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603B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603B1
KR101170603B1 KR1020090035800A KR20090035800A KR101170603B1 KR 101170603 B1 KR101170603 B1 KR 101170603B1 KR 1020090035800 A KR1020090035800 A KR 1020090035800A KR 20090035800 A KR20090035800 A KR 20090035800A KR 101170603 B1 KR101170603 B1 KR 10117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ightening
circumferential surface
receiving hol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7187A (ko
Inventor
박장희
Original Assignee
박장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희 filed Critical 박장희
Priority to KR1020090035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6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7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71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elements wedged between the pipe and the frusto-conical surface of the body of the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08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ring not being modified during clamping
    • F16L19/08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ring not being modified during clamping with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지지관을 연결소켓과 별도부재로 형성하되 파이프 삽입전에 파이프지지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링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파이프지지관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파이프지지관의 분실이나 미사용으로 인한 누수 문제를 방지함과 아울러 두께가 편중된 파이프를 삽입하더라도 파이프지지관이 유동하면서 파이프의 외경이 편심되지 않게 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파이프(70)를 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내부에 유체통로(11)가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체통로(11)의 일단부에 상기 파이프(7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수용공(12)이 형성된 연결소켓(10)과, 상기 파이프(70)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부(21) 및 상기 지지부(21)의 단부에 파이프(70)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수용공(12)의 바닥에 안착되는 플랜지부(22)로 구성된 파이프지지관(20)과, 상기 수용공(12)의 내주면과 파이프(7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부(22)를 지지하는 보조링(30)과, 상기 보조링(30) 상측의 수용공(12) 내주면에 단차부(13)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부(13) 및 보조링(30)의 상단에 안착 설치되는 패킹부재(40)와,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60)와, 상기 조임너트(60)의 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조임너트(60)의 나사조임시 상기 패킹부재(40)를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파 이프(70)의 외주면을 밀착지지하는 조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구, 파이프, 연결소켓, 조임링, 파이프지지관, 보조링, 조임너트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A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지지관을 연결소켓과 별도부재로 형성하되 파이프 삽입전에 파이프지지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링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파이프지지관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파이프지지관의 분실이나 미사용으로 인한 누수 문제를 방지함과 아울러 두께가 편중된 파이프를 삽입하더라도 파이프지지관이 유동하면서 파이프의 외경이 편심되지 않게 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무 재질의 호스 또는 합성수지재의 파이프를 일정한 길이를 갖는 배관 또는 금속관에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 여러 종류의 연결구가 공지되어 있는 바, 그 일례로 국내 특허공개번호 제2007-0104218호(명칭: 파이프 연결구)가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구는, 연결소켓의 수용공내에 삽입된 파이프를 조임너트의 나사조임시 조여지는 조임링을 통해 고정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연결소켓의 내부로 고온의 물이 흘러 파이프가 연질화될 경우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파이프지지 관으로 지탱해줌으로써 누수를 미리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파이프 연결구는 배관과 배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아울러 주택의 각 방을 난방하기 위해 온수가 흐를 수 있도록 방바닥에 매설되는 합성수지재 난방 파이프가 고온으로 연질화 될 경우 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연질화된 파이프를 지탱해주는 파이프지지관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파이프 연결구는 연결소켓의 일단부에 패킹부재(오링)와 조임링 및 조임너트가 가조립된 상태로 작업자에게 공급되며, 이때 파이프지지관은 연결소켓의 수용공에 삽입한 상태로 공급하더라도 이탈해버리기 때문에 파이프지지관의 경우 별도로 공급되어 작업자가 관리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 연결구에 파이프를 조립할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가 파이프의 단부에 파이프지지관을 삽입한 상태에서 연결소켓의 수용공 내부로 밀어넣고, 이후 조임너트를 나사조임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재 파이프의 경우 제조과정에서 파이프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고 편중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처럼 두께가 편중된 파이프를 연결소켓의 수용공에 삽입할 경우 상기 파이프지지관을 연결소켓과 분리되게 구성해야 파이프의 외경이 수용공내에서 편심되지 않고 패킹부재도 파이프의 외경에 균일하게 밀착되어 누수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파이프 연결구와 같이 두께가 편중된 파이프 조립시 누수방지를 위해 파이프지지관을 연결소켓과 분리되게 별도부재로 구성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결소켓,패킹부재,조임링,조임너트가 가조립된 구성품과 파이프지 지관을 각각 별도로 작업자가 관리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함은 물론 작업자의 실수로 파이프의 단부에 파이프지지관을 삽입하지 않고 조립할 경우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한 파이프 연결구의 다른 예로는, 상기 파이프지지관을 연결소켓과 일체로 형성한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 작업자가 파이프지지관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은 있는 반면, 상기 파이프지지관이 연결소켓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연결소켓의 수용공에 두께가 편중된 파이프를 삽입할 경우 파이프의 외경이 수용공내에서 편심되게 되어 패킹부재가 파이프의 외경에 균일하게 밀착하지 못하게 되면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목적은 파이프지지관을 연결소켓과 별도부재로 형성하되 파이프 삽입전에 파이프지지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링을 삽입 설치함으로써, 파이프지지관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파이프지지관의 분실이나 미사용으로 인한 누수 문제를 방지함과 아울러 두께가 편중된 파이프를 삽입하더라도 파이프지지관이 유동하면서 파이프의 외경이 편심되지 않게 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유체통로가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체통로의 