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2133A -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2133A
KR20130122133A KR1020120045220A KR20120045220A KR20130122133A KR 20130122133 A KR20130122133 A KR 20130122133A KR 1020120045220 A KR1020120045220 A KR 1020120045220A KR 20120045220 A KR20120045220 A KR 20120045220A KR 20130122133 A KR20130122133 A KR 20130122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assembly tool
assembly
access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5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강훈
Original Assignee
박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강훈 filed Critical 박강훈
Priority to KR1020120045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2133A/ko
Publication of KR2013012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023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using scre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7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adapted for use in socket or sleev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9/00Connecting arrangements, e.g.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ipes of brittle material, e.g. glass, earthen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구에 조립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속품을 별도의 조립도구에 먼저 조립하고 여기에 파이프를 가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간에 정위치 조립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렇게 선조립된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를 상기 연결구에 최종 조립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조립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조립불량으로 인한 유체의 누설 문제 및 파이프의 이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Assembly tool for pipe connector}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에 관한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구에 조립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속품을 별도의 조립도구에 먼저 조립하고 여기에 파이프를 가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간에 정위치 조립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렇게 선조립된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를 상기 연결구에 최종 조립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조립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조립불량으로 인한 유체의 누설 문제 및 파이프의 이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질파이프나 경질파이프 또는 금속관에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로 여러 종류의 연결구가 공지되어 있는 바, 그 일례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구(1)는, 상기 파이프(P)의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부(12) 및 상기 수용부(12)의 일측에 확관 형성되는 부속품삽입부(11)가 형성된 연결소켓(10)과, 상기 연결소켓(10)의 부속품삽입부(11)내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이탈방지링(20)과, 보조링(30) 및 복수개의 오링(40)과,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15)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링(20)은 금속링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이탈방지링(20)의 일단부는 상기 부속품삽입부(11)의 바닥에 안착되고 타단부는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된다.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조임너트(15)의 나사조임시 상기 이탈방지링(20)을 가압하는 역할과 상기 오링(40)의 안착면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오링(40)은 상기 조임너트(15)의 나사조임시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상기 부속품삽입부(1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소켓(10)의 부속품삽입부(11)내에 상기 이탈방지링(20)과, 보조링(30)과, 복수개의 오링(40)을 삽입하여 조립한 후에 상기 조임너트(15)를 연결소켓(10)의 일단부에 가조립한다.
이후, 상기 파이프(P)를 상기 연결소켓(10)의 수용부(12)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15)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부속품설치부내의 오링(40), 보조링(30), 이탈방지링(20)이 압박을 받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오링(40)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과 상기 부속품설치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고,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이탈방지링(20)을 압박하게 되며, 상기 이탈방지링(20)은 경사진 일단부가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을 더욱 강하게 압박하게 되면서 상기 파이프(P)의 이탈이 방지됨은 물론 기밀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연결구(1)와 파이프(P)의 조립과정에서, 상기 파이프(P)를 상기 연결소켓(10)의 수용부(12) 바닥까지 완전히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조임너트(15)를 나사조임 해야 하는데,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상기 파이프(P)가 수용부(12) 바닥까지 완전히 삽입되지도 않았는데, 삽입된 것으로 오인하고 상기 조임너트(15)를 나사조임하여 조립작업을 마무리 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일예로, 상기 파이프(P)를 연결소켓(10)의 수용부(12) 바닥까지 삽입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임너트(15), 오링(40), 보조링(30), 이탈방지링(20)을 통과해야 하는데, 상기 이탈방지링(20)의 경우 이탈방지링(20)의 내경이 파이프(P)의 외경 보다 작기 때문에 작업자가 파이프(P)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탈방지링(20) 위치에서 걸림감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걸림감으로 인해 파이프(P)가 완전히 삽입된 것으로 오인하여 조임너트(15)를 