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986B1 -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 Google Patents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986B1
KR101643986B1 KR1020150114453A KR20150114453A KR101643986B1 KR 101643986 B1 KR101643986 B1 KR 101643986B1 KR 1020150114453 A KR1020150114453 A KR 1020150114453A KR 20150114453 A KR20150114453 A KR 20150114453A KR 101643986 B1 KR101643986 B1 KR 101643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in body
communication
combustion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훈
Original Assignee
홍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훈 filed Critical 홍성훈
Priority to KR1020150114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조절판이 구비되어 있어 숯의 화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그 상부에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놓여 질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식지않고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조리중에 발생 된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 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랜 기간 공간부 내에 머무를 수 있고 따라서 그릴장치 전체가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효과적인 조리 및 보온이 가능하며, 연소되는 숯에 의해 그릴장치 내부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연통으로 배기되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며, 이 상승기류와 개방된 조절판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합류됨으로써 조리중인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가스와 같은 부산물이 그릴장치 내부에서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연통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 될 수 있고, 외부공기가 석쇠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연소되는 숯의 불꽃이 조리대상물에 직화 형태로 직접 닿지 않고 간접 열기에 의해 조리됨으로써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조리대상물이 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는 내부에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며 하측에는 지지다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다수의 제 1 통공이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숯이 연소 가능하게 놓여지는 연소판과, 상기 공간부의 상측에 안착 위치되며 조리대상물이 놓여지는 석쇠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연통의 하단이 삽입되는 연통삽입부가 구비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가 구비된 덮개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이 개폐되도록 상기 가이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공간부 내로의 공기유입이 조절되는 조절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Heat circulation type grill device}
본 발명은 개폐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조절판이 구비되어 있어 숯의 화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그 상부에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놓여 질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식지않고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조리중에 발생 된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 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랜 기간 공간부 내에 머무를 수 있고 따라서 그릴장치 전체가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효과적인 조리 및 보온이 가능하며, 연소되는 숯에 의해 그릴장치 내부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연통으로 배기되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며, 이 상승기류와 개방된 조절판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합류됨으로써 조리중인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가스와 같은 부산물이 그릴장치 내부에서 상부로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연통을 통해서 사용자의 머리 위로 배기 될 수 있고, 외부공기가 석쇠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연소되는 숯의 불꽃이 조리대상물에 직화 형태로 직접 닿지 않고 간접 열기에 의해 조리됨으로써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조리대상물이 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숯과 같은 열원매체를 사용하는 그릴장치는, 바닥면과 이격 되도록 일정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지지대와, 표면에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통기공을 갖고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마련되어 내부에 화덕을 설치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부에 그릴이 놓여져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그릴장치는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 된 열기의 대부분은 석쇠를 향해 한번 상승 된 후 외부로 배출되어 없어지기 때문에 열효율 측면에서 뛰어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조리대상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와 가스가 지속적으로 상승 됨으로써 주변 환경을 오염시킴은 물론 이를 배기하기 위한 별도의 배기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숯에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조리대상물이 직화 됨으로써 조리대상물이 쉽게 탈 수 있어 조리대상물을 자주 뒤집어주거나 위치를 변경해 주어야 함은 물론 이로 인해 그을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0-0015935호(2000.08.16)
2.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34989호(2014.08.21)
3.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453525호(2014.10.15)
따라서 본 발명은 개폐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조절판이 구비되어 있어 숯의 화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그 상부에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놓여 질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식지않고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조리중에 발생 된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제거될 수 있으며,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 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랜 기간 공간부 내에 머무를 수 있고 따라서 그릴장치 전체가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효과적인 조리 및 보온이 가능하며, 연소되는 숯에 의해 그릴장치 내부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연통으로 배기되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며, 이 상승기류와 개방된 조절판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합류됨으로써 조리중인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가스와 같은 부산물이 그릴장치 내부에서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연통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 될 수 있고, 외부공기가 석쇠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연소되는 숯의 불꽃이 조리대상물에 직화 형태로 직접 닿지 않고 간접 열기에 의해 조리됨으로써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조리대상물이 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며 하측에는 지지다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다수의 제 1 통공이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숯이 연소 가능하게 놓여지는 연소판과, 상기 공간부의 상측에 안착 위치되며 조리대상물이 놓여지는 석쇠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연통의 