일단부에 파이프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수용공이 형성된 연결소켓과, 상기 파이프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공의 바닥에 안착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파이프지지관과,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에 단차부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부에 안착 설치되는 패킹부재와, 상기 연결소켓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와, 상기 조임너트의 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조임너트의 나사조임시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을 조여주는 조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를 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지지관의 플랜지부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수용공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의 내주면과 파이프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부가 걸리도록 지지하여 상기 파이프지지관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보다 돌출된 플랜지부 부위에 안착되는 보조링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단차부는, 상기 보조링 상측의 수용공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는, 상기 단차부의 바닥 및 보조링의 상단에 안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지지관을 연결소켓과 별도부재로 형성하되 파이프 삽입전에 파이프지지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소켓의 수용공내에 보조링을 삽입 설치하여 파이프지지관의 플랜지부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파이프지지관을 별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이 편리함은 물론 파이프지지관의 분실이나 미사용으로 인한 누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편중된 파이프를 삽입하더라도 파이프지지관이 유동하면서 파이프의 외경이 편심되지 않게 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링의 쐐기편과 대응하는 파이프지지관의 지지부 외주면에 쐐기편에 의한 파이프의 탄성변형시 탄성변형된 파이프의 내주면 일부를 수용하도록 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파이프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의 이탈이 더욱 방지된다.
또한, 상기 조임링의 내주면에 파이프와의 유격을 줄일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유격줄임부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파이프의 유동이 방지되어 더욱 안정성 있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의 단부와 마주하는 연결소켓의 확장부측에 일정높이의 너트걸림편을 형성함으로써, 연결소켓에 가조립되는 조임너트의 초기위치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세팅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 삽입시 조임링의 쐐기편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파이프 연결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 성도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완전히 나사조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는 파이프(70)를 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기서, 상기 대상물로는, 파이프(7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또 다른 파이프 뿐만 아니라 밸브 등 유체가 통과하는 모든 대상물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파이프(7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지만 합성수지재 외에도 더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연결구(1)는 연결소켓(10)과, 파이프지지관(20)과, 보조링(30)과, 패킹부재(40)와, 조임너트(60)와, 조임링(5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연결소켓(10)은, 내부에 유체통로(11)가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체통로(11)의 일단부에는 상기 파이프(7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유체통로(11)와 단차지게 수용공(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10)의 외주면 중간지점에는 상기 조임너트(60)의 단부와 마주하는 다각형의 확장부(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14)를 기준으로 일측방향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60)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확장부(14)의 타측방향 외주면에는 상기 대상물과 연결/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나사부(16)를 형성하였지만, 이 외에도 더욱 다양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공(12)의 내주면 일단부에는 수용공(12)과 단차지게 단차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은, 상기 파이프(70)의 단부 내측(내경)에 삽입되는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12)의 바닥에 안착되는 플랜지부(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부(22)의 외경은 상기 파이프(70)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1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파이프지지관(20)이 수용공(12)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수용공(12)의 내주면과 파이프(70)의 외주면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의 플랜지부(22)를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수용공(12)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70)의 외주면 보다 돌출된 플랜지부(22) 부위에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플랜지부(22)가 보조링(30)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패킹부재(40)는 상기 보조링(30) 상측의 수용공(12) 내주면에 형성된 단차부(13)의 바닥 및 상기 보조링(30)의 상단에 안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패킹부재(40)는 오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외에도 탄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60)의 나사조임에 의해 조임링(50)이 패킹부재(40)를 가압하면, 상기 패킹부재(40)는 단차부(13)의 내측면과 파이프(70)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링(50)은 상기 조임너트(60)의 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조임너트(60)의 나사조임시 상기 패킹부재(40)를 가압함과 동시에 파이프(70)의 외주면을 밀착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조임링(50)은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51)와, 상기 안착부(51)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12)의 단차부(13)내에 안착된 패킹부재(40)를 가압하는 가압돌출부(52)와, 상기 안착부(51)의 상단에 일정높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로 분할된 조임편(53)과, 상기 조임편(5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70)의 외주면을 밀착지지하는 쐐기편(5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51)의 외주면은 상기 가압돌출부(52) 및 조임편(53)의 외주면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에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조임편(53)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탄성력을 갖게 된다.
