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406B1 -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406B1
KR101653406B1 KR1020140169838A KR20140169838A KR101653406B1 KR 101653406 B1 KR101653406 B1 KR 101653406B1 KR 1020140169838 A KR1020140169838 A KR 1020140169838A KR 20140169838 A KR20140169838 A KR 20140169838A KR 101653406 B1 KR101653406 B1 KR 101653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plate
plate unit
wheel
s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5623A (ko
Inventor
박장수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엠 filed Critical (주)케이피엠
Priority to KR1020140169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4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2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foot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9/085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에 제동수단을 설치하여 손잡이를 통한 작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오르막길을 오를 때나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르막길을 오르던 도중 실수로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놓치면 바퀴가 제동되도록 하여, 바퀴를 제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유모차에 있어서, 바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바퀴에 설치되는 제동수단; 상기 본체의 손잡이에 구성되는 제1플레이트유닛; 및 상기 본체의 손잡이에 구성되는 제2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A BRAKING DEVICE PROVIDED WITH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모차를 이동하기 위하여 손잡이를 누르면 유모차의 이동이 가능하고 별도의 동작이 없을 시에는 유모차가 스스로 이동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요즘 아이와의 안전하고 즐거운 산책길을 위해서는 엄마에게는 편리함을 아이에게는 편안함을 주는 '유모차'가 부모들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유모차를 구입할 때 제일 먼저 고려해야할 사항은 두말할 것 없이 '안전성'이다.
유모차는 형태 및 기능에 있어서 많은 발전을 거듭해 왔고, 그 결과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제동장치의 형태는 경사진 길에서 유모차를 놓더라도 유모차가 움직이지 않도록 바퀴에 브레이크장치를 달아 놓은 것이 있다.
최근에는 유모차가 저절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브레이크를 장착하거나 뒷바퀴가 발을 위협하는 킥백 현상을 막아주는 제품도 출시됐다.
하지만 일반 유모차는 풋 브레이크이기 때문에 위급 상황 시 정확하고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모차는 차체에 아이의 무게까지 더해지다 보니 밀고 다니는 엄마의 손목에 무리가 가기 십상이다.
다른 예로는 바퀴의 제동을 위하여 제동패드가 장착되는데, 상기 제동패드는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는 바, 주기적으로 교환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예견치 않았던 실수로 유모차 손잡이를 놓치거나 손을 떼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유모차는 정지하는 것이 아니라 동력이 가중되어 더 빨리 움직이거나 경사진 도로일 경우에는 심각한 사고가 따르게 된다.
이에 국내 공개특허 제 10-2012-0062554호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및 국내 등록특허 제 10-1013299호 '스마트 키를 사용한 자동 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에서는 유모차의 현 상태를 감지하게 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에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 없이도 유모차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는 전자동 스토퍼가 장착된 안전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들은 자동화 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문제점 및 별도로 소지해야 하는 스마트키의 번거로움과 분실의 문제점이 추가로 발생하였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62554호 (2012.06.14)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013299호 (2011.01.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바퀴에 제동수단을 설치하여 손잡이를 통한 작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오르막길을 오를 때나 내리막길을 내려갈 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르막길을 오르던 도중 실수로 사용자가 유모차의 손잡이를 놓치면 바퀴가 제동되도록 하여, 바퀴를 제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유모차에 있어서, 바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바퀴에 설치되는 제동수단; 상기 본체의 손잡이에 구성되고,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따라 상기 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1플레이트유닛; 및 상기 본체의 손잡이에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상태를 온/오프하는 제2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은 상기 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1제동부재;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제동부재를 제어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제동부재와 상기 제1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를 누르면 상기 제1제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동수단이 상기 바퀴를 제동시키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누름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제동수단의 제동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은 자력을 가지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은 상기 제1제동부재 및 상기 