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80B1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80B1
KR101648380B1 KR1020150018432A KR20150018432A KR101648380B1 KR 101648380 B1 KR101648380 B1 KR 101648380B1 KR 1020150018432 A KR1020150018432 A KR 1020150018432A KR 20150018432 A KR20150018432 A KR 20150018432A KR 101648380 B1 KR101648380 B1 KR 101648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base portion
tubular
base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192A (ko
Inventor
다카시 기노
마사미쓰 이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95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복수 단의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그들 통모양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할 때에, 통모양 베이스부의 외측을 웨일방향으로 교차하는 교차사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횡편기를 사용하여, 베이스 급사구(8)를 사용해서 통모양 베이스부(1)를 k단분 편성하는 동안에 급선구(9)를 1회 왕복시켜서 m단째의 통모양 베이스부(1)에 있어서의 프론트 베이스부(1F)에 선재(9Y)를 편성함과 아울러, n단째의 통모양 베이스부(1)에 있어서의 백 베이스부(1B)에 선재(9Y)를 편성한다. 단 k는 2 이상인 자연수, m은 1 이상 k 이하인 자연수, n은 1 이상 k 이하이고 또한 m 이외인 자연수이다.

Description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통모양 베이스부(tubular base部)에 선재(線材)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tubular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장갑의 삽입구(揷入口) 근방의 부분에 탄성사(彈性絲)(선재)를 편성하여, 삽입구에 신축성(伸縮性)을 갖게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근방의 부분에 대한 탄성사의 편성에는 예를 들면 턱(tuck)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인레이 편성(inlay 編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선재를 통모양 베이스부에 편성하는 경우에, 통모양 베이스부를 복수 단(段) 편성할 때마다 선재를 1단분(1段分)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재로서 탄성사를 편성하는 경우에 탄성사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통모양 편성포의 신축성이 지나치게 강하게 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복수 단마다 선재를 1단분 편성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도4의 편성 이미지도(編成 image圖)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편성을 한다. 우선 도4(A)에는, 베이스 편사(base 編絲)(8Y)를 공급하는 베이스 급사구(base 給絲口)(8)를 사용해서 통모양 베이스부(1)를 편성하고, 그 통모양 베이스부(1)를 구성하는 프론트 베이스부(front base部)(1F)와 백 베이스부(back base部)(1B)에 통모양으로 선재(9Y)를 편성시킨 통모양 삽입부(tubular 揷入部)(5)를 형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선재(9Y)를 공급하는 급선구(給線口)(9)는, 통모양 베이스부(1)의 외측에 대기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복수 단의 통모양 베이스부(1)를 편성하고(도4(B) 참조), 그 통모양 베이스부(1)에 통모양으로 선재(9Y)를 편성시킨 통모양 삽입부(5)를 형성하는(도4(C) 참조) 것을 반복한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08-170251호 공보
도4에 나타내는 종래의 편성방법에서는, n회째의 통모양 삽입부(5)와, n+1회째의 통모양 삽입부(5)를 연결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4)가, 통모양 베이스부(1)의 외측에 배치된다. 그 교차사(4)는,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인접하는 통모양 삽입부(5)의 사이에 편성되는 통모양 베이스부(1)의 단수(段數)가 많아질수록 길어지게 되어, 편성포의 외관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단의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그들 통모양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할 때에, 통모양 베이스부의 외측을 웨일방향으로 교차하는 교차사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전후로 대향하는 앞쪽 니들베드 및 뒤쪽 니들베드와, 베이스 편사를 공급하는 베이스 급사구와, 선재를 공급하는 급선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앞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프론트 베이스부와 뒤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백 베이스부로 구성되는 통모양 베이스부를 복수 단 편성함과 아울러, 통모양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베이스 급사구를 사용해서 통모양 베이스부를 k단분 편성하는 동안에, 급선구를 1회 왕복시켜서 m단째의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프론트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함과 아울러, n단째의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백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한다.
