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093B1 -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093B1
KR101644093B1 KR1020090115259A KR20090115259A KR101644093B1 KR 101644093 B1 KR101644093 B1 KR 101644093B1 KR 1020090115259 A KR1020090115259 A KR 1020090115259A KR 20090115259 A KR20090115259 A KR 20090115259A KR 101644093 B1 KR101644093 B1 KR 101644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quality
audio signal
audio
quality improvement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453A (ko
Inventor
서재홍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093B1/ko
Priority to US12/859,956 priority patent/US8928821B2/en
Priority to EP10189445.9A priority patent/EP2346241B1/en
Publication of KR2011005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TV 장치가 개시된다. 본 TV 장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음질 개선, OSD, 오디오 신호

Description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TV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thereof}
본 발명은 TV 장치 및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 성능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TV 장치 및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 시장에 있어서, 빠른 기술 발전과 함께 다양한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TV 시장에 있어서도 여러 제조사들이 다양한 유형의 TV를 출시하고 있어, 소비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TV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TV 시장에 있어서 영상 품질(화질), 오디오 품질(음질), 및 디자인 등이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하는데 가장 큰 역할을 한다.
TV의 영상 품질 같은 경우에는, 데모 화면을 통해 화질 개선된 영역과 화질 개선이 되지 않은 영역을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또한, TV의 디자인의 경우도, 외형적으로 드러나는 심미감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하지만, TV의 오디오 품질 같은 경우에는, 오디오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소비자에 오디오를 직접 들려줄 수 있지만, 소비자는 이와 같은 청각적 요소만으로는 오디오 품질이 향상된 점을 인지하는데 다소 부족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디오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TV 장치 및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들을 각 오디오 신호들에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사용자 명령의 입력, 및 방송 신호의 수신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확인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하며,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방송 채널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는, 상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개선 후의 상기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들을 각 오디오 신호들에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사용자 명령의 입력, 및 방송 신호의 수신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확인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방송 신호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방송 채널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 상기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에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 및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파일의 재생과 함께,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은, 상기 TV 장치에 기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TV 장치(100)는 방송 신호 수신부(110), 영상 신호 처리부(120),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 디스플레이부(140), 판단부(150), 제어부(160), 입력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방송 신호 수신부(110)는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및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송신 측, 즉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방송 신호 수신부(110)에서 오디오 신호, 영상 신호, 및 방송 정보로 각각 분리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되는 방송 신호는, 셋톱박스(미도시)에서 이미 신호 처리 과정을 거친 신호일 수도 있다.
영상 신호 처리부(120)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며, 선국(tuning), 복조(demodulation), 등화(equalization),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며, 오디오 프로세서, 앰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프로세서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며, 앰프는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며, 스피커는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오디오 프로세서 및 앰프를 포함하며, 일반 스피커 및 우퍼 스피커와 같은 스피커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와 별도의 구성으로 존재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상술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가 오디오 파일 형태로 변환되어 저장부(180)에 저장되면, 변환된 오디오 파일에 상술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디오 파일은 외부 기기(미 도시)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부(180)에 미리 저장된 오디오 파일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audio quality)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가 재생된 후, 음질 개선이 수행된 오디오 신호가 순차적으로 재생되면,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 개선이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고, 음질 개선 후의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음질 개선이란, 음질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세팅 항목들 중에서 특정 세팅 항목이 적용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일 수 있으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음질이 설정된 것을 나타내는 개념일 수도 있다.
음질 설정 상태는, 음질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다양한 세팅 항목들 중에서 어떠한 세팅 항목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상태이다.
입력부(15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입력부(150)는 TV 장치(100)의 OSD(On Screen Demand) 화면을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40)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판단부(160)는 음질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음질 확인을 위한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사용자 명령의 입력, 및 방송 신호의 수 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반적은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상술한 판단부(160)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80)는 음질 확인을 위한 이벤트 정보, 방송 신호의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음질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된 음질 설정 상태에 대한 정보, 음질 개선이 적용되기 전후의 각각의 오디오 신호, 수신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8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파일 형태로 변환되면, 변환된 오디오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오디오 파일 형태로 샘플 음악 파일을 저장하며, 오디오 파일은 파일 포맷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상술한 샘플 음악 파일 이외의, 동영상 파일 등과 같이 오디오가 출력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도 2는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peaker EQ 최적화, 고음 최적화, 저음 최적화, Woffer 기능 최적화, Loud 기능 강화 등과 같은 다양한 세팅 항목을 통해 음질 설정 상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Speaker EQ 최적화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의 오디오 프로세서, 앰프, 및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의 동작 관계를 조정함으로써, EQ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도시된 A 버튼이 선택되면, 각 세팅 항목들 중 일부 세팅 항목만이 적용된 샘플 음악 파일을 저장하여, 데모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시된 B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기능을 사운드 처리 환경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음질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력을 자극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TV 장치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100)는, 음질 개선 전후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데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데모 기능을 수행하는 TV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음질 확인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는 등과 같은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부(160)에서 판단되면,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와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후의 오디오 신호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가 재생될 때,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방송 신호 수신부(110)에 수신된 오디오 신호가 "캐논 변주곡"이었다면, 수신된 오 디오 신호, 즉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되지 않은 "캐논 변주곡"과 음질 개선처리가 수행된 "캐논 변주곡"이 반복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복수의 서로 다른 음악 파일들을 각 음악 파일들에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에서 "Heal the world", "Under the Sea", "That's why" 등과 같은 수신된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들 중, 음질 개선 전의 "Heal the world", 음질 개선 후의 "Heal the world"가 1회 재생된 후, 음질 개선 전의 "Under the Sea", 음질 개선 후의 "Under the Sea"가 2회 반복해서 재생될 수 있다. 