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941B1 - 시트 커팅 핀 - Google Patents

시트 커팅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941B1
KR101645941B1 KR1020150058310A KR20150058310A KR101645941B1 KR 101645941 B1 KR101645941 B1 KR 101645941B1 KR 1020150058310 A KR1020150058310 A KR 1020150058310A KR 20150058310 A KR20150058310 A KR 20150058310A KR 101645941 B1 KR101645941 B1 KR 101645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lade
cutting pin
sp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해레이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해레이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해레이저
Priority to KR102015005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커팅 핀 칼날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부를 구비하여, LED의 백라이트유닛을 구성하는 광학시트에 천공홀을 커팅하는 작업 시 커팅된 시트인 시트 칩을 절곡하여 시트 칩을 광학시트 및 커팅 핀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시트 커팅 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둘레면의 형상으로 시트가 커팅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칼날과 상기 칼날에 의해 커팅된 시트의 일부가 절곡되도록, 상기 칼날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일측과 타측의 연결 길이의 너비를 갖고,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판으로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특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은 커팅 핀에 의한 시트의 커팅 시 커팅 칼날에 의해 커팅되는 시트의 시트 칩이 시트에 부착되지 않고 시트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 시트 칩이 시트에 부착되어 발생시키는 불량 발생률이 줄어들고 이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 커팅 핀{SHEET CUTTING PIN}
본 발명은 시트 커팅 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커팅 핀의 칼날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부를 형성하여, LED의 백라이트유닛을 구성하는 광학시트에 천공홀을 커팅 하는 작업 시 커팅된 시트인 시트 칩을 절곡하여 시트 칩을 광학시트 및 커팅 핀으로부터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시트 커팅 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액정표시장치(LCD)의 뒤에서 빛을 방출해 주는 역할을 하는 광원장치를 백라이트유닛(BLU)이라고 한다.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자체적으로 빛을 내지 못하는 액정표시장치 뒷면에서 디스플레이 영상이 눈에 보일 수 있도록 고르게 빛을 비춰주는 역할을 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 자체가 빛을 내지 못하므로 앞면으로 들어온 빛을 액정 뒤의 거울에 반사시켜 다시 내보내거나 뒷면의 백라이트유닛에서 빛을 발생시켜 나오는 빛의 투과량과 색을 조절해 화면이 보이게 한다.
상기 백라이트유닛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된 엘이디가 설치된 도광판이 삽입되는 몰드하우징의 상부에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커튼테이프가 순서대로 적층 설치되며 하부에 반사시트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백라이트유닛의 구성요소 중 도광판의 일측에 설치된 엘이디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각각 반사ㆍ확산ㆍ균일화하는 기능을 가지는 반사시트, 확산시트, 프리즘시트 및 커튼테이프 등을 통상적으로 백라이트유닛용 광학시트라고 총칭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유닛용 광학시트 대부분의 프레임 상ㆍ하부에는 광학시트소재와 베이스필름 및 양면테이프 공급용 보빈들과 양면테이프의 이형지 및 광학시트소재의 스트립 회수용 보빈들과 가공물 권취용 보빈이 설치되며, 프레임의 내부에는 상기 광학시트소재나 베이스필름 및 양면테이프 등을 안내하거나 압착하는 롤러들과 베이스필름에 부착되는 광학시트소재를 소정형상대로 커팅하게 되는 커팅롤러 및 커팅 핀이 설치된 광학시트 커팅장치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62155호인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시트 커팅장치의 커팅롤러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 커팅장치로 시트를 커팅 시 시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하여 커팅된 시트 칩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시트소재의 내외 면에 부착되어 가공된 제품의 외관 및 품질에 불량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62155호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시트 커팅장치의 커팅롤러(2006.03.23)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날의 반경방향으로 절곡부가 형성된 시트 커팅 핀에 있어서, 시트의 커팅 시 발생하는 시트 칩이 절곡되어 정전기로 인해 시트 칩이 시트에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트 칩을 시트 커팅 핀 내부에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 할 수 있는 시트 커팅 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칼날, 상기 칼날의 내측에 구비되는 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은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내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고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가 끼움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관통홀에 상하길이방향으로 탄성작용 하는 스프링가이드가 끼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상기 스프링가이드는 가이드본체, 상기 가이드본체에 일측이 삽입되는 유동부, 일단이 상기 유동부의 일측에 탄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타단을 탄지하는 스프링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상기 가이드본체 하단부에는 상기 유동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상기 유동부 중간에는 상기 스토퍼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상기 절곡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상기 칼날이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내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고정부재가 끼움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하단면에서 칼날면까지의 높이를 갖는 스펀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징을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은 커팅 핀에 의한 시트의 커팅 시, 커팅 날에 의해 커팅 되는 시트의 시트 칩이 시트에 부착되거나 커팅 핀 내부에 남지 않고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시트 칩이 시트에 부착되어 발생시키는 불량 발생률이 줄어들고 이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 가이드스프링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커팅 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내용과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때문에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 스프링가이드(600)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은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되는 칼날(300), 상기 칼날(3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절곡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 각각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200)는 상부에서 하부가 관통되어 내부가 상하로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면과 외측면을 갖는다. 