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374B1 - 미강 제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미강 제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374B1
KR101641374B1 KR1020160009638A KR20160009638A KR101641374B1 KR 101641374 B1 KR101641374 B1 KR 101641374B1 KR 1020160009638 A KR1020160009638 A KR 1020160009638A KR 20160009638 A KR20160009638 A KR 20160009638A KR 101641374 B1 KR101641374 B1 KR 101641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rice bran
rice
dry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빈
Original Assignee
한국미강연합유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미강연합유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미강연합유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8Cooling, heating, ventilating, conditioning with respect to temperature or water content
    • B01F13/1011
    • B01F15/00194
    • B01F15/065
    • B01F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4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2Cutting or splitting grain
    • B01F2013/109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는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강을 살균 및 건조시킨 후 냉각, 제분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로서, 투입된 미강을 수용하는 미강살균건조기와, 미강살균건조기에서 건조 및 살균된 미강을 이동시키며, 냉각시키는 미강냉각기와, 미강냉각기에서 냉각된 미강을 분쇄하는 미강제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살균건조기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 보다 하부면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에 미강(米糠)을 수용하는 건조기몸체와, 제2몸체부의 개방된 상부면을 개폐시키는 커버와, 커버의 상면에는 하부방향으로 커버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로드와, 회전로드의 외면에 배치되어, 회전로드의 회전시 건조기몸체 내부에 수용된 미강을 교반시키는 블레이드와, 커버 일측에 배치되어 건조기몸체 내부로 자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미강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램프와, 제2몸체부의 외면에 배치되어 제2몸체에 열을 가하는 히팅블록과, 제1몸체부의 하부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몸체의 하부면을 개폐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미강 제분 제조장치{RICE BRAN-POWDER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쌀로부터 미강을 추출하여 제분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쌀 도정시 발생되는 미강을 효율적으로 제분할 수 있도록 건조(안정화), 냉각, 제분을 일괄 처리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강(Rice Bran)은 쌀 도정시 분리되는 것으로 현미에서 백미를 제외한 쌀눈과 겉부분을 포함하여 지칭하는 것이다. 미강은 영양원으로서 불포화 지방산,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E, 식이섬유, 오리자놀 등의 다양한 유효 성분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콜레스테롤 상승 억제 효과를 비롯한 여러 가지 생리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을 비롯한 서구에서는 오래전부터 미강을 빵, 쿠키, 스넥 등의 식품에 적용시켜 건강식품을 제조하고 있고 미강을 안정화시켜 그 자체를 건강식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식생활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미강은 최근 미곡의 종합처리장(239개소: 농협RPC 156개소, 민간 RPC 83개소)이 급속하게 보급됨에 따라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그 중 극히 일부만이 미강유 제조에 이용되고 있을 뿐 대부분이 사료 로서 이용 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국내 벼 생산량은 약 400만톤으로 그중 미강 즉, 쌀겨와 쌀눈의 혼합물인 미강은 약 7~8% 로 약 30만톤 생산되고 있다. 주요 사용 용도는 70% 정도가 퇴비나 가공되지 않고 버려 지거나 사료용 및 식품 부산물, 미용용으로 사용 하는데 30%에 불과하며, 미강을 정제하여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에서 미강유를 개발 판매 중이나 수입콩으로 만든 콩기름 또는 저렴한 천연식물성 유지의 수입으로 성장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중국과의 FTA 체결로 수입쌀 개방이 향후 점차 늘어 국내 쌀시장 경쟁력 저하로 농업 기반이 무너질 위기에 있다. 식량자급율은 전체 약 23%, 밀 자급율 약 2%, 콩 자급율은 약 8%, 보리 자급율은 약 22%, 쌀을 제외하면 5% 수준이다.
미강이 쌀에 5%의 영양분을 제외하곤 95%의 영양분이 미강에 함유되어 있으나 식품화 과정에서 벼 도정후 산패 문제와, 제분이 어려워 식품으로 각광을 받기 어려웠다.