하단이 삽입되는 연통삽입부가 구비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가 구비된 덮개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이 개폐되도록 상기 가이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공간부 내로의 공기유입이 조절되는 조절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판은 상기 공간부 내에서 상기 연통삽입부가 위치된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되 상기 제 1 통공에는 연소되는 숯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받침대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판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연통삽입부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1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열기유도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판의 타측 단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 내벽 사이에는 다수의 제 2 통공이 관통 형성된 연기유도판이 경사지게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덮개의 타측 하부에는 제 1 열기유도부가 상기 제 2 열기유도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통삽입부의 하측에는 연통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연소판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소판에서 연소되는 숯에 의해 발생 된 열기는 상기 석쇠판 측으로 1차 상승 되다가 상기 제 1 열기유도부에 의해 그 일부가 1차 하강 되고, 1차 하강 된 열기는 상기 제 2 열기유도부에 의해 2차 상승 되다가 연통연장부에 의해 2차 하강 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간부 내에서 순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절판은 상기 가이드 내에 그 양측이 삽입되는 하부패널과 상기 하부패널로부터 그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패널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패널에는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놓여지며 그 경사에 의해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자동 제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내부의 하측에는 상기 연소판이 놓여지는 제 1 걸림턱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에는 상기 석쇠판이 높이조절 가능하게 놓여지는 제 2 걸림턱이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걸림턱은, 상기 본체 상측에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이동구를 따라 높이조절되되 중앙에는 상기 이동구와 연통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자 형상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 걸림부재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나사공과 나사결합되며, 조임 여부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를 고정시키거나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조절나사와, 상기 조절나사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구를 폐쇄시키는 가림판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상기 연소판 사이에는 상기 연소판에서 낙하되는 재가 상기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침수될 수 있도록 물이 저장되되 그 수위는 상기 연소판보다 낮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는 첫째로 개폐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조절판이 구비되어 있어 숯의 화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그 상부에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이 놓여 질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식지않고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조리중에 발생 된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제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둘째로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 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랜 기간 공간부 내에 머무를 수 있고 따라서 그릴장치 전체가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이 효과적인 조리 및 보온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셋째로, 연소되는 숯에 의해 그릴장치 내부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연통으로 배기되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며, 이 상승기류와 개방된 조절판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합류됨으로써 조리중인 조리대상물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가스와 같은 부산물이 그릴장치 내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연통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넷째로, 외부공기가 석쇠판을 통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연소되는 숯의 불꽃이 조리대상물에 직화 형태로 직접 닿지 않고 간접 열기에 의해 조리됨으로써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조리대상물이 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 1 걸림턱에 대한 작동도.
도 4는 도 1의 연소판에 대한 작동도.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다른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 1 걸림턱에 대한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연소판에 대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다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는 내부에 폐쇄된 공간부가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며 하측에는 지지다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공간부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다수의 제 1 통공이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숯이 연소 가능하게 놓여지는 연소판과, 상기 공간부의 상측에 안착 위치되며 조리대상물이 놓여지는 석쇠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연통의 하단이 삽입되는 연통삽입부가 구비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가 구비된 덮개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이 개폐되도록 상기 가이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공간부 내로의 공기유입이 조절되는 조절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 요소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체(10)는 후술 될 구성부재들이 설치되고, 숯이 연소 됨으로 인해 발생되는 열기가 순환되며, 가열된 내부 공기는 상승기류를 통해 외부로 배기 됨과 동시에 이로 인해서 외부공기는 내부로 흡기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폐쇄된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되며 하측에는 지지다리(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상부가 개방된 사각의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은 내열성이 뛰어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데, 지지다리(12)의 단부에는 이동바퀴(14)가 설치되어 그 이동이 용이하다.
그리고 전술한 본체(10) 내부의 하측에는 연소판(20)이 놓여지는 제 1 걸림턱(1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본체(10)의 내부 상측에는 석쇠판(30)이 높이조절 가능하게 놓여지는 제 2 걸림턱(14)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데, 전술한 제 2 걸림턱(14)은 연소되는 숯의 양에 따라, 또는 조리대상물의 종류에 따라 숯이 석쇠판(30)에 가깝게 또는 멀리 떨어질 수 있도록 석쇠판(3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걸림턱(14)은 본체(10) 상측에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이동구(15)를 따라 높이조절되되 중앙에는 이동구(15)와 연통되는 나사공(142)이 형성되고 "┓"자 형상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 걸림부재(141)와, 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어 나사공(142)과 나사결합되며, 조임 여부에 따라 걸림부재(141)를 고정시키거나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조절나사(143) 및 조절나사(143)에 삽입되어 이동구(15)를 폐쇄시키는 가림판(144)이 포함된다.
