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544B1 -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 Google Patents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544B1
KR101649544B1 KR1020150074254A KR20150074254A KR101649544B1 KR 101649544 B1 KR101649544 B1 KR 101649544B1 KR 1020150074254 A KR1020150074254 A KR 1020150074254A KR 20150074254 A KR20150074254 A KR 20150074254A KR 101649544 B1 KR101649544 B1 KR 101649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ipe
panel
water pip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팅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팅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팅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7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5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5Hydraulic pip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온수식 난방이 가능한 파이프를 연결 커플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식 패널 구조체의 건식 패널은 패널 상판, 파이프가 수납되는 단열재, 단열시트, 방습시트, 및 패널 하판을 포함하고, 패널 하판에는 별도의 차음재가 부착될 수 있다.
한편 건식 패널에 구비되는 차음재에 의해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온수관을 유지한 채 파이프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호환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또한 연결 커플러에 의하면, 제1 결착링의 형상 변형을 통해 온수관 및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온수관 및 파이프를 손상시키지 않고도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온수관 및 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HOT WATER HEATING PREFABRICATED PANEL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압에 의해서도 분리가 되지 않고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된 연결 커플러를 통해서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되는 파이프를 이용하여 온수식 난방을 하기 위한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건물에 사용되는 난방시스템은 콘크리트 바닥에 온수관을 매립하여 온수를 통과시킴으로써 난방을 하는 습식 난방 시스템이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난방 시스템은 열효율이 낮고, 콘크리트 양생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늘어나며, 차후 해체 시에 바닥층을 해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식 패널은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아파트나 복층구조에 사용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온수관을 그대로 이용하여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바닥에 온수파이프를 매설하고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는 온수를 순환하도록 하는 온수패널 방식은 기재작된 온수패널을 바닥에 시공한 후, 온수패널에 온수관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기 때문에 온수관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 커플러가 중요한 시공 부재에 해당한다.
온수관 연결 커플러는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밀한 구조를 가져야 함은 물론이고 시공용이성도 갖춰야 하는 여러 가지 제반 요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온수관은 PVC와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데, 종래 기술에 의한 온수관 연결 커플러는 외관부재에 형성된 돌출편이 온수관의 외면을 파고 들어서 고정되는 구조로서, 장기간 사용시 돌출편에 의해 파인 온수관 외면의 내구성이 약화되어 누수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온수관 연결 커플러에 의해 온수관 연결 시공시 커플러를 한번 연결하면, 시공위치가 잘못되어 이를 수정하려해도 분리과정에서 커플러의 돌출편이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보정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78598호(2012.08.24. 자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92550호(2012.10.11. 자 등록)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94642호(2007.03.07. 자 등록)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층간 소음을 줄일 수 있고, 기존 온수관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온수관 및 파이프의 외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정시공이 용이한 연결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의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는 패널 상판, 상기 패널 상판의 하방에 적층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하방에 적층되는 단열시트, 상기 단열시트의 하방에 적층되는 방습시트, 및 상기 패널 상판, 상기 단열재, 상기 단열시트, 및 상기 방습시트가 수납되는 패널 하판을 포함하는 건식 패널; 상기 단열재 내부에 삽입되며, 온수식 난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및 기존 온수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 및 온수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외부캡과 상기 제1 외부캡의 일단과 체결되는 제2 외부캡을 포함하는 연결 커플러;를 포함하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식 패널은 