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921B1 -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921B1
KR101644921B1 KR1020160012558A KR20160012558A KR101644921B1 KR 101644921 B1 KR101644921 B1 KR 101644921B1 KR 1020160012558 A KR1020160012558 A KR 1020160012558A KR 20160012558 A KR20160012558 A KR 20160012558A KR 101644921 B1 KR101644921 B1 KR 10164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ouse
bolt
container
fixing
shap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식
윤영민
Original Assignee
빌드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드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빌드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2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07Elements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a)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에서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와 연동될 부분의 벽체(11)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b)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벽체 내측(13)에 보강프레임(15,25)을 설치하는 단계와 c)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17,27)를 접합 고정하는 단계와 d)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보강프레임(15,25)을 접합 고정하는 단계와 e)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지붕면 연결부(61)에 가스켓(63)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두 컨테이너 하우스의 연결부에 구조보강 및 수밀, 기밀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안락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S OF JOINING TWO OR MORE CONTAINER HOUSES ALONG THEIR LONG SIDES}
본 발명은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연결하여 사용자들에게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하되 구조적 안정성과 안락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 하우스는 현장관리 사무실이나 농장 등의 임시거처, 창고 등으로 주로 사용된다. 최근 들어 컨테이너 하우스는 농가주택이나 주말주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며, 컨테이너 하우스를 이어 붙인 연동형으로 하여 주방이나 거실 등의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후, 원하는 곳에 설치할 수 있는 기성품화 된 일종의 가건물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하우스는 종래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해 제작하던 가건물과는 다른 것으로 종래 건축물에 비해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이 완료된 곳에서 다른 사용처로 이동시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컨테이너 하우스는 공장에서 완제품으로 제작된 후 화물차를 통해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되므로 크기에 제한이 따른다. 즉, 통상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폭이 3~4m 정도로 제한되고 길이는 10~12m 정도까지만 제작 가능하다.
따라서, 컨테이너 하우스는 다수의 인원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설치 현장에서 연동형으로 조립하여 사용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이어 붙인 연동형으로 설치하여 사용자들에게 더 넓은 공간을 제공하되 두 컨테이너 하우스의 연결부에 구조보강 및 수밀, 기밀 구조를 적용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안락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a)제1 컨테이너 하우스에서 제2 컨테이너 하우스와 연동될 부분의 벽체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b)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벽체 내측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c)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를 접합 고정하는 단계와 d)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하는 단계와 e)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지붕면 연결부에 가스켓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상기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벽체 양 측면 내측과 상부측을 둘러 설치된다.
c) 단계는,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면 각 레일부에 개구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각각 C-찬넬을 용접하는 과정과, 상기 C-찬넬의 개구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홀이 형성된 고정찬넬을 상기 두 C-찬넬을 감싸 연결하도록 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찬넬의 볼트홀에 고정볼트를 체결하고 고정너트로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찬넬과 상기 고정너트 사이에 와셔가 배치된다.
d) 단계는,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보강프레임에 각각 볼트홀 가공한 제1 L형 앵글과 제2 L형 앵글을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하는 과정과, 현장 시공시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보강프레임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L형 앵글과 제2 L형 앵글의 볼트홀에 볼트를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두 보강프레임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L형 앵글은 일측이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의 상부측 옆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L형 앵글은 일측이 상기 제2 컨테이너 하우스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의 상부측 옆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두 보강프레임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연장되어 상기 제1 L형 앵글과 겹쳐지며, 상기 제2 L형 앵글과 상기 제1 L형 앵글이 겹쳐진 부분은 체결볼트로 고정된다.
상기 e)단계는 상기 가스켓 설치 후, 상기 가스켓 설치라인을 따라 커버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단은 실리콘으로 실링하여 누수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다.
제1 컨테이너 하우스에서 제2 컨테이너 하우스와 연동될 부분의 각 절단된 벽체 내측에 설치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두 레일부를 접합 고정하는 C-찬넬 및 고정볼트와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두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하는 L형 앵글 및 체결볼트와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지붕면 연결부에 설치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시공된다.
