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8261B1 -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8261B1
KR100448261B1 KR10-2001-0028611A KR20010028611A KR100448261B1 KR 100448261 B1 KR100448261 B1 KR 100448261B1 KR 20010028611 A KR20010028611 A KR 20010028611A KR 100448261 B1 KR100448261 B1 KR 100448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control
formula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0559A (ko
Inventor
고종학
Original Assignee
고종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종학 filed Critical 고종학
Priority to KR10-2001-002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8261B1/ko
Publication of KR20010070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0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8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8261B1/ko

Link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1.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에디터, 워드 프로세서, 다이어그램 편집기, 스프레드시트, 및 전자 우편 편집기 등이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상에서 수식을 편집하는 수식 편집 시스템 및 수식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모든 수식 편집을 키보드를 통한 입력만으로도 가능케 하고, 개개의 수식 기호를 최대 2개의 동시 입력 키 코드만으로 매핑 시키며 유사한 제어 수식들은 공통의 키 코드로 통합화하여 수식 편집에 필요한 키 입력의 횟수를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수식 편집 속도를 향상시키는 수식 편집 시스템 및 수식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조합키 코드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키가 수식 편집키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및 상기 제1단계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키에 대응하는 수식 기호를 편집하고 상기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키를 수신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합키 코드 테이블은 수식 기호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조합키 코드 간의 매핑 정보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수식 편집에 이용됨.

Description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Method and Medium for Editing Mathematical Equation by Using Keyboard}
본 발명은 에디터, 워드 프로세서, 다이어그램 편집기, 스프레드시트, 및 전자 우편 편집기 등이 탑재되어 있는 컴퓨터 상에서 수식을 편집하는 수식 편집 시스템 및 수식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문서 편집기에 별도로 실행되는 수식 편집기가 마련되어 있어 사용자가 수식 편집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문서 편집기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수식 편집기를 실행시켜 수식 편집 윈도우를 활성화한다. 수식 편집기는 사용자로부터 수식 편집 윈도우를 통해 각각의 수식을 설명하는 문자열코드와 구분기호({})를 입력받은 후 이를 해석하는 과정을 거쳐 수식을 편집, 문서 편집기로 출력하게 된다.
도1a 내지 도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예시도이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은 문서 편집기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수식 편집기를 실행시켜 수식 편집 윈도우를 활성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식 편집기 윈도우 상에서 키보드(101)를 통해 수식(102)에 대한 설명어(103)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모든 수식 편집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사용자의 수식 편집 작업에 의해 입력된 수식 설명어(103)를 수식 편집기가 해석하여 문서 편집기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단한 수식(102)을 구성하는 수식 기호에 해당하는 설명어(103)가 각각 3 개 내지8 개의 문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식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많은 키 입력이 필요하며 개개의 설명어 코드를 일일이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1b는 그리스어를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 윈도우(110)에 나타난 그리스어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수식 설명어 창(111)에 설명어 [ ALPHA ~BETA ~GAMMA ~DELTA ~~~~~~ alpha ~beta ~gamma ~delta ]- 이하에서는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키를 나타내기 위해 괄호 [ ]를 사용한다 -를 입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키 입력의 회수는 무려 57회에 달한다.
