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125B1 -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 Google Patents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125B1
KR101641125B1 KR1020150184953A KR20150184953A KR101641125B1 KR 101641125 B1 KR101641125 B1 KR 101641125B1 KR 1020150184953 A KR1020150184953 A KR 1020150184953A KR 20150184953 A KR20150184953 A KR 20150184953A KR 101641125 B1 KR101641125 B1 KR 101641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nel
waterproof
profile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4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훈
Original Assignee
정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훈 filed Critical 정영훈
Priority to KR1020150184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1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23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28Tray or frame type panels or block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containing specially shaped acoustical bodies, e.g. funnels, egg-crates, fanf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Hz] 가변식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포함한 외벽에 설치하여 건물주변에서 발생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소음, 건물이나 공장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계소음 외에 지하 터널 등에 사용하여 터널내부 벽면에서의 다중반사 현상에 의한 소음 에너지를 저감시키고, 통풍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유입되는 빗물이 하부로 흘러내려 배출되도록 하여 패널 외부가 오염된 경우 물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통기성, 방음성, 확산성, 흡음성, 방우성 및 장기사용에 따른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며 소음의 주파수[Hz] 원의 형태에 따라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Hz]가변식 방수 흡음·확산패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며 모듈로 제작되어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타공이 형성된 알루미늄 유공판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방음공이 형성된 알루미늄 흡음판으로 이루어진 흠음판넬과; 상기 알루미늄 유공판의 전방에 결합하며 보강 연결대와 고정대 홈이 형성된 고정대와 결합하며 전방에서 빗물을 모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모음홈으로 이루어진 내부 프로파일과, 상기 내부 프로파일의 전방에 설치하며 외측에 제1, 2 경사면이 형성되어 빗물을 차단하는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음향 분산판넬로 이루어지는 방수·흡음판넬에 있어서,
상기 방수 음향 분산판넬의 고정대는 양면 테이프와 용접 및 볼팅 중 어느 하나로 알루미늄 유공판의 전방에 고정하며 보강 연결대와 고정대 홈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보강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Capable of tilting variable frequency · waterproof sound absorption panels}
본 발명은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Hz] 가변식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창문을 포함한 외벽에 설치하여 건물주변에서 발생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소음, 건물이나 공장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계소음 외에 지하 터널 등에 사용하여 터널내부 벽면에서의 다중반사 현상에 의한 소음 에너지를 저감시키고, 통풍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고, 유입되는 빗물이 하부로 흘러내려 배출되도록 하여 패널 외부가 오염된 경우 물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통기성, 방음성, 확산성, 흡음성, 방우성 및 장기사용에 따른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며 소음의 주파수[Hz] 원의 형태에 따라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Hz]가변식 방수 흡음·확산패널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함에 따라 각종 교통수단과 산업기계의 사용이 증가하게 되면서 많은 소음을 유발하게 되고, 이는 심각한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소음공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론적으로 소음 원인을 줄이는 것이 가장 좋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소음공해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거듭되고 있으며, 소음공해를 줄이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운전조건이나 운전비용, 효율 등과 서로 맞물려 개선범위가 사실상 제한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음재의 사용에 의해 또는 흡음재를 이용한 방음판에 의해 소음 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전파의 흡음 또는 확산시킴으로써 소음을 줄이는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현재 흡음재로 사용되고 있는 재료로서는 유리섬유, 암면, 발포재, 목재, 시멘트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미국특허 제5,304,415호에서는 폴리에스터 부직포에 칼슘실리케이트, 실린카 및 마이카 등의 다공성 미립자를 내부에 함유시켜 저주파 영역의 흡음성을 증가시킨 흡음재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056,161호에서는 기존의 유리면 재질의 흡음재에 시공 시 취급의 용이성과 우선 시 수분에 의한 흡음재의 처짐을 방지할 목적으로 폴리염화시킬커버를 입힌 흡음재가 제안되어 있다.