최근 이러한 미강에 대한 연구 결과 미강은 암억제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으며, 이들의 성분을 추출하여 미강을 이용한 고부가 가치의 식물성 다당류를 추출하여 다양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음이 알려지고 있으며, 이를 식용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8092호(2005.04.27)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89678호(2003.11.22) (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36867호(2004.06.23)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는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의 살균 및 건조를 하나의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는 미강 내의 수분의 감소량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미강 제조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미강의 살균 및 건조 후 제분기로 미강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미강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여 미강 제조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미강의 제분시 분쇄롤의 상태를 측정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쇄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는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강을 살균 및 건조시킨 후 냉각, 제분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로서, 투입된 미강을 수용하는 미강살균건조기와, 미강살균건조기에서 건조 및 살균된 미강을 이동시키며, 냉각시키는 미강냉각기와, 미강냉각기에서 냉각된 미강을 분쇄하는 미강제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살균건조기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 보다 하부면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부와, 제1몸체부의 상단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제2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에 미강(米糠)을 수용하는 건조기몸체와, 제2몸체부의 개방된 상부면을 개폐시키는 커버와, 커버의 상면에는 하부방향으로 커버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로드와, 회전로드의 외면에 배치되어, 회전로드의 회전시 건조기몸체 내부에 수용된 미강을 교반시키는 블레이드와, 커버 일측에 배치되어 건조기몸체 내부로 자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미강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램프와, 제2몸체부의 외면에 배치되어 제2몸체에 열을 가하는 히팅블록과, 제1몸체부의 하부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몸체의 하부면을 개폐시키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살균건조기의 제1몸체부의 내면에는 건조기몸체 내부에 수용된 미강의 무게를 즉정하는 하중센서부가 배치되고, 하중센서부는 하부 및 상부가 개방된 원뿔형상의 하중센서하우징과, 하중센서하우징 저면과 제1몸체부 내면 사이에 배치된 로드셀과, 하중센서하우징 저면과 제1몸체부 내면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살균건조기의 커버에는 커버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의 로드의 일단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살균건조기의 건조기몸체의 측면에는 건조기몸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온도센서 중 일 온도센서는 타 온도센서보다 높게 배치되고, 커버에는 회전로드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체결되어, 일 온도센서의 온도가 타 온도센서 보다 높은 경우, 건조기몸체에 수용된 미강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회전로드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일 온도센서의 온도가 타 온도센서 보다 낮은 경우 회전로드를 제1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살균건조기의 건조기몸체에는 건조기몸체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배치되어 건조기몸체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액추에이터를 구동시켜 커버를 상승시켜 건조기몸체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살균건조기의 회전로드의 내면에는 로드냉각유로가 형성되고, 로드냉각유로는 블레이드의 외면으로 개방된 노즐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냉각기는 양단에 이격하여 설치된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와, 구동풀리 및 종동풀리의 구동시 회전되는 벨트와, 벨트의 상면에 이격하여 배치된 이송트레이 및 구동풀리와 종동풀리 사이에 배치된 냉각파이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제분기는 미강냉각기를 통해 이송된 미강이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투입호퍼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한쌍의 공급롤이 배치된 공급하우징과, 공급하우징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한쌍의 분쇄롤이 배치된 제분하우징 및 제분하우징 하부에 배치되는 배출호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제분기의 투입호퍼의 내면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 개의 미강검출센서가 배치되고, 공급롤의 하부에는 분쇄롤의 중앙으로 미강을 이송을 유도하는 가이드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제분기의 분쇄롤의 양단에는 회전축이 돌출되며, 회전축에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장착부에는 회전축의 경사 및 경사방향을 측정하는 회전축센싱부가 배치되며, 회전축센싱부는 장착부에 삽입되는 센싱부하우징과, 센싱부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와, 회전축의 경사를 측정하는 제1수준센서와, 회전축의 경사방향을 측정하는 제2수준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제분기의 센싱부하우징의 상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압블록 이동로드가 배치되며, 이동로드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원뿔대 형상의 이동블록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센서부하우징의 측면에는 삽입홈에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삽입홈에는 이동블록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블록의 외면에 맞닿아 회전축의 장착부 내면을 가압하는 지지로드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제분기의 회전축은 수직이동 프레임에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이동 프레임은 수평이동 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수직이동 프레임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슬릿이 형성되고, 회전축에는 브래킷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브래킷은 수직이동 프레임의 일면에서 수평슬릿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수직이동 프레임의 타면에는 브래킷에 체결되는 수직이동블록과, 수직이동블록의 측면에서 수직이동블록의 회전을 제어하는 한쌍의 레일이 배치되며, 수직이동 프레임의 타면 일측에는 회전시 수직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 중 미강제분기의 수직이동 프레임은 수평슬릿이 형성된 수평이동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고, 수평이동 프레임의 하면에는 수평슬릿을 관통하여, 수평이동 프레임에 체결되는 수평이동블록이 배치되고, 수평이동 프레임의 하면에는 회전시 수평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는 미강의 살균 및 건조를 하나의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의 살균 및 건조를 하나의 공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건조시 내부에 저장된 미강의 무게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써 건조과정에서 수분의 감소량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미강의 살균 및 건조 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이송하며, 컨베이어의 하부에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미강의 제분시 분쇄롤의 각도 등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쇄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에 의한 미강제분의 제조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살균건조기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미강살균건조기의 하중센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냉각기의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냉각기의 일부 절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제분기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미강제분기의 분쇄롤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분쇄롤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회전축센싱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회전축센싱부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분쇄롤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에 의한 미강제분의 제조 순서도이다.