상기 패널 하판에 부착되는 차음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는 상기 차음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호퍼형태의 차음 홀과, 상기 차음 홀 바닥면에 구비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판은 기존의 온수관이 연결되는 온수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온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온관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에 잠열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 커플러는 상기 제1 외부캡 및 상기 제2 외부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 및 온수관의 일단이 끼워지는 링 캡 형상의 제1 결착링과, 상기 제1 외부캡 및 상기 제2 외부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외부캡과 상기 제1 결착링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1 결착링을 압착하여 상기 파이프 및 온수관과 고정시키는 환형의 제2 결착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착링은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부 드럼; 상기 외부 드럼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부 드럼; 및 상기 외부 드럼의 일단과 상기 내부 드럼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원형 링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캡은 상기 제2 결착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에 의하면, 건식 패널에 구비되는 차음재에 의해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온수관을 유지한 채 파이프가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호환성이 좋은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에 의하면, 제1 결착링의 외주 드럼과 내주 드럼 사이에 온수관 또는 파이프를 삽입한 후 제2 결착링의 돌기부로 외주 드럼을 압착하여 온수관 또는 파이프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온수관 및 파이프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온수관 및 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장기간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온수관 및 파이프 자체의 변형이나 손상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때문에 시공 하자가 발생할 경우에도 제1 결착링 및 제2 결착링을 해체하고 다시 시공할 수 있으므로 보정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온수관 연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식 패널의 차음 홀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분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의 제1 결착링의 전,후면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의 제2 결착링을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는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건식 패널(110)의 일측에 기존의 온수관(10)이 연결되고 내부에는 파이프(120)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서로 조립되는 각각의 건식 패널(110) 내부를 관통하는 파이프(120)에 의해 건식 패널(110)이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식 패널 구조체(100)(이하, 패널 구조체)의 건식 패널(110)은 패널 상면을 형성하는 패널 상판(111); 상기 패널 상판(111) 하면에 적층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파이프(120)를 매설하는 매설공간이 형성되는 단열재(112); 상기 단열재(112) 하면에 적층되는 단열 시트(113); 상기 단열 시트(113)의 하면에 적층되는 방습 시트(114); 상기 건식 패널(110)의 하부를 형성하는 패널 하판(115); 및 상기 패널 하판(115)에 연결되는 차음재(116)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상판(111)은 패널 상면을 형성하는 평평한 판재로 형성되고, 열전달이 용이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널 상판(111)은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 본체(1111)와 상기 상판 본체(111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판 돌출부(1112)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상판(111)의 하방에는 파이프(120)를 매설하기 위한 단열재(112)가 적층되는데, 상기 단열재(112)는 상기 파이프(120)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상방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열재(112)에는 상기 파이프(120)가 매설될 수 있는 매설공간(112A)이 형성된다. 상기 매설공간(112A)에 파이프(120)가 매설된 상태로 시공된다.
상기 단열재(112) 하방에는 상기 단열재(112)로부터 누설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시트(113)가 더 적층된다. 상기 단열시트(113)는 상부에서 전달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단열시트(113)의 하방에는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습기를 차단하는 방습시트(114)가 더 적층된다. 상기 방습시트(114)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로 구성되어 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 상판(111), 단열재(112), 단열시트(113), 및 방습시트(114)는 상기 패널 하판(115) 내부에 적층된다. 상기 패널 하판(115) 내부에는 내부공간(115A)이 형성되어 단열재(112), 단열시트(113), 및 방습시트(114)를 상기 내부공간(115)에 적층시킨 후 상기 패널 상판(111)으로 마감함으로써 건식 패널(110)을 완성한다.
상기 패널 하판(115)의 일단에는 일측으로 연장되는 하판 돌출부(1151)가 구비된다. 상기 하판 돌출부(1151)의 선단에는 기존 건물 바닥에 매설되는 기존 온수관(10)이 연결되는 온수관 연결부(1152)가 형성된다.