또한 제어가 유사한 수식들에 대해 각각 다른 설명어로 매핑(mapping) 되어 있어, 수식 편집을 위해 많은 횟수의 키보드 입력이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과 300여 개의 설명어코드를 알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1c는 첨자(Script)를 포함하는 수식을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 윈도우(110)에 나타난 위의 수식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수식 설명어 창(111)에 설명어 [ X_S6 ^S3~~~~~~~~~int from S6 to S3~~~~~~~~~~~^S1 sqrt {X}~~~~~~~~~~~ Lim from { S5 } ]를 입력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키 입력의 회수는 81회에 달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출력 위치가 비슷한 수식(도1c에서의 S3 및 S6와의 S3 및 S6)끼리도 '^', '_', 'from', 'to'의 설명어로 따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사하게 제어될 수 있는 수식에 대해서도 상이한 수식 설명어로 키 입력을 해야 하기 때문에 수식 입력 제어에 일관성이 없으며 키 입력의 회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인 도1d는 행렬 수식을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 윈도우(110)에 나타난 위의 수식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수식 설명어 창(111)에 설명어 [ X = DMATRIX{{a1} & {a2} # {b1} & {b2}} ]를 입력한다. 키 입력 회수는 32회이다. 행렬식을 의미하는 설명어 'DMATRIX', 행 구분 설명어 '#', 열 구분 설명어 '&' 및 각 요소를 감싸는 '{}'를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 행렬과 연립 방정식용 수식 편집기에서는 각각 다른 명령어와 'LEFT{', RIGHT}'설명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도1e는 연산자를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 윈도우(110)에 나타난 위의 연산자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수식 설명어 창(111)에 설명어 [ TIMES ~~~~~ Image ~~~~~ ANGLE ~~~~~ SUBSETEQ ~~~~~ BIGOTIMES ]를 입력한다. 이를 위한 키 입력의 회수는 60회에 달한다. 각각의 연산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3 회 내지 8 회의 키 입력을 필요로 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GUI(Graphic User Interface) 개념을 도입하여 수식 템플릿을 아이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많은 키 입력을 하지 않고서도 수식을 편집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2a 내지 도2e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예시도이다.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종래 기술은 문서 편집기가 실행되어 있는 상태에서 별도의 수식 편집기를 실행시키게 되면 수식 편집기는 수식 편집 윈도우 상에서 각 수식에 해당하는 템플릿(203)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템플릿을 선택하여 수식 편집을 할 수 있어 수식 편집이 용이하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수식 템플릿 선택에 마우스(202)와 같은 또 다른 입력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수식 편집을 위해 두 개의 입력장치(201, 202)를 동시에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2b는 그리스어를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 창(210)에 나타난 그리스어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수식 템플릿에서 해당하는 그리스어 템플릿을 마우스로 선택하는 과정과 '스타일(S)'메뉴에서 '텍스트' 하부 메뉴를 선택하여 수식 입력 모드를 텍스트 모드로 전환시킨 후에 키보드에서 스페이스 바를 입력하여 공백' '을 입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한다.
또한 도2c는 첨자를 포함하는 수식을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 윈도우(210)에 나타난 위와 같은 수식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수식템플릿에서 해당하는 템플릿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수식 기호()를 입력하고 키보드를 통해 첨자 값을 입력함으로써 수식을 완성해 나가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여러 수식 기호로 구성된 수식을 편집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수식 기호를 완성하고 공백(스페이스 키) 입력을 하기 위해서는 매번 '스타일(S)' 메뉴의 하부 메뉴에서 '텍스트' 메뉴를 선택하여 수식 입력 모드를 텍스트 모드로 전환시킨 후에 스페이스 바를 통해 공백을 입력하여야 한다. 또한 다시 수식 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스타일(S)' 메뉴의 하부 메뉴에서 '수학' 메뉴를 선택하여 텍스트 모드를 수식 입력 모드로 전환시킨 후에 수식 기호틀을 완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는 키보드와 마우스의 2개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수식을 편집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우스를 통해 수식 기호를 입력하도록 메뉴 형태로 수식 기호를 제공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구조의 수식을 모두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2d는 행렬 수식을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창(210)에 나타난 위와 같은 수식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텍스트 모드에서 'X='를 입력한 후, 수식 템플릿에서 행렬을 나타내는 수식 기호 '┃┃'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입력하고 수식 템플릿에서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차수(n x n)의 행렬 템플릿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행렬의 구조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서 사용자는 마우스를 통해 행렬 템플릿이 제공하는 행렬의 차수를 선택해야 한다는 한계로 인해 사용자가 임의로 생성할 수 없도록 메뉴 형태로 제공되며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생성하고자 하는 행과 열의 수에 제한이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행과 열을 갖는 행렬의 구조를 생성할 때에는 주어진 행렬 템플릿에서 조합하여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우스를 통해 수식 구조를 생성한 이후에는 키보드를 통해 각 요소에 값을 입력하게 된다.