나사조임하고 조립작업을 마무리 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파이프(P)가 연결소켓(10)의 수용부(12) 바닥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임너트(15)를 나사조임하게 되면, 조립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조립불량으로 인해 유체가 누설되거나 파이프(P)가 이탈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구에 조립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속품을 별도의 조립도구에 먼저 조립하고 여기에 파이프를 가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간에 정위치 조립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렇게 선조립된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를 상기 연결구에 최종 조립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조립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이프의 조립불량으로 인한 유체의 누설 문제 및 파이프의 이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이탈방지 및 기밀유지를 위한 복수개의 부속품을 연결구에 조립하기 전에 상기 파이프와 먼저 가조립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에 대해 파이프를 정위치 조립시키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삽입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의 바닥에는 상기 부속품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파이프 걸림부와, 상기 몸체와 상기 파이프 걸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구에 조립하기 위한 복수개의 부속품을 별도의 조립도구에 먼저 조립하고 여기에 파이프를 가조립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간에 정위치 조립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렇게 선조립된 복수개의 부속품과 파이프를 상기 연결구에 최종 조립함에 따라 상기 파이프의 조립불량이 방지되고, 파이프의 조립불량으로 인한 유체의 누설 문제 및 파이프의 이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도구 및 연결구용 부속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조립도구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복수개의 부속품이 끼워진 파이프를 연결구의 연결소켓에 조립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립도구(100)를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조립도구(100)를 사용하는 연결구(1)를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연결구(1)이 구조는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다양한 구조의 연결구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는 경질파이프 또는 연질파이프를 대상물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1)로서, 여기서, 상기 대상물로는, 파이프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한 또 다른 파이프가 될 수도 있고, 파이프 뿐만 아니라 밸브 등 유체가 통과하는 모든 대상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는, 연결소켓(10)과,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조임너트(15)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소켓(10)은, 내부에 유체통로가 관통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유체통로의 일측에는 상기 파이프(P)의 단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유체통로보다 확관되는 수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2)의 일측에는 수용부(12)보다 확관되는 부속품삽입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소켓(1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조임너트(15)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연결소켓(10)의 타단부는 상기 대상물과 연결/결합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은, 상기 연결소켓(10)의 부속품삽입부(11)내 바닥쪽에서부터 이탈방지링(20), 보조링(30), 복수개의 오링(40)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이탈방지링(20)은 금속재질로서,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하여 형성되며, 외주측에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부속품삽입부(11)의 바닥에 안착되는 지지부(21)가 구비되고, 내주측에는 내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복수개의 지지편(2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링(20)의 내측으로 상기 파이프(P)가 삽입되면, 상기 복수개의 지지편(22)이 파이프(P)의 외주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므로, 파이프(P)가 이탈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부속품삽입부(11)내에서 상기 이탈방지링(20)의 외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이탈방지링(20)의 외측을 지지하여 이탈방지링(2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보조링(30)은 상기 오링(4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면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링(40)은, 상기 부속품삽입부(11)내의 보조링(30) 상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부속품삽입부(11)의 내주면과 파이프(P)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오링(40)을 2개 설치하였지만, 1개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너트(15)는 상기 연결소켓(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0a)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단부에는 상기 오링(40)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압부(15a)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15a)의 중심에는 상기 파이프(P)가 관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조임너트(15)를 완전히 나사조임하게 되면, 상기 조임너트(15)의 가압부(15a)가 상기 오링(40)과, 보조링(30) 및 이탈방지링(20)을 가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오링(40)은 상기 연결소켓(10)의 부속품삽입부(11) 내주면과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 사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파이프(P)와 연결구(1)간에 조립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조임너트(15)를 연결구(1)에 바로 조립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조립도구(100)에 먼저 조립하고 여기에 상기 파이프(P)를 가조립하게 된다.