상기 가스켓 설치라인을 따라 상기 가스켓을 상부를 감싸는 커버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단과 지붕면 사이는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된다.
본 발명은 완제품으로 제작된 컨테이너 하우스를 현장에서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어어 붙여 연동형으로 사용하되, 연결부의 상하부 구조보강 및 가스켓을 이용한 수밀, 기밀 구조를 유지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안락한 주거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현장 용접을 최소화함으로써 용접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하우스 간 연동시에 용접이 아닌 볼트와 찬넬, 앵글 등을 최대로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설치 후 이동하여 재설치가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연동될 부분 및 연동될 부분의 벽체를 절단하여 제거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벽체 내측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면 레일부에 C-찬넬을 용접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두 레일부를 접합 고정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두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두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하는 과정(a)(b)과, 두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하기 위한 제1 L형 앵글(c)와 제2 L형 앵글(d) 및 두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제1 L형 앵글(e)와 제2 L형 앵글(f)을 보인 도면.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의한 보강프레임에 가공한 볼트홀 형상(a)과 이를 적용한 두 보강프레임의 접합 고정 방법(b) 및 다른 실시예를 적용한 두 보강프레임의 접합 고정 방법(c)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지붕면 연결부를 보인 도면.
도 9은 도 8의 지붕면 연결부에 가스켓 및 커버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일 실시예의 도면.
도 10는 도 8의 지붕면 연결부에 가스켓 및 커버프레임을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다른 실시예의 도면.
도 11은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BSR,Bottom Side Rail) 구조계산 결과표.
도 12는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를 본 발명의 C-찬넬 및 고정찬넬로 접합 고정 후 측정한 구조계산 결과표.
도 13은 절단된 벽체 내측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하지 않아 지붕면 과대 처짐이 발생한 도면.
도 14는 횡비틀림 좌굴 현상을 설명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은, 두 개의 컨테이너 하우스를 설치현장에서 연동형으로 조립 설치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연동형으로 설치하는 두 개의 컨테이너 하우스는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은, a)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에서 연동될 부분의 벽체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b)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벽체 내측(13)에 보강프레임(15,25)을 설치하는 단계와, c)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17,27)를 접합 고정하는 단계와, d)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보강프레임(15,25)을 접합 고정하는 단계와, e)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지붕면 연결부(61)에 가스켓(63)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단계에서, 연동될 부분의 벽체(11,21)는 측벽(side wall)이 해당한다. 각 측벽(11,21)은 하부 프레임을 제외한 상부 프레임과 각 측면 프레임에 바로 붙여서 제거하지 않고 양측면과 상부측 측벽(11,21) 일부를 남기고 절개할 수 있다. 이는 벽체의 절단 작업을 쉽고 빠르게 수행하고, 후술할 보강프레임(15,25)의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 프레임은 컨테이너 하우스의 바닥면이 해당하고, 상부프레임은 지붕면에 해당하며, 측면 프레임은 연동될 부분의 측벽(11,21)과 이웃한 측벽을 형성하는 프레임이 해당한다. 측벽 절개시 연동될 부분의 측벽(11,21)은 대칭구조로 구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단계에서, 보강프레임(15,25)은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벽체 양 측면 내측(13a,13b)과 상부측(13c)을 둘러 설치된다. 보강프레임(15,25)은 벽체가 제거된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주골조 프레임의 구조를 보강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절단된 벽체 내측(13)에 보강프레임(15)을 설치하지 않으면 지붕면 과대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도 13 참조)
보강프레임(15)은 절단된 벽체 내측(13)에 용접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보강프레임(15)은 용접이 용이하도록 컨테이너 하우스와 동일한 재질 또는 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된 부분에 지붕면 과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보강기둥(2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보강기둥(26)은 설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단계는, 보강 프레임(15)이 설치되지 않은 하측변 레일부(17)를 접합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벽체 제거 후 하측변 레일부(17)를 접합 고정하지 않으면 활하중에 의한 횡비틀림 좌굴 현상이 나타난다.