도2e는 연산자를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 윈도우(110)에 나타난 위의 연산자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수식 템플릿에서 해당하는 기호 템플릿을 마우스로 선택하여 기호 수식을 입력하는 과정과 '스타일(S)' 메뉴에서 '텍스트' 하부 메뉴를 선택하여 수식 입력 모드를 텍스트 모드로 전환한 후 키보드에서 스페이스 바를 통해 공백을 입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 이외에, 종래 기술에 의한 수식 편집기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수식을 제공하기 때문에 수식 편집기에서 제공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수식 편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각각의 수식 기호를 표현하기 위해서 적게는 3번에서 많게는 8번의 많은 키 입력이 필요하거나 많은 수의 설명어를 키 입력하여야 한다는 문제점 및 마우스와 키보드 두 개의 입력장치를 동시에 번갈아 가며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마우스를 통해 수식 편집을 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 사용자가 구성하고자 하는 모든 형태의 수식을 메뉴 형태로는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수식 편집기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새로운 형태의 수식 편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문서 편집기가 실행된 상태에서 별도로 수식 편집기를 실행하지 않고서도 수식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여 통상의 문서 편집기와 동일한 편집 기능을 갖춘 문서 및 수식 편집 작업 환경을 제공하는 수식 편집 시스템 및 수식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수식 편집을 단일 입력 장치 즉, 키보드를 통한 입력만으로도 가능케 하여 수식 편집 속도를 향상시키고 수식 편집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는 수식 편집 시스템 및 수식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개의 수식 기호를 최대 2개의 동시 입력 키 코드만으로 매핑(mapping) 시키고 유사한 제어 수식들은 공통의 키 코드로 통합하여 자연스런 수식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식 편집에 필요한 키 입력의 횟수를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수식 편집 속도를 향상시키는 수식 편집 시스템 및 수식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문서 편집기 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게시판 시스템(Bulletin Board System, BBS), IRC(Internet Relay Chat), ICQ 및 전자 메일 등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되는 문서 편집 어플리케이션 및 화상 회의 시스템과 같은 원격 워드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시스템에서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독자적으로 문서 편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범용 수식 편집 시스템 및 수식 편집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의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을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1a 내지 도1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예시도,
도2a 내지 도2e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예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의 개략적인 수행 흐름도,
도5a 내지 도5c는 도4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수행 흐름도,
도6은 수식 구성에 필요한 수식 기호 중에서 기호 수식을 나타내는 표,
도7은 수식 구성에 필요한 수식 기호 중에서 제어 수식을 나타내는 표,
도8은 키보드에서 직접 입력이 가능한 기호 수식 및 사용 빈도가 높은 기호 수식의 키 코드 할당 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호 수식의 그루핑(grouping) 예를 나타내는 표,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화된 제어 수식을 나타내는 표,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파벳 자판 배열과 그리스어 자판 배열을 설명하기 위해 키보드 기본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12a 내지 도1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롬(ROM) 2 : 중앙 처리 장치(CPU)
3 : 램(RAM) 4 : 표시부
5 :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6 : 입력부
7 : 출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근거하여 소정의 문서에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제어키와 함께 그리스어 전환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상기 키보드 자판을 그리스어 자판으로 토글하는 제1단계, 자판 토글 이후에 키보드에 입력된 키값에 대응하는 그리스어를 문서에 입력하는 제2단계, 제어키와 함께 제어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키값에 해당하는 제어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3단계, 제어수식이 문서에 입력된 이후에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키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제4단계, 제어키와 함께 그룹화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그룹화 수식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호수식을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5단계, 상기 다수의 기호수식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키값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호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6단계를 포함한다.