그리고 국내특허등록번호 제1254118호(2013. 04. 08. 등록)는 내부에 초극세사 필라멘트가 형성되는 한편 밀도가 각기 다른 층을 갖는 폴리에스터, 상기 폴리에스터의 전면에 형성된 난연재로 된 망사지; 상기 망사지의 전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흡음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유공알루미늄판과; 상기 폴리에스터의 후면에 형성된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후면에 형성되고 이형지로서 보호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건물의 내부를 물론 외벽 또는 창문에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는 생활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줄이고자 외벽에 흡음판넬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와 같이 건물 외부에 설치하게 되면 빗물에 의해 흡음판넬이 쉽게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빗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254118호(2013. 04. 08. 등록)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48261호(2010. 03. 22. 등록) 문헌 3.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57527호(2011. 12. 16. 등록) 문헌 4.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56149호(2001. 11. 21. 등록)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창문을 포함한 외벽에 설치하여 흡음판넬의 알루미늄 타공판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알루미늄 흡음판을 통하여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소음, 건물이나 공장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계소음 이외에 터널 등에 사용하여 터널내부 벽면에서 다중반사 현상에 의한 소음 에너지를 저감시키고, 통풍에 의한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흡음판넬의 전방에 이중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설치하여 소리에너지는 유입되어 부채살 같이 공간으로 확산화 흡음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난반사에 의한 음향학적교란, 저음공진과 같은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하며 외부에 빗물이 유입되면 내부로 침투하지 않고 하부로 흘러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이중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 내부 프로파일을 고정대와 이중으로 설치하되; 소음의 주파수[Hz] 원의 유형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이 되는 틸팅 구조로 공기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통기성, 방음성, 확산성, 흡음성, 방우성 및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이중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오염되는 경우 물을 이용하여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며 모듈로 제작되어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타공이 형성된 알루미늄 유공판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방음공이 형성된 알루미늄 흡음판으로 이루어진 흠음판넬과; 상기 알루미늄 유공판의 전방에 결합하며 보강 연결대와 고정대 홈이 형성된 고정대와 결합하며 전방에서 빗물을 모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모음홈으로 이루어진 내부 프로파일과, 상기 내부 프로파일의 전방에 설치하며 외측에 제1, 2 경사면이 형성되어 빗물을 차단하는 외부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음향 분산판넬로 이루어지는 방수·흡음판넬에 있어서,
상기 방수 음향 분산판넬의 고정대는 양면 테이프와 용접 및 볼팅 중 어느 하나로 알루미늄 유공판의 전방에 고정하며 보강 연결대와 고정대 홈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보강대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창문을 포함한 외벽에 설치하여 흡음판넬의 알루미늄 타공판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알루미늄 흡음판을 통하여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소음과 건물이나 공장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계소음 이외에 터널 등에 사용하여 터널내부 벽면에서 다중반사 현상으로 발생하는 소음 에너지를 저감시키고, 통풍에 의한 자연 환기를 통해 쾌적한 환경의 조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흠음판넬의 전방에 이중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설치하여 외부에 빗물이 유입되면 외부의 프로파일은 내부의 한 곳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내부의 프로파일은 빗물이 한 곳으로 모여 내부로 침투하지 않고 하부로 흘러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수가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 알루미늄 프로파일 중 내부 프로파일을 고정대와 이중으로 설치하되; 소음의 주파수[Hz] 원의 유형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하는 틸팅 구조로 공기의 이송량을 조절하여 통기성, 방음성, 확산성, 흡음성, 방우성 및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함으로서 주변 여건에 따른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의 알루미늄 프로파일이 노출된 상태에서 오염되는 경우 외부에서 물을 뿌려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벽이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내부를 보인 일부 절단상태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평면 단면도의 요부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측면 단면도의 상부 요부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측면 단면도의 하부 요부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용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내부 프로파일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내부 프로파일의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고정대의 평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방수용 소음 분판넬에 대한 고정대의 측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외부 프로파일의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내부를 보인 일부 절단상태 정면도이고, 도2 는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설치상태 측면 단면도, 도3 은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 단면도, 도4 는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평면 단면도의 요부확대도, 도5 는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측면 단면도의 상부 요부확대도, 도6 은 본 발명의 방수 흡음·확산판넬에 대한 측면 단면도의 하부 요부확대도를 나타낸 것이다.
