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221B1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 Google Patents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6221B1 KR102006221B1 KR1020190021218A KR20190021218A KR102006221B1 KR 102006221 B1 KR102006221 B1 KR 102006221B1 KR 1020190021218 A KR1020190021218 A KR 1020190021218A KR 20190021218 A KR20190021218 A KR 20190021218A KR 102006221 B1 KR102006221 B1 KR 1020062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crystal
- protective member
- terminal device
- portable terminal
- upper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한 쌍의 측벽과,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기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도록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상벽에는 상기 액정 보호부재의 일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은, 제1상벽과, 상기 제1상벽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면에 상기 거치부가 형성되는 제2상벽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보호부재를 상방에서 가압시, 상기 거치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거치부에 놓여진 상기 액정 보호부재가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액정화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를 액정화면에 점착한 뒤 나머지 영역을 점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머지 부분도 액정화면에 안착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으며, 액정보호필름에 가해지는 힘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액정보호필름의 파손이 방지되는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를 휴대 단말기기에 점착할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며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기는 액정화면 안에 카메라 렌즈, 스피커, 홈 버튼 및 각종센서 등이 배치된다. 액정화면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흠집이 생기게 되면, 액정화면의 투시도가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액정화면의 가독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 액정화면을 교체하여야 하는데, 액정화면은 LCD 패널 등과 일체형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교체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휴대 단말기기 사용자들은 액정화면에 액정 보호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한다.
액정 보호부재는 스크래치에 강하고 투시도가 좋고 가격이 저렴하여 액정화면을 흠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바일폰, 테블릿피씨 등에 구비된 액정화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PET필름이 주로 사용되는데, PET필름은 스크래치를 방지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지므로 충격에 약하다. 또한, PET필름을 2~3개월 사용하다 보면 PET필름에 많은 스크래치가 생겨 PET필름을 새것으로 교체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PET필름은 빛 투과율이 70%정도로 낮은 관계로, 액정화면의 선명함을 떨어뜨린다.
이러한 PET필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강화유리 또는 강화유리성분이 포함된 합성강화유리로 만들어진 액정 보호부재가 개시된 바 있다. 강화유리로 만들어지므로 PET필름보다 스크래치와 충격에 강하며, PET필름보다 우수한 90% 이상의 빛 투과율을 가진다.
그러나, 강화유리 재질의 액정 보호부재의 경우 재질의 특성상 PET필름과는 달리 휴대 단말기기 상에 점착하는 것이 쉽지 않다. 특히, 엣지 타입의 스마트폰의 경우 일반적으로 테두리 부분에 양면테이프를 형성하여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경우 액정 보호부재와 액정화면 사이에 공간이 생겨 이 공간으로 공기가 침투하여 기포가 생기고, 수분이 침투하여 수분 자국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액정화면을 터치하여 작동하는 과정에서 터치시 눌려지는 힘에 의해 공간이 함몰되어, 함몰된 부분에 누름 자국이 생길 수 있다.
또한, 강화유리를 이용한 액정 보호부재를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해 점착하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자외선 경화물질을 이용하여 점착하는 경우 지문이 액정보호필름에 묻는 것이 최소화되나, 액정보호필름을 휴대용 표시장치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으며 액정보호필름과 액정화면 사이에 공기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한다.