횡비틀림 좌굴은 빔 상부에 압축하중이 작용하면 약축 방향으로 휘고 비틀림을 수반하는 현상을 의미하며(도 14 참조), 횡비틀림 좌굴이 발생하면 구조물이 변형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단계는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하측변 각 레일부(17,27)에 개구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각각 C-찬넬(31,33)을 용접하는 과정과, C-찬넬(31,33)의 개구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홀(34a,34b)이 형성된 고정찬넬(34)을 두 C-찬넬(31,33)을 감싸 연결하도록 배치하는 과정과, 고정찬넬(34)의 볼트홀(34a,34b)에 고정볼트(36,37)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고정찬넬(34)은 C-찬넬(31,33) 2개를 감쌀 수 있는 크기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C-찬넬(31,33)은 C자형 형강일 수 있고, 고정찬넬(34)은 ㄷ자형 형강일 수 있다.
고정볼트(36,37)는 각 머리부(36a,37a)가 C-찬넬(31,33)의 개부된 부분에 걸여져 고정되고 볼트부(36b,37b)가 고정찬넬(34)의 볼트홀(34a,34b)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며, 돌출된 부분에 고정너트(38,39)를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고정찬넬(34)과 고정너트(38,39) 사이에 와셔(41,42)가 배치되어 강한 조임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두 C-찬넬(31,33) 사이 빈공간에는 탄성블럭(43)을 배치하여 고정력을 높일 수 있다.
탄성블럭(43)은 두 C-찬넬(31,33) 사이 빈공간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탄성블럭(43)은 고무재질로 구성되어 컨테이너 하우스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습기 또는 결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17,27)의 접합 고정은 A1(처음), A2(중간), A3(끝)의 3곳에 실시할 수 있다. 이는 하중 분산 효과를 위한 것이다.
d) 단계는,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보강프레임(15,25)을 접합 고정하는 단계이다.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보강프레임(15,25)은 L형 앵글(50)을 이용하여 접합 고정하며, 하중 분산 효과를 위해 B1(처음), B2(중간), B3(끝)의 3곳에 실시할 수 있다. L형 앵글(50)은 제1 L형 앵글(51)과 제2 L형 앵글(53)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단계는,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보강프레임(15,25)에 각각 볼트홀(51a,53a,53b) 가공한 제1 L형 앵글(51)과 제2 L형 앵글(53)을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하는 과정과, 현장 시공시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보강프레임(15,25)이 접한 상태에서 상호 접한 제1 L형 앵글(51)과 제2 L형 앵글(53)의 볼트홀(51a,53a)에 체결볼트(55)를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제1 L형 앵글(51)과 제2 L형 앵글(53)은 L형 형상을 가지는 것은 동일하고 크기에 차이가 있으며, 제1 L형 앵글(51)과 제2 L형 앵글(53)이 함께 조립되어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두 보강프레임(15,25)을 접합 고정한다.
두 보강프레임(15,25)이 접한 상태에서, 제1 L형 앵글(51)은 일측이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15)의 상부측 옆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강프레임(15)의 상부면에서 보강프레임(15)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형 앵글(51)은 연장된 부분에 볼트홀(51a)이 형성된다.
제2 L형 앵글(53)(53')은 일측이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25)의 상부측 옆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은 두 보강프레임(15,25)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제l L형 앵글(51)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L형 앵글(51)과 겹쳐지게 설치된다. 제2 L형 앵글(53)은 제1 L형 앵글(51)의 볼트홀(51a)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홀(53a)이 형성된다.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L형 앵글(53)은 보강프레임(25)의 상부측 옆면에 용접되는 부분에 볼트 체결을 위한 볼트홀(53b)이 형성된다. 볼트는 체결볼트(57)이다. 볼트홀(53b)에는 체결볼트(57)가 체결되어 제2 L형 앵글(53)을 보강프레임(15,25)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는 두 보강프레임(15,25)이 접한 상태를 제2 L형 앵글(53)과 제1 L형 앵글(51)이 두 보강프레임(15,25)을 양측에서 잡아주고, 두 체결볼트(55,57)가 제2 L형 앵글(53)과 제1 L형 앵글(51)을 고정하여 두 보강프레임(15,25)의 접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프레임(25)에 체결볼트(57)를 체결하기 위한 볼트홀(25a)이 형성된다.