단 k는 2 이상인 자연수, m은 1 이상 k 이하인 자연수, n은 1 이상 k 이하이고 또한 m 이외인 자연수이다. 예를 들면 k=4인 경우에, m=2에서 n=4 또는 m=4에서 n=2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혹은 k=2인 경우에, m=1에서 n=2 또는 m=2에서 n=1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실교차측에 있는 급선구를 비교차측으로 이동시켜서 통모양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하는 편성동작은, 비교차측에 베이스 급사구가 있을 때에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교차측』이라고 하는 것은 베이스 급사구와 급선구가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과 동일한 측에 있어서의 통모양 베이스부의 외측에 있는 상태로부터 급선구를 움직였을 때에, 급선구로부터 신장되는 선재가 베이스 급사구로부터 신장되는 베이스 편사와 교차되는 측이며, 『비교차측』이라고 하는 것은 급선구로부터 신장되는 선재가 베이스 급사구로부터 신장되는 베이스 편사와 교차되지 않는 측이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급선구를 이동시켜서 통모양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할 때에,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 급선구의 이동방향 종단측의 단부 스티치에 선재를 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k는 4 이하인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해서는, k단의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하는 동안에 m단째의 프론트 베이스부와 n단째의 백 베이스부에 선재를 편성함으로써, 통모양 베이스부에 나선상(螺旋狀)으로 선재가 편성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렇게 통모양 베이스부에 나선상으로 선재를 편성함으로써, 통모양 베이스부의 외측을 웨일방향으로 교차하는 교차사가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좌측과 우측에 할당된다. 즉 종래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일방(一方)에 치우쳐 있었던 교차사가,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당해 편성폭방향의 좌우에 할당되어 종래보다 짧아진다. 그 결과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 교차사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기 교차측에 있어서 급선구로부터 신장되는 선재가 베이스 급사구로부터 신장되는 베이스 편사와 교차되지 않도록 급선구와 베이스 급사구의 이동순서를 조정하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 교차측의 교차사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 급선구의 이동방향 종단측의 단부 스티치에 선재를 턱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 당해 종단측의 교차사를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통모양 베이스부의 단수(상기 k)를 4 이하로 하면,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 교차사를 거의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이미지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편성공정의 전반부분의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편성공정의 후반부분의 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종래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편성 이미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이하 BB)를 구비하고, BB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한 2베드 횡편기(two-bed 橫編機)를 사용한 편성예를 설명한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도1의 편성 이미지도(編成 image圖)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편사(base 編絲)를 공급하는 베이스 급사구(base 給絲口)를 사용해서 통모양 베이스부를 복수 단분(段分) 편성함과 아울러, 그들 복수 단의 통모양 베이스부(tubular base部)에 나선상(螺旋狀)으로 탄성편사(彈性編絲)(선재(線材))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1(A)에서는, 베이스 편사(8Y)를 공급하는 베이스 급사구(8)를 사용한 통모양 편성에 의하여 적어도 1단분의 통모양 베이스부(1)를 편성한다. 통모양 베이스부(1)는, FB(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서 편성되는 프론트 베이스부(front base部)(1F)와, BB(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서 편성되는 백 베이스부(back base部)(1B)가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형성된다. 또 도1(A)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고 있지만, 급선구(給線口)(9)로부터 공급되는 탄성편사(선재(9Y))가 통모양 편성포에 편성된 상태에 있다.
도1(B)에서는, 지면(紙面)의 우측으로 급선구(9)를 이동시켜서 도1(A)에서 편성된 통모양 베이스부(1)에 있어서의 백 베이스부(1B)에 선재(9Y)를 편성한다. 통모양 베이스부(1)에 대한 선재(9Y)의 편성에는, 백 베이스부(1B)의 스티치(stitch)에 선재(9Y)를 턱(tuck)하는 편성이나, 백 베이스부(1B)의 스티치 사이에 선재(9Y)를 끼워 넣는 인레이 편성(inlay 編成)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인레이 편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급선구(9)의 이동방향의 종단(終端)에서는 턱에 의해 선재(9Y)를 백 베이스부(1B)에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C)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사용한 통모양 편성에 의해 적어도 1단분의 통모양 베이스부(1)를 편성한다. 그때에 급선구(9)는, 통모양 베이스부(1)의 외측에 대기시켜 둔다.