즉, 이동구(15)를 사이에 두고 본체(10)의 내측에는 석쇠판(30)이 안착되는 걸림부재(141)이 위치되고, 외측에는 걸림부재(141)를 나사결합 방식의 조임 여부에 따라 위치고정시키거나 이동가능하게 하는 조절나사(143)가 구비된다.
따라서 석쇠판(30)의 위치가 결정되면 석쇠판(30)을 걸림부재(141) 상에 안착시키기 전에 조절나사(143)를 나사공(142)에서 느슨하게 풀고 그 상태에서 걸림부재(141)의 높낮이를 조절한 다음, 조절나사(143)를 견고하게 조여 그 위치를 고정시키며, 그 상태에서 석쇠판(30)을 올려준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의 타측 상단은 후술 될 조절판(50)이 완전히 닫혔을 때 상부패널(52)에 놓여진 조리대상물(80)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 본체(10)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모아 질 수 있게 조절판(50)의 상부보다 높게 형성되도록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본체(10)의 바닥면과 연소판(20) 사이에는 연소판(20)에서 낙하되는 재가 후술 될 연통(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침수될 수 있도록 물(70)이 저장되되 그 수위는 공기의 유동통로가 확보될 수 있도록 연소판(20)보다 낮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체(10)는 도면에 도시된 사각함체 형상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그 크기 또한 사용목적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제 1 걸림턱(13)에는 연소판(20)이 안착 위치되는데, 전술한 연소판(20)은 숯이 연소 가능하게 놓여지는 것으로, 다수의 제 1 통공(21)이 동일 간격마다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 1 통공(21)은 받침대(23)가 선택적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숯 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숯의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또한 숯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재나 그을음 또는 가스가 배출되게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사용되는 숯의 양이 비교적 적을 경우 본체(10)의 일측 방향에 가깝게 받침대(23)가 삽입되고, 사용되는 숯의 양이 비교적 많을 경우 본체의 타측 방향에 가깝게 받침대(23)가 삽입된다.
그리고 연소판(20)은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숯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함께 제 2 통공(61)을 통해 연소판(30) 하측을 통해 연통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연소 중 발생 된 재는 본체(10) 바닥면에 저장된 물(70)로 떨어져 무단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그을음과 가스는 연기유도판(60)의 상단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연통(45)과 멀리 위치한 곳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제 2 통공(61)을 통해 본체(10)의 바닥면과 연소판(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후술 될 연통연장부(44) 측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연소판(20)의 일측 단부에는 연통삽입부(41)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 1 통공(21)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열기유도부(22)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 될 제 1 열기유도부(43)와 연통삽입부(41)와 함께 열기의 순환을 유도하게 된다.
전술한 연소판(20)의 타측 단부와 본체(10)의 타측 내벽 사이에는 다수의 제 2 통공(61)이 형성된 연기유도판(60)이 경사지게 구비되는데, 전술한 연기유도판(60)은 연소판(20) 상에 위치된 숯이 본체(10)의 타측 내벽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을 막아주고, 연통(45)으로부터 가장 멀이 위치한 숯에서 발생하는 그을음 또는 연기를 상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제 2 통공(61)을 통해 연소판(20)의 하측으로 원활히 순환되도록 하게 함으로서 숯 하부 연소 및 공간부(11)을 통해 상승할 수 있는 그을음 또는 연기를 바닥면과 연소판(20) 사이의 공간을 따라 연통(45)으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전술한 제 2 걸림턱(14)에는 석쇠판(30)이 안착 위치되는데, 전술한 석쇠판(30)은 조리대상물(80)이 조리를 위해 놓여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석쇠판(30)은 종래기술에 따른 구이용 석쇠과 동일한 것으로 내열성이 강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조리대상물(80)이 놓여지는 것이므로 가열시 유해물질이 발생되지 않는 재질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덮개(40)가 설치되는데, 전술한 덮개(40)는 본체(10)의 상부를 밀실하게 폐쇄시키고, 후술 될 조절판(50), 연통(45) 및 제 1 열기유도부(43)가 설치되는 것으로, 그 일측에는 연통(45)의 하단이 삽입되는 연통삽입부(41)가 구비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4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덮개(40)의 타측 하부에는 제 1 열기유도부(43)가 제 2 열기유도부(2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연통삽입부(41)의 하측에는 연통연장부(44)가 연장 형성되되 공간부(11) 내의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전술한 연소판(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 형성된다.