볼트홀(25a)은 원 형상의 홀과 원 형상의 홀과 연통되며 원 형상의 홀에 비해 간격이 좁은 장공 형상의 홀을 포함한다. 원 형상의 홀을 통해 체결볼트(57)의 머리부가 삽입되고 머리부가 장공 형상의 홀로 이동된 후 내측에서 걸어진다.
제2 L형 앵글(53)은 체결볼트(57)의 머리부가 보강프레임(25)의 볼트홀(25a) 내측에 걸어진 상태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부를 제2 L형 앵글(53)의 볼트홀(53b)이 관통하도록 보강프레임(25)에 설치한다. 다음으로, 제2 L형 앵글(53)의 볼트홀(53b)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부분에 체결너트(58)를 체결한다.
보강프레임(25)에 형성된 볼트홀(25a)의 형상은 보강프레임(25)과 제2 L형 앵글(53)의 조립과 분해 및 재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보강프레임(25)에 형성되는 볼트홀(25a)에서 원 형상의 홀은 체결볼트(57)의 머리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장공 형상의 홀은 체결볼트(57)의 머리부의 직경에 비해 간격이 좁고 볼트부에 비해 간격이 크거나 같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볼트홀(25a)은 제2 L형 앵글(53)이 조립될 위치에 볼트홀(53b)과 대응되게 한 쌍이 형성되며, 장공 형상의 홀 사이 간격은 제2 L형 앵글(53)에 형성된 볼트홀(53b) 간격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L형 앵글(53)이 보강프레임(25)에 체결되는 방식은 용접방식과 볼트홀(25a)을 이용한 볼트체결의 방식 중 하나 또는 두 가지를 혼용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L형 앵글(53)이 보강프레임(25)에 체결되는 방식은 볼트홀(25a)을 이용한 체결볼트(57)의 체결 방식을 적용하고, 제1 L형 앵글(51)이 보강프레임(15)에 체결되는 방식은 용접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L형 앵글(53')이 보강프레임(25)에 체결되는 방식은 용접방식을 적용하고, 제1 L형 앵글(51')이 보강프레임(15)에 체결되는 방식은 볼트홀(51b)을 이용한 볼트(59)체결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제1 L형 앵글(51')이 보강프레임(15)에 볼트홀(51b)을 이용한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될 때, 볼트체결 방식은 도 7의 (a)에 도시된 볼트체결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볼트 체결 방식을 적용할 경우, 도 6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형 앵글(51)은 볼트홀(51a)가 형성되고 제2 L형 앵글(53)은 볼트홀(53a,53b)가 구비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c)에 도시된 볼트 체결 방식을 적용할 경우, 도 6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L형 앵글(51')은 볼트홀(51b)가 추가되고 제2 L형 앵글(53')은 기존의 볼트홀(53b)가 제거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e) 단계는,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지붕면 연결부(61)에 가스켓(63)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63)은 지붕면 연결부(61)에 해당하는 A 부분에 설치한다.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연동시에 지붕면 연결부(61)를 따라 갭(gap)이 생기며, 이 갭 라인을 따라 가스켓(63)을 설치함으로써 기밀 및 수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63) 설치 후, 가스켓(63) 설치라인을 따라 커버프레임(65)을 배치하고 커버프레임(65)의 하단은 실리콘(67)으로 실링하여 누수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커버프레임(65)은 누수와 공기의 유입을 2중으로 차단하기 위해 설치된다.