도1(D)에서는, 급선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도1(C)에서 편성된 통모양 베이스부(1)에 있어서의 프론트 베이스부(1F)에 선재(9Y)를 편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순서를 따름으로써, 도1(A)에서 편성한 통모양 베이스부(1)의 백 베이스부(1B)에 편성된 백 삽입부(back 揷入部)(2B)(도1(B) 참조)와, 도1(C)에서 편성한 통모양 베이스부(1)의 프론트 베이스부(1F)에 편성된 프론트 삽입부(front 揷入部)(2F)(도1(D) 참조)가 나선상(螺旋狀)으로 연결된 나선상 삽입부(2)가 형성된다. 그 결과 통모양 베이스부(1)의 외측을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교차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4, 4)가, 통모양 베이스부(1)의 편성폭방향의 좌측과 우측에 할당(割當)된다. 좌우에 할당된 교차사(4, 4)는, 도4에 나타내는 종래의 교차사(4)보다 짧기 때문에 눈에 띄기 어렵다.
도1(D) 이후에 복수 단의 통모양 베이스부(1)를 더 편성함과 아울러 그들 통모양 베이스부(1)에 선재(9Y)를 편성하려면, 도1(A)∼도1(D)의 편성을 반복하면 된다. 그 반복에 있어서 통모양 베이스부(1)의 단수(段數)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모양 베이스부(1)의 단수를 서서히 줄여가면, 웨일방향의 상방측을 향함에 따라 탄성편사(선재(9Y))에 의한 조임이 강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반대로 통모양 베이스부(1)의 단수를 서서히 늘여가면, 웨일방향의 상방측을 향함에 따라 탄성편사(선재(9Y))에 의한 조임이 약한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는 통모양 편성포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말의 삽입구 근방의 부분, 장갑의 삽입구 근방의 부분, 스웨터 등의 니트웨어(knitwear)의 소매 근방의 부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사용되는 선재(9Y)는, 탄성편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선재(9Y)는, 통모양 베이스부(1)의 신장(伸張)을 억제하는 고강도의 신장되기 어려운 편사이더라도 좋다. 선재(9Y)의 재질은, 어떤 용도로 선재(9Y)를 통모양 베이스부(1)에 편성하는지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재(9Y)의 재질로서는, 울(wool)이나 실크(silk), 면(綿), 아크릴(acrylic), 레이온(rayon), 나일론(nylo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아라미드(aramid),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탄소섬유(炭素纖維), 금속(金屬)(합금(合金)을 포함한다) 등을 들 수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나선상 삽입부(2)를 구성하는 프론트 삽입부(2F)와 백 삽입부(2B)가 편성되는 웨일방향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추가하여 급선구(9)를 이동시키는 타이밍(timing) 등을 조정함으로써, 통모양 편성포에 있어서의 선재(9Y)를 더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2에서는, 그 구체적인 방법을 도2, 3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 3의 편성공정도에 있어서의 좌측란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우측란에는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 스티치의 결합상태가 나타나 있다. 우측란의 흑점은 FB 및 BB에 구비되는 편침(編針)을, 동그라미 표시는 스티치를 나타내고, 대문자 알파벳(A∼F)은 편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이 편성공정도에서는, 베이스 편사(8Y)를 공급하는 베이스 급사구(8)로서 FB와 BB의 대향방향(對向方向)에 있어서의 FB측에 있는 급사구를 이용하고 있으며, 선재(9Y)를 공급하는 급선구(9)로서 상기 대향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 급사구(8)보다 BB측에 있는 급사구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베이스 급사구(8)와 급선구(9)가 통모양 베이스부(1)의 편성폭방향(니들베드의 길이방향과 동일)과 동일한 측에 있어서의 통모양 베이스부(1)의 외측에 있는 상태로부터 급선구(9)를 움직여서 나선상 삽입부(2)를 편성하였을 경우에, 급선구(9)로부터 연장되는 선재(9Y)가 베이스 급사구(8)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편사(8Y)와 교차(交差)되어 얽혀 버린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BB의 지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편성과 FB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편성을 반복하는 시계방향의 편성을 하는 경우에,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해서 급선구(9)를 움직여서 FB에 나선상 삽입부(2)(프론트 삽입부(2F))를 편성할 때에 베이스 급사구(8)가 우측 단부(右側 端部)에 있으면 선재(9Y)와 베이스 편사(8Y)와의 교차가 발생한다. 한편 그 좌측 단부(左側 端部)에서는 급선구(9)를 움직일 때에 선재(9Y)와 베이스 편사(8Y)와의 교차는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예에 있어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의 편성폭방향의 우측 단부가 『교차측(交差側)』, 좌측 단부가 『비교차측(非交差側)』이다. 상기 교차는, 선재(9Y)를 통모양 베이스부(1)의 외측에서 교차시켜서, 선재(9Y)(교차사(4))가 눈에 띄게 될 우려가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편성공정에서는, 이 교차의 문제가 해소되도록 급선구(9)를 움직이는 타이밍을 조정하고 있다. 또 본 예에 있어서 통모양 베이스부(1)의 편성방향은 시계방향이지만, 반시계방향이더라도 상관없다.