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2제동부재;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제동부재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을 온(ON)시키는 제어모드와,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을 오프(OFF)시키는 일반모드와,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바퀴의 이동을 제한하는 주차모드가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주차모드 상태에서 잠금이 가능하도록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는, 손을 놓으면 바퀴에 제동이 걸려 실수로 유모차를 놓쳤을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별도의 잠금부재를 구비하여 유모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정확하고 신속한 제동 기능과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1플레이트유닛과 제2플레이트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1플레이트유닛과 제2플레이트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2플레이트유닛의 일실시예인 일반모드(동작)에 따른 제동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2플레이트유닛의 일실시예인 제어모드(중립)에 따른 제동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2플레이트유닛의 일실시예인 주차모드(역동작)에 따른 제동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하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온전히 완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다기보다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또는 층 상에 배치되는 또는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상기 요소는 상기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될 수도 있으며, 다른 요소들 또는 층들이 이들 사이에 게재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하나의 요소가 다른 하나의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배치되거나 연결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는 경우, 그들 사이에는 또 다른 요소가 있을 수 없다. 다양한 요소들, 조성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부분들과 같은 다양한 항목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항목들은 이들 용어들에 의하여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사용된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달리 한정되지 않는 이상,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을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에게 이해될 수 있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통상적인 사전들에서 한정되는 것들과 같은 상기 용어들은 관련 기술과 본 발명의 설명의 문맥에서 그들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것이며, 명확히 한정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외형적인 직감으로 해석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의 개략적인 도해들인 단면 도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해들의 형상들로부터의 변화들, 예를 들면, 제조 방법들 및/또는 허용 오차들의 변화들은 예상될 수 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해로서 설명된 영역들의 특정 형상들에 한정된 바대로 설명되는 것은 아니라 형상들에서의 편차들을 포함하는 것이며, 도면들에 설명된 영역들은 전적으로 개략적인 것이며 이들의 형상들은 영역의 정확한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또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도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는 자동차 및 자전거등 기존 탈것들에 구비되어 있는 제동수단이 특정 조작을 하면 정지하고 조작을 멈추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을 역으로 설계하였다.
즉, 조작을 하면 동작하고, 조작을 멈추면 정지하도록 본체(100)의 바퀴(200)에 설치되어 있는 제동수단(210)을 손잡이(300)및 바퀴(200)와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00)를 밀면 동작하고, 손잡이(300)를 놓으면 제동되는 구성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바퀴(200)는 통상의 바퀴를 지칭하며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으면 무엇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바퀴(200)는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본체(100)에 연결됨으로써 전도될 위험성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동수단(210)은 브레이크 라이닝, 브레이크 패드, 브레이크 축과 같이 상기 바퀴(200)를 제동시켜 줄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이든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상기 바퀴(200) 및 상기 제동수단(210)은 공지된 기술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되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1플레이트유닛(31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1플레이트유닛과 제2플레이트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서 도시 되는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유닛(310)은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바퀴(200)의 제동상태를 해제하고, 누름동작의 해제에 의해 상기 바퀴(200)의 제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은 제1플레이트(311); 제1제동부재(312); 제1연결부재(313);를 포함한다(도 3 참조).
상기 제1플레이트(311)는 사용자의 '누름' 또는 '누름해제' 동작을 받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1제동부재(312)는 상기 제1연결부재(313)를 통하여 제1플레이트(311)와 연결된다.
위와 같이 연결되는 제1제동부재(312)가 유모차(1)의 바퀴(200)에 설치되는 제동수단(210)을 제어하여 상기 바퀴(200)의 제동을 해제시키거나 제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플레이트(311)가 사용자의 '누름' 동작을 받을 시에는 상기 바퀴(200)의 제동이 해제되어 유모차가 이동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311)가 사용자의 '누름해제' 동작을 받을 시에는 상기 바퀴(200)가 제동되어 유모차가 정지하게 된다.