최근에는 외곽 부분의 양면테이프를 통한 접착 및 자외선 경화물질을 통한 점착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전면(하면 전체)을 액정화면 상에 점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액정 보호부재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전면에 점착제가 도포됨으로써 점착과정이 매우 어려우며, 액정 보호부재와 액정화면 사이에 공기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공기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액정 보호부재를 다수 가압하는 과정에서 액정화면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를 휴대 단말기기에 점착할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며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는,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액정화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를 액정화면에 점착한 뒤 나머지 영역을 점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머지 부분도 액정화면에 안착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는, 액정화면에 점착된 액정 보호부재의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정 보호부재에 가해지는 힘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액정 보호부재의 파손이 방지되는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한 쌍의 측벽과,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기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도록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상벽에는 상기 액정 보호부재의 일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은, 제1상벽과, 상기 제1상벽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면에 상기 거치부가 형성되는 제2상벽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보호부재를 상방에서 가압시, 상기 거치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거치부에 놓여진 상기 액정 보호부재가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한 쌍의 측벽과,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기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도록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상벽에는 상기 액정 보호부재의 일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은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측벽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한 쌍의 측벽과,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기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도록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상벽에는 상기 액정 보호부재의 일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은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측벽의 말단 또는 상기 상벽의 말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상벽의 적어도 일부는 요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은 일단부의 높이와 말단부의 높이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어플리케이터; 및 하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기의 액정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밀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의 상면에는 가이드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대의 측면에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를 휴대 단말기기에 점착할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며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다.
또한,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액정화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를 액정화면에 점착한 뒤 나머지 영역을 점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머지 부분도 액정화면에 안착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다.
또한, 액정화면에 점착된 액정보호필름의 기포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액정보호필름에 가해지는 힘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액정보호필름의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기 및 액정 보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에 휴대 단말기기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상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의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기 및 액정 보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에 휴대 단말기기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상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의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가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기 및 액정 보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에 휴대 단말기기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1000)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3000)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20)를 휴대 단말기기(10)에 점착할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며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와, 거치부(200) 및 가이드벽(30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기(10)는 평면 표시영역(A1)과, 평면 표시영역(A1)을 확장하되 해당 영역에서 평면 표시영역(A1)과 별도로 정보제공을 하거나 이벤트 발생이 되며 곡면으로 형성한 곡면 표시영역(A2)을 가지며, 최소화된 베젤을 가질 수 있다. 즉, 엣지 타입의 스마트폰 등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휴대 단말기기(10)일 수 있다. 또한, 액정 보호부재(20)는 강화유리 또는 강화유리 성분이 포함된 합성강화유리 재질로 마련되며, 평면 표시영역(A1)과, 곡면 표시영역(A2) 및 베젤을 충격, 스크래치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즉, 휴대 단말기기(10)의 전면(前面)을 보호하는 것을 그 대상으로 한다. 다만,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평면 표시영역(A1)만 보호하는 형상·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액정 보호부재(20)는 전면(하면 전체)에 접착물질이 도포된다.
베이스부(100)는 한 쌍의 측벽(110)과, 하벽(120) 및 상벽(130)을 포함하여 안착부(S)를 형성한다. 안착부(S)는 휴대 단말기기(10)가 놓여지는 영역이다. 안착부(S)는 휴대 단말기기(10)가 안착시 휴대 단말기기(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기(10)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의 높이는 휴대 단말기기(1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부(100)가 안착부(S)에 놓여진 상태에서 액정 보호부재(20)를 휴대 단말기기(10)에 놓는 경우 액정 보호부재(20)도 비틀어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도 3 참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설명도이다.
상벽(130)은 제1상벽(131)과 제2상벽(132) 및 연결부(133)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이격공간(D)이 형성된다.