설명에 앞서, 이해를 위해 수집된 벼로부터 미강을 얻는 과정을 일 예로서 간략하게 살펴보면, 정미기에 현미 도정기와 백미 도정기를 2단으로 설치하여 1차 도정 과정에서 발생되는 쌀겨는 현미 도정기의 피(왕겨)와 함께 방출되고 도정된 쌀은 2차 백미 도정기로 낙하되어 2차 도정과정에서 얻을 수 잇도록 된 구조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바, 기타 적절한 구조의 도정기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강을 안정화 처리시키는 미강 안정화처리 단계(S100); 안정화 처리된 미강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S200); 상기 냉각된 미강을 제분하는 제분화 단계(S300); 및 제분된 미강을 포장하는 포장 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미강 안정화처리 단계(S100)에서 미강 안정화처리의 배경은 다음과 같다. 벼 수분 함량은 13-15% 수준으로 도정 과정 중 왕겨가 탈피되고 현미 상태 0 분도에서 백미 상태 10-12분도로 도정하는 과정에서 쌀겨와 쌀눈이 혼합물로 미강이 7~8% 정도 나오게 된다.
이때 미강의 수분 함량이 13~14% 수분과 미강 고유의 유분(油紛)이 함유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강이 공기와 접촉하면서 급속히 산화 산패가 진행되고, 수분이 13% ~15% 상태에서는 80~100 MESH 상태의 고운 입자로 분쇄하기가 거의 불가능 하여 분쇄 과정중 기계 마찰 속도가 유분과 수분이 같이 혼합되어 일명 떡이 지고, 덩어리지면서 메쉬 채망에 걸려 지지 않고 채망의 구멍이 막혀 공정을 진행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정화 처리를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미강의 안정화처리는 생미강을 온도 130~280도로 시간당 70~80KG로 원통형 드라이 건조기에 통과시켜 수분함량이 7% 내외를 갖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드라이 건조기는 산패방지를 위한 열처리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쌀눈은 110℃ 이상에서 10분이상, 쌀겨는 120℃ 이상에서 10분이상).
이때, 상기 가열 온도가 130 미만으로 사용하면 미강 분말의 보존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일반세균수와 산패가 2배 이상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가열 온도가 280℃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미강이 탄화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미강이 첨가된 식품에 쓴 맛을 나타내며, 미강 조직 내에 함유된 단백질, 지질, 미네랄 등의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는 미강에 존재하는 토양유래 미생물을 제거하고, 나방 등의 곤충알을 탄화시키며, 보관 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일반세균수와 산패변화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미강의 가열은 15분 내지 45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열 시간이 15분 미만으로 진행되면 미강에 존재하는 곤충알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량의 미강이 동시에 가공되는 경우 열 구배에 의해 일부 미강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제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미생물은 일부가 잔존하는 경우 미강의 보존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급격히 증식될 수 있으므로, 완전한 제거가 중요하다. 그리고 가열시간이 45분을 초과하여 진행되면 미강이 탄화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미강이 첨가된 식품에 쓴 맛을 나타내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열처리단계에서 사용된 미강으로는 리파아제에 의한 산패가 진행되지 않도록 7일 이내에 도정되어 0 내지 18℃의 온도범위로 보관된 생미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산패가 진행되기 전의 미강을 사용하면, 맛의 품질이 우수하고 단백 변성을 최대한 줄인, 우수한 식품용 미강분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미강 냉각 단계(S200)는 드라이 건조기를 통과한 드라이 미강을 충분히 30분 정도 상온 냉각 식히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미강 제분화 단계(S300)는 냉각된 미강을 미강 전용 제분기로서 약 30~50 마력 분쇄기에 정량을 투입하고, 시간당 200KG 생산 속도로 천천히 분쇄 한다. 이때, 분쇄기에서는 배출 기능을 이용하여 분쇄된 미세 입자를 이동속도를 조절하면서 고르게 원통으로 통과시킨다.
그런 다음, 분쇄한 미강을 100 메쉬 채를 통과시키고, 공기 중 습기를 흡수 할수 있어 신속히 밀봉 포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쌀 도정시 발생되는 미강을 효율적으로 제분할 수 있도록 하여 대부분 사료로 이용되는 것에서 벗어나 건강식으로 유용하고 위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업화로 국제 곡물 수요 급증에 대한 수급 불안을 해소하고, 기후 변화에 의한 국제 곡물 생산 불안정을 해소하고, 생산기반 및 경지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식품 유통과 소비 대응 신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미강에 다량의 식이섬유가 포함된 결과 당뇨나 고혈압, 변비에 유익한 영향을 제공하며, 식이섬유의 작용과 현미 영양으로 체중을 부작용 없이 감소시킬 수 있어서 다이어트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말화하여 현미 영양이 크게 농축되었으므로 인스턴트 음식에서 오는 영양의 불균형과 식이섬유 부족을 해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제분화 미강은 생미강의 유통기한 2일 이내를 24개월 까지 연장가능하고, 평균 생미강 수분 13-14%를 7% 전후로 보관 할 수 있어 미생물 즉, 세균수를 현저히 낮출 수 있고, 광범위한 식품, 피부용, 화장품류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유기농 원료는 유기농 버섯 재배 배지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항상 장기보관으로 2차 볶음, 발효 과정 원료로 고부가 가치 소재로 널리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특히 미강은 주로 식자재에 공급이 많음으로 방학 기간동안 도정을 하지 못해 원료 수급에 문제가 되지 않으며, 수입 미강 약 54.5톤(15년기준) 수입 대체 효과가 있고, 미국산, 호주산 밀가루 및 각종 전분 가루 수입 대체 효과가 크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분 미강은 생미강 보관시 냉장 및 냉동을 통한 제품 관리로 품질 저하 방지와 부대 비용 절감에 매우 유익하다.