모듈로 제작하여 조립식으로 건물의 외벽이나 창문에 설치하는 사각형의 흡음판넬(20) 전방에서 내부 프로파일(32)과 외부 프로파일(40)을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하여 소리에너지는 유입되어 부채살 같이 공간으로 확산과 흡음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여 난반사에 의한 음향학적 교란, 저음공진과 같은 각종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하며, 소음과 빗물 및 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과, 상기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의 하측으로 빗물이 하측으로 배수되도록 하는 빗물 배수캡(50)으로 이루어지는 방수 흡음·확산판넬(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흠음판넬(20)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전방과 후방에 장공형의 타공(21a)이 형성된 알루미늄 유공판(21, 22)을 설치하고, 상기 알루미늄 유공판(21, 22)의 사이 양쪽 측면 선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흡음판 고정홈(24)이 형성된 흡음판 고정대(23)를 설치한 후, 상기 흡음판 고정홈(24)에 방음공(25a)이 형성된 알루미늄 흡음판(25)을 결합하여 고정스크류(26)로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단, 사용환경 및 음향의 조건에 따라 유공판 이외에도 유리섬유나 암면 발포제를 사용하여 흡음판넬을 제작하여 용도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흡음판넬(20)의 전방에는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이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흡음판넬(20)과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의 가장 상측에는 상부 마감 캡(54)으로 마감되는 배수 마감 캡(53)이 위치하고, 하측에는 빗물 배수 캡(50)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은 사각형의 코너부분을 따라서 방수 케이스(31)로 감싸지며, 빗물이 계속해서 하측 방향으로 흐르도록 장공(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은 방수 케이스(31)의 내부에서 외부에 고정되도록 외부 프로파일(40)을 설치하고, 상기 외부 프로파일(40)의 내부에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내부 프로파일(32)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을 틸팅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대(36)는 양면 테이프(39) 또는 용접 및 볼팅으로 알루미늄 유공판(21)의 전방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은 전방이 호상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돌출된 중앙의 양쪽 선단에 형성한 모음홈(33)의 외측에 방지턱(35)이 형성되어 고정대(36)와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 프로파일(32)과 고정대(36)의 지그재그 형태를 결합하여 일치시킨 후 방수 케이스(31)에서 스터드 볼트(54)를 관통시켜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며, 틸팅에 의해 흡음량을 조절한 후 일체형이 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외부 프로파일(40)은 내부 프로파일(32)의 사이 전방에 설치하며 빗물이 내부의 프로파일(32) 중앙 부분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형태를 제공하고 방수 케이스(31)와 상측과 하측에서 나사식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방수 케이스(31)의 하측에는 하측 후레임(50)이 설치되고, 하측 후레임(50)는 내부의 중앙에서 배수 안내대(51)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 안내대(51)의 전방에는 배수구(52)를 길게 형성하여 유입된 빗물이 하측으로 흘러 배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용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내부 프로파일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내부 프로파일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내부 프로파일(32)은 호상으로 돌출된 라운드 돌기(32a) 양쪽의 모음홈(33) 외측으로 방지턱(35)을 형성하여 빗물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고 하측으로 흘러내리도록 형성하고, 상기 라운드 돌기(32a)의 중앙에서 후방으로 라운드 연결대(34b)를 돌출시키되; 상기 라운드 연결대(34b)의 후방에 형성하는 보강대(34)는 일정한 간격에 보강대 홈(34a)을 형성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절단하며 평면에서 볼 때 "
Figure 112015126381810-pat00001
"형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고정대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방수용 소음 분판넬에 대한 고정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대(36)는 알루미늄 유공판(21)의 전방에 양면 테이프(39) 또는 용접 및 볼팅으로 고정되며 원형의 보강 연결대(37)를 돌출하되; 내부 프로파일(32)과 결합되는 고정대 홈(38)을 지그재그 형태로 성형하여 평면에서 볼 때 "
Figure 112016024905764-pat00002
"형으로 형성하여 내부 프로파일(32)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에 대한 외부 프로파일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의 외부 프로파일(40)은 "