S1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F, E, D, C, B, A)에 프론트 베이스부(1F)를 편성하고, S2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BB의 편침(A, B, C, D, E, F)에 백 베이스부(1B)를 편성한다. 이들 S1, S2에 의하여 통모양 베이스부(1)가 1단분 편성된다.
S3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F, E, D, C, B, A)에 2단째의 프론트 베이스부(1F)를 편성한다. BB에 결합되는 백 베이스부(1B)는, 1단째의 통모양 베이스부(1)의 것이다.
S4에서는, 급선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BB의 편침(B, D, F)에 턱(tuck)을 한다. 이 S4에 의하여, 1단째의 통모양 베이스부(1)의 백 베이스부(1B)에 선재(9Y)를 편성한 백 삽입부(2B)가 형성된다. 또 급선구(9)의 우측방향으로의 이동 시작시에 급선구(9)와 동일한 좌측 단부에 베이스 급사구(8)가 배치되어 있지만, 급선구(9)가 베이스 급사구(8)보다 BB측에 있기 때문에, 급선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도 급선구(9)로부터 신장되는 선재(9Y)는 베이스 급사구(8)로부터 신장되는 베이스 편사(8Y)와 교차되지 않는다. 다만 선재(9Y)는, 프론트 베이스부(1F)와 백 베이스부(1B)를 연결하는 교차사와는 교차된다. 이 교차사는 S2에 있어서 형성된 것이다.
상기 S4에 있어서 최후에 하는 턱은, 급선구(9)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백 베이스부(1B)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3)(S3을 참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BB의 편침(B, D, F)에 턱을 하는 것이, BB의 편침(A, C, E)에 턱을 하는 것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후술한다.
S5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BB의 편침(A, B, C, D, E, F)에 2단째의 백 베이스부(1B)를 편성한다. 이때에 S4에 있어서 BB의 편침(F)에 형성되는 턱 스티치(tuck stitch)가, 백 베이스부(1B)의 편성을 위하여 편침(F)이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으로 진출됨과 함께, 편침(F)으로부터 벗어난다. 그것은 턱 스티치의 지면 우측이 급선구(9)에 직접 연결되어 있어, 턱 스티치에 장력(張力)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S4에 있어서 BB의 편침(A, C, E)에 턱을 하였을 경우에, 편침(E)의 턱 스티치는 편침(E)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여기에서 S5에 있어서 BB의 편침(F)으로부터 벗어난 선재(9Y)는, BB의 편침(F)과 FB의 편침(F)을 연결하는 베이스 편사(8Y)보다 상측에서 교차된다. 가령 S4에 있어서 BB의 편침(A, C, E)에 턱을 한 경우에 급선구(9)로부터 신장되는 선재(9Y)는, BB의 편침(F)과 FB의 편침(F)을 연결하는 베이스 편사(8Y)보다 하측에서 교차된다. 즉 S3의 단부 스티치(3)에 대하여 S4에서 턱을 함으로써, 프론트 베이스부(1F)와 백 베이스부(1B)와의 경계의 위치에서 선재(9Y)의 위치가 1단 위로 천이(遷移)된다. 그 결과 우측에 형성되는 교차사(4)(도1(D) 참조)가 1단분 짧아지게 되어, 교차사(4)가 눈에 띄기 어려워진다.
S6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3단째의 프론트 베이스부(1F)를 편성하고, S7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3단째의 백 베이스부(1B)를 편성한다.