이러한 제분 미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개념도인 도 2와 같은 장치를 통해 일괄적으로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는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강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미강살균건조기(100)와, 미강살균건조기(100)에서 건조 및 살균된 미강을 이동시키며, 냉각하는 미강냉각기(200), 및 미강냉각기(200)에서 냉각된 미강을 분쇄하는 미강제분기(300)로 구성되다.
이중 미강살균건조기(100)에 관하여 도 2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살균건조기의 개념도인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미강살균건조기(100)는 미강을 수용하는 건조기몸체(110)와,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을 건조기몸체(110)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 커버(120)와, 건조기몸체(110)에 수용된 미강을 교반하는 블레이드(131)를 갖는 회전로드(130), 미강을 살균시키는 램프(140), 건조기몸체(110)를 가열시키는 히팅블록(150) 및 건조/멸균이 된 미강을 배출시키는 배출밸브(160)로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강의 산폐를 방지하는 안정화처리는 소정의 온도에서 미강을 건조하여 미강 내부에 포함된 수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 미강의 건조와 살균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건조기몸체(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 보다 하부면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부(101)와, 제1몸체부(101)의 상단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제2몸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2몸체부(103)에는 건조기몸체(110) 내부로 미강을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120)가 배치되며, 커버(120)의 상면에는 하부방향으로 커버(12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로드(130)가 배치되며, 이러한 회전로드(130)의 외면에는 회전로드(130)의 회전시 건조기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미강을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31)가 배치된다.
앞에서 설명한 커버(120)의 일측에는 미강에 포함된 균을 사멸시킬 수 있도록 건조기몸체(110) 내부로 자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램프(140)가 배치되며, 제2몸체부(103)의 외면에는 제2몸체부(103)에 열을 가하는 히팅블록(150)이 배치된다.
여기서 히팅블록(150)은 면상발열체 등과 같이 전류의 통전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제2몸체부(103) 내부에 히팅블록(150)이 배치되는 경우 히팅블록(150)에 의하여 미강이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히팅블록(150)은 제2몸체부(103) 외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몸체부(103) 하부의 제1몸체부(101) 하단에는 건조 및 살균이 종료된 미강을 배출시키는 배출밸브(160)가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미강살균건조기의 하중센서부의 사시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제1몸체부(101)의 내면에는 건조기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미강의 무게를 측정하는 하중센서부(170)가 배치되어 커버(120)을 통하여 미강이 건조기몸체(110)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에서의 무게를 측정하고, 건조/멸균 과정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미강의 무게를 측정하여, 초기 수용시의 무게와 건조/멸균과정에서의 무게를 비교하여 미강의 최적의 건조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러한 하중센서부(170)는 하부 및 상부가 개방된 원뿔형상의 하중센서하우징(171)과, 하중센서하우징(171)저면과 상기 제1몸체부(101) 내면 사이에 배치된 로드셀(173)과, 하중센서하우징(171)저면과 제1몸체부(101) 내면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175)로 구성된다.
로드셀(173)은 하중센서하우징(171)을 통해 수용되는 미강의 하중을 전달받아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부몸체(110)의 내부는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므로, 로드셀(173)에서 센싱된 미강의 하중은 온도에 따라 편차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편차의 보정은 하중센서하우징(171)저면과 제1몸체부(101) 내면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175)를 통해 수행된다. 또한, 히팅블록(150)에 의하여 로드셀(173)의 온도가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몸체부(101)와 제2몸체부(103) 사이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단열물질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살펴본 커버(120)에는 커버(120)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21)의 로드(122)의 일단이 배치되어 미강의 투입시 커버(120)를 약 40 cm정도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부몸체(110) 내부의 청소 등을 위해 사용시에는 40 cm보다 높게 커버(120)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기몸체(110) 또는 커버(120)의 저면에는 건조기몸체(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09)가 배치되어 건조기몸체(110)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액추에이터(121)를 구동시켜 커버(120)를 상승시켜 건조기몸체(110) 내부의 압력을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건조기몸체(110)의 측면에는 건조기몸체(1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온도센서(105, 107)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온도센서(105, 107) 중 일 온도센서(105)는 타 온도센서(107)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강은 미세한 입자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약 200 도 이상의 온도에서 밀도가 높아지면 폭발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로드(130)의 회전에 따라 건조기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미강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건조기몸체(110) 내부 중 상부의 미강 밀도가 높아지는 경우를 센싱하여 회전로드(13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건조기몸체(110) 내부 중 상부의 미강을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폭발을 방지하여 미강 고른 건조를 유도할 수 있다. .
아울러 회전로드(130)의 내면에는 회전로드(130)의 외면에 형성된 노즐(131a)와 연통된 로드냉각유로(1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냉각수 또는 불활성 가스를 분사할 수 있다.