상기 온수관 연결부(1152)는 외측에서 함몰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존 온수관(10)이 일측에서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온수관 연결부(1152)를 이용하여 기존 온수관(10)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패널 구조체(100)를 시공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온수관 연결부(1152)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온수관 연결부(1152)는 기존 온수관(10)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 하부(1152A)와, 상기 연결부 하부(1152A)의 일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 하부(1152A)의 상부를 차폐하는 연결부 상부(1152B)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 하부(1152A)와 상기 연결부 상부(1152B)의 일단은 힌지(H)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이 별도의 잠금부재(1152C)에 의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 상부(1152B)를 열어서 상기 연결부 하부(1152A)에 기존 온수관(10)을 수납한 후, 상기 연결부 상부(1152B)를 닫고 잠금부재(1152C)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기존 온수관(10)을 건식 패널(110)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상기 패널 하판(115)의 하부에는 차음재(116)가 연결된다. 상기 차음재(116)는 상부에서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차음재(116)는 방진고무, 방진 스티로폼과 같은 다양한 소재의 차음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차음재(116)에 차음 홀(1161)이 구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음 홀(1161)은 상기 차음재(116)의 상면에서 개방되어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호퍼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음 홀(1161)의 바닥면에는 차음 성능을 가지는 다양한 형태의 차음부재(1161A)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전달되는 음이 상기 차음 홀(1161)로 유입되어 상기 차음부재(1161A)에 의해 분산되기 때문에 차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차음부재(1161A)는 일반적으로 바닥재에 적용되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코르크나 고무판등의 밀도가 높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빈틈이 없는 상기 차음 홀(1161)로 유입된 음은 상기 차음부재(1161A)에 직접 부딪혀 분산되어 사라진다.
상기 차음재(116)는 기본적으로 차음 기능을 가지지만, 바닥면에 밀착되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건식패널이 안정적으로 시공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식 패널(110)의 내부에는 파이프(120)가 삽입된다. 상기 파이프(120)는 온수를 사용하여 난방을 함으로써, 난방효율을 높이고 신속한 난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파이프(12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일반적인 온수관과 같이 형성된다. 한편, 도 5에는 상기 파이프(12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120)는 내부에 별도의 잠열재(122)를 포함하기 위한 보온관부(121)을 포함함으로써 잠열재(122)에 의한 난방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이프(120) 및 보온관부(121) 사이에는 잠열재(122)를 두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형성한다.
상기 잠열재(122)는 일정한 온도에서 상변화하는 PCM(Phase Change Material) 물질로서 고체에서 액체 또는 액체에서 고체로 상변화하는데 사용되는 잠열량을 이용하여 주변 온도를 가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잠열재(122)를 이용하여 상기 보온관부(121)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저장하여 필요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잠열재(122)는 0℃ ~ 30℃ 범위 내에서 상변화하는 물질로서 높은 잠열밀도와 열전달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잠열재는 순조로온 상평형, 낮은 기체의 압력, 작은 부피팽창율 및 고밀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잠열재(122)는 과냉각 현상이 없어야 하고, 높은 결정의 성장률을 가지며, 장기적인 동결, 해방과정에서 변형이 없어야 하며, 독성이나 화재의 위험이 없는 친환경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잠열재(122)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국내에서 생산되거나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잠열재(122)는 노멀 파라핀(Normal Paraffin)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파라솔(Parasol) C134 내지 파라솔 C147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파이프(120)가 단열재(112)에 삽입되는 공간에는 화재로 인한 열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방화벽(112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방화벽(1121)은 열에 의해 소화되지 않는 내열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커플러(200)는 패널 구조체(100)에 연결되는 파이프(120) 및 기존 온수관(10)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난방장치에 접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 커플러(200)는 상기 파이프(120) 및 온수관(10) 단부를 수밀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로 양단에 온수관(10)이 서로 연결되는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200)의 내부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연결 커플러(200)는 일단에 온수관(10)이 연결되는 제1 외부캡(210); 상기 제1 외부캡(210)과 체결되는 제2 외부캡(220); 상기 제1 외부캡(210) 및 제2 외부캡(220) 내부에 구비되고, 온수관(10) 단부가 삽입되는 제1 결착링(230); 및 상기 제1 결착링(230)과 결합되어 상기 온수관(10) 단부를 고정시키는 제2 결착링(24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외부캡(210)은 내부에 온수관(10)이 관통하여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중공형태의 부싱(bushing) 형태의 부재로서 파이프(120) 및 온수관(10)의 일단이 삽입되는 선단 플랜지(211)와, 상기 선단 플랜지(211)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몸체(212)와, 상기 연장몸체(212)로부터 연장되는 후단 플랜지(213)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 플랜지(211)에는 온수관(10)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후단 플랜지(213)는 외주면에 나사부(213S)가 형성되어 제2 외부캡(220)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2 외부캡(220)도 제1 외부캡(210)의 후단 플랜지(213)와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부싱 형태의 부재로서, 중공 내부를 관통하여 온수관(10)이 연결된다.