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에 장착되고, 컴퓨터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근거하여 소정의 문서에 수식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키와 함께 그리스어 전환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상기 키보드 자판을 그리스어 자판으로 토글하는 제1기능, 자판 토글 이후에 키보드에 입력된 키값에 대응하는 그리스어를 문서에 입력하는 제2기능, 제어키와 함께 제어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키값에 해당하는 제어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3기능, 제어수식이 문서에 입력된 이후에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키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제4기능, 제어키와 함께 그룹화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그룹화 수식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호수식을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5기능, 상기 다수의 기호수식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키값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호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6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문서 편집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게시판 시스템(Bulletin Board System, BBS), IRC(Internet Relay Chat), ICQ 및 전자 메일 등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되는 문서 편집 어플리케이션 및 화상 회의 시스템과 같은 원격 워드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시스템 또는 문서 편집 기능을 갖는 수식 편집 시스템에서 통상의 문서 편집기와 동일한 편집 기능을 갖춘 문서 및 수식 편집 작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수식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수식 편집을 단일 입력 장치 즉, 키보드를 통한 입력만으로도 가능케 하여 수식 편집 속도를 향상시키고 수식 편집의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개개의 수식 기호를 최대 2개의 동시 입력 키 코드만으로 매핑(mapping) 시키고 유사한 제어 수식들은 공통의 키 코드로 통합함으로써 자연스런 수식 입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식 편집에 필요한 키 입력의 횟수를 최대한 감소시킴으로써 수식 편집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식 편집 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에서 1은 롬(ROM), 2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3은 램(RAM), 4는 표시부, 5는 디스크 드라이브 유닛, 6은 입력부, 7은 출력부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수식 편집 시스템은 공지의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기 또는 수식 편집 방법을 구현하는 제어 프로그램을 상기 롬(1)이나 디스크에 탑재시키고,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램(3)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수식을 편집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4)로 출력하거나 램(3)에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은 일반적인 문서 편집기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상의 게시판 시스템(Bulletin Board System, BBS), IRC(Internet Relay Chat), ICQ 및 전자 메일 등과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되는 문서 편집 어플리케이션 및 화상 회의 시스템과 같은 원격 워드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문서 편집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3의 독립적인 수식 편집 시스템 및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을 서브 시스템으로 갖는 문서 편집 시스템은, 로컬 시스템은 물론 리모트 시스템으로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리모트 시스템은 공지의 구성으로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로컬 시스템으로서의 수식 편집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로컬 시스템의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의 개략적인 수행 흐름도이다.
우선, 설명의 편의를 위해 키보드 상에서 'Control', 'Alt', 'Shift', 'Spacebar', 'Enter'키는 각각 'Ctrl', 'Alt', 'Shift', 'SB', 'ENTER'로 표기한다. 이하에서 'Ctrl', 'Alt' 및 'Shift' 키는 제어키라고 칭한다. 또한 이러한 제어키와 키보드 상의 다른 키가 동시에 입력되는 키를 조합키라고 칭하며 조합키의 입력은 다른 문자 키와의 식별을 위해 작은따옴표''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Ctrl-SB'는 'Control'키를 누른 상태에서 'Spacebar'키가 입력되는 조합키를 나타내며, 'Ctrl-S'는 'Control'키를 누른 상태에서 'S'키가 입력되는 조합키를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호 수식이라 함은 입력된 조합키에 매핑 되는 수식 그 자체로서 의미를 가지고 출력될 수 있는 수식을 말하고, 제어 수식이라 함은 첨자를 필요로 하는 수식으로서 수식키, 당해 수식에 포함되어야 하는 첨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키 및 첨자의 입력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키에 의해 제어 수식이구성된다. 기호 수식의 예로서 가감승제의 연산자(+, -, *, ÷) 등이 있고, 제어 수식의 예로서 적분(∫), 시그마(∑) 등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나타나는 용어 '수식'은 수학식 전체 또는 수학식을 구성하는 수식 기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혼용된다.