노즐(131a)를 통해 냉각수가 분사되는 경우, 건조기몸체(110) 내부의 온도 또는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되는 경우로, 건조기몸체(110) 내부에서 미강의 입자에서 폭발이 발생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긴급하게 냉각수를 분사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미강의 건조를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200도 미만의 고온의 불활성 가스를 로드냉각유로(133)를 통해 분사할 수 있으며, 150도 미만의 비교적 저온의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경우, 건조기몸체(110)를 내부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냉각기의 개념도인 도 5와 도 5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냉각기의 일부 절개도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강냉각기(200)는 양단에 이격하여 설치된 구동풀리(210) 및 종동풀리(220)와, 구동풀리(210) 및 종동풀리(220)의 구동시 회전되는 벨트(230)와, 벨트(230)의 상면에 이격하여 배치된 이송트레이(240) 및 구동풀리(210)와 종동풀리(220) 사이에 배치된 냉각파이프(250)로 구성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강살균건조기(100)를 통해 안정화 처리된 미강은 상온에서 냉각될 수 있으나, 상온 냉각과정은 약 30 분정도 소요되므로, 냉각과정을 보다 빠르게 진행하기 위하여 미강을 이송하는 벨트(230) 하부에 냉각수가 유동하는 냉각파이프(250)을 배치하여 벨트(230)를 통해 미강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냉각을 보다 빠르게 진행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미강 제분 제조장치의 미강제분기의 개념도인 도 7과 도 7에 도시된 미강제분기의 분쇄롤의 요부 사시도인 도 8 및 도 8에 도시된 분쇄롤의 일부 분해 사시도인 도 9를 참조하여 미강제분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강제분기(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강냉각기(200)를 통해 이송된 미강이 투입되는 투입호퍼(310)와, 투입호퍼(31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한쌍의 공급롤(321, 323)이 배치된 공급하우징(320)과, 공급하우징(32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한쌍의 분쇄롤(331)이 배치된 제분하우징(330) 및 제분하우징(330) 하부에 배치되는 배출호퍼(340)로 구성된다.
공급하우징(320) 내부에 배치된 공급롤(321, 323)은 투입호퍼(310)를 통해 미강은 균일하게 제분하우징(330)으로 공급하며, 제분하우징(330)으로 공급된 미강은 한쌍의 분쇄롤(331) 사이에서 분쇄되어 배출호퍼(340)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성 중 투입호퍼(310)의 내면에는 미강의 적층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강검출센서(311)가 높이를 다르게 하여 배치된다. 이때 사용되는 미강검출센서(311)는 광학식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롤(321, 323)의 하부에는 공급롤(321, 323)의 회전시 하부로 이송되는 미강을 분쇄롤(331)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플레이트(325)가 소정의 경사를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미강제분기의 분쇄롤의 요부 사시도인 도 8과, 도 8에 도시된 분쇄롤의 일부 분해 사시도인 도 9와, 도 9에 도시된 회전축센싱부의 사시도인 도 10을 참조하여 분쇄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분쇄롤(331)의 양단에는 회전축(331a)이 돌출되며, 회전축(331a)에는 장착부(331b)가 형성되어 회전축(331a)의 경사 및 경사방향을 측정하는 회전축센싱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한쌍의 분쇄롤(331)은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균일한 미강의 분쇄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분쇄롤(331)의 구동시 회전에 의하여 분쇄롤(331)의 경사, 경사방향 등은 조금씩 변동된다. 따라서 회전축센싱부(340)에는 장착부(331b)에 삽입되고, 내부에 자이로센서(343), 제1수준센서(345), 제2수준센서(347)가 설치된 센싱부하우징(341)로 구성되어 분쇄롤(331)의 회전축(331a)의 경사, 경사방향 및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회전축센싱부의 단면도인 도 11을 참조하면, 분쇄롤(331)의 회전시 회전축센싱부(340)가 회전축(331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회전축센싱부(340)는 경고하게 회전축(331a)의 장착부(331b)에 결합되어야 한다.