도3에 나타내는 S8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4단째의 프론트 베이스부(1F)를 편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4단째의 프론트 베이스부(1F)에 도1(D)에 나타나 있는 프론트 삽입부(2F)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이 실시형태의 첫머리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급선구(9)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베이스 급사구(8)가 급선구(9)와 동일한 우측에 있으면, 급선구(9)로부터 신장되는 선재(9Y)가 베이스 급사구(8)로부터 신장되는 베이스 편사(8Y)와 교차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S9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가 좌측에 있는 동안에 급선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E, C, A)에 턱을 한다. 당해 교차를 회피시킴으로써, 프론트 베이스부(1F)와 백 베이스부(1B)와의 경계에 있어서 스티치의 혼란을 억제하여, 당해 경계 교차사(4)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S9에 있어서도, S4와 마찬가지로 급선구(9)의 진행방향에 있어서 프론트 베이스부(1F)의 단부 스티치(3)(S8 참조)에 턱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0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4단째의 백 베이스부(1B)를 편성한다. S1∼S10에 의하여, 통모양 베이스부(1)를 4단분 편성할 때마다 1주분(1周分)의 나선상 삽입부(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 단의 통모양 베이스부(1)를 편성함과 아울러 그들 복수 단의 통모양 베이스부(1)에 나선상 삽입부(2)를 편성하려면, S11, S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우선 1단째의 통모양 베이스부(1)를 편성한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2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가 FB측, 급선구(9)가 BB측에 배치되고, 시계방향으로 통모양 베이스부(1)와 나선상 삽입부(2)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3에서는, 베이스 급사구(8)와 급선구(9)의 위치관계 및 통모양 베이스부(1)와 나선상 삽입부(2)의 주회방향(周回方向)이 서로 다른 예를 설명한다.
≪3-1≫
베이스 급사구(8)가 BB측이고 급선구(9)가 FB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의 편성을 하는 경우에, 도2, 3에 있어서는 지면의 좌측이 교차측이 된다. 따라서 급선구(9)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움직여서 BB에 나선상 삽입부(2)를 편성하는 경우에, 베이스 급사구(8)가 우측의 비교차측에 있을 때에 급선구(9)를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3-2≫
베이스 급사구(8)가 FB측이고 급선구(9)가 BB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의 편성을 하는 경우에, 도2, 3에 있어서는 지면의 좌측이 교차측이 된다. 따라서 급선구(9)를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움직여서 FB에 나선상 삽입부(2)를 편성하는 경우에, 베이스 급사구(8)가 우측의 비교차측에 있을 때에 급선구(9)를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3-3≫
베이스 급사구(8)가 BB측이고 급선구(9)가 FB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의 편성을 하는 경우에, 도2, 3에 있어서는 지면의 우측이 교차측이 된다. 따라서 급선구(9)를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 움직여서 BB에 나선상 삽입부(2)를 편성하는 경우에, 베이스 급사구(8)가 지면 좌측의 비교차측에 있을 때에 급선구(9)를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느 순서를 하든지, 급선구(9)를 이동시켜서 나선상 삽입부(2)를 편성할 때에, 통모양 베이스부(1)에 있어서 급선구(9)의 이동방향의 종단측에 있는 단부 스티치에 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통모양 베이스부 1F ; 프론트 베이스부 1B ; 백 베이스부
2 ; 나선상 삽입부 2F ; 프론트 삽입부 2B ; 백 삽입부
3 ; 단부 스티치
4 ; 교차사
5 ; 통모양 삽입부
8 ; 베이스 급사구 8Y ; 베이스 편사
9 ; 급선구 9Y ; 선재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Claims (4)

  1. 전후(前後)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 및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와, 베이스 편사(base 編絲)를 공급하는 베이스 급사구(base 給絲口)와, 선재(線材)를 공급하는 급선구(給線口)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상기 앞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프론트 베이스부(front base部)와 상기 뒤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백 베이스부(back base部)로 구성되는 통모양 베이스부(tubular base部)를 복수 단(段)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에 상기 선재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tubular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급사구를 사용해서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k단분(k段分) 편성하는 동안에, 상기 급선구를 1회 왕복시켜서 m단째의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상기 프론트 베이스부에 상기 선재를 편성함과 아울러, n단째의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상기 백 베이스부에 상기 선재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단 k는 2 이상인 자연수, m은 1 이상 k 이하인 자연수, n은 1 이상 k 이하이고 또한 m 이외인 자연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급사구와 상기 급선구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과 동일한 측에 있어서의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외측에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급선구를 움직였을 때에, 상기 급선구로부터 신장되는 상기 선재가 상기 베이스 급사구로부터 신장되는 베이스 편사와 교차되는 측을 실교차측(yarn交差側)이라고 하고, 교차되지 않는 측을 비교차측(非交差側)이라고 했을 때에,
