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876B1 -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876B1
KR101645876B1 KR1020150061009A KR20150061009A KR101645876B1 KR 101645876 B1 KR101645876 B1 KR 101645876B1 KR 1020150061009 A KR1020150061009 A KR 1020150061009A KR 20150061009 A KR20150061009 A KR 20150061009A KR 101645876 B1 KR101645876 B1 KR 101645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ray
bolt
clamp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광식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8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클램프만으로 배터리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그만큼 고정력이 떨어져 자동차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배터리가 트레이에서 쉽게 이탈되거나 유동되면서 배터리에 연결된 케이블이 분리되거나 느슨해져 각종 전기회로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측면에 단턱부(110)가 구비된 배터리(100)가 얹혀질 수 있도록 안착면(210)이 형성된 상태에서 엔진룸내의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는 트레이(200); 일측면(310)은 배터리(100)의 단턱부(110)에 밀착되고 중앙에 볼트결합공(321)이 구비된 타측면(320)은 트레이 (200)에 밀착되는 클램프(300); 상단과 하단에 각각 반대방향의 절곡부 (410)(420)를 형성하여 절곡부(410)는 배터리(100)의 상부면(120)에 위치되게 하고, 절곡부(420)는 클램프(300)에 접면되게 하되 절곡부(420)에는 볼트결합공(321)과 상응된 위치에 볼트체결공(421)을 형성하여 볼트체결공(421)과 볼트결합공(321)에 관통되게 볼트(500)를 체결하여 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100)를 이중으로 지지하여 자동차의 충돌 사고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배터리(100)가 트레이(200)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100)에 결합된 케이블이 분리되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 사고 시에도 각종 전기회로에 전원이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하여 2차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배터리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자동차의 충돌 사고 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배터리가 트레이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터리에 연결된 케이블이 분리되거나 느슨해질 우려가 없어 충돌 시에도 전기회로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시동 시 스타트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모든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엔진 운전 시 제네레이터의 출력 부족이나 전압변동을 보상하기위해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장착되는데 상기 배터리는 가솔린 엔진에서는 12V, 대형 디젤 엔진에서는 24V의 납축전지가 사용되며,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는 양,음극 단자가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케이블을 양,음극단자에 연결하여 자동차에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배터리는 통상 20~30Kg 정도의 중량을 갖고 있으며, 배터리에 따라 가운데 부분에는 등 간격으로 배터리액을 보충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된 것도 있으며, 투시창이 있어 색깔로 배터리의 수명 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는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진동이나 충돌 사고 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서도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엔진룸내의 소정위치에 위치한 사이드멤버(도면중 미도시)에 트레이(20)를 설치하고, 그 트레이에 배터리(10)를 장착한 후 클램프(30)를 구비하여 클램프(30)의 일측면은 배터리(10)의 측면 단턱부(11)에 밀착시키고, 타측면은 트레이(20)에 밀착시켜 볼트(40)를 클램프(30)와 트레이(20)에 관통되게 체결하였다.
그러나 종래 고정구조는 클램프(30)의 일측면이 단순히 배터리(10)의 단턱부(11)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주행으로 인한 진동에는 배터리(10)가 유동됨을 방지할 수 있으나 자동차의 충돌 사고 시 발생되는 충격력은 제대로 상쇄시키지 못하여 배터리(10)가 트레이(20)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면서 배터리(10)에 연결된 케이블(도면중 미도시)이 쉽게 분리되거나 느슨해져 자동차내의 각종 전기회로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자동차의 충돌 사고 시에도 비상등이 점멸되어야 다른 자동차에게 긴급한 상황임을 알릴 수 있는 것이고, 특히, 야간에는 비상등과 함께 미등도 점등되어야 만이 제2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자동차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배터리가 트레이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터리 측면에 단턱부가 구비된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있어서, 배터리가 얹혀지는 안착면 양단에 볼트공이 구비되고, 엔진룸 내의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는 트레이; 일측면은 배터리의 단턱부에 밀착되고 중앙에 볼트결합공이 구비된 타측면은 트레이에 밀착되는 클램프; 상단은 배터리의 상면에 위치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절곡부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클램프 위에 접면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절곡부 중앙에 트레이의 볼트공과 일치되는 볼트결합공에 대응되어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 트레이의 볼트공과 볼트체결공 및 볼트결합공에 관통되어 트레이와 클램프 및 브라켓을 체결하여 주는 볼트;로 구성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고정력이 강화되어 자동차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배터리가 트레이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배터리에 연결된 케이블이 분리되거나 느슨해질 우려가 없어 충돌 시에도 전기회로에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비상등을 점멸시키거나 미등을 점등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제2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배터리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고정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측면도.