물론,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에서 음질 개선 후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에서 상술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이 반복됨에 따라, 소비자에게 오디오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보다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100)는, 음질 확인을 위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음질 개선 전후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질 개선 상태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TV 장치(100)의 리모콘의 특정 키의 선택에 따라 음질 확인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부(150)에 입력되면, TV 장치(100)에 음질 확인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부(160)에서 판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4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확인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UI는 팝업창 또는 OSD(On Screen Demand) 화면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음질 개선 전의 샘플 음악 파일을 재생한다.
그 후,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도 2에서 도시된 것처럼,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음질에 관한 다양한 세팅 항목들의 세팅 값을 변경(On/Off)하여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나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되기 전의 오디오 신호와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후의 오디오 신호를 순차적으로 재생한다.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의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질 개선 전후의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통해, 음질 개선의 효과를 청각적으로 확인하는 것과 함께, 음질 개선 전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보다 자극할 수 있어 마케팅 효과를 노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문 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반영한 오디오 신호를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100)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의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전후의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수신부(110)에 방송 신호이 수신되면, 판단부(160)는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전의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한다.
방송 신호 수신부(110)에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은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에 포함된 방송 채널의 스케줄 정보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은 뉴스, 스포츠, 및 액션 영화 등일 수 있다.
그 후,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확인된 방송 신호의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한다. 일 예로서, 방송 신호이 액션 영화인 경우,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도 2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저음 최적화 설정 항목의 ON 및 우퍼 기능 최적화 설정 항목의 ON을 통해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음악 파일을 재생한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저음 최적화 및 우퍼 기능 최적화가 설정되었다는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 후, 저장부(180)는 해당 기능을 Sound 처리 환경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 에 따라, 방송 신호 수신부(110)에서 액션 영화에 대한 방송 신호가 수신되어, TV 장치(100)에서 추후에 액션 영화가 재생되는 경우, 저음 최적화 및 우퍼 기능 최적화가 설정되도록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액션 영화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TV 장치(10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에서 Sperker-EQ 최적화 항목, 고음 최적화, 저음 최적화, Woffer 기능 최적화, 및 Loud 기능 강화 등의 세팅 항목이 적용된 오디오 신호를 순차적으로 재생하고,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순차적으로 재생될 때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판단부(150)에서 음질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310).
판단부(150)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S320).
또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에서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음질 개선 전의 음악 파일의 재생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들을 각 음악 파일들에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시각적으로 어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방송 신호 수신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부(160)에서 판단한다(S410).
방송 신호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S420).
그 후,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하고(S430), 확인된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한다(S440).
그리고 나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S45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오디오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방송 신호의 유형에 따라 음질 개선 처리를 상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도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은, 판단부에서 음질 확인을 위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510), 음질 확인을 수행할지 여부 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S520).
음질 확인을 수행하겠다는 입력이 수신되면,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신호, 즉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S530),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한다(S540).
그 후,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S550).
그리고 나서, 디스플레이부(140)는 음질 설정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S560).
오디오 신호 처리부(130)는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570).
이 경우, 단계 S540 이후에, 단계 S530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서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오디오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TV 장치의 음성 처리 방법은,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S610),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한다(S620).
그 후,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에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고(S630),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한다(S640).
그리고 나서,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파일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한다(S650).
이 경우, 음질 개선 전 및 음질 개선 후의 오디오 파일은, TV 장치(100)에 기저장된 샘플 파일일 수 있다. WAV, MP3 등의 확장자를 갖는 오디오 파일일 수도 있으며, 동영상 파일 중 오디오 파일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TV 장치(100)는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가 오디오 품질이 향상되었다는 점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 : TV 장치 110 : 방송 신호 수신부
120 : 영상 신호 처리부 130 : 오디오 신호 처리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입력부
160 : 판단부 170 : 제어부
180 : 저장부