상기 제2 외부캡(2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외부캡(210)의 후단 플랜지(213)와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외부캡(220)의 내주면의 일단, 즉 상기 제1 외부캡(210)과 연결되는 면의 반대면 내주면 일단에는 이탈방지단(222)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단(222)은 상기 제2 외부캡(220) 내부에 삽입되는 제2 결착링(2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외부캡(210)의 내부에는 제1 결착링(230)이 끼워진다. 상기 제1 결착링(230)은 상기 제2 결착링(240)과의 결합으로 인해 온수관(10)의 일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9에는 제1 결착링(230)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링 캡(ring cap)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결착링(230)은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을 포함하고, 상기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의 일단은 원형 링면(23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살펴보면 원형 링면(233)에 의해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 사이의 공간이 차폐되는 반면, 바닥면에서 살펴보면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 사이에 삽입공간(234)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234)에는 온수관(10) 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의 중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유수의 이동통로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주드럼(231)은 제1 외부캡(210)과 제2 외부캡(220)의 결합으로 인해 형상이 변형되면서 체결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연성이 좋은 금속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주드럼(231)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231A)이 형성된다. 상기 돌출단(231A)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2 결착링(240) 내주면에 구비되는 돌기부(240A)와 맞물린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1 결착링(230)에는 제2 결착링(240)이 체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 결착링(240) 내주면에 온수관(10)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 결착링(230)과 체결한 후, 제2 결착링(240)과 제1 결착링(230)을 억지끼움함으로써 온수관(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결착링(240)도 환형으로 형성되어 내부 중심을 통해 온수관(10)이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결착링(240)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240A)가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먼저, 제2 결착링(240)을 온수관(10)에 끼워 넣은 후, 상기 제1 결착링(230)의 외주드럼(231)과 내주 드럼(232) 사이 공간에 온수관(10)의 일단을 삽입하고, 먼저 끼워진 제2 결착링(240)을 외주드럼(231)의 외측면에서 삽입하여 억지 끼움을 하면 상기 돌기부(240A)가 외주드럼(231)의 외주면을 타고 내부 중심방향으로 압박하면서 끼워진다.
상기 제2 결착링(240)의 외주면에는 씰링부재(2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씰링부재(241)는 제2 결착링(240)과 제2 외부캡(220)의 사이공간을 수밀하게 차폐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200)의 상세 수치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1 외부캡(210)의 후단 플랜지(213)의 외경과 제2 외부캡(220)의 내경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외부캡(210)와 제2 외부캡(220)은 서로 나사결합된다.
상기 제1 외부캡(210)의 후단 플랜지(213)의 내경은 제1 결착링(230) 및 제2 결착링(24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결착링(230) 및 제2 결착링(240)이 상기 제1 외부캡(21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착링(230)의 외경은 상기 제2 결착링(24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작다. 따라서, 상기 제1 결착링(230)을 상기 제2 결착링(240)의 내경으로 삽입하여 억지끼움하게 되면, 상기 제1 결착링(230)의 외경을 형성되는 외주드럼(231)에 변형이 발생한다.