도 4 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서 브라켓과 클램프만을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6 은 도 5의 결합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클램프 대용 배터리누름부가 형성된 브라켓을 에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고정구조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측면도이며, 도 4 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서 브라켓과 클램프만을 예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6 은 도 5의 결합사시도이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클램프가 일체로 형성된 브라켓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키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클램프 대용 배터리누름부가 형성된 브라켓을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배터리(100) 측면에 단턱부(110)가 구비된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있어서, 배터리(100)가 얹혀지는 안착면(210) 양단에 볼트공이 구비되고, 엔진룸 내의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는 트레이(200); 일측면(310)은 배터리(100)의 단턱부(110)에 밀착되고 중앙에 볼트결합공(321)이 구비된 타측면(320)은 트레이(200)에 밀착되는 클램프(300); 상단은 배터리(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절곡부(4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절곡부(410)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클램프(300)위에 접면되는 절곡부(420)가 형성되며, 절곡부(420) 중앙에 트레이(200)의 볼트공과 일치되는 볼트결합공(321)에 대응되어 볼트체결공(421)이 형성된 브라켓(400); 트레이(200)의 볼트공과 볼트체결공(421) 및 볼트결합공(321)에 관통되어 트레이(200)와 클램프(300) 및 브라켓(400)을 체결하여 주는 볼트(5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엔진룸 내에 트레이(200)를 설치하고, 그 트레이(200)의 상면에 스터트 모터나 각종 전기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0)를 설치한 후 배터리(10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특징은 배터리(100)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자동차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에 의해 배터리(100)가 트레이(200)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배터리(100)에 결합된 케이블(도면중 미도시)이 풀어지거나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충돌로 인한 사고 시에도 각종 전기회로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우선 사이드멤버(도면중 미도시)에 고정된 트레이(200)의 안착면(210)에 배터리(100)를 얹혀놓은 상태에서 클램프(300)의 일측면(310)은 배터리(100)의 단턱부(110)에 밀착되게 하고, 타측면(320)은 트레이(200)에 밀착되게 한다.
이후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절곡부(410)(420)가 형성된 브라켓(400)을 설치하는데 상기 브라켓(400)의 절곡부(410)는 배터리(100)의 상부면(120)에 위치되게 하고, 절곡부(420)는 클램프(300)의 타측면(320)의 상면에 밀착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400)의 절곡부(420)에는 볼트체결공(421)이 형성되고, 클램프(300)에는 볼트결합공(32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곡부(420)를 클램프(300)에 밀착 시 볼트체결공(421)과 볼트결합공(321)이 서로 일치되게 한다.
이후 볼트(500)를 볼트체결공(421)과 볼트결합공(321)에 관통되게 체결하여 주면 즉, 브라켓(400)의 절곡부(420)가 클램프(300)의 타측면(320)을 눌러줌과 동시에 절곡부(420)의 후면이 클램프(300)의 일측면(310)을 지지함에 따라 클램프 (300)가 배터리(1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브라켓(400)의 절곡부(410)가 배터리(100)의 상부면(120)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충돌 사고로 인한 충격력에 배터리(100)가 상향으로 튀어 올라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브라켓(400)의 절곡부(410)로 인해 배터리(100)가 상방향으로 튀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고, 절곡부(420)로는 배터리(100)의 단턱부(110)에접면된 클램프(300)의 일측면(310)을 강하게 지지하여 자동차의 충돌로 인한 충격력에도 배터리(100)가 트레이(200)에서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아 배터리(100)에 결합된 케이블이 분리되거나 느슨해질 우려가 없음에 따라 자동차의 충돌 사고 임에도 불구하고 각종 전기회로에 전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2차적인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클램프(300)에 다수의 비드(330)를 형성하여 클램프(300)의 강도를 향상시켜 충격력에 의해 클램프(300)가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300)와 브라켓(400)은 각각 제작하여 작업라인에 공급하거나 일체로 제작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브라켓(400)과 클램프(300)를 각각 제작한 후 공급하면 작업자가 클램프(300)의 일측면(310)과 타측면(320)을 각각 배터리(100)와 트레이(20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브라켓(400)을 설치하는 작업을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도 6에서와 같이 클램프(300)와 브라켓(40))을 용접작업을 통하여 일체로 결합한 상태에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7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브라켓(400)의 절곡부(420)의 양측에 클램프(300)를 일체로 형성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작업자가 보다 편리하게 배터리(100)의 고정작업을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도 8 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터리(100) 측면에 단턱부(110)가 구비된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있어서, 배터리(100)가 얹혀지는 안착면(210) 양단에 볼트공이 구비되고, 엔진룸 내의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는 트레이(200); 상단은 배터리(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절곡부(4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트레이(200)의 볼트공과 일치되는 볼트체결공(421)이 구비된 상태로 절곡부(410)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트레이(200) 위에 접면되는 절곡부(420)가 형성되며, 절곡부(420) 양단에 배터리(100)의 단턱부(110)를 눌러 지지해주는 배터리누름부(422)가 일체로 구비된 브라켓(400);트레이(200)의 볼트공과 볼트체결공(421)에 관통되어 트레이(200)와 브라켓(400)을 체결하여주는 볼트(500);로 구성된 것이다.