이때, 상기 몸체부(200)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특정 형태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는 하단 둘레면의 형상으로 시트가 커팅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하방으로 칼날(30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칼날(300)은 날이 형성된 측면을 시트에 맞닿아 하부로 압력을 가했을 때 상기 날에 의해 시트가 커팅 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날이 선 칼날(3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날(300)이 형성된 몸체부(200)를 상기 칼날(300)이 시트를 향하도록 하고 상부에서 하부로 몸체부(200)를 가압하면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 둘레면의 형상대로 시트가 커팅 되고, 이때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 둘레면의 형상과 같은 크기와 형상의 시트 칩이 발생된다.
상기 칼날(300)에 의해 커팅된 시트 칩의 일부가 절곡되도록,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에는 상기 칼날(3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절곡부(4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시트 칩의 중앙이 절곡되도록 상기 절곡부(400)는 상기 칼날(300) 내측의 중앙에 구비되며 시트 칩이 충분히 절곡될 정도의 너비를 갖고, 상기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판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400)는 상기 칼날(300)에 의한 시트의 커팅 시 상기 절곡부(400)에 의해 커팅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상기 칼날(300)이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400)는 제작된 몸체부(200)와 절곡부(400)를 접착부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나, 고정부재(500)에 절곡부(400)를 끼움 고정하여 몸체부(200) 내부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400)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은 시트의 커팅 시 칼날(300)에 의해 커팅 되는 시트의 시트 칩이 절곡되어, 시트 칩이 상기 시트 커팅 핀(100) 몸체부(200) 내부에 적층되지 않고 몸체부(2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곡된 시트 칩은 시트에서 발생하는 정전기 등에도 시트에 쉽게 부착되지 않고 용이하게 탈착되며, 미처 탈착되지 못하고 시트에 부착된 시트 칩도 에어건 등을 활용한 탈착작업에서 대부분 탈착된다. 커팅 시 발생한 시트 칩이 시트에 부착되지 않고 시트 외부로 용이하게 탈착되어, 시트가 커팅작업을 거쳐 완제품으로 가공될 시 야기되는 불량의 문제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에는 내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고,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500)가 끼움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500)의 관통홀에는 상하길이방향으로 탄성작용 하는 스프링가이드(600)가 끼움 고정하다. 상기 스프링가이드(600)는 상기 몸체부(200)를 하부로 가압하여 시트를 커팅 시, 상기 스프링가이드(600)가 상부로 수축되면서 상기 칼날(300)에 의해 커팅된 시트 칩이 상기 절곡부(400)에 의해 절곡된다. 상기 몸체부(200)가 상부로 빠질 때, 상기 수축된 스프링가이드(600)가 하부로 이완하며 시트 칩을 밀어 내어, 상기 시트 칩이 상기 몸체부(2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600)는 실제로 커팅 된 시트 칩을 상기 몸체부 외부로 배출하는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600) 외에도 탄성을 갖는 부재라면 어느 것이든 응용하여 활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가이드(600)는 상기 절곡부(400)를 대칭으로 2쌍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가이드(600)의 탄성작용으로 시트 칩이 원활하게 몸체부(2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가이드(600)는 절곡부(400)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커팅 시 발생하는 시트 칩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한에서 위치와 개수를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가이드스프링(6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스프링(600)은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스프링(600)은 유동부(610)와 가이드본체(620)와 스프링(630) 및 스프링고정부(640)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유동부(610)는 일측이 상기 가이드본체(620)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스프링(630)의 탄성에 따라 상하길이방향으로 운동한다. 상기 가이드본체(620)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내부로 상기 유동부(610)와 스프링(630) 및 스프링고정부(640)가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630)은 상기 가이드본체(620)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유동부(610)의 일측과 맞닿아 상기 유동부(610)가 상하길이방향으로 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프링(63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커팅 작업이 진행될 때 충분히 수축 및 이완되어 원활한 작동이 가능한 탄성을 가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고정부(640)는 상기 가이드본체(62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스프링(630)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본체(620)의 하단부에는 스토퍼(621)가 형성되어 상기 유동부(610)의 이동을 제한한다. 상기 유동부(610)는 상기 스토퍼(621)에 걸려 이동이 제한될 수 있도록 상기 유동부(610)의 중간에 걸림턱(611)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시트 커팅 핀(100)으로 시트를 커팅하기 전의 상태이며 (b)는 시트 커팅 핀(100)을 하부로 가압하여 시트를 커팅한 상태이고 (c)는 시트 커팅 핀(100)이 상부로 빠졌을 때의 상태이다.
먼저, 시트 커팅 핀(100)을 하부로 가압하여 시트를 커팅하면, 칼날의 형상으로 커팅된 시트 칩이 발생하고 상기 시트 칩은 제자리를 유지하려는 관성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는 시트 커팅 핀의 몸체로 삽입된다. 이때, 절곡부(400)에 의해 시트 칩이 절곡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600)는 상기 시트 커팅 핀(100)이 하부로 가압될 때 스프링(630)이 상방으로 수축하여 상기 유동부(610)가 상방으로 유격되며, 상기 시트 커팅 핀(100)이 상부로 빠지면, 수축된 스프링(630)이 이완되면서 상기 유동부(610)가 하방으로 유격되어 절곡된 시트 칩이 몸체부(400) 외부로 배출된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트 커팅 핀(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에, 상기 고정부재(500)의 하단면에서 칼날면까지의 높이를 갖는 스펀지(700)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부(200)의 하측으로 시트를 가압하면 상기 칼날(300)에 의해 커팅된 시트 칩이 상기 절곡부(400)에 의해 절곡되고 상기 몸체부가 빠질 때 상기 스펀지(700)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시트 칩이 상기 몸체부(2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본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적용범위가 다양한 것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얼마든지 가능하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커팅 핀
200 몸체부
300 칼날
400 절곡부
500 고정부재
600 스프링가이드
610 유동부 611 걸림턱
620 가이드본체 621 스토퍼
630 스프링 640 스프링고정부
700 스펀지