전술한 연통삽입부(41) 및 제 1 열기유도부(43)는 공간부(11) 내의 열기를 하강시키는 것이다. 즉, 연소판(20)에서 연소되는 숯에 의해 발생 된 열기는 석쇠판(30) 측으로 1차 상승 되다가 제 1 열기유도부(43)에 의해 그 일부가 1차 하강 되고, 1차 하강 된 열기는 제 2 열기유도부(22)에 의해 2차 상승 되다가 연통연장부(44)에 의해 2차 하강 되면서 연통(45) 최종 배기되는 방식으로 순환된다. 따라서 공간부(11) 내에 열기가 배출되기까지 순환되면서 유지될 수 있어 그릴장치의 설치 장소나 계절에 관계없이 조리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거꾸로 타는 원리를 이용하여 연기와 그을음의 완전연소를 유도하며, 또한 조리가 완료된 후, 후술 될 조절판(50)에 놓여진 조리대상물(80)이 빠르게 식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0)의 상부 타측에는 조절판(50)이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전술한 조절판(50)은 가이드(42) 내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이동 여부에 따라 공간부(11) 내로의 공기유입이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초기 숯 점화시 조절판(40)은 숯이 상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유지하며, 조절판(40)을 조절판(40)의 개폐 정도에 따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숯 점화시 공기를 불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전술한 조절판(50)이 닫힐 경우 공간부(11)는 조절판(50)과 덮개(4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되며, 따라서 조절판(50)이 얼마나 개방되느냐에 따라 공간부(11)로의 공기유입 정도가 결졍된다. 조절판(50)이 조금만 개방될 경우 유입되는 공기의 양 또한 적어 숯의 화력이 감소되고, 조절판(50)이 많이 개방될 경우 유입되는 공기의 양 또한 많이 숲의 화력이 증대되며, 조절판(50)이 완전히 폐쇄될 경우 숯의 연소가 서서히 종료된다. 또한, 조리대상물이 적을 경우 조절판(50)을 적당히 폐쇄하면 조절판(50)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면서 대류현상으로 인해 연기 및 그을음이 연통(45)으로 빨려 들어가는 속도가 동시에 증가하므로 건강하고 맛있는 조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조절판(50)은 가이드(42) 내에 그 양측이 삽입되는 하부패널(51)과 하부패널(51)로부터 그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패널(52)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패널(52)에는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80)이 식지 않도록 놓여지며 또한 그 경사에 의해서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자동 제거된다. 이를 위해 전술한 조절판(50)은 열전도율이 좋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부터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1)의 전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숯의 연소에 의해 열기가 발생되면, 석쇠판(30) 측으로 상승되어 조리대상물(80)의 조리에 쓰이게 되는데, 그 중에서 일부는 제 1 열기유도부(43)에 의해 하강 된 뒤 다시 제 2 열기유도부(22)에 의해 상승 되었다가, 다시 덮개(40)와 연통연장부(44)에 의해 재차 하강되면서 연속 순환된다. 따라서 공간부(11) 내의 열기가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조리시간이 단축됨은 물론, 조리중에 조리가 완료되어 조절판(50)의 상부패널(52)에 놓여진 일부 조리대상물(80)도 식지않고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게 있으며, 거꾸로 타는 원리를 이용하여 완전 연소를 유도하여 환경에도 유리한 장점이 있다.
동시에 연소되는 숯에 의해 공간부(11)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연통(45)으로 배기되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며, 이 상승기류와 개방된 조절판(50)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합류됨으로써 조리중인 조리대상물(80)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가스와 같은 부산물이 공간부(11) 내에서 석쇠판(30) 상부로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연통(45)을 통해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 된다.
또한 연통(45)으로 공간부(11) 내의 공기가 배기 됨과 동시에 외부공기가 석쇠판을 통해 공간부(11) 내로 연속 유입됨으로써 연소되는 숯의 불꽃이 조리대상물(80)에 직화 형태로 직접 닿지 않고 간접 열기에 의해 조리됨으로써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조리대상물(80)이 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절판(50)의 상부패널(52)에서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기름이 숯으로 떨어진다고 해도 그을음과 연기는 석쇠부로부터 흡기되는 외부공기와 연통(45)으로부터 발생되는 배기력에 의해서 석쇠부 측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연통(45)으로 안전하게 배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조리대상물(80)의 조리가 완료되면 석쇠판(30)에 놓인 조리대상물(80)은 조절판(50)의 상부패널(52)로 모두 옮겨놓고 본체(10)의 상부 타측이 완전히 폐쇄되도록 조절판(50)을 완전히 닫아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때 본체(10)의 타측 상단이 조절판(50)보다 높게 돌출되어 있어 조리대상물(80)로부터 흘러내리는 기름이 본체(10)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모아 질 수 있다.