여기서 제어 수식을 구성한다는 의미는 첨자를 필요로 하는 수식키(∫, ∑ 등)가 입력된 경우 해당 수식을 출력하고 해당 수식에 포함되어야 하는 첨자의 위치를 제어하는 첨자 제어키 및 행렬식에서 행렬의 확장/감소/변환 제어키에 의해 첨자의 위치, 행렬의 크기 등을 제어함으로써 기본 수식이 입력될 수 있는 환경을 구성한다는 것을 말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관련 기능부를 초기화시키고(L1),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키 값을 수신한다(L2). 다음으로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키에 대해 제어키('Ctrl', 'Alt', 'Shift') 조합 검사를 수행하여 입력키가 수식 입력키인지를 판단한다(L3).
제어키와의 조합이 아닌 경우는 입력키에 대응하는 키 값을 출력한다(L6). 제어키 조합 검사(L3)에서 제어키와의 조합 입력일 경우에는 입력된 조합 입력이 기호 수식 입력인지, 제어 수식 입력인지를 파악하는 수식 분류 검사를 수행한다(L4).
기호 수식 입력일 경우는 입력에 해당하는 기호 수식을 출력한다(L6). 수식 분류 검사 결과, 입력된 조합 입력이 제어 수식 입력일 경우는 입력에 해당하는 제어 수식을 구성하고(L5) 그 결과를 출력한다(L6).
입력에 대해 그 처리와 출력을 종료하면 리턴 하여 다음 키 입력을 기다린다. 이러한 흐름은 키보드(301)에 의한 각각의 입력에 반복 적용된다.
도5a 내지 도5c는 도4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수행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전원이 인가되면 관련 기능부를 초기화시키고(N1), 키 입력을 수신한다(N2). 키보드에 의해 키가 입력된 후에, 현재 수식 편집 시스템이 그룹화된 기호 수식을 입력받는 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N3).
여기서, 그룹화된 기호 수식이라 함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 빈도가 낮고 키보드 상에서 직접 입력이 불가능한 기호 수식들을 10여 개 씩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복수 개의 그룹을 구성한 것이다.
통상의 키보드는 캐릭터(a ~ z, ㄱ ~ ㅎ), 숫자(0 ~ 9), 컴마(,)/ 마침표(.)/콜론(:,;) 등과 같은 문장 기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자판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식에서 사용되는 특수 기호는 직접적으로 입력이 불가능하며 이러한 특수 기호 키를 그루핑(grouping)함으로써(도9 참조) 키보드 상에서 입력이 불가능한 특수 기호에 대해 빠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각각의 그룹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Ctrl'키와 소정의 숫자 키의 조합으로 매핑 되어 있으며, 각 그룹 내에서 구성요소인 소정의 기호 수식들은 각각 소정의 숫자와 매핑이 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 'Ctrl' + 3 ]을 입력하게 되면 수식 편집 시스템은 제3그룹의 특수 기호를 출력하고, 그룹화 입력 수식 상태로 전환하여 소정 숫자 키의 입력에 따른 사용자의 특수 기호 선택을 기다리게된다. 즉 'Ctrl' 키와 숫자 키와의 조합으로 특정의 특수 기호 그룹 즉 수식 그룹을 선택하고 해당 그룹의 하부 구성요소인 특정의 특수 기호 수식을 숫자 키 입력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수식 편집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그룹화된 기호 수식을 입력받는 상태라 함은 사용자가 이미 ['Ctrl' + 숫자 키]를 입력함으로써 특정의 그룹이 선택되어 해당 그룹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그룹의 하부 구성요소인 특수 기호의 선택을 입력받고자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상기 N3 단계에서 현재 수식 편집 시스템이 그룹화 수식 입력 상태인 경우, 입력된 키가 숫자 키인지를 판단(N10)함으로써 숫자 키 이외의 입력은 무시하고 다시 키 입력을 받도록 리턴하고 숫자 키가 입력된 경우 해당하는 그룹화 기호 수식을 디스플레이 하고(N11) 그룹화 수식 입력 상태를 해제한다(N12).