아울러, 상기 쐐기편(54)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조임링(50)의 내측으로 파이프(7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60)를 조이게 되 면, 상기 조임링(50)의 쐐기편(54)들이 파이프(70)의 외주면을 압박하면서 외주면을 일부 밀고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쐐기편(54)이 파이프(70)의 외주면을 물고 있게 되어 파이프(70)가 연결소켓(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조임너트(60)를 완전히 풀지 않더라도 파이프(70)를 연결소켓(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데, 즉, 조임너트(60)를 일정량 푼 상태에서 파이프(70)를 돌리면서 빼내면 파이프(70)의 외주면을 물고있는 조임링(50)의 쐐기편(54)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조임링(50)의 재질은 상기 파이프(70)의 재질보다 경도가 강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링(50)의 쐐기편(54)과 대응하는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의 지지부(21) 외주면에는 쐐기편(54)에 의한 파이프(70)의 탄성변형시 탄성변형된 파이프(70)의 내주면 일부를 수용하도록 수용홈(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너트(60)의 나사조임시 상기 조임링(50)의 쐐기편(54)이 파이프(70)의 외주면을 일정깊이 물고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쐐기편(54)이 물고 들어온 만큼 파이프(70)의 내주면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상기 지지부(21)의 수용홈(23)에 꽉 끼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7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70)의 이탈을 더욱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임링(50)의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70)와의 유격을 줄일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유격줄임부(5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격줄임부(55)는 조임링(50)의 각 조임편(53)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임편(5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유격줄임부(55)는 상기 조임편(53)의 끝단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쐐기편(54) 보다 작게 돌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임링(50)의 내주면과 파이프(70) 사이의 유격을 상기 유격줄임부(55)를 통해 줄여줌으로써, 상기 조임너트(60)를 연결소켓(10)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조임링(50)의 내측으로 파이프(70)를 삽입한 경우 조임링(50)과 파이프(70) 사이의 유격이 줄어들어 파이프(7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되며, 물론 조임너트(60)를 완전히 나사조임한 후에도 파이프(7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60)는 상기 연결소켓(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5)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조임너트(60)는 파이프(70)가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이때 조임너트(60)의 내주면 일단부에는 상기 연결소켓(10)의 나사부(15)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63)가 형성되고, 조임너트(60)의 내주면 타단부에는 상기 조임링(50)의 조임편(53)을 파이프(70)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내측면이 경사진 제1가압부(6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임너트(60)의 내주면 중간부분에는 상기 조임링(50)의 안착부(51) 상단에 걸리도록 제2가압부(62)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조임너트(60)의 내주면은 나사부(63), 제2가압부(62), 제1가압부(61)가 모두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가압부(62)는 조임너트(60)의 나사조임시 조임링(50)을 패킹부 재(40)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패킹부재(40)를 연결소켓(10)의 단차부(13) 내측면과 파이프(70)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소켓(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확장부(14)에는 상기 조임너트(60)가 연결소켓(10)에 가조립되는 위치를 세팅해주도록 너트걸림편(17)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너트걸림편(17)은 도면에서와 같이 180도 방향으로 2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트걸림편(17)의 개수는 1개 이상 가능한다.