공간부(11)로의 공기유입이 차단되면 숯은 서서히 꺼지게 되는데 그 열기는 유지되기 때문에 조절판(50)의 상부패널(52)에 놓여진 조리대상물(80)이 빠르게 식지않고 따뜻한 상태가 한동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1)는 개폐 정도에 따라 공기의 유입량이 조절되는 조절판(50)이 구비되어 있어 숯의 화력이 조절됨과 동시에 완전히 폐쇄되었을 때 그 상부에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80)이 놓여 질 수 있어 조리대상물(80)이 식지않고 따뜻하게 유지될 수 있고 또한 조리중에 발생 된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숯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가 내부에서 반복적으로 상승 및 하강 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랜 기간 공간부(11) 내에 머무를 수 있고 따라서 그릴장치 전체가 높은 온도로 유지될 수 있어 조리대상물(80)이 효과적인 조리 및 보온이 가능하다.
또한 연소되는 숯에 의해 그릴장치 내부가 가열되고 이로 인해 연통으로 배기되는 상승기류가 형성되며, 이 상승기류와 개방된 조절판에 의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합류됨으로써 조리중인 조리대상물(80)에서 발생되는 연기나 가스와 같은 부산물이 그릴장치 내부에서 상부로 무분별하게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연통(45)을 통해서 외부로 배기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공기가 석쇠판(30)을 통해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연소되는 숯의 불꽃이 조리대상물(80)에 직화 형태로 직접 닿지 않고 간접 열기에 의해 조리됨으로써 그을음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조리대상물(80)이 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10 : 본체
11 : 공간부
12 : 지지다리
13 : 제 1 걸림턱
14 : 제 2 걸림턱
141 : 걸림부재
142 : 나사공
143 : 조절나사
144 : 가림판
15 : 이동구
16 : 이동바퀴
20 : 연소판
21 : 제 1 통공
22 : 제 2 열기유도부
23 : 받침대
30 : 석쇠판
40 : 덮개
41 : 연통삽입부
42 : 가이드
43 : 제 1 열기유도부
44 : 연통연장부
45 : 연통
50 : 조절판
51 : 하부패널
52 : 상부패널
60 : 연기유도판
61 : 제 2 통공
70 : 물
80 : 조리대상물

Claims (10)

  1. 삭제
  2. 내부에 폐쇄된 공간부(11)가 형성되되 그 상부는 개방되며 하측에는 지지다리(12)가 구비된 본체(10);
    상기 공간부(11)의 하측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되고 다수의 제 1 통공(21)이 동일 간격으로 형성되며 숯이 연소 가능하게 놓여지는 연소판(20);
    상기 공간부(11)의 상측에 안착 위치되며 조리대상물(80)이 놓여지는 석쇠판(30);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되 그 일측에는 연통(45)의 하단이 삽입되는 연통삽입부(41)가 구비되고 타측 가장자리에는 가이드(42)가 구비된 덮개(40); 및
    상기 본체(10)의 상부 타측이 개폐되도록 상기 가이드(42)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그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공간부(11) 내로의 공기유입이 조절되는 조절판(50)이 포함되고,
    상기 연소판(20)은 상기 공간부(11) 내에서 상기 연통삽입부(41)가 위치된 반대 방향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되 상기 제 1 통공(21)에는 연소되는 숯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받침대(23)가 구비되고, 상기 연소판(2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연통삽입부(41)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기 제 1 통공(21)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열기유도부(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소판(20)의 타측 단부와 상기 본체(10)의 타측 내벽 사이에는 다수의 제 2 통공(61)이 관통 형성된 연기유도판(60)이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덮개(40)의 타측 하부에는 제 1 열기유도부(43)가 상기 제 2 열기유도부(22)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통삽입부(41)의 하측에는 연통연장부(44)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연소판(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소판(20)에서 연소되는 숯에 의해 발생 된 열기는 상기 석쇠판(30) 측으로 1차 상승 되다가 상기 제 1 열기유도부(43)에 의해 그 일부가 1차 하강 되고, 1차 하강 된 열기는 상기 제 2 열기유도부(22)에 의해 2차 상승 되다가 연통연장부(44)에 의해 2차 하강 되는 방식으로 상기 공간부(11) 내에서 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50)은 상기 가이드(42) 내에 그 양측이 삽입되는 하부패널(51)과 상기 하부패널(51)로부터 그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패널(52)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상부패널(52)에는 조리가 완료된 조리대상물(80)이 놓여지며 그 경사에 의해 기름기가 자중에 의해 자동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내부의 하측에는 상기 연소판(20)이 놓여지는 제 1 걸림턱(13)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내부 상측에는 높이 조절 가능하게 상기 석쇠판(30)이 놓여지는 제 2 걸림턱(14)이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턱(14)은,