도 2에 도시 되는 바와 같이, 제1플레이트(311)는 상기 본체(100)의 손잡이(300)에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300)는 상기 제1플레이트(311)를 자동 회동시키도록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회동측에 제1플레이트(311)룰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누름' 또는 '누름해제' 동작을 상하 방향으로 탄성있게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하향으로 눌려있던 상기 제1플레이트(311)는 사용자의 '누름해제' 동작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으로 복귀하게 되는데, 상기 유모차(1)의 이동 중에 의도치 않은 제동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00)와 상기 제1플레이트(311)가 맞닿는 부분 중 하나에 자석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 자성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석 및 자성체로 이루어진 자성부재의 자력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레이트(311)를 누르면 상기 자석 및 자성체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311)가 일시 고정되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아도 '누름'동작이 유지되고, 사용자가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누름해제' 동작시 상기 자성부재의 자력이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으므로 제1플레이트(311)의 누름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제1제동부재(312)는 상기 제동수단(21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동수단(210)이 브레이크 패드일 경우 상기 제1제동부재(312)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풀림, 밀착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상기 제1연결부재(313)는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에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1제동부재(312)와 상기 제1플레이트(311)를 연결하여 상기 제1제동부재(312)가 상기 제동수단(210)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1제동부재(312)와 상기 제1연결부재(313)는 공지된 기술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는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1플레이트유닛과 제2플레이트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320)은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작동상태를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3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누름' 및 '누름해제' 동작의 실시 여부를 정할 수 있게한다.
즉, 제2플레이트유닛(320)은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누름' 동작에도 바퀴(200)가 고정되게 하거나, 상기 '누름' 및 '누름해제' 동작을 정상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누름해제' 동작에도 제동수단(210)이 작동하지 않게하여 바퀴(20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320)은 제2플레이트(321); 제2제동부재(322); 제2연결부재(323);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먼저, 상기 제2플레이트(321)는 상기 본체(100)의 손잡이(300)에 구성되며, 도 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내측에 포함되어 스위치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손잡이(300)의 어느 부분이든 구현 가능한 곳에 실시가능 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제동부재(322)는 상기 제동수단(210)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동수단(210)이 브레이크 패드일 경우 상기 제2제동부재(322)는 상기 브레이크 패드의 탈락, 풀림, 밀착의 제어를 실시한다.)
상기 제2연결부재(323)는 상기 본체의 프레임에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제동부재(322)와 상기 제2플레이트(321)를 연결하여 상기 제2제동부재(322)가 상기 제동수단(210)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제동부재(322)와 상기 제2연결부재(323)는 공지된 기술로 구체적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320)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이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320)에 종속되어 상기 제동수단(210)이 제어될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2플레이트유닛(32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2플레이트유닛의 일실시예인 일반모드(동작)에 따른 제동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2플레이트유닛의 일실시예인 제어모드(중립)에 따른 제동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2플레이트유닛의 일실시예인 주차모드(역동작)에 따른 제동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제2플레이트유닛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위치 형태의 제2플레이트(321)는 '동작', '중립', '역동작'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제2플레이트(321)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동수단(210)의 동작상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이하, 상기 동작상태는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작동에 따라서 일반모드(동작), 제어모드(중립), 주차모드(역동작)를 일실시예로 서술한다).