제1상벽(131)은 한 쌍의 측벽(110)을 상호 연결한다. 제2상벽(131) 또한 한 쌍의 측벽(110)을 상호 연결하되, 제1상벽(131)과 제2상벽(132)은 서로 이격된다. 따라서, 제1상벽(131)과 제2상벽(132) 사이에는 이격공간(D)이 형성된다. 다만, 제1상벽(131)과 제2상벽(132)은 반드시 서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상단이 연결부(1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3)는 측벽(110)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즉, 이격공간(D)은 제1상벽(131)과 제2상벽(132) 및 연결부(1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200)는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만 휴대 단말기기(10)에 놓여지도록 제2상벽(132)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거치부(200)는 제2상벽(132)의 일측벽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거치부(200)는 제2상벽(132)의 외벽(안착부(S)를 형성하는 벽)에 형성된다. 거치부(200)는 제2상벽(132)의 일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는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되고 타단부는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기(10)에 액정 보호부재(20)를 점착하는 경우 거치부(200)에 거치된 영역도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벽(130)은 제1상벽(131)과 제2상벽(132)을 포함하며, 제1상벽(131)과 제2상벽(132) 사이에는 이격공간(D)이 형성된다. 상벽(130)의 구조에 의해 액정 보호부재(20)를 휴대 단말기기(10)에 점착시키기 위해 휴대 단말기기(10)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제2상벽(132)의 일 영역이 제1상벽(131) 측으로 휘어져 거치부(200)에 거치된 영역이 휴대 단말기기(10)로 낙하된다. 즉, 제2상벽(132)의 일 영역이 이격공간(D)의 존재로 인해 제1상벽(131) 측으로 휘어짐으로써 거치부(200)의 위치에 변경이 생긴다. 거치부(200)의 위치가 제1상벽(131)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액정 보호부재(20)가 더 이상 거치부(200)에 거치되지 못하고 휴대 단말기기(10)로 낙하되어 놓여진다.
즉,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는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되고 타단부는 거치부(2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액정 보호부재(20)에 안착된 일단부를 점착시키고, 나머지 영역을 점착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경우, 제2상벽(132)의 일부가 제1상벽(131) 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함으로써 거치부(200)에 거치된 영역이 휴대 단말기기(10)로 낙하되며 이 후 점착된다.
거치부(200)는 액정 보호부재(20)를 액정화면 위에 놓을 때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부만 거치만 되면 되므로 그 폭은 미세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제2상벽(132)이 휘어지는 정도도 거치부(200)에 거치된 액정 보호부재(20)가 액정화면 측으로 낙하만 되면 되므로 미세하게 휘어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의 측벽(110)의 상면에는 가이드벽(300)이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벽(300)의 높이는 후술하는 밀대(400)의 하면으로부터 스토퍼(410)의 하단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베이스부(100)의 측벽(110)은 일단부의 높이와 말단부의 높이가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부(200)가 형성된 부분의 높이가 그렇지 않은 영역의 부분보다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차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만 휴대 단말기기(10)에 거치되며 요철(140)의 신장에 의해 보다 액정 보호부재(20)가 용이하게 휴대 단말기기(10)로 낙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2000)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3000)는,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20)를 휴대 단말기기(10)에 점착할 때,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며 기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부(100)와, 거치부(600) 및 가이드벽(300)을 포함한다.
상벽(530)을 제외한 베이스부(100) 및 가이드벽(300)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적용 대상인 휴대 단말기기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부(100)의 상벽(130)은 제1실시예와 달리 단일의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벽(130)은 신축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상세 도면이다.
거치부(600)는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만 휴대 단말기기(10)에 놓여지도록 측벽(110) 또는 상벽(130)에 형성되는 구성이다. 거치부(600)는 안착부(S)의 일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측벽(110)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치부(600)는 측벽(110) 소정의 지점으로부터 소정각도 경사를 형성하며 상벽(13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주요 특징 중 하나로서, 안착부(S)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기(10) 상에 액정 보호부재(20)를 안착하는 경우,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만 휴대 단말기기(10)에 놓여지도록 하며 일단부만 먼저 휴대 단말기기(10)에 점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기기(10)의 액정화면과 액정 보호부재(20)는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안착부(S)는 휴대 단말기기(10)와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되므로, 액정 보호부재(20)를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시키는 경우 일단부는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되며 타단부는 거치부(200)에 거치된다.(도 4 참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거치부의 변형예이다.