Claims (25)

  1. 방송 정보,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제1 음질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1 음질 설정 정보를 제2 음질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음질 설정 정보에 따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상기 제2 음질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질 설정 정보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상기 TV 장치에 설정된 음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하는 단계는,
    복수의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들을 각 오디오 신호들에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사용자 명령의 입력, 및 방송 신호의 수신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확인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 하며,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방송 채널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12. 방송 정보, 오디오 신호, 및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TV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제1 음질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1 음질 설정 정보를 제2 음질 설정 정보로 변경한 후 상기 제2 음질 설정 정보에 따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상기 제2 음질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TV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질 설정 정보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상기 TV 장치에 설정된 음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복수의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들을 각 오디오 신호들에 기설정된 회수만큼 반복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변경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사용자 명령의 입력, 및 방송 신호의 수신 중 어느 하나에 따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질 확인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방송 신호 수신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고,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유형에 대응되는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신호의 재생과 함께, 음질 개선 후의 음질 설정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정보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신호 처리부는, 상기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에 포함된 방송 채널의 스케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의 유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
  23. 방송 정보, 음성 신호, 및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에 있어서,
    음질(audio quality) 확인을 위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제1 재생 단계;
    상기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의 재생과 함께 제1 음질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 단계;
    상기 제1 음질 설정 정보를 제2 음질 설정 정보로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2 음질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에 음질 개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제2 재생 단계; 및
    상기 음질 개선 처리가 수행된 오디오 파일의 재생과 함께, 상기 제2 음질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 단계;를 포함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음질 개선 전의 오디오 파일은, 상기 TV 장치에 기저장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질 설정 정보는,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기 이전에 상기 TV 장치에 설정된 음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V 장치의 오디오 처리 방법.
KR1020090115259A 2009-11-26 2009-11-26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 KR101644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259A KR101644093B1 (ko) 2009-11-26 2009-11-26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
US12/859,956 US8928821B2 (en) 2009-11-26 2010-08-20 TV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EP10189445.9A EP2346241B1 (en) 2009-11-26 2010-10-29 TV and audio proces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259A KR101644093B1 (ko) 2009-11-26 2009-11-26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453A KR20110058453A (ko) 2011-06-01
KR101644093B1 true KR101644093B1 (ko) 2016-08-02

Family

ID=4370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259A KR101644093B1 (ko) 2009-11-26 2009-11-26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28821B2 (ko)
EP (1) EP2346241B1 (ko)
KR (1) KR1016440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59761A (zh) * 2016-04-28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支持语音控制osd菜单的显示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8198A (ja) * 2005-10-11 2007-04-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049808A (ja) * 2007-08-21 2009-03-05 Funai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55A (en) * 1866-12-11 Hydeo-caebon bubheb foe heating pueposes
US52868A (en) * 1866-02-27 Improved device for boring wells
US5903701A (en) * 1997-08-26 1999-05-11 Warner Music Group,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the quality of recorded information
US7992086B2 (en) * 2006-06-30 2011-08-0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media-playing set
JP4528852B2 (ja) * 2008-09-19 2010-08-25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音声調整方法
US8169552B2 (en) * 2009-01-23 2012-05-01 Sanyo Electric Co., Ltd. Television receiv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8198A (ja) * 2005-10-11 2007-04-2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049808A (ja) * 2007-08-21 2009-03-05 Funai Electric Co Ltd 画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453A (ko) 2011-06-01
US20110122318A1 (en) 2011-05-26
EP2346241B1 (en) 2015-06-17
EP2346241A1 (en) 2011-07-20
US8928821B2 (en)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7898B2 (en) Regulation of volume of voice in conjunction with background sound
JP4602204B2 (ja) 音声信号処理装置および音声信号処理方法
JP4657127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6253671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51894B1 (ko)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5585002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9094796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1644093B1 (ko) Tv 장치 및 그 오디오 처리 방법
JP6039108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534844B2 (ja) デジタルサラウンド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アンプ装置
JP2007228411A (ja) 音響機器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CN102598703B (zh) 用于控制用于内容项的回放的装置的设置的方法和设备
JP2002218331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10278578A (ja) Av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5003048B2 (ja) 映像出力システム
JP2008193215A (ja) 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2006025196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8124881A (ja) 放送受信装置
WO2011037204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音声パラメータ設定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60135330A (ko) Tv/dvd 콤보 시스템에서의 언어 자동 설정 방법
KR100355038B1 (ko) 텔레비젼 디스크 플레이어 및 그의 음성 처리 방법
JP4547590B2 (ja) 受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183534A (ja) 記録再生装置
JP2011108049A (ja) メディアプレーヤー
WO2017203629A1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