즉, 상기 파이프 연결구(1)는 연결소켓(10), 파이프지지관(20), 보조링(30), 패킹부재(40), 조임링(50), 조임너트(60)를 가조립한 상태로 납품이 되고, 작업자는 가조립된 파이프 연결구(1)에 파이프(70)를 삽입한 후 조임너트(60)만 나사조임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 파이프 연결구(1)의 가조립시 상기 조임너트(60)를 너무 나사조임한 상태로 납품하게 되면, 조임너트(60)에 의해 조임링(50)의 조임편(53)이 내측방향으로 조여진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파이프(70)를 삽입하면 조임편(53)의 쐐기편(54)에 파이프(70)가 걸려서 원활하게 삽입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고 작업자가 다시 조임너트(60)를 좀더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60)의 단부와 마주하는 연결소켓(10)의 확장부(14)측에 일정높이의 너트걸림편(17)을 형성함으로써, 연결소켓(10)에 가조립되는 조임너트(60)의 초기위치를 정확하고 균일하게 세팅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 연결구(1)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편의성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너트걸림편(17)의 상단면에 조임너트(60)의 단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파이프(70)를 삽입하게 되면 상기 조임편(53)의 쐐기편(54)에 걸리지 않고 원활한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파이프(70)가 삽입된 후에 상기 조임너트(60)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너트걸림편(17)이 뭉개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연결소켓(10)의 수용공(12) 바닥에 파이프지지관(20)을 안착시키고, 파이프지지관(20)의 플랜지부(22) 위에 보조링(30)을 안착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보조링(30)의 상단 및 수용공(12)의 단차부(13)에 패킹부재(40)를 안착시킨 후 연결소켓(10)의 일단부에 조임링(5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연결소켓(10)의 나사부(15)에 조임너트(60)를 나사결합한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60)는 연결소켓(10)의 확장부(14)에 형성된 너트걸림편(17)의 상단면에 안착되어 걸릴때까지만 나사조임한다.
이렇게 파이프 연결구(1)의 가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은 상기 보조링(30)에 걸려서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됨은 물론 수용공(12)내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조립된 파이프 연결구(1)를 공급받은 작업자는 파이프 연결구(1)에 파이프(70)를 삽입하게 되는데, 즉,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의 외주면에 파이프(70)를 끼워서 밀어넣게 되면 파이프(70)는 조임너트(60), 조임링(50), 패킹부 재(40), 보조링(30)의 내측을 관통하여 파이프지지관(20)의 플랜지부(22)에 안착되면서 삽입이 완료된다.
이때, 만일 상기 파이프(70)의 두께가 편중되어 있다면, 편중된 두께 만큼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이 유동하게 되므로 파이프지지관(20)의 외경은 수용공(12)내에서 편심되지 않고 정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상기 조임너트(60)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너트걸림편(17)이 뭉개짐과 동시에 상기 조임링(50)은 조임너트(60)의 제1,2가압부(61,62)에 의해 가압돌출부(52)가 패킹부재(40)를 가압하고 조임편(53)의 쐐기편(54)은 파이프(70)의 외주면을 물고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돌출부(52)에 의해 가압된 패킹부재(40)는 수용공(12)의 단차부(13) 내측면과 파이프(7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고, 상기 파이프(70)는 조임편(53)의 쐐기편(54)이 물고 있게 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조임편(53)의 쐐기편(54)이 파이프(70)의 외주면을 물고 있고,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은 보조링(30)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파이프(70)는 강한 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70)를 다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조임너트(60)를 완전히 풀지않고 어느정도만 풀어도 파이프(7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가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에서 조임너트를 완전히 나사조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파이프 연결구 10: 연결소켓
11: 유체통로 12: 수용공
13: 단차부 14: 확장부
15,16,63: 나사부 17: 너트걸림편
20: 파이프지지관 21: 지지부
22: 플랜지부 23: 수용홈
30: 보조링 40: 패킹부재
50: 조임링 51: 안착부
52: 가압돌출부 53: 조임편
54: 쐐기편 55: 유격줄임부
60: 조임너트 61: 제1가압부
62: 제2가압부 70: 파이프

Claims (5)

  1. 내부에 유체통로(11)가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체통로(11)의 일단부에 파이프(70)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수용공(12)이 형성된 연결소켓(10)과, 상기 파이프(70)의 단부 내측에 삽입되는 지지부(21) 및 상기 지지부(21)의 단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공(12)의 바닥에 안착되는 플랜지부(22)로 구성된 파이프지지관(20)과, 상기 수용공(12)의 내주면에 단차부(13)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부(13)에 안착 설치되는 패킹부재(40)와,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60)와, 상기 조임너트(60)의 내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조임너트(60)의 나사조임시 상기 파이프(70)의 외주면을 조여주는 조임링(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파이프(70)를 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의 플랜지부(22)는, 상기 파이프(70)의 외경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용공(12)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도록 수용공(12)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12)의 내주면과 