사용자가 상기 동작상태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그에 맞게 상기 제2제동부재(322)는 상기 제동수단(210)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동부재(312)와 제2제동부재(322)를 각각 다른 크기의 드럼(A,B)을 사용하여 상기 제1연결부재(313)과 제2연결부재(323)의 회전 범위를 달리하여 일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플레이트(321)를 '일반모드(동작)'로 조작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을 오프(OFF)시키면, 상기 제2연결부재(323)에 연결된 상기 제2제동부재(322)는 상기 제동수단(210)을 상기 바퀴(200)로부터 탈락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동수단(210)은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누름' 동작시에도 동작하며, '누름해제' 동작시에도 동작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에 종속되지 않고 일반 유모차처럼 항상 이동할 수 있는 일반모드;로 상기 유모차(1)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플레이트(321)를 '제어모드(중립)'로 조작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을 온(ON)시키면, 상기 제2제동부재(322)는 상기 제동수단(210)을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즉,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은 제2플레이트유닛(320)에 종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중립' 동작으로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누름' 및 '누름해제' 동작의 구현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제어모드;로 상기 유모차(1)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제2플레이트(321)를 '주차모드(역동작)'로 조작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과 상관없이 상기 바퀴(2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하려면, 상기 제2연결부재(323)에 연결된 상기 제동부재(322)가 상기 제동수단(210)을 상기 바퀴(200)로부터 밀착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동수단(210)은 상기 제1플레이트(311)의 '누름해제' 동작시에도 제동되며, '누름' 동작시에도 제동되어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에 종속되지 않고 항상 제동되어 있는 주차모드;로 상기 유모차(1)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작동하는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는 사용자의 의도된 동작에 따라 상기 제동수단(210)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플레이트(321)는 주차모드시 상기 유모차(1)의 도난을 방지하는 잠금부재(324)를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부재(324)는 자물쇠, 비밀번호, 지문인식 등 도난을 방지하는 어떠한 방식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유모차(1)가 손잡이(300)에 구비된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 또는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320)의 조작에 의해 정지해 있던 상기 유모차(1)가 동작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손잡이(300)의 조작에 의해 정지상태에서 동작상태로 상태의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의 사용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는 유모차(1)의 본체(100)에 구비된 바퀴(200)에 제동수단(210)을 구성하여 상기 유모차(1)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상기 본체(100)의 손잡이(300)에 제1플레이트유닛(310)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에 포함되어 있는 제1플레이트(311)를 '누름'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1플레이트(311)에 연결되어 있는 제1연결부재(313)를 따라 제1제동부재(312)가 상기 제동수단(210)의 제동을 해제하여 상기 바퀴(200) 구름을 가능하게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상기 제1플레이트(311)를 '누름해제'동작하게 될시에는 탄성부재에 의해 제1플레이트(311)가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누름'동작과 반대로 상기 제1연결부재(313)을 따라 상기 제1제동부재(312)가 작동하여 상기 제동수단(210)이 상기 바퀴(200)에 밀착되어 제동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는 유모차(1)의 본체(100)에 구비된 바퀴(200)에 제동수단(210)을 구성하여 상기 유모차(1)의 선택적인 작동을 도모하고자 한다.
상기 선택적인 작동은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누름' 및 '누름해제' 동작의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추가적으로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로 제2플레이트(321)는 사용자가 일반모드(동작), 제어모드(중립),주차모드(역동작)과 같이 3가지의 선택적인 동작을 실시 할수 있고, 상기에서 선택된 동작에 의해 제2제동부재(322)가 상기 제동수단(210)을 제어하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은 제2플레이트유닛(320)에 종속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첫번째로,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일반모드(동작)'시 상기 제동수단(210)은 상기 바퀴(200)의 외부로 완전한 당겨짐(팽팽한 당겨짐 등)이 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2연결부재(323)를 따라 상기 제2제동부재(322)가 상기 제동수단(210)을 상기 바퀴(200)로부터 탈락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누름' 동작시에도 상기 제동수단(210)이 상기 바퀴(200)에 밀착되지 않고, 일반 유모차 처럼 항상 굴러 갈수 있도록 하는 일반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두번째로,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제어모드(중립)'시에는 상기 제2연결부재(323)가 상기 제동수단(210)이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제어를 받을 수 있도록 위치시켜 제어모드;로서 상기 유모차(1)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2플레이트(321)의 '주차모드(역동작)'시에는 상기 서술된 '동작'과 반대로 상기 제동수단(210)이 상기 바퀴(200)의 내부로 완전한 밀착(압착 등)이 되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2연결부재(323)를 따라 상기 제2제동부재(322)가 작동되면서 상기 바퀴(200)에 상기 제동수단(210)이 밀착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310)의 '누름해제' 동작시에도 제동하고, '누름' 동작시에도 제동되는 항상 제동된 상태로 상기 유모차(1)를 고정시킬 수 있는 주차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주차모드;시에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2플레이트(321)에 잠금부재(324)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본체(100)의 프레임 등 구현 가능한 곳 어디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는 핸드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별도의 잠금부재를 구비하여 유모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정확하고 신속한 제동 기능과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유모차