상기 제1 결착링(230)의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의 사이공간의 폭은 온수관(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 따라서, 상기 온수관(10)을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 사이공간으로 삽입한 후, 제2 결착링(240)을 억지끼움하면 외주드럼(231)의 내측면이 온수관(1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연결 커플러(200)의 결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온수관(10)의 일단에 제2 외부캡(220)을 끼워 넣은 후, 온수관(10)의 선단에 제2 결착링(240)을 다시 끼워 넣어 후단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그리고, 온수관(10)의 선단을 제1 결착링(230)의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 사이공간에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온수관(10)에 제1 결착링(230), 제2 결착링(240), 및 제2 외부캡(220)이 순서대로 끼워진 상태에서 제1 외부캡(210)을 위치시켜 상기 제2 외부 캡(220)과 나사결합시킨다.
상기 제2 외부캡(220)을 나사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힘을 가하면, 제2 결착링(240)의 내경으로 제1 결착링(230)의 외주드럼(231)이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제2 결착링(2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돌기부(240A)가 제1 결착링(230)의 외주드럼(231) 외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고, 이 힘에 의해 외주드럼(231)이 중심방향으로 휘어져서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 사이 공간이 좁아지도록 변형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외주드럼(231)과 내주드럼(232) 사이 공간에 삽입된 온수관(10)의 일단이 상기 변형에 의해 강하게 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주드럼(231)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출단(231A)에 의해 제2 결착링(240)의 돌기부(240A)가 걸리기 때문에 수압에 의해서 제2 결착링(240)이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제1 결착링(230) 및 제2 결착링(240)의 둘레에는 제1 외부캡(210)과 제2 외부캡(220)의 결합된 상태로 위치하기 때문에 다른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외부캡(220)의 이탈방지단(222)에 의해 제2 결착링(240)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강한 결합력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온수관
100: 조립식 패널 구조체
110: 건식 패널
111: 패널 상판
115: 패널 하판
1152: 온수관 연결부
116: 차음재
120: 파이프
200: 연결 커플러
210: 제1 외부캡
220: 제2 외부캡
230: 제1 결착링
240: 제2 결착링

Claims (8)

  1. 패널 상판, 상기 패널 상판의 하방에 적층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하방에 적층되는 단열시트, 상기 단열시트의 하방에 적층되는 방습시트, 및 상기 패널 상판, 상기 단열재, 상기 단열시트, 및 상기 방습시트가 수납되는 패널 하판을 포함하는 건식 패널;
    상기 단열재 내부에 삽입되며, 온수식 난방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온수가 흐르는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 및 기존 온수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내부 중공을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 및 온수관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1 외부캡과 상기 제1 외부캡의 일단과 체결되는 제2 외부캡을 포함하는 연결 커플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커플러는
    상기 제1 외부캡 및 상기 제2 외부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파이프 및 온수관의 일단이 끼워지는 링 캡 형상의 제1 결착링과, 상기 제1 외부캡 및 상기 제2 외부캡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1 외부캡과 상기 제1 결착링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1 결착링을 압착하여 상기 파이프 및 온수관과 고정시키는 환형의 제2 결착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착링은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부 드럼;
    상기 외부 드럼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부 드럼; 및
    상기 외부 드럼의 일단과 상기 내부 드럼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원형 링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드럼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은 상기 제2 결착링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돌기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외부캡은
    상기 제2 결착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단을 포함하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패널은
    상기 패널 하판에 부착되는 차음재를 더 포함하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는
    상기 차음재의 상면에 형성되는 호퍼형태의 차음 홀과,
    상기 차음 홀 바닥면에 구비되는 차음부재를 포함하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하판은