커버프레임(65)은 가스켓(63)의 양단을 따라 설치되고 하단이 지지볼트(68)에 의해 지붕면에 고정되며 상부가 개방된 제1커버프레임(65a)과 제1커버프레임(65a)의 상부를 차폐하도록 된 제2커버프레임(65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프레임(65)이 제1커버프레임(65a)과 제2커버프레임(65b)의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은 조립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프레임(65b)은 제1커버프레임(65a)에 압입 끼움식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커버프레임(65c)이 제1커버프레임(65a)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된 후 고정볼트(69)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상술한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에 의해 설치된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는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에서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와 연동될 부분의 벽체를 절단하여 연동시키되, 각 절단된 벽체 내측(13)에 보강프레임(15,25)을 설치하여 지붕면 과대 처짐 발생을 방지한다.
또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절단된 하측변 두 레일부(17,27)를 C-찬넬(31,33)과 고정찬넬(34) 및 볼트로 접합 고정하여 활하중에 의한 횡비틀림 좌굴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상부측 두 보강프레임(15,25)을 L형 앵글(50)과 체결볼트(55,57)로 접합 고정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제1 컨테이너 하우스(10)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20)의 지붕면 연결부(61)에 가스켓(63)을 설치하고 가스켓(63) 라인을 따라 커버프레임(65)을 설치하여 지붕면 연결부를 통한 누수와 공기의 유입이 2중으로 차단되게 한다.
상술한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은 현장 용접을 최소화함으로써 용접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하우스 간 연동시에 용접이 아닌 볼트와 찬넬, 앵글 등 이용하여 조립함으로써 설치 후 이동하여 재설치가 용이하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벽체가 제거된 주골조 프레임의 구조 보강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1에는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BSR,Bottom Side Rail) 구조계산 결과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2에는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를 본 발명의 C-찬넬 및 고정찬넬로 접합 고정 후 측정한 구조계산 결과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를 접합 고정하지 않은 상태와 접합 고정한 상태를 비교한 결과, 접합 고정한 상태에서 하중 모멘트가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하중 분산 효과로 최대 모멘트가 낮아진 것으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제1 컨테이너 하우스 20: 제2 컨테이너 하우스
11,21: 연동될 부분의 벽체(측벽) 13,23: 절단된 벽체 내측
13a,13b: 양 측면 내측 13c: 상부측
15,25: 보강프레임 26: 보강기둥
17,27: 하측변 레일부 31,33: C-찬넬
34: 고정찬넬 25a,34a,34b: 볼트홀
36,37: 고정볼트 36a,37a: 머리부
36b,37b: 볼트부 38,39: 고정너트
41,42: 와셔 43: 탄성블럭
50: L형 앵글 51,51': 제1 L형 앵글
51a,51b: 볼트홀 53,53': 제2 L형 앵글
53a,53b: 볼트홀 55,57: 체결볼트
61: 지붕면 연결부 63: 가스켓
65: 커버프레임 65a: 제1커버프레임
65b,65c: 제2커버프레임 67: 실리콘
68: 지지볼트 69: 고정볼트

Claims (11)

  1. a)제1 컨테이너 하우스에서 제2 컨테이너 하우스와 연동될 부분의 벽체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단계;
    b)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벽체 내측에 보강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c)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레일부를 접합 고정하는 단계;
    d)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하는 단계; 및
    e)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지붕면 연결부에 가스켓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은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벽체 양 측면 내측과 상부측을 둘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어 하우스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면 각 레일부에 개구된 부분이 상부를 향하도록 각각 C-찬넬을 용접하는 과정과,
    상기 C-찬넬의 개구된 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홀이 형성된 고정찬넬을 상기 두 C-찬넬을 감싸 연결하도록 배치하는 과정과,
    상기 고정찬넬의 볼트홀에 고정볼트를 체결하고 고정너트로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찬넬과 상기 고정너트 사이에 와셔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d) 단계는,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보강프레임에 각각 볼트홀 가공한 제1 L형 앵글과 제2 L형 앵글을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하는 과정과,
    현장 시공시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보강프레임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L형 앵글과 제2 L형 앵글의 볼트홀에 체결볼트 와 체결너트로 체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두 보강프레임이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L형 앵글은 일측이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의 상부측 옆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상부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L형 앵글은 일측이 상기 제2 컨테이너 하우스에 고정되는 보강프레임의 상부측 옆면에 용접 또는 볼트로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두 보강프레임의 상부면에 접하면서 연장되어 상기 제1 L형 앵글과 겹쳐지며,
    상기 제2 L형 앵글과 상기 제1 L형 앵글이 겹쳐진 부분은 체결볼트 및 체결너트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L형 앵글과 상기 보강프레임은,
    머리부가 상기 보강프레임에 형성되는 볼트홀 내측에 걸어지고 볼트부가 상기 보강프레임의 볼트홀 및 상기 제2 L형 앵글의 볼트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는 체결볼트에 체결너트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의 볼트홀은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삽입되는 원 형상의 홀과 상기 원 형상의 홀과 연통되며 원 형상의 홀에 비해 간격이 좁아 상기 체결볼트의 머리부가 걸어질 수 있는 장공 형상의 홀을 포함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통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e)단계는
    상기 가스켓 설치 후, 상기 가스켓 설치라인을 따라 커버프레임을 배치하고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단은 실리콘으로 실링하여 누수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시공방법.