따라서 회전축센싱부(340)의 센싱부하우징(341)의 상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삽입홈(341a)이 형성되고, 삽입홈(341a)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압블록 이동로드(341b)가 배치되며, 이동로드(341b)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원뿔대 형상의 이동블록(341c)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센서부하우징(341)의 측면에는 삽입홈(341a)에 연통되는 관통홀(341d)가 형성되고, 관통홀(341d)에는 이동블록(341c)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블록(341c)의 외면에 맞닿아 회전축(331a)의 장착부(331b) 내면을 가압하는 지지로드(341e)가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동블록(341c)를 하부로 이동시키는 경우 지지로드(341e)가 센싱부하우징(341)에서 돌출되어 장착부(331b) 내면을 가압하며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때 도 11과 같이 지지로드(341)의 외면에 턱을 형성하여 관통홀(341d)와 지지로드(341e) 사이에 탄성체(341f)를 배치하여 진동에 의하여 이동블록(341c)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분쇄롤 구동부의 분해사시도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축(331a)의 경사 및 경사방향 등에 따라 회전축(331a)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회전축(331a)은 수직이동 프레임(350)에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수직이동 프레임(350)은 수평이동 프레임(3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어 회전축(331a)를 수직 및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축(331a)을 브래킷(353)에 회전가능하게 체결하고, 수직이동 프레임(350)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슬릿(351)을 형성하여, 브래킷(353)을 수직슬릿(351)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수직이동 프레임(350)의 브래킷(353)이 배치된 뒷면에는 브래킷(353)에 체결되는 수직이동블록(355)과, 수직이동블록(355)의 측면에서 수직이동블록(355)의 회전을 제어하는 한쌍의 레일(357)과, 회전시 수직이동블록(355)를 이동시키는 볼스크류(357a)와 볼스크류(357a)를 회전시키는 모터(357b)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347b)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의하여 회전축센싱부(340)에서 센싱된 회전축(331a)의 경사 및 경사방향에 따라 회전축(331a)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직이동 프레임(350)은 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평슬릿(361)이 형성된 수평이동 프레임(360)의 상면에 배치되고, 수평이동 프레임(360)의 하면에는 수평슬릿(361)을 관통하여, 수평이동 프레임(360)에 체결되는 수평이동블록(363)이 배치되고, 수평이동 프레임(360)의 하면에는 회전시 수평이동블록(363)을 이동시키는 볼스크류(365a)와 볼스크류(365a)를 회전시키는 모터(36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수직이동 프레임(350)은 모터(365b)의 구동시 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킷(353)의 상하이동 및 수직이동 프레임(350)의 횡 방향이동을 통하여 회전축(331a)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미강살균건조기 101 : 제1몸체부
103 : 제2몸체부 105, 107 : 온도센서
109 : 압력센서 110 : 건조기몸체부
120 : 커버 121 : 엑추에이터
122 : 로드 130 : 회전로드
131 : 블레이드 131a : 노즐
133 : 로드냉각유로 140 : 램프
150 : 히팅블록 160 : 배출밸브
170 : 하중센서부 171 : 하중센서하우징
173 : 로드셀 175 : 온도센서
200 : 미강냉각기 300 : 미강제분기

Claims (13)

  1. 도정과정에서 생산된 미강의 산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미강을 살균 및 건조시킨 후 냉각, 제분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에 있어서,
    투입된 미강을 수용하는 미강살균건조기(100);
    상기 미강살균건조기(100)에서 건조 및 살균된 미강을 이동시키며, 냉각시키는 미강냉각기(200); 및
    상기 미강냉각기(200)에서 냉각된 미강을 분쇄하는 미강제분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미강살균건조기(100)는
    상부면과 하부면이 개방되고, 상부면 보다 하부면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된 제1몸체부(101)와, 상기 제1몸체부(101)의 상단부에서 연장형성되고 상부면이 개방된 제2몸체부(1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에 미강(米糠)을 수용하는 건조기몸체(110);
    상기 제2몸체부(103)의 개방된 상부면을 개폐시키는 커버(120);
    상기 커버(120)의 상면에는 하부방향으로 상기 커버(120)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로드(130);
    상기 회전로드(130)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로드(130)의 회전시 상기 건조기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미강을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31);
    상기 커버(120)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기몸체(110) 내부로 자외선 또는 원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미강을 살균 및 건조시키는 램프(140);
    상기 제2몸체부(103)의 외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몸체부(103)에 열을 가하는 히팅블록(150); 및
    상기 제1몸체부(101)의 하부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제1몸체(101)의 하부면을 개폐시키는 배출밸브(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부(101)의 내면에는 상기 건조기몸체(110) 내부에 수용된 미강의 무게를 즉정하는 하중센서부(170)가 배치되고,
    상기 하중센서부(170)는
    하부 및 상부가 개방된 원뿔형상의 하중센서하우징(171);
    상기 하중센서하우징(171)저면과 상기 제1몸체부(101) 내면 사이에 배치된 로드셀(173); 및
    상기 하중센서하우징(171)저면과 상기 제1몸체부(101) 내면 사이에 배치된 온도센서(1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20)에는 상기 커버(120)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121)의 로드(122)의 일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몸체(110)의 측면에는 상기 건조기몸체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온도센서(105, 107)가 배치되고,
    상기 온도센서(105, 107) 중 일 온도센서(105)는 타 온도센서(107)보다 높게 배치되고,