    상기 본체(10) 상측에 상, 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이동구(15)를 따라 높이조절되되 중앙에는 상기 이동구(15)와 연통되는 나사공(142)이 형성되고 "┓"자 형상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 걸림부재(141);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위치되어 상기 나사공(142)과 나사결합되며, 조임 여부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141)를 고정시키거나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조절나사(143); 및
    상기 조절나사(143)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구(15)를 폐쇄시키는 가림판(14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10.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바닥면과 상기 연소판(20) 사이에는 상기 연소판(20)에서 낙하되는 재가 상기 연통(4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침수될 수 있도록 물(70)이 저장되되 그 수위는 상기 연소판(20)보다 낮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KR1020150114453A 2015-08-13 2015-08-13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KR101643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453A KR101643986B1 (ko) 2015-08-13 2015-08-13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453A KR101643986B1 (ko) 2015-08-13 2015-08-13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986B1 true KR101643986B1 (ko) 2016-07-29

Family

ID=56617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453A KR101643986B1 (ko) 2015-08-13 2015-08-13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9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03B1 (ko) * 2019-05-14 2020-11-23 조원희 고기구이 난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935U (ko) 1999-01-20 2000-08-16 윤종용 그릴장치
KR200361851Y1 (ko) * 2004-06-16 2004-09-13 방성현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365251Y1 (ko) * 2004-07-28 2004-10-21 박옥규 고기구이판
KR20050119280A (ko) * 2004-06-16 2005-12-21 김상운 무동력 화력 및 연기배출 고기훈제 및 고기구이기
KR20130139528A (ko) * 2012-06-13 2013-12-23 김흥수 고기구이기
KR101434989B1 (ko) 2012-11-30 2014-08-2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1453525B1 (ko) 2012-12-07 2014-10-2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바베큐 그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935U (ko) 1999-01-20 2000-08-16 윤종용 그릴장치
KR200361851Y1 (ko) * 2004-06-16 2004-09-13 방성현 야외용 숯불 바베큐 구이기
KR20050119280A (ko) * 2004-06-16 2005-12-21 김상운 무동력 화력 및 연기배출 고기훈제 및 고기구이기
KR200365251Y1 (ko) * 2004-07-28 2004-10-21 박옥규 고기구이판
KR20130139528A (ko) * 2012-06-13 2013-12-23 김흥수 고기구이기
KR101434989B1 (ko) 2012-11-30 2014-08-28 주식회사 비젼코베아 그릴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음식물 구이기
KR101453525B1 (ko) 2012-12-07 2014-10-23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바베큐 그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703B1 (ko) * 2019-05-14 2020-11-23 조원희 고기구이 난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98917A1 (en) Kamado style cooker with improved control means
US20200037816A1 (en) Versatile pizza oven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643986B1 (ko) 열기 순환식 그릴장치
KR101647724B1 (ko) 직화 구이장치
JP2018064882A (ja) グリル
RU131855U1 (ru) Печь для обогрева помещений
US20150351586A1 (en) Outdoor Barbecue Grill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573901B1 (ko) 대류관이 구비된 난로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101434784B1 (ko) 난로의 상단구조
US11002449B2 (en) Smokeless safe combustion device
JP6037286B2 (ja) 下降炎燃焼無煙ストーブ
KR101643988B1 (ko) 연통이 구비된 하향식 그릴장치
KR200485993Y1 (ko) 가정용 숯불 직화 구이기
WO2009136180A1 (en) Fireplace
EP2886953B1 (en) Wood stove with a supply duct for logs
CN214856162U (zh) 一种轻便可移动的炉体及烤炉
ES2529941B1 (es) Barbacoa multifuncional
JP2004065392A (ja) グリル
KR101668296B1 (ko) 휴대용 난로
KR101935135B1 (ko) 난방 기능을 갖는 촛불화로
JP3000125U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
KR200480379Y1 (ko) 숯불구이용 로스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