    기존의 온수관이 연결되는 온수관 연결부를 포함하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보온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온관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공간에 잠열재를 구비하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관 연결부는,
    상기 기존 온수관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연결부 하부; 및
    상기 연결부 하부의 일측과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 하부의 상부를 차폐하는 연결부 상부를 구비하는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7. 삭제
  8. 삭제
KR1020150074254A 2015-05-27 2015-05-27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KR10164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254A KR101649544B1 (ko) 2015-05-27 2015-05-27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254A KR101649544B1 (ko) 2015-05-27 2015-05-27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544B1 true KR101649544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254A KR101649544B1 (ko) 2015-05-27 2015-05-27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5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101B1 (ko) * 2016-08-26 2017-05-17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CN111749423A (zh) * 2020-07-02 2020-10-09 宏岳塑胶集团股份有限公司 集成式地暖模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760B1 (ko) * 1998-10-08 2001-12-17 손재익 미세캡슐화된상변화물질을이용한이중온수관
KR100694642B1 (ko) 2006-12-01 2007-03-14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온수 순환마루용 연결구
KR101170603B1 (ko) * 2009-04-24 2012-08-01 박장희 파이프 연결구
KR101170017B1 (ko) * 2011-05-02 2012-08-01 주식회사 에이디디웰빙테크 층간소음 저감용 건식난방패널의 구조
KR101178598B1 (ko) 2011-12-16 2012-08-3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조립식 건식패널
KR101192550B1 (ko) 2012-01-09 2012-10-17 케이제이알디 (주) 바닥 난방용 패널 및 바닥 난방용 패널 어셈블리
KR101250575B1 (ko) * 2011-01-19 2013-04-03 김희태 결합식 난방패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7760B1 (ko) * 1998-10-08 2001-12-17 손재익 미세캡슐화된상변화물질을이용한이중온수관
KR100694642B1 (ko) 2006-12-01 2007-03-14 주식회사리치크레이트 온수 순환마루용 연결구
KR101170603B1 (ko) * 2009-04-24 2012-08-01 박장희 파이프 연결구
KR101250575B1 (ko) * 2011-01-19 2013-04-03 김희태 결합식 난방패널
KR101170017B1 (ko) * 2011-05-02 2012-08-01 주식회사 에이디디웰빙테크 층간소음 저감용 건식난방패널의 구조
KR101178598B1 (ko) 2011-12-16 2012-08-30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조립식 건식패널
KR101192550B1 (ko) 2012-01-09 2012-10-17 케이제이알디 (주) 바닥 난방용 패널 및 바닥 난방용 패널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101B1 (ko) * 2016-08-26 2017-05-17 (주)범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층간구조 보강패널
CN111749423A (zh) * 2020-07-02 2020-10-09 宏岳塑胶集团股份有限公司 集成式地暖模块
CN111749423B (zh) * 2020-07-02 2022-05-24 湖北宏岳塑胶有限公司 集成式地暖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504B2 (en) Fire protection module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JP4928408B2 (ja) 排水配管用部材及び排水配管構造
KR101649544B1 (ko)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JP5502061B2 (ja) 排水配管用部材および排水配管構造
JP5916533B2 (ja) 中空壁における貫通孔の耐火構造及び充填材受け具
JP5606017B2 (ja) 耐火閉塞用複合材、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及び耐火閉塞用複合材内蔵延焼防止装置を設けた管継手又はスリーブ
US20130161030A1 (en) Fire Prevention Sleeve
JP2023160921A (ja) 排水配管継手
KR101539942B1 (ko) 건축물 외장재의 고정구조
JP4907499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JP5351387B2 (ja) 排水配管構造
US20150204087A1 (en) Line conduit
JP2010139056A (ja)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US20140182864A1 (en) Ember blocking ventilation device
JP2008285854A (ja) 排水配管構造
JP5209253B2 (ja) 中空壁における延焼防止構造
KR101647280B1 (ko) 플랜지형 지수판
KR102231464B1 (ko) 난방배관슬리브
JP2014098305A (ja) 排水配管継手
JP3181846U (ja) 埋込式火災延焼防止系統装置
JP5334560B2 (ja) 目地材
JP7000095B2 (ja) 耐火性熱膨張材を内蔵した受け口形耐火二層管
KR102638502B1 (ko) 벽체의 관통구 방화구조 및 시공방법
JP2017180827A (ja) 耐火性の粉末熱膨張原料を内蔵した受け口形耐火二層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