  10. 제1 컨테이너 하우스에서 제2 컨테이너 하우스와 연동될 부분의 각 절단된 벽체 내측에 설치하는 보강프레임;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절단된 하측변 두 레일부를 접합 고정하는 C-찬넬 및 고정볼트;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상부측 두 보강프레임을 접합 고정하는 L형 앵글 및 체결볼트; 및
    상기 제1 컨테이너 하우스와 제2 컨테이너 하우스의 지붕면 연결부에 설치하는 가스켓을 포함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 설치라인을 따라 상기 가스켓을 상부를 감싸는 커버프레임이 배치되며, 상기 커버프레임의 하단과 지붕면 사이는 실리콘으로 실링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KR1020160012558A 2016-02-01 2016-02-01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KR10164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58A KR101644921B1 (ko) 2016-02-01 2016-02-01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58A KR101644921B1 (ko) 2016-02-01 2016-02-01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921B1 true KR101644921B1 (ko) 2016-08-03

Family

ID=5670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558A KR101644921B1 (ko) 2016-02-01 2016-02-01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921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796A (zh) * 2017-06-07 2017-10-20 杭州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折叠式移动房屋
KR20190026104A (ko) * 2017-09-04 2019-03-13 김유빈 컨테이너 하우스
KR101961624B1 (ko) 2018-11-30 2019-03-25 주식회사 탑컨테이너 연동형 컨테이너 연결 구조
CN109629856A (zh) * 2018-08-08 2019-04-16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采用封闭式走廊的集装箱房屋及其安装方法
KR20200038213A (ko) 2020-03-31 2020-04-10 임춘만 아파트 베란다와 거실천장에 설치된것이 물체를 돌출할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
KR102099018B1 (ko) 2018-10-11 2020-05-26 (주)디에스텍 건축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시공 방법
DE102019113845A1 (de) * 2019-05-23 2020-11-26 Schuler Fahrzeugbau GmbH Modulares Container-Raumsystem, Container-Basismodul und Container-Aufbaumodul
WO2022061458A1 (en) * 2020-09-22 2022-03-31 Fero International Ip Inc. Compound structures with scalable interior room sizes using modular units to form mobile, semi-permanent and permanent structures
CN115009710A (zh) * 2022-06-01 2022-09-06 上海寰宇物流科技有限公司 集装箱加强门框
CN115354753A (zh) * 2022-09-07 2022-11-1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隔墙连接件、装配式集装箱房屋及装配方法
KR200497973Y1 (ko) * 2022-12-08 2024-05-03 송수양 조립식 컨테이너 건축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31U (ko) * 1987-12-18 1989-08-08 주식회사 대진건업 조립식 하우스의 연결 조인트
JP2002129666A (ja) * 2000-10-20 2002-05-09 Sankyo Frontier Co Ltd 連棟型ユニットハウスの連結部における止水方法及び止水構造
JP2004257115A (ja) * 2003-02-26 2004-09-16 Fuj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ハウスの連棟構造
KR101471039B1 (ko) * 2013-10-16 2014-12-09 엽성식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3431U (ko) * 1987-12-18 1989-08-08 주식회사 대진건업 조립식 하우스의 연결 조인트