Figure 112015126381810-pat00003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의 사이에서 전방에 설치하며 "Y"자 보강대(43)의 전방으로 외측에서 좌측방향으로 가로방향의 일자형태로부터 제1 경사면(41)이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Y"자 보강대(43)의 중앙과 만나도록 가로방향의 일자형태로부터 좌측에 제2 경사면(42)이 안쪽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우측과 좌측의 안쪽으로 나사로 고정하는 고정홈(44, 45)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은 내부 프로파일(32)과 외부 프로파일(40)이 서로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고, 빗물이 외부 프로파일(40)에 의해 내부로 이동되어 라운드 돌기(32a)와 충돌하면 양쪽의 모음홈(33)에 모여 하측으로 흘려내려 배출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은 고정대(36)와 틸팅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타공(21a)이 형성된 알루미늄 유공판(21, 22)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방음공(25a)이 형성된 알루미늄 흡음판(25)으로 이루어진 흠음판넬(20)과; 상기 알루미늄 유공판(21)의 전방에 결합하며 보강 연결대(37)와 고정대 홈(38)이 형성된 고정대(36)와 결합하며 전방에서 빗물을 모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모음홈(33)으로 이루어진 내부 프로파일(32)과,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의 전방에 설치하며 외측에 제1, 2 경사면(41, 42)이 형성되어 빗물을 차단하는 외부 프로파일(40)을 갖는 방수 음향 분산판넬(3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 음향 분산판넬(30)의 고정대(36)는 양면 테이프(39)와 용접 및 볼팅 중 어느 하나로 알루미늄 유공판(21)의 전방에 고정하며 보강 연결대(37)와 고정대 홈(38)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보강대(34)가 결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건물 외부 벽이나 창문에 설치하여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소음을 줄이며,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으로,
건물 외부 벽이나 창문에 모듈로 제작하여 조립식으로 건물 외벽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며,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외부 프로파일(40)과 내부 프로파일(32)로 이루어진 방수판넬(30)을 통과한 후 흡음판넬(20)의 알루미늄 유공판(21, 22)과 다층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흡음판(25)을 통하여 소음이 차단되는 것이다.
상기 흡음판넬(20)은 알루미늄 유공판(21, 22)의 사이에 설치한 흡음판 고정대(24)의 흡음판 고정홈(24)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알루미늄 흡음판(25)을 설치함으로써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단, 사용환경 및 음향이 조건에 따라 유공판 이외에도 유리섬유나 암면 발포제를 사용하여 흡음판넬을 제적하여 용도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흡음판넬(20)은 건물 외벽뿐만 아니라 창문에 설치하여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생활소음과, 건물이나 공장내부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기계소음 외에 지하 터널 등에 설치하여 터널내부 벽면에서의 다중반사 현상에 의한 소음 에너지를 저감시키고, 통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자연 환기가 가능하도록 한다.
방수 흡음·확산판넬(10)이 설치된 상태에서 비가 오게 되면 빗물이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의 외부 프로파일(40)에 의하여 차단되며, 제1 경사면(41)을 통하여 우측에서 좌측으로 빗물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하는 빗물은 제2 경사면(42)을 통하여 내부 프로파일(32)의 라운드 돌기(32a)에 충돌되어 양쪽의 모음홈(33)에 유입되는 것이다.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에 안내받지 못한 빗물은 외부 프로파일(4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지만, 내부 프로파일(32)의 모음홈(33)에 모아지게 되며, 상기 모음홈(33)의 외측에 형성된 방지턱(35)을 통하여 더 이상 내부로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는 방수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모음홈(33)에 모아진 빗물은 수직 설치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흘러 방수 케이스(31)에 형성된 장공(31a)에서 빗물 배수 캡(50)에 배출되고, 빗물 배수 캡(50)에 배출된 빗물은 배수 안내대(51)를 통하여 경사진 상태로 안내되어 배수구(52)에서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구(52)의 하측에 방수 흠음·확산판넬(10)이 설치된 경우에는 모음홈(33)을 통하여 하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통하여 가장 하측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은 고정대(36)와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고정하여 틸팅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의 보강대(34)는 고정대(36)의 고정대 홈(38)에 결합하고,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의 보강대 홈(34a)에는 고정대(36)의 보강 연결대(37)가 요철형태로 결합하게 되며, 방수 케이스(31)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스터드 볼트(54)를 관통시켜 함께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내부 프로파일(32)과 고정대(36)를 연결한 후에는 내부 프로파일(32)을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스터드 볼트(54)를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외부 프로파일(40)을 통과한 음량의 분산을 달리할 수 있도록 틸팅 함으로써 흡음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내부 프로파일(32)을 틸팅하여 최적의 흡음율을 제공하는 상태로 조정한 후 스터드 볼트(54)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어서 내부 프로파일(32)을 통한 방수 및 흡음율의 제어 가능한 것이다.