거치부(600`)는 휴대 단말기기(10) 상에 액정 보호부재(20)를 안착하는 경우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만 휴대 단말기기(10)에 놓여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거치부(600`)는 변형예와 같이 측벽의 일부에서 돌출되거나 또는 상벽(130)의 일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거치부(600`)는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부만 거치되기만 하면 그 위치 및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후술하는 바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액정 보호부재(20)의 위치는 상벽(130) 근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벽(530)은 신축가능하게 마련된다. 일 예시로 상벽(530)의 적어도 일부는 요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는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되고 타단부는 거치부(600)에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기(10)에 액정 보호부재(20)를 점착하는 경우 거치부(600)에 거치된 영역도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벽(530)의 일부는 요철형상으로 마련된다. 상벽(630)의 형상에 의해 액정 보호부재(20)를 휴대 단말기기(10)에 점착시키기 위해 휴대 단말기기(10) 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벽(530)이 미세하게 신장됨으로써 거치부(600)에 거치된 영역이 휴대 단말기기(10)로 낙하된다.
즉,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는 휴대 단말기기(10)에 안착되고 타단부는 거치부(6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액정 보호부재(20)에 안착된 일단부를 점착시키고, 나머지 영역을 점착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경우 상벽이 신장되어 거치부(600)가 도면상 좌·우측으로 미세하게 이동함으로써 거치부(600)에 거치된 영역이 휴대 단말기기(10)로 낙하되며 이 후 점착된다.
거치부(600)는 액정 보호부재(20)를 액정화면 위에 놓을 때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부가 거치만 되면 되므로 그 폭은 미세하게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상벽이 늘어나는 길이도 거치부(600)에 거치된 액정 보호부재(20)가 액정화면 측으로 낙하만 되면 되므로 미세하게 늘어나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의 정면도이다.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는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에 비해 밀대(400)를 더 포함한다.
밀대(400)는 액정 보호부재(20)를 휴대 단말기기(10)에 점착하기 위해 액정 보호부재(20)를 가압하며 문지르기 위한 구성이다. 밀대(400)의 하면은 액정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즉, 평면 표시영역(A1)과 곡면 표시영역(A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밀대(4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몸체부의 측면에는 스토퍼(410)가 형성된다. 스토퍼(410)는 사용자가 밀대(400)를 이용하여 액정 보호부재(20)를 가압하며 문지를 때 가압력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스토퍼(410)는 밀대(400)의 양 측면으로부터 각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부(100)의 측벽(110)의 상면에는 가이드벽(300)이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밀대(400)를 액정 보호부재(20)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 스토퍼(410)가 가이드벽(300)에 맞물리면서 가압력이 제한된다. 이를 통해, 밀대(400)를 액정 보호부재(20)에 다수회 문지르는 경우에도 액정 보호부재(20)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밀대(400)의 하면은 액정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액정 보호부재(20)에 밀착되며, 스토퍼(410)가 가이드벽(300)에 밀착된 상태에서 가이드벽(300)을 따라 왕복됨으로써 정밀하면서도 간편하게 액정 보호부재(20)를 점착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는 제2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먼저, 휴대 단말기기(10)를 안착부(S) 상에 안착시킨 후 휴대 단말기기(10) 위에 액정 보호부재(20)를 안착한다. 거치부(200)에 의해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단부는 액정화면 상에 안착되며, 타단부는 거치부(200)에 거치된다.(도 11 참조)
이 후, 액정 화면에 안착된 액정 보호부재(20)를 밀대(400)를 이용하여 가압하면서 문지른다. 이 때 가압력은 제한되어 적정한 가압력으로 계속 가압된다. 액정 보호부재(20)의 하면 전체에는 접착 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접착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액정 보호부재(20)의 일부가 거치부(200)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액정 보호부재(20)와 휴대 단말기기(1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생성되는 기포가 매우 적으며, 이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서 밀대(400)를 이용하여 다수회 반복할 때 기포가 쉽게 제거된다. 또한, 스토퍼(410)가 가이드벽(300)에 맞물리므로 가압력이 제한되어 적정한 가압력으로 가압되며 액정 보호부재(20)의 파손의 염려가 없다.(도 12 참조)