    상기 실교차측에 있는 상기 급선구를 상기 비교차측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에 상기 선재를 편성하는 편성동작은, 상기 비교차측에 상기 베이스 급사구가 있을 때에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선구를 이동시켜서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에 상기 선재를 편성할 때에,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에 있어서 상기 급선구의 이동방향 종단측(終端側)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에 상기 선재를 턱(tuck)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k는 4 이하인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50018432A 2014-02-12 2015-02-06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648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4666A JP6292914B2 (ja) 2014-02-12 2014-02-12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JP-P-2014-024666 2014-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192A KR20150095192A (ko) 2015-08-20
KR101648380B1 true KR101648380B1 (ko) 2016-08-16

Family

ID=5367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432A KR101648380B1 (ko) 2014-02-12 2015-02-06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92914B2 (ko)
KR (1) KR101648380B1 (ko)
CN (1) CN104831459B (ko)
DE (1) DE102015001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01741B2 (ja) * 2016-09-07 2019-04-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CN110184728B (zh) * 2019-05-20 2020-08-04 斓帛针织科技(嘉兴)有限公司 一种具有烂花效果的针织物及其编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354A (ja) 2003-10-10 2005-04-28 Shima Seiki Mfg Ltd 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2008274485A (ja) 2007-04-27 2008-11-13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251A (ja) 1994-12-16 1996-07-02 Shima Seiki Mfg Ltd 口編み部の編成方法
JPH1060758A (ja) * 1996-08-13 1998-03-03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
TW470795B (en) * 1999-08-31 2002-01-01 Shima Seiki Mfg Knitting method for waste yarn disposal
JP2003041461A (ja) * 2001-07-25 2003-02-13 Inoue:Kk ボーダー柄の編成方法及びそのニット製品
WO2007099709A1 (ja) * 2006-02-28 2007-09-07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EP2157220B1 (en) * 2007-05-01 2015-04-15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for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EP2208814B1 (en) * 2007-11-06 2016-05-18 Shima Seiki Mfg., Ltd End-connecting method for doubly-cylindrical fabric
JP2010013748A (ja) * 2008-07-01 2010-01-21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10037701A (ja) * 2008-08-08 2010-02-18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5538241B2 (ja) * 2009-01-23 2014-07-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衿ぐり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衿ぐり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5443250B2 (ja) * 2010-04-20 2014-03-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5698482B2 (ja) * 2010-09-17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外増やし方法、および編地
DE102011012767A1 (de) * 2010-09-18 2012-03-22 H. Stoll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gestricks
JP5702576B2 (ja) * 2010-10-28 2015-04-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5695962B2 (ja) * 2011-04-28 2015-04-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3354A (ja) 2003-10-10 2005-04-28 Shima Seiki Mfg Ltd 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2008274485A (ja) 2007-04-27 2008-11-13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2914B2 (ja) 2018-03-14
JP2015151631A (ja) 2015-08-24
KR20150095192A (ko) 2015-08-20
CN104831459B (zh) 2017-04-12
CN104831459A (zh) 2015-08-12
DE102015001512A1 (de) 201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28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EP1842948A4 (en) METHOD FOR PRODUCING A DOUBLE TUBE ON THE FLAT KNITTING MACHINE
KR101903572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EP2319969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753631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KR10160388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US6789402B2 (en) Welt-seaming method and welt-seamed knitted fabric, and CAD device for welt-seaming
EP2366820A1 (en) Knitting method of V-neck peak and knitwear having V-neck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JP5702576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EP2327818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648380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5538241B2 (ja) 衿ぐり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衿ぐり部を有する筒状編地
JP5800536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98584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2008261074A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18447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CN107142601B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6211394B2 (ja) 編地、および編地の編成方法
KR102247706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20160117321A (ko) 서포터 및 서포터의 편성방법
JP2003003352A (ja) リブ編地の増目方法及び当該方法で増目されたリブ編地
EP2623651A1 (en) Kni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