즉, 브라켓(400)의 하단 절곡부(420) 양단에 배터리누름부(422)를 일체로 구비하여 배터리누름부(422)로 하여금 배터리(100)의 단턱부(110)를 눌러 지지되게 하는 것으로 이는 브라켓(400)이 클램프(300)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으므로서 클램프(300)를 삭제할 수 있어 부품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배터리 110 : 단턱부
120 : 상부면 200 : 트레이
210 : 안착면 300 : 클램프
310: 일측면 320 : 타측면
321 : 볼트결합공 330 : 비드
400: 브라켓 410,420 : 절곡부
421 : 볼트체결공 422 : 배터리누름부
500 : 볼트

Claims (4)

  1. 배터리(100) 측면에 단턱부(110)가 구비된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있어서,
    배터리(100)가 얹혀지는 안착면(210) 양단에 볼트공이 구비되고, 엔진룸 내의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는 트레이(200);
    일측면(310)은 배터리(100)의 단턱부(110)에 밀착되고 중앙에 볼트결합공(321)이 구비된 타측면(320)은 트레이(200)에 밀착되는 클램프(300);
    상단은 배터리(10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절곡부(4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절곡부(410)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클램프(300)위에 접면되는 절곡부(420)가 형성되며, 절곡부(420) 중앙에 트레이(200)의 볼트공과 일치되는 볼트결합공(321)에 대응되어 볼트체결공(421)이 형성된 브라켓(400);
    트레이(200)의 볼트공과 볼트체결공(421) 및 볼트결합공(321)에 관통되어 트레이(200)와 클램프(300) 및 브라켓(400)을 체결하여 주는 볼트(5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0)는 브라켓(400)에 일체로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0)의 내측면에는 강성보강용 비드(330)를 다수 형성하여 클램프(300)의 강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4. 배터리(100) 측면에 단턱부(110)가 구비된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에 있어서,
    배터리(100)가 얹혀지는 안착면(210) 양단에 볼트공이 구비되고, 엔진룸 내의 사이드멤버에 고정되는 트레이(200);
    상단은 배터리(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절곡부(410)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트레이(200)의 볼트공과 일치되는 볼트체결공(421)이 구비된 상태로 절곡부(410)와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트레이(200) 위에 접면되는 절곡부(420)가 형성되며, 절곡부(420) 양단에 배터리(100)의 단턱부(110)를 눌러 지지해주는 배터리누름부(422)가 일체로 구비된 브라켓(400);
    트레이(200)의 볼트공과 볼트체결공(421)에 관통되어 트레이(200)와 브라켓(400)을 체결하여주는 볼트(500);
    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KR1020150061009A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KR101645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09A KR101645876B1 (ko)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09A KR101645876B1 (ko)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876B1 true KR101645876B1 (ko) 2016-08-16

Family

ID=5685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009A KR101645876B1 (ko) 2015-04-30 2015-04-30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6593A (zh) * 2020-08-25 2020-12-15 宏多(苏州)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汽车蓄电池的支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112U (ko) * 1994-10-25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장치
JP2008114735A (ja) * 2006-11-06 2008-05-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テリ支持構造
JP2009509864A (ja) * 2005-10-05 2009-03-12 アー ライモント エ カンパニュイ バッテリ取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112U (ko) * 1994-10-25 1996-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장치
JP2009509864A (ja) * 2005-10-05 2009-03-12 アー ライモント エ カンパニュイ バッテリ取付け装置
JP2008114735A (ja) * 2006-11-06 2008-05-22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バッテリ支持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6593A (zh) * 2020-08-25 2020-12-15 宏多(苏州)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汽车蓄电池的支撑装置
CN112086593B (zh) * 2020-08-25 2022-09-09 福建研宇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固定的汽车蓄电池的支撑装置
CN115117545A (zh) * 2020-08-25 2022-09-27 宏多(苏州)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蓄电池的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495B2 (en) Vehicle apparatus attaching structure
KR101428276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US9944161B2 (en) Vehicle rear portion structure
CN212125302U (zh) 机动车辆
CN113661083B (zh) 用于安装车辆的牵引电池的系统和方法
KR20170004028U (ko) 전기트럭용 배터리 팩 장착 구조
KR101645876B1 (ko) 자동차용 배터리 고정구조
US11285794B2 (en) Vehicle
JP2014000952A (ja) 自動車のボディシェルにバッテリモジュールを固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
JP2005093299A (ja) バッテリの取付構造
KR102033722B1 (ko)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JP5464731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および電気接続箱
CN111164006B (zh) 混合动力车辆
KR20190079989A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구조
KR20110051626A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마운팅 브라켓 조립체
CN112319199A (zh) 用于汽车的高压电池托架
KR100325358B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CN218661730U (zh) 安全带安装装置及车辆
KR101807135B1 (ko) 리어플로어 조립체
KR100325360B1 (ko) 자동차용 밧데리 고정구조
KR100852981B1 (ko) 자동차 주차브레이크 케이블 고정장치
CN204567510U (zh) 用于固定车辆模块的集成支架和车辆
CN220447828U (zh) 保险杠加强支架及车辆
CN217864521U (zh) 摩托车
CN219601171U (zh) 一种逆变电源的安装支架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