액정화면에 안착된 액정 보호부재(20)의 점착 및 기포제거가 완료되면, 밀대(400)로 액정 보호부재(20)를 문지르면서 가이드벽(300)을 따라 거치부(200) 측으로 이동시킨다. 밀대(400)에 의해 거치부(200)에 거치된 액정 보호부재(20)가 가압되면 상벽(130)의 요철부분이 미세하게 신장됨으로써 안착부(S)의 폭이 미세하게 늘어나며, 이로 인해 거치부(200)에 거치된 액정 보호부재(20)가 액정화면으로 낙하된다.(도 13 참조)
액정 보호부재(20) 전체가 액정화면에 낙하되면, 점착이 되지 않은 부분을 밀대(400)로 가이드벽(300)을 따라 문지르는 과정을 반복하여 기포제거 및 점착이 완료된다.(도 1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액정화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를 액정화면에 점착한 뒤 나머지 영역을 점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머지 부분도 액정화면에 안착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하게 점착할 수 있으며, 액정보호필름에 가해지는 힘이 제한되도록 함으로써 액정보호필름의 파손이 방지되는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0, 2000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3000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100 : 베이스부 110 : 측벽
120 : 하벽 130, 530 : 상벽
140 : 요철 200, 600, 600` : 거치부
300 : 가이드벽 400 : 밀대
10 : 휴대 단말기기 20 : 액정 보호부재
3000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100 : 베이스부 110 : 측벽
120 : 하벽 130, 530 : 상벽
140 : 요철 200, 600, 600` : 거치부
300 : 가이드벽 400 : 밀대
10 : 휴대 단말기기 20 : 액정 보호부재
Claims (7)
-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한 쌍의 측벽과,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기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도록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상벽에는 상기 액정 보호부재의 일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은,
제1상벽과, 상기 제1상벽과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면에 상기 거치부가 형성되는 제2상벽을 포함하고,
상기 액정 보호부재를 상방에서 가압시, 상기 거치부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거치부에 놓여진 상기 액정 보호부재가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는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한 쌍의 측벽과,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기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도록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상벽에는 상기 액정 보호부재의 일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은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상기 측벽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 강화유리 재질의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로서,
한 쌍의 측벽과, 상벽 및 하벽을 포함하여 휴대 단말기기가 놓여지는 안착부를 형성하는 베이스부;
액정 보호부재의 일단부만 상기 휴대 단말기기에 놓여지도록 상기 측벽 또는 상기 상벽에는 상기 액정 보호부재의 일부가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벽은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측벽의 말단 또는 상기 상벽의 말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의 적어도 일부는 요철 형상으로 마련되는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벽의 적어도 일부는 요철 형상으로 마련되는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일단부의 높이와 말단부의 높이가 상이하게 마련되는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하면이 상기 휴대 단말기기의 액정화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밀대;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의 상면에는 가이드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밀대의 측면에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기용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218A KR102006221B1 (ko) | 2019-02-22 | 2019-02-22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1218A KR102006221B1 (ko) | 2019-02-22 | 2019-02-22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6221B1 true KR102006221B1 (ko) | 2019-08-02 |
Family
ID=6761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1218A KR102006221B1 (ko) | 2019-02-22 | 2019-02-22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622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19875A (zh) * | 2022-04-22 | 2022-12-27 | 广东德远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改良型钢化玻璃与液晶玻璃贴合喷涂一体机 |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26369B2 (ja) * | 2004-02-27 | 2009-09-02 | 株式会社アイアンドディ | 基板へのシート貼り付け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治具 |
KR101103436B1 (ko) * | 2011-10-21 | 2012-01-10 | 박재영 | 디스플레이창 보호필름 부착도구 |