    상기 커버(120)에는 상기 회전로드(130)를 회전시키는 모터(123)가 체결되어, 상기 일 온도센서(105)의 온도가 타 온도센서(107) 보다 높은 경우, 상기 건조기몸체(110)에 수용된 미강을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회전로드(13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일 온도센서(105)의 온도가 타 온도센서(107) 보다 낮은 경우 상기 회전로드(130)를 제1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기몸체(110)에는 상기 건조기몸체(1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09)가 배치되어 상기 건조기몸체(110) 내부의 압력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 상기 액추에이터(121)를 구동시켜 상기 커버(120)를 상승시켜 상기 건조기몸체(110) 내부의 압력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로드(130)의 내면에는 로드냉각유로(133)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냉각유로(133)는 상기 블레이드(131)의 외면으로 개방된 노즐(131a)과 연통되어, 냉각수 또는 불활성 가스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냉각기(200)는
    양단에 이격하여 설치된 구동풀리(210) 및 종동풀리(220);
    상기 구동풀리(210) 및 종동풀리(220)의 구동시 회전되는 벨트(230);
    상기 벨트(230)의 상면에 이격하여 배치된 이송트레이(240) 및
    상기 구동풀리(210)와 종동풀리(220) 사이에 배치된 냉각파이프(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강제분기(300)는
    상기 미강냉각기(200)를 통해 이송된 미강이 투입되는 투입호퍼(310);
    상기 투입호퍼(31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한쌍의 공급롤(321, 323)이 배치된 공급하우징(320);
    상기 공급하우징(320) 하부에 배치되고, 내부에 한쌍의 분쇄롤(331)이 배치된 제분하우징(330); 및
    상기 제분하우징(330) 하부에 배치되는 배출호퍼(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310)의 내면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복수 개의 미강검출센서(311)가 배치되고,
    상기 공급롤(321, 323)의 하부에는 상기 분쇄롤(331)의 중앙으로 미강을 이송을 유도하는 가이드플레이트(32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롤(331)의 양단에는 회전축(331a)이 돌출되며,
    상기 회전축(331a)에는 장착부(331b)가 형성되며,
    상기 장착부(331b)에는 상기 회전축(331a)의 경사 및 경사방향을 측정하는 회전축센싱부(340)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축센싱부(340)는
    상기 장착부(331b)에 삽입되는 센싱부하우징(341);
    상기 센싱부하우징(341) 내부에 설치된 자이로센서(343)와, 상기 회전축(331a)의 경사를 측정하는 제1수준센서(345)와, 상기 회전축(331a)의 경사방향을 측정하는 제2수준센서(3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하우징(341)의 상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삽입홈(341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41a)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가압블록 이동로드(341b)가 배치되며,
    상기 이동로드(341b)에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원뿔대 형상의 이동블록(341c)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센싱부하우징(341)의 측면에는 상기 삽입홈(341a)에 연통되는 관통홀(341d)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41d)에는 상기 이동블록(341c)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이동블록(341c)의 외면에 맞닿아 상기 회전축(331a)의 장착부(331b) 내면을 가압하는 지지로드(341e)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31a)은 수직이동 프레임(350)에 승하강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350)은 수평이동 프레임(3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350)에는 수직방향으로 수직슬릿(35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31a)에는 브래킷(353)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며,
    상기 브래킷(353)은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350)의 일면에서 상기 수직슬릿(351)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350)의 타면에는 상기 브래킷(353)에 체결되는 수직이동블록(355)과, 상기 수직이동블록(355)의 측면에서 상기 수직이동블록(355)의 회전을 제어하는 한쌍의 레일(357)이 배치되며,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350)의 타면 일측에는 회전시 상기 수직이동블록(355)를 이동시키는 볼스크류(357a)와 볼스크류(357a)를 회전시키는 모터(357b)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 프레임(350)은
    수평슬릿(361)이 형성된 수평이동 프레임(360)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수평이동 프레임(360)의 하면에는 상기 수평슬릿(361)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이동 프레임(360)에 체결되는 수평이동블록(363)이 배치되고,
    상기 수평이동 프레임(360)의 하면에는 회전시 상기 수평이동블록(363)을 이동시키는 볼스크류(365a)와 상기 볼스크류(365a)를 회전시키는 모터(365b)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강 제분 제조장치.
  13. 삭제
KR1020160009638A 2016-01-26 2016-01-26 미강 제분 제조장치 KR101641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38A KR101641374B1 (ko) 2016-01-26 2016-01-26 미강 제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9638A KR101641374B1 (ko) 2016-01-26 2016-01-26 미강 제분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374B1 true KR101641374B1 (ko) 2016-07-29

Family

ID=56617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638A KR101641374B1 (ko) 2016-01-26 2016-01-26 미강 제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37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4372A (zh) * 2016-12-24 2017-06-13 宁夏软件工程院有限公司 一种电解金属原料粉碎搅拌装置
KR101816915B1 (ko) * 2017-01-23 2018-01-09 김일 곡물 미세 분쇄 시스템
CN109430909A (zh) * 2018-10-24 2019-03-08 罗源县起步镇农业服务中心 一种食用菌粉制备系统
CN109499467A (zh) * 2018-12-27 2019-03-22 庆阳鹏达新型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真石漆混配设备