100: 본체
200: 바퀴
210: 제동수단
300: 손잡이
310: 제1플레이트유닛
311: 제1플레이트
312: 제1제동부재
313: 제1연결부재
320: 제2플레이트유닛
321: 제2플레이트
322: 제2제동부재
323: 제2연결부재
324: 잠금부재
A,B: 드럼

Claims (5)

  1. 유모차에 있어서,
    바퀴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바퀴에 설치되는 제동수단;
    상기 본체의 손잡이에 구성되고,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따라 상기 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1플레이트유닛; 및
    상기 본체의 손잡이에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상태를 온/오프하는 제2플레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은
    상기 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1제동부재;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제동부재를 제어하는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1제동부재와 상기 제1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누름 동작시 상기 제1제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동수단이 상기 바퀴의 제동을 해제시키고, 상기 제1플레이트의 누름해제 동작시 상기 제1제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동수단이 상기 바퀴를 제동하고,
    상기 제1플레이트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보다 작은 자력을 가지는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유닛은
    상기 제1제동부재 및 상기 제동수단을 제어하는 제2제동부재;
    상기 손잡이에 구비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2제동부재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레이트의 작동상태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을 온(ON)시키는 제어모드와,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을 오프(OFF)시키는 일반모드와, 상기 제1플레이트유닛의 작동과 무관하게 상기 바퀴의 이동을 제한하는 주차모드가 구현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상기 주차모드 상태에서 잠금이 가능하도록 잠금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KR1020140169838A 2014-12-01 2014-12-01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KR101653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38A KR101653406B1 (ko) 2014-12-01 2014-12-01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838A KR101653406B1 (ko) 2014-12-01 2014-12-01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23A KR20160065623A (ko) 2016-06-09
KR101653406B1 true KR101653406B1 (ko) 2016-09-02

Family

ID=56138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838A KR101653406B1 (ko) 2014-12-01 2014-12-01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25Y1 (ko) 2016-10-20 2017-05-25 김도훈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2465B1 (ko) * 2017-11-24 2019-07-23 공경배 유모차의 자동 제동 장치
DE202018105345U1 (de) * 2018-09-18 2019-12-19 Cybex Gmbh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18A (ja) 1999-11-25 2001-06-05 Exedy Corp ハンドカ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7938A (ja) * 1996-04-16 1997-10-28 Shinwa Sangyo Kk 手押し車の制動及び停止ロック機構
KR101013299B1 (ko) 2010-04-19 2011-02-09 정종락 스마트 키를 사용한 자동 제동기능을 갖는 유모차
KR20120062554A (ko) 2010-12-06 2012-06-14 김진영 안전장치를 구비한 유모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1118A (ja) 1999-11-25 2001-06-05 Exedy Corp ハンドカ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3525Y1 (ko) 2016-10-20 2017-05-25 김도훈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5623A (ko)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406B1 (ko) 제동장치를 구비하는 유모차
US9221433B2 (en) Safety braking system for a hand-pushed rollator
TWI613114B (zh) 遠端致動型交通工具腳踏板
CN103072615A (zh) 童车感应式刹车系统
KR101720110B1 (ko) 자전거용 자동 속도 제어장치
JP5442899B1 (ja) 乳母車又は介護用車両の安全システム
JP5583088B2 (ja) 緊急ブレーキシステム
TW201509723A (zh) 智能手推車
GB2453106A (en) Emergency stopping system for a bicycle/tricycle
JP3224350U (ja) ブレーキ機構
CN203666749U (zh) 一种婴儿车
CN201961360U (zh) 一种童车电子煞车装置
JP2018187956A (ja) セーフティペダル機構。
JPH01175554A (ja) 自動車の制御装置
US20130192410A1 (en) Safety arrangement
WO2015020152A1 (ja) アクセル/ブレーキペダル踏み間違いを起因とする自動車事故防止のための自動車運転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アクセル装置及び同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ブレーキ装置
KR101111892B1 (ko) 전동차의 주간제어기 잠금장치
JP2009286314A (ja) 自転車
JP2017105333A (ja) 自動車運転制御システム
JP3218028U (ja) かがと位置決めストッパー
JP2010526717A (ja) 単線式車両のシート用の安全ロック制御装置
JP2007182202A (ja) 移動重機、車両等のロック解除式自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4456932B2 (ja) 小型電動車
KR20060024645A (ko) 파킹 브레이크의 안전 장치
KR20180037545A (ko) 유모차용 안전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