매부(100-2)를 포함하고, LPG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료전지스택(200)의 발전에 필요한 H2를 발생 시킨다. 하지만, 사용연료에 제한되지 않고 H2 생성이 가능한 모드 종류의 연료를 사용한다.
상기 연료전지스택(200)은 개질기(100)에서 생성된 H2에서 단일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이나 복합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을 통해 CO제거된 H2를 연료로 공급받음으로써 CO에 의한 촉매 피독영향이 최소화된 상태로 발전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는 프록스(10)의 온도제어를 2가지 모드로 구분한다. 이러한 2가지 모드는 단일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이나 복합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을 통해 모두 구현되며, 이하 설명은 단일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을 예로 설명된다.
도 6은 평상시모드로서, 이는 프록스(10)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내에 있어 열전소자(70)에 전력을 미인가함으로써 열전소자(70)의 작동이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프록스(10)에서 발생된 열은 열전소자(70)에 의한 흡수없이 프록스 브래킷(60)과 열전소자(70)를 거쳐 히트파이프(20)로 전달된다. 그러면, 프록스(10)의 방출 열은 히트파이프(20)의 증발기(30)로 전도되고, 증발기(30)내 히프파이프 작동유체는 열전도로 액체에서 기체(또는 증기)로 상변환됨으로써 열을 흡수하며, 기체(증기)는 기체라인(50-1)을 거쳐 냉각기(40)로 흘러감으로써 냉각핀(40-1)의 상승작용으로 증기 열을 방출한 후 액체로 상변환되며, 액체는 액체라인(50-2)을 거쳐 증발기(30)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을 통해 흡수된다. 또한, 제어기(90)는 팬(80)을 가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프록스 온도가 보다 신속하게 제어될 수 있다.
반면, 도 7은 과열시모드로서, 이는 프록스(10)의 온도가 원하는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어 있어 열전소자(70)에 전력을 인가함으로써 열전소자(70)의 작동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때, 제어기(90)는 열전소자(70)에 인가되는 전원의 +와-를 제어함으로써 열전소자(70)는 흡열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므로, 프록스(10)에서 발생된 열은 열전소자(70)에 의한 일차적인 흡수로 낮춰진 다음 열전소자(70)를 거쳐 히트파이프(20)로 전달된다. 그러면, 프록스(10)의 방출 열은 히트파이프(20)의 증발기(30)로 전도되고, 증발기(30)내 히프파이프 작동유체는 열전도로 액체에서 기체(또는 증기)로 상변환됨으로써 열을 흡수하며, 기체(증기)는 기체라인(50-1)을 거쳐 냉각기(40)로 흘러감으로써 냉각핀(40-1)의 상승작용으로 증기 열을 방출한 후 액체로 상변환되며, 액체는 액체라인(50-2)을 거쳐 증발기(30)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을 통해 흡수된다. 이러한 열전소자(70)와 히트파이프(20)의 협력은 프록스(10)의 과열 방지에 따른 시스템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켜 준다. 또한, 제어기(90)는 팬(80)을 가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프록스 온도가 보다 신속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열전소자(70)가 프록스(10)를 가열함으로써 프록스(10)의 활성화 온도가 열전소자(70)로 신속하게 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70)는 제어기(90)에 의한 전원의 +와- 제어로 발열상태로 작동된다. 그러면, 프록스(10)는 프록스(10)에 접한 열전소자(70)의 안쪽면(발열면)에서 방출되는 열전소자(70)의 열을 전달받음으로써 가열상태로 되고, 반면 히트파이프(20)는 히트파이프(20)에 접한 열전소자(70)의 바깥면(흡열면)에서 흡수되는 열을 제공하여 준다. 이때, 히트파이프(20)는 히트파이프 작동유체의 순환 없이 단순히 증발기(30)를 통한 전도로 열을 흡수하여 열전소자(70)로 전달하여 준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에는 일산화탄소(CO)를 제거하는 프록스(10)의 방출 열에 의한 상변화로 프록스(10)의 활성화 온도를 제어하는 히트파이프(20), 전원의 +/-극 방향전환에 의한 흡열시 프록스(10)의 활성화 온도를 제어하고 반면 발열시 프록스(10)를 가열하여 주는 열전소자(70)로 구성된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1,1-1)이 적용됨으로써 팬(80)의 구동 없이 이루어지는 프록스 온도 안정화 제어와 함께 열전소자(70)와 히트파이프(20)의 용량에 따른 보조적인 팬 구동이 가능해 팬 수량 및 용량을 크게 축소하고, 특히 프록스(10)와 히트파이프(20)사이에 위치된 열전소자(70)를 이용한 프록스 가열로 시스템 안정성이 크게 개선된다.
1 : 단일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
1-1 : 복합형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
10 : 프록스(PrOx) 20 : 히트파이프
20-1,20-2 : 좌,우측 히트파이프
30 : 증발기 40 : 냉각기
40-1 : 방열핀
50-1 : 기체라인 50-2 : 액체라인
60 : 프록스 브래킷 70 : 열전소자
70-1 : 좌측 열전소자 70-2 : 우측 열전소자
80 : 팬 90 : 제어기
100 : 개질기 100-1 : 개질기연소부
100-2 : 개질기촉매부
200 : 연료전지스택