상기 조립도구(100)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조임너트(15) 및 파이프(P)를 가조립하게 되면,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파이프(P)간에 정위치 조립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파이프(P)를 연결구에 최종 조립할 때도 파이프(P)를 간편하게 정위치 조립할 수 있게 되어 파이프(P)의 조립불량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조립도구(100)는, 원통형의 몸체(110)와, 파이프 걸림부(120)와, 연결부(1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일정 깊이의 삽입부(1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111)의 바닥에는 상기 부속품(20,30,40)이 안착되는 안착부(112)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112)의 내주측에는 상기 파이프(P)가 관통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는 상기 조립도구(10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P)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112) 상측면에서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 상측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연결소켓(10)의 부속품삽입부(11) 바닥면에서 상기 수용부(12) 바닥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조립도구(100)에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파이프(P)를 가조립한 후, 조립도구(100)를 제거하고 상기 연결소켓(10)에 최종 조립하더라도 정위치에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30)는, 상기 몸체(110)와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130)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는데, 즉, 상기 몸체(110)의 하단부에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130)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130) 내측에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가 연결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130) 사이에는, 상기 파이프(P)가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에 걸려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걸림확인부(140)가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걸림확인부(140)를 통해 상기 파이프(P)가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까지 정확히 삽입되었는지를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130) 일단에는 상기 조립도구(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50)가 연결 형성된다. 즉, 작업자가 상기 조립도구(100)에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조임너트(15) 및 파이프(P)를 조립할 때, 상기 지지대(15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면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구(1)에 최종 조립하기 위한 조임너트(15)를 가조립할 수 있도록 가조립돌출부(135)가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돌출부(135)는,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연결부(130)와 동일한 위치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조립돌출부(135)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상기 금속재질의 조임너트(15)를 상기 플라스틱 재질의 가조립돌출부(135)에 나사결합 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임너트(15)를 가조립하게 되면, 상기 가조립돌출부(135)에 나사부가 만들어지면서 나사결합이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플라스틱재질의 가조립돌출부(135)에 조임너트(15)를 나사결합하므로 힘들이지 않고 간편하게 나사결합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상기 조립도구(100)의 몸체(110)의 삽입부(111)내에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인 이탈방지링(20), 보조링(30), 오링(40)을 순서대로 삽입한다.
이후, 도 3 및 도 4와 같이,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상기 조임너트(15)를 가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조임너트(15)를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조립돌출부(135)에 나사결합하게 되며, 상기 조임너트(15)를 완전히 나사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조임너트(15)가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만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후, 상기 파이프(P)를 상기 조립도구(100)내로 삽입하게 되며,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상기 조립도구(100)의 파이프 걸림부(120)에 걸릴때까지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P)는 상기 조임너트(15), 오링(40), 보조링(30), 이탈방지링(20)을 차례로 통과한 후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에 걸리게 된다.
상기 파이프(P)를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에 걸리도록 삽입한 후에는 작업자가 상기 조립도구(100)의 걸림확인부(140)를 통해 육안으로 관찰하여 상기 파이프(P)가 파이프 걸림부(120)까지 정확하게 삽입되어 걸려 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파이프(P)가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까지 삽입되어 걸리게 되면,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에 대해 상기 파이프(P)가 정위치에 조립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파이프(P)와 조립도구(100)간에 가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조립도구(100)로부터 조임너트(15)를 풀어서 상기 조립도구(100)를 분리 제거하게 된다.
상기 조립도구(100)를 파이프(P)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파이프(P)에는 복수개의 부속품(20,30,40)과 조임너트(15)가 끼워진 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는 이탈방지링(20)의 걸림편(22)이 강하게 압박하고 있으므로 이탈방지링(20)은 유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로인해 상기 파이프(P)의 끝단부에서 상기 이탈방지링(20)까지의 간격에 변화가 없게 된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이탈방지링(20)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보조링(30)과 오링(40) 및 조임너트(15)가 파이프(P)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파이프(P)를 상기 연결구(1)의 연결소켓(10)에 최종 조립하게 되는데, 즉, 상기 파이프(P)를 상기 연결소켓(10)의 수용부(12) 바닥까지 삽입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파이프(P)의 외주면에 끼워진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은 상기 연결소켓(10)의 부속품삽입부(11)에 삽입되게 된다.