JP2002129666A (ja) * 2000-10-20 2002-05-09 Sankyo Frontier Co Ltd 連棟型ユニットハウスの連結部における止水方法及び止水構造
JP2004257115A (ja) * 2003-02-26 2004-09-16 Fuji Heavy Ind Ltd コンテナハウスの連棟構造
KR101471039B1 (ko) * 2013-10-16 2014-12-09 엽성식 컨테이너형 조립식 모듈 주택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796A (zh) * 2017-06-07 2017-10-20 杭州专用汽车有限公司 一种折叠式移动房屋
KR20190026104A (ko) * 2017-09-04 2019-03-13 김유빈 컨테이너 하우스
KR102122395B1 (ko) * 2017-09-04 2020-06-12 김유빈 컨테이너 하우스
CN109629856A (zh) * 2018-08-08 2019-04-16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采用封闭式走廊的集装箱房屋及其安装方法
KR102099018B1 (ko) 2018-10-11 2020-05-26 (주)디에스텍 건축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시공 방법
KR101961624B1 (ko) 2018-11-30 2019-03-25 주식회사 탑컨테이너 연동형 컨테이너 연결 구조
DE102019113845A1 (de) * 2019-05-23 2020-11-26 Schuler Fahrzeugbau GmbH Modulares Container-Raumsystem, Container-Basismodul und Container-Aufbaumodul
KR20200038213A (ko) 2020-03-31 2020-04-10 임춘만 아파트 베란다와 거실천장에 설치된것이 물체를 돌출할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
WO2022061458A1 (en) * 2020-09-22 2022-03-31 Fero International Ip Inc. Compound structures with scalable interior room sizes using modular units to form mobile, semi-permanent and permanent structures
CN115009710A (zh) * 2022-06-01 2022-09-06 上海寰宇物流科技有限公司 集装箱加强门框
CN115354753A (zh) * 2022-09-07 2022-11-18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隔墙连接件、装配式集装箱房屋及装配方法
KR200497973Y1 (ko) * 2022-12-08 2024-05-03 송수양 조립식 컨테이너 건축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921B1 (ko) 연동형 컨테이너 하우스 및 시공방법
JP3782817B1 (ja) スチールハウスの構造形式および構築方法
KR101569480B1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20110088812A (ko) 커튼월 시스템
KR20090081056A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KR101447360B1 (ko) 결합 채널을 이용한 에이엘씨 패널 횡벽 설치방법
KR101827146B1 (ko) 외부보강 조립식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
KR101792193B1 (ko) 하우스 시공방법
US20230304285A1 (en) A curtain wal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KR102099018B1 (ko) 건축 모듈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시공 방법
JP7397723B2 (ja) 建物胴差部構造
JP6609106B2 (ja) 建物ユニットの防水構造
KR20190000117A (ko) 경량철 목구조 모듈러 하우스 체결장치
JP2020051182A (ja) 仮設建物の壁構造
CN109208850B (zh) 复合墙板安装方法及其装配组件
JP6507053B2 (ja) 建物の外壁構造
KR101852541B1 (ko) 강재 메쉬 전단벽
KR102270802B1 (ko) 외장판넬 조립용 체결구
JP2009074246A (ja) バルコニー構造及びバルコニーユニット
KR102247641B1 (ko) 건축물용 바닥 구조체
JP5213942B2 (ja) パネルの固定構造
KR102096099B1 (ko) 커튼 월 프레임 조립구조
JPH09291592A (ja) 柱梁ブレース接続金物
JPH08239908A (ja) H形鋼接合部材、及び、h形鋼建造物
JP4574835B2 (ja) 柱と梁の接合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