WO2019160277A1 (ko) * 2018-02-19 2019-08-22 주식회사 알지바이오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10639799A (zh) * 2019-09-27 2020-01-03 江苏瑞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粘度特水饲料专用全小麦面粉生产线
KR102062719B1 (ko) 2019-07-12 2020-01-06 김용철 곡물류 분말 가공 방법
KR102237075B1 (ko) * 2019-12-19 2021-04-08 주식회사 해담솔 돌자반 스틱형 파우치 제조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336B1 (en) * 1995-07-04 2002-02-19 Satake Eng Co Ltd Flour mill
JP2003180275A (ja) * 2001-12-18 2003-07-02 Sanwa Yushi Kk 脱脂糠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脱脂糠粉末
KR20030089678A (ko) 2003-11-05 2003-11-22 김미영 미강정분의 제조방법 과 그 활용
KR100436867B1 (ko) 2001-07-24 2004-06-23 민병우 밀기울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기능성 식품
KR20050038092A (ko) 2003-10-21 2005-04-27 정기봉 동결건조에 의한 미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진 미강
KR200416421Y1 (ko) * 2006-02-14 2006-05-16 주식회사 영일기계 엘리베이터형 곡물이송장치의 곡물냉각구조
KR100801889B1 (ko) * 2006-10-12 2008-02-12 박동옥 미강 저온열처리 건조기 및 건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336B1 (en) * 1995-07-04 2002-02-19 Satake Eng Co Ltd Flour mill
KR100436867B1 (ko) 2001-07-24 2004-06-23 민병우 밀기울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기능성 식품
JP2003180275A (ja) * 2001-12-18 2003-07-02 Sanwa Yushi Kk 脱脂糠粉末の製造方法および脱脂糠粉末
KR20050038092A (ko) 2003-10-21 2005-04-27 정기봉 동결건조에 의한 미강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진 미강
KR20030089678A (ko) 2003-11-05 2003-11-22 김미영 미강정분의 제조방법 과 그 활용
KR200416421Y1 (ko) * 2006-02-14 2006-05-16 주식회사 영일기계 엘리베이터형 곡물이송장치의 곡물냉각구조
KR100801889B1 (ko) * 2006-10-12 2008-02-12 박동옥 미강 저온열처리 건조기 및 건조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4372A (zh) * 2016-12-24 2017-06-13 宁夏软件工程院有限公司 一种电解金属原料粉碎搅拌装置
KR101816915B1 (ko) * 2017-01-23 2018-01-09 김일 곡물 미세 분쇄 시스템
WO2019160277A1 (ko) * 2018-02-19 2019-08-22 주식회사 알지바이오 배변유도 및 다이어트용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12040792A (zh) * 2018-02-19 2020-12-04 Rg生物有限公司 排便诱导及减肥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10959452B2 (en) 2018-02-19 2021-03-30 Rg Bio Co., Ltd Composition for induced bowel movement and die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09430909A (zh) * 2018-10-24 2019-03-08 罗源县起步镇农业服务中心 一种食用菌粉制备系统
CN109499467A (zh) * 2018-12-27 2019-03-22 庆阳鹏达新型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真石漆混配设备
CN109499467B (zh) * 2018-12-27 2024-02-23 庆阳鹏达新型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真石漆混配设备
KR102062719B1 (ko) 2019-07-12 2020-01-06 김용철 곡물류 분말 가공 방법
CN110639799A (zh) * 2019-09-27 2020-01-03 江苏瑞牧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粘度特水饲料专用全小麦面粉生产线
KR102237075B1 (ko) * 2019-12-19 2021-04-08 주식회사 해담솔 돌자반 스틱형 파우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374B1 (ko) 미강 제분 제조장치
KR101642353B1 (ko) 미강 제분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미강 제분 제조장치
Rani et al. Pearl millet processing: a review
US20110250314A1 (en) Activated Cranberry Powder
US10785983B2 (en) Method for producing intensified whole-cereal flour by means of pulsed electric fields in collaboration with ultrafine pulverization
KR20170035449A (ko) 발아메밀가루가 첨가된 발아커피가루의 제조방법
EP1633204B1 (en) Olive powder
KR101877418B1 (ko) 유산균 발효 떡의 제조방법
CN106579094A (zh) 紫花苜蓿精粉的生产工艺
Jeevarathinam et al. Pigeon pea
CN104783040A (zh) 源自燕麦麸皮的食品组合物及其制造方法
WO2003060406A1 (en) Method of treating comestible material for disinfestation, enzyme denaturation and microorganism control
CN104187280A (zh) 一种小麦糊粉层内容物熟化工艺及其制品
US6306344B1 (en) Method for retaining or enriching γ-aminobutyric acid in green grass leaves
EP0852911A2 (en) A process for preparing a particulate product from spent grains and a particulate product obtainable by said method
CA2582376C (en) Methods for roasting oil seed, and roasted oil seed products
Rastogi Infrared heating of foods and its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processing
KR100679848B1 (ko) 상황버섯성분이 함유된 곡물의 발아방법 및 발아장치
RU2250045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мука из пивной дробины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Olatunde et al. Emerging pet food drying and storage strategies to maintain safety
KR102108497B1 (ko) 극저온 초미세분쇄 공정을 이용한 발아곡물 분말의 제조방법
RU2528714C2 (ru)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акриламида
RU2787189C1 (ru) Линия производства высокоусвояемых комбикормов с твердофазным культивированием для крупнорогатого скота
JP5090199B2 (ja) こごみパウダーの製造方法
WO2004039420A1 (en) Method of treating comestible material for disinfestation, enzyme denaturation and microorganism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