Claims (12)

  1. 선택적 산화반응에 의한 일산화탄소(CO)제거를 위해 활성화 온도로 가열되는 프록스의 활성화 온도 초과 시 상기 프록스의 방출열로 상변화되는 작동유체 순환에 의한 열 흡수와, 공급전원을 통한 흡열작용으로 열 흡수가 함께 구현되어 상기 프록스의 온도제어가 이루어지고, 반면 공급전원을 통한 발열작용으로 상기 프록스의 가열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 순환에 의한 열 흡수는 히트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전원을 통한 흡열 및 발열작용은 열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와 상기 열전소자는 직렬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록스에는 직렬로 적층된 상기 히트파이프와 상기 열전소자가 프록스 하우징의 한쪽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록스에는 직렬로 적층된 상기 히트파이프와 상기 열전소자가 프록스 하우징의 양쪽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의 한쪽부위가 상기 프록스 하우징에 결합되고, 반대쪽부위가 상기 히트파이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히트파이프는 내부에서 순환되는 상기 작동유체를 상기 프록스로부터 전달된 방출 열로 증기로 상변환시켜주는 증발기, 상기 증발기에서 나온 증기에서 열을 빼앗아 다시 액체로 상변환시켜주는 냉각기, 상기 증발기와 상기 냉각기를 연결하는 라인, 상기 냉각기에 형성된 방열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는 전원의 +/-극 인가시 흡열작용이 일어나고 -/+극 인가시 발열작용이 일어나거나 또는 전원의 -/+극 인가시 흡열작용이 일어나고 +/-극 인가시 발열작용이 일어나는 P-N 반도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록스에는 팬이 더 포함되고, 상기 팬은 상기 프록스의 활성화 온도 초과 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급전원의 +/-극 방향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11. 공급된 연료에서 수소(H2)를 발생하는 개질기;
    청구항1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질기에서 공급된 수소(H2)에서 일산화탄소(CO)가 제거되거나 농도를 낮추는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
    상기 이중 자체냉각방식 프록스 유닛에서 일산화탄소(CO)가 제거되거나 농도를 낮춘 수소(H2)를 공급받아 발전이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스택;
    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료는 LP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KR1020140147246A 2014-10-28 2014-10-28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KR101654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246A KR101654748B1 (ko) 2014-10-28 2014-10-28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7246A KR101654748B1 (ko) 2014-10-28 2014-10-28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717A KR20160049717A (ko) 2016-05-10
KR101654748B1 true KR101654748B1 (ko) 2016-09-22

Family

ID=56020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7246A KR101654748B1 (ko) 2014-10-28 2014-10-28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256B1 (ko) * 2018-04-03 2018-08-16 강희천 소형 냉장고용 히트파이프 방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59209A (zh) * 2017-10-30 2018-02-02 南京航空航天大学 基于平板热管的温差发电模块及其构成的热管循环余热温差发电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9147A (ja) 2002-02-06 2003-08-15 Hitachi Ltd シフト反応触媒の温度調節方法及び温度調節装置並びに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0527500B1 (ko) 2003-11-13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용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7656B2 (ja) * 1992-10-26 1999-08-23 株式会社東芝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1050263B1 (ko) 2009-08-20 2011-07-19 주식회사 효성 연료전지용 프록스반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9147A (ja) 2002-02-06 2003-08-15 Hitachi Ltd シフト反応触媒の温度調節方法及び温度調節装置並びに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0527500B1 (ko) 2003-11-13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용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256B1 (ko) * 2018-04-03 2018-08-16 강희천 소형 냉장고용 히트파이프 방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717A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366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圧縮空気冷却装置
EP2884572B1 (en) Hybrid system
US20200251644A1 (en) Thermoelectric generator comprising liquid metal heat exchange unit
KR101654748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체온도제어형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JP5515059B2 (ja) 太陽光熱複合発電システムを利用した給湯装置
JP6812252B2 (ja) 水素製造設備、発電システム及び水素製造方法
JP6040347B2 (ja) 温風発生装置及び温風発生方法
JP2007134519A (ja) 排熱回収利用システム
JP2014231737A (ja) ランキンサイクル装置
JP2009194019A (ja) 放熱方法及び装置、半導体チップ並びに電子機器
JP4396351B2 (ja) 熱電発電装置
WO2014002263A1 (ja) 電力変換装置
JP4876984B2 (ja) 蓄熱装置
KR101729531B1 (ko) 자체냉각방식이 적용된 프록스 유닛 및 이동형 연료전지 발전기
JP6229484B2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4111209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KR101679954B1 (ko) 열전발전 장치
JP2009150612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JP2005195187A (ja) ソーラー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JP2008215711A (ja) 熱源機
KR101242612B1 (ko) 열전 발전시스템
JP2011096983A (ja) 冷却装置
CN105553418A (zh) 一种基于光伏光热板的热电联产系统
JP4660933B2 (ja) 燃料電池駆動式ヒートポンプ装置
KR20180059939A (ko) 가스-및-스팀 복합 사이클 전력 스테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방법 그리고 가스-및-스팀 복합 사이클 전력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