이후, 상기 파이프(P)에 끼워진 조임너트(15)를 상기 연결소켓(10)과 나사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1: 연결구 10: 연결소켓
11: 부속품삽입부 12: 수용부
15: 조임너트 20: 이탈방지링
30: 보조링 40: 오링
100: 조립도구 110: 몸체
111: 삽입부 112: 안착부
120: 파이프 걸림부 130: 연결부
135: 가조립돌출부
140: 걸림확인부 150: 지지대

Claims (4)

  1. 파이프(P)의 이탈방지 및 기밀유지를 위한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을 연결구(1)에 조립하기 전에 상기 파이프(P)와 먼저 가조립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에 대해 파이프(P)를 정위치 조립시키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삽입부(111)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111)의 바닥에는 상기 부속품(20,30,40)이 안착되는 안착부(112)가 형성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됨과 아울러 상기 복수개의 부속품(20,30,40)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상기 파이프(P)의 단부가 걸리도록 하는 파이프 걸림부(120)와,
    상기 몸체(110)와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30)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130) 사이에는, 상기 파이프(P)가 상기 파이프 걸림부(120)에 걸려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걸림확인부(140)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연결부(130) 일단에는 상기 조립도구(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50)가 연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연결구(1)에 최종 조립하기 위한 너트(15)를 가조립할 수 있도록 가조립돌출부(1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KR1020120045220A 2012-04-30 2012-04-30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KR20130122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220A KR20130122133A (ko) 2012-04-30 2012-04-30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5220A KR20130122133A (ko) 2012-04-30 2012-04-30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133A true KR20130122133A (ko) 2013-11-07

Family

ID=4985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5220A KR20130122133A (ko) 2012-04-30 2012-04-30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2213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6050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汽车排气管加工辅助工装
CN104786049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气管压装机的使用方法
CN104786048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气管的消音内芯压装机构
CN104786046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汽车消音筒体压装器的使用方法
CN104786047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气管压装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86050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汽车排气管加工辅助工装
CN104786049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气管压装机的使用方法
CN104786048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气管的消音内芯压装机构
CN104786046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汽车消音筒体压装器的使用方法
CN104786047A (zh) * 2015-04-13 2015-07-22 成都陵川特种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排气管压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0400B1 (ko) 배관연결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방법
KR20130122133A (ko) 파이프 연결구용 조립도구
RU2342591C1 (ru) Вставной соединитель (варианты)
US10359132B2 (en) Press fitting for a threaded connection and method for attaching a fitting to a threaded connection
US20100276026A1 (en) Hose-in-hose termination fitting
KR101170603B1 (ko) 파이프 연결구
KR101177674B1 (ko) 정수라인의 튜브 접속구조
US8113550B2 (en) Connection with tail piece for a press-fitting
EP1878963A2 (en) Quick coupling for connecting a pipe and a component, particularly a manifold or a flow control valve, for liquid or gas distribution systems
KR20110107990A (ko) 파이프 연결구
US20120005877A1 (en) Fitting system for a hydraulic tuning cable
KR20120079683A (ko) 파이프 연결구
US9163759B2 (en) Fitting connection including compression nut with retainer
KR101362781B1 (ko) 파이프 연결구
EP1983245B1 (en) Method for providing a press-fitting connector, particularly for multilayer pipes
KR20140044347A (ko) 자가 밀착식 배관 연결구
KR200416932Y1 (ko) 파이프 연결구조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RU2484355C2 (ru) Закрывающ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находящихся под давлением
KR20110094866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393395B1 (ko)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KR102009769B1 (ko) 연료 계량 장치
KR20150120328A (ko) 배관 연결용 커넥터
KR101693894B1 (ko) 퀵커넥터 체결 확인장치
US20180339249A1 (en) Tank fitting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