Claims (8)

  1.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 둘레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시트를 절삭하는 칼날(300);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고,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에 끼움 고정되며, 복수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부재(500); 및
    상기 칼날(300)로 둘러싸인 공간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판 형상이며, 상기 고정부재(500)에 끼움 고정되고, 판의 하측면으로 시트를 V자 형태로 절곡되게 하는 절곡부(400);
    를 포함하되,
    상하길이방향으로 탄성작용 하는 복수의 스프링가이드(600)가 상기 고정부재(50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절곡부(400)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위치하여 V자 형태로 절곡된 시트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팅 핀(100).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이드(600)는 가이드본체(620), 상기 가이드본체(620)에 일측이 삽입되는 유동부(610), 일단이 상기 유동부(610)의 일측에 탄지되는 스프링(630), 및 상기 스프링(630)의 타단을 탄지하는 스프링고정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팅 핀(10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6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동부(6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6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팅 핀(1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부(610)의 중간에는 상기 스토퍼(621)에 걸림되는 걸림턱(6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팅 핀(10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400)는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상기 칼날(300)이 상기 몸체부(20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팅 핀(100).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200)의 내측에, 내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일정높이를 갖는 고정부재(500)가 끼움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500)의 하단면에서 칼날면까지의 높이를 갖는 스펀지(7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커팅 핀(100).
KR1020150058310A 2015-04-24 2015-04-24 시트 커팅 핀 KR10164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10A KR101645941B1 (ko) 2015-04-24 2015-04-24 시트 커팅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310A KR101645941B1 (ko) 2015-04-24 2015-04-24 시트 커팅 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941B1 true KR101645941B1 (ko) 2016-08-09

Family

ID=5671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8310A KR101645941B1 (ko) 2015-04-24 2015-04-24 시트 커팅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90A (ja) * 1989-06-02 1991-01-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紙
JP2004130461A (ja) * 2002-10-11 2004-04-30 Nippon Die Steel Kk ダイカッタの抜き型
KR100562155B1 (ko) 2004-01-20 2006-03-23 김연식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시트 커팅장치의 커팅롤러
JP2011255470A (ja) * 2010-06-10 2011-12-22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
KR20150000993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대양기술 인쇄회로기판 절단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90A (ja) * 1989-06-02 1991-01-10 Mitsubishi Paper Mills Ltd 感熱記録紙
JP2004130461A (ja) * 2002-10-11 2004-04-30 Nippon Die Steel Kk ダイカッタの抜き型
KR100562155B1 (ko) 2004-01-20 2006-03-23 김연식 백라이트유니트용 광학시트 커팅장치의 커팅롤러
JP2011255470A (ja) * 2010-06-10 2011-12-22 Ricoh Co Ltd 用紙処理装置
KR20150000993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대양기술 인쇄회로기판 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9853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5990236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
US9250377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module using the same
JP5410922B2 (ja) 面状照明装置
US20170199445A1 (en) Imaging unit and imaging system
JP2008243402A (ja) 面状光源装置およびその組み立て方法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2014000972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60035159A (ko) 도광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장치
KR101645941B1 (ko) 시트 커팅 핀
US9285529B2 (en) Backlight module
US20170269287A1 (en) Flexible Display Pane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JP2009244482A (ja) 光学機能部材
TWI476802B (zh) 背光型按鍵組裝裝置
JP2008003128A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US20070133190A1 (en) Recording apparatus
JP5027036B2 (ja) 導光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00033953A1 (en) Direct type backlight module
US9575242B2 (en) Fixture for assembling light strip and back plate
US20140016347A1 (en) Surface illumination device
KR102006221B1 (ko)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US9927569B2 (en) Display device
KR102296755B1 (ko) 도광판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과 액정표시장치
JPWO2007037250A1 (ja) 光拡散板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KR200491480Y1 (ko) 테이프디스펜서
KR20190140317A (ko) 휴대단말용 보호필름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