파이프(70)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부(22)가 걸리도록 지지하여 상기 파이프지지관(20)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70)의 외주면 보다 돌출된 플랜지부(22) 부위에 안착되는 보조링(30)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단차부(13)는, 상기 보조링(30) 상측의 수용공(12) 내주면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패킹부재(40)는, 상기 단차부(13)의 바닥 및 보조링(30)의 상단에 안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50)의 내주면에는 상기 파이프(70)와의 유격을 줄일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유격줄임부(55)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60)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확장부(14)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14)에는 조임너트(60)가 연결소켓(10)에 가조립되는 위치를 세팅해주도록 너트걸림편(17)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50)은,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에 안착되는 안착부(51)와, 상기 안착부(51)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12)의 단차부(13)내에 안착된 패킹부재(40)를 가압하는 가압돌출부(52)와, 상기 안착부(51)의 상단에 일정높이 돌출 형성됨과 아울러 복수개로 분할된 조임편(53)과, 상기 조임편(53)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70)의 외주면을 밀착지지하는 쐐기편(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편(54)과 대응하는 상기 지지부(21)의 외주면에는 쐐기편(54)에 의한 파이프(70)의 탄성변형시 탄성변형된 파이프(70)의 내주면 일부를 수용하도록 수용홈(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1020090035800A 2009-04-24 2009-04-24 파이프 연결구 KR10117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800A KR101170603B1 (ko) 2009-04-24 2009-04-24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5800A KR101170603B1 (ko) 2009-04-24 2009-04-24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187A KR20100117187A (ko) 2010-11-03
KR101170603B1 true KR101170603B1 (ko) 2012-08-01

Family

ID=4340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800A KR101170603B1 (ko) 2009-04-24 2009-04-24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44B1 (ko) * 2015-05-27 2016-08-19 주식회사 히팅플러스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CN106439287A (zh) * 2016-08-29 2017-02-22 乐清市奥格节能自控系统有限公司 快速管件连接头
KR20210117849A (ko) * 2020-03-20 2021-09-29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18B1 (ko) * 2011-02-09 2013-02-13 박강훈 방향조절기능을 갖는 나사 연결구
KR101362781B1 (ko) * 2011-12-26 2014-02-13 주식회사 새롬테크 파이프 연결구
KR101196158B1 (ko) * 2012-02-03 2012-11-01 정우금속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배관용 스토퍼 그립 링
KR101638835B1 (ko) * 2014-12-29 2016-07-13 대양피엔피 주식회사 파이프 연결구
KR20170120458A (ko) * 2016-04-21 2017-10-31 임채갑 파이프 연결장치
CN109237187B (zh) * 2018-10-25 2020-04-28 安庆市悦发管业有限公司 一种hdpe给水管快速安装器及其连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7837A (ja) 2004-09-08 2006-03-23 Nippon Flex Kk ホース接続用の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7837A (ja) 2004-09-08 2006-03-23 Nippon Flex Kk ホース接続用のコネクタ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544B1 (ko) * 2015-05-27 2016-08-19 주식회사 히팅플러스 온수 난방용 조립식 패널 구조체
CN106439287A (zh) * 2016-08-29 2017-02-22 乐清市奥格节能自控系统有限公司 快速管件连接头
KR20210117849A (ko) * 2020-03-20 2021-09-29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KR102308984B1 (ko) 2020-03-20 2021-10-05 박종석 상부 조임식 싱크 수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7187A (ko)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603B1 (ko) 파이프 연결구
US10883639B2 (en) Male push lock pipe connection system
JP3430237B2 (ja) 管継手
US20040100097A1 (en) Tube joint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100923721B1 (ko) 관 연결구
KR20130044320A (ko) 파이프 피팅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20105917A (ko) 주름관 연결구
KR100878840B1 (ko) 급수분배기의 분배관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152994B1 (ko)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KR20190007178A (ko) 배관조립이 용이한 배관 유니언
KR20140091268A (ko) 파이프 연결구
US10746338B2 (en) Conduit boot with bushing
KR20110107990A (ko) 파이프 연결구
KR20130122133A (ko)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KR200450860Y1 (ko) 볼트 풀림방지용 와셔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20110094866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153412B1 (ko) 공기 조화기용 서비스밸브
KR101104085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948846B1 (ko) 급수전용 연결소켓
KR100915412B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16932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