KR101135144B1 (ko) | 2011-10-18 | 2012-04-16 | 박광준 |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
JP5845370B1 (ja) * | 2015-06-18 | 2016-01-20 | パナック株式会社 |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 |
KR20170000128U (ko) * | 2015-07-01 | 2017-01-11 | (주)화이트스톤 | 휴대단말기의 액정보호필름 부착케이스 |
KR20170071886A (ko) * | 2015-12-16 | 2017-06-26 | 안효민 | 간편한 액정 필름 부착기기 |
KR101758768B1 (ko) | 2016-02-03 | 2017-07-18 |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부착기 |
JP6279534B2 (ja) * | 2015-11-18 | 2018-02-14 | 株式会社Kalbas |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カバーの貼付治具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カバーの貼り付けキット |
KR101838482B1 (ko) | 2016-09-07 | 2018-03-14 | 김지안 |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터치스크린 보호필름 부착용 지그 세트 및 그 지그 세트를 이용한 곡면형 보호필름 부착방법 |
-
2019
- 2019-02-22 KR KR1020190021218A patent/KR10200622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26369B2 (ja) * | 2004-02-27 | 2009-09-02 | 株式会社アイアンドディ | 基板へのシート貼り付け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治具 |
KR101135144B1 (ko) | 2011-10-18 | 2012-04-16 | 박광준 | 휴대폰용 보호 필름 부착장치 |
KR101103436B1 (ko) * | 2011-10-21 | 2012-01-10 | 박재영 | 디스플레이창 보호필름 부착도구 |
JP5845370B1 (ja) * | 2015-06-18 | 2016-01-20 | パナック株式会社 | 保護フィルム貼付用治具 |
KR20170000128U (ko) * | 2015-07-01 | 2017-01-11 | (주)화이트스톤 | 휴대단말기의 액정보호필름 부착케이스 |
JP6279534B2 (ja) * | 2015-11-18 | 2018-02-14 | 株式会社Kalbas |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カバーの貼付治具およ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用保護カバーの貼り付けキット |
KR20170071886A (ko) * | 2015-12-16 | 2017-06-26 | 안효민 | 간편한 액정 필름 부착기기 |
KR101758768B1 (ko) | 2016-02-03 | 2017-07-18 |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 터치스크린 패널용 보호시트 부착기 |
KR101838482B1 (ko) | 2016-09-07 | 2018-03-14 | 김지안 |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터치스크린 보호필름 부착용 지그 세트 및 그 지그 세트를 이용한 곡면형 보호필름 부착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519875A (zh) * | 2022-04-22 | 2022-12-27 | 广东德远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改良型钢化玻璃与液晶玻璃贴合喷涂一体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86032B2 (en) | Mobile phone screen protector device | |
CN109073926A (zh) | 具有弯曲边缘的无边界显示器 | |
TWI594153B (zh) | 觸控顯示模組 | |
US20100265195A1 (en) |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and display device | |
KR102232424B1 (ko) | 표시모듈 조립용 압착패드 및 표시모듈 조립 방법 | |
KR20130026285A (ko) |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방법 | |
US20140272332A1 (en) | Activated thread curing of liquid adhesives | |
CN101526682A (zh) | 触摸面板、液晶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 |
KR20180032238A (ko) | 보호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CN102929026A (zh) | 一种触控显示装置 | |
KR20150042092A (ko) | 윈도우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 |
US20160274687A1 (en) | Explosion-proof membrane assembly, touch screen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 |
KR20160098692A (ko) |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 가이드지그 | |
KR102006221B1 (ko) |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및 액정 보호부재 점착용 어플리케이터 세트 | |
KR102473856B1 (ko) | 단말기 보호부재 부착용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가이드 지그장치 | |
JP2010224081A (ja) | 表示装置 | |
US9513735B2 (en) | Touch display device with first and second adhesive assemblies | |
CN102999201A (zh) | 触控面板及触控式显示装置 | |
KR20160144625A (ko) | 핸드폰필름부착기 | |
KR20170088262A (ko) | 디스플레이 패널용 커버 글라스 윈도우 구조 | |
TW202003747A (zh) | 保護膜結構及其黏貼方法 | |
KR20140002325A (ko) | 휴대폰 화면보호필름 구조체 | |
WO2015115524A1 (ja) | 電子機器 | |
KR20150082132A (ko) | 액정보호필름 및 그 설치방법 | |
JP3263384B2 (ja) | 表示装置用貼着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