특히, 통기성, 방음성, 확산성, 흡음성, 방우성 및 장기사용에 따른 유지보수성을 고려하며 소음의 주파수[Hz] 원의 형태에 따라 내부 프로파일(32)을 최적의 상태로 틸팅하는 것이다.
상기 방수용 음향 분산판넬(30)이 설치된 상태에서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를 제공하므로, 시간이 경고함에 따라서 오염으로 인하여 청소가 필요한 경우, 외부에 물 또는 세척제를 이용하여 내부 프로파일(32)과 외부 프로파일(40)의 외측면을 세척하여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과 창문의 외부에 모듈로 제작하여 설치된 후 건물 주변에서 발생하는 생활소음과, 빗물을 차단하여 흡음효과와 방수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며, 내부 프로파일을 틸팅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파수 가변식 방음 및 방수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방수 흡음·확산판넬 20 : 흠음판넬
21, 22 : 알루미늄 유공판 21a : 타공
23 : 흡음판 고정대 24 : 흡음판 고정홈
25 : 알루미늄 흡음판 25a : 방음공
30 : 방수 음향 분산판넬 31 : 방수 케이스
31a : 장공 32 : 내부 프로파일
32a : 라운드 돌기 33 : 모음홈
34 : 보강대 34a : 보강대 홈
34b : 라운드 연결대 35 : 방지턱
36 : 고정대 37 : 보강 연결대
38 : 고정대 홈 40 : 외부 프로파일
41 : 제1 경사면 42 : 제2 경사면
43 : "Y"자 보강대 44, 45 : 고정홈
50 : 빗물 배수 캡 51 : 배수 안내대
52 : 배수구 53 : 배수 마감 캡

Claims (10)

  1.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며 모듈로 제작되어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타공(21a)이 형성된 알루미늄 유공판(21, 22)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방음공(25a)이 형성된 알루미늄 흡음판(25)으로 이루어진 흠음판넬(20)과; 상기 알루미늄 유공판(21)의 전방에 결합하며 보강 연결대(37)와 고정대 홈(38)이 형성된 고정대(36)와 결합하며 전방에서 빗물을 모아 하측으로 배출하는 모음홈(33)으로 이루어진 내부 프로파일(32)과,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의 전방에 설치하며 외측에 제1, 2 경사면(41, 42)이 형성되어 빗물을 차단하는 외부 프로파일(40)을 갖는 방수 음향 분산판넬(30)로 이루어지는 방수·흡음판넬에 있어서,
    상기 방수 음향 분산판넬(30)의 고정대(36)는 양면 테이프(39)와 용접 및 볼팅 중 어느 하나로 알루미늄 유공판(21)의 전방에 고정하며 보강 연결대(37)와 고정대 홈(38)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보강대(34)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프로파일(32)은 라운드 연결대(34b)의 전방에서 호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양쪽 선단에 빗물이 모아지도록 하는 모음홈(33)의 외측으로 방지턱(35)이 형성되며 평면에서 볼 때 "
    Figure 112015126381810-pat00005
    "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프로파일(40)은 내부의 "Y"자 보강대(43) 전방에 평면으로 형성한 좌측으로 제1 경사면(41)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경사면(41)에서 평면이 되도록 형성하며 좌측으로 제2 경사면(42)을 형성하며, 양쪽 선단에 고정홈(44, 45)을 형성하여 평면에서 볼 때 "
    Figure 112015126381810-pat00006
    "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KR1020150184953A 2015-12-23 2015-12-23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KR101641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53A KR101641125B1 (ko) 2015-12-23 2015-12-23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4953A KR101641125B1 (ko) 2015-12-23 2015-12-23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125B1 true KR101641125B1 (ko) 2016-07-20

Family

ID=5668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4953A KR101641125B1 (ko) 2015-12-23 2015-12-23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1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304A (zh) * 2018-08-13 2018-12-14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室外吸音器及室外吸音墙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21863A (ja) * 1996-10-16 1998-05-12 Kazuhiro Ishikawa 縦型防水防音可動ルーバー
KR100256149B1 (ko) 1992-06-09 2000-05-15 죤 제이.키세인 유도 잡음 제거용의 대칭된 드라이브 회로
KR100448261B1 (ko) 2000-05-24 2004-09-10 고종학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457527B1 (ko) 2002-06-24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정착롤러의 인쇄대기모드 전력제어방법
JP2008138505A (ja) * 2006-11-02 2008-06-19 Kobe Steel Ltd 吸音構造体
JP2009084962A (ja) * 2007-10-03 2009-04-23 Robinhood:Kk 防水及び防雪型換気ルーバ
KR101254118B1 (ko) 2010-11-25 2013-04-15 주식회사 코폼 유공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6149B1 (ko) 1992-06-09 2000-05-15 죤 제이.키세인 유도 잡음 제거용의 대칭된 드라이브 회로
JPH10121863A (ja) * 1996-10-16 1998-05-12 Kazuhiro Ishikawa 縦型防水防音可動ルーバー
KR100448261B1 (ko) 2000-05-24 2004-09-10 고종학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457527B1 (ko) 2002-06-24 200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정착롤러의 인쇄대기모드 전력제어방법
JP2008138505A (ja) * 2006-11-02 2008-06-19 Kobe Steel Ltd 吸音構造体
JP2009084962A (ja) * 2007-10-03 2009-04-23 Robinhood:Kk 防水及び防雪型換気ルーバ
KR101254118B1 (ko) 2010-11-25 2013-04-15 주식회사 코폼 유공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9304A (zh) * 2018-08-13 2018-12-14 中国电建集团江西省电力设计院有限公司 室外吸音器及室外吸音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349B2 (ja) 建物の排気構造、建物、及び二重外壁構造
JP6271213B2 (ja) 吸音パネル及び防音壁設備
RU2640834C1 (ru) Многослойный реставрацион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1869420B1 (ko) 분진제거기능 패널을 결합한 형상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641125B1 (ko)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JP2014037671A (ja) ブース装置及びその天井部ユニット
CN103953125B (zh) 一种预制空调板支座处防火安装施工方法
JP5117978B2 (ja) 換気構造
KR101305239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방지 뜬바닥 구조체
JP2008150904A (ja) 建築物の小屋裏換気構造
JPH08144390A (ja) 透光性吸音パネル体構造
JP4086715B2 (ja) 壁構造及び建物
CN112900734B (zh) 一种装配式建筑用防火隔音墙板
JP4846328B2 (ja) 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用壁体および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物、ならびに建築物の防火方法
KR10186312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베이스트랩
JP4000145B2 (ja) 外断熱工法を用いた屋根構造
JP5342051B2 (ja) 建築物の小屋裏換気構造
KR101913514B1 (ko) 볏짚과 글라스울을 이용한 단열벽체
KR200411167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구조
JP2011185039A (ja) 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用壁体および遮炎機能を備えた建築物、ならびに建築物の防火方法
AU2018363745B2 (en) Sound-absorbing roof construction of a hall having reduced reverberation time
KR101177348B1 (ko) 건축용 이중 샌드위치 패널
JP7158612B1 (ja) 消音換気構造及び消音換気構造の施工方法
JP2004293132A (ja) 外壁構造および複合外壁パネル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