현재 수식 편집 시스템이 그룹화된 기호 수식을 입력받는 상태인지를 판단하여(N3) 그룹화 수식 입력 상태가 아닌 경우, 입력된 키가 키보드 상에서의 제어키인 'Ctrl', 'Alt' 또는 'Shift' 키와 다른 키의 조합인지를 판단하게 된다(N4).
현재 입력된 키가 제어키와의 조합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코드를 출력하면 된다(N15). 입력된 키에 대응하는 코드에는 그리스어 알파벳도 포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합키 입력에 의해 키보드의 현재 입력 모드가 한/영 표시 모드에서 그리스어 표시 모드로 변환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입력된 키가 제어키와의 조합인 경우에는 그리스어 전환키, 제어 수식키 또는 그룹화 수식키 중에 하나이므로 차례로 각 경우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여야 하므로 조합키 코드 테이블을 검색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N5).
검색 작업을 한 후, 현재 입력키가 그리스어 전환키인지를 판단하게 된다(N6). 그리스어 전환키는 한글 또는 영문의 입력 모드를 그리스어 표시 모드로 전환시키는 키를 말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Shift-SB'로 하고 있다. 그리스어 표시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표준 키보드를 통해서 그리스어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표준 키보드에서의 그리스어 알파벳 자판 배열은 도11에 도시되어 있으며 영문 알파벳의 자판 배열과 유사하게 배열되어 있다.
현재 입력키가 그리스 어 전환키인 경우 한글이나 영문의 이전 입력 모드를 그리스어 표시 모드로 변환시킨다(N16). 만약 현재 입력 모드가 그리스어 표시 모드인 상태에서 그리스어 전환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그리스어 표시 모드에서 한/영 표시 모드로 변환되도록 한다. 현재 입력키가 그리스어 전환키가 아닌 경우 제어 수식키인지를 판단한다(N7).
현재 입력키가 제어 수식키인 경우 제어 수식을 구성하고(N17) 리턴 하여 다시 키 입력을 받도록 한다. 현재 입력키가 제어 수식키가 아닌 경우 그룹화 수식인지를 판단한다(N8). 즉 현재 입력키가 'Ctrl' 키와 숫자 키와의 조합으로 각각의 그룹을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입력키가 그룹화 수식을 요구하는 조합키인 경우 'Ctrl' 키와 함께 입력된 숫자 키에 따라 수식 그룹이 선택, 활성화되고(N13) 수식 편집 시스템을 해당 수식 그룹 내의 기호 수식 중에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그룹화 수식 입력 상태로 전환시킨다(N14).
한편, 현재 수식 편집 시스템이 그룹화 수식 입력 상태도 아니고(N3) 수식 편집 시스템에 현재 입력된 키가 조합키인 반면(N4), 당해 입력키가 그리스어 전환키 및 제어 수식키도 아니고(N6, N7), 그룹화 수식을 요구하는 조합키도 아닌 경우(N8)에는 입력된 조합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6에 도시된 기호 수식의 편집을 요구하는 키이므로 입력된 조합키에 대응하는 기호 수식을 출력하고(N9) 리턴 하여 새로운 키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흐름은 키보드(301)에 의한 각각의 입력에 반복 적용된다.
도6은 수식 구성에 필요한 수식 기호 중에서 기호 수식을 나타내는 표이고, 도7은 수식 구성에 필요한 수식 기호 중에서 제어 수식을 나타내는 표이다.
도6 및 도7의 기호 수식/제어 수식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호 수식은 그 자체의 출력만으로도 의미가 있는 기호로 분류한 것이고, 제어 수식은 편집 상태의 변화를 수반하는 수식으로 분류한 것이다. 300여개이상의 기호수식과 30여 개 이상의 제어 수식으로 분류하였다. 분수, 바(Bar), 루트(Root), 벡터(Vector) 등은 실제적인 출력이 이루어지지만 편집 상태 변화도 수반하므로 제어 수식으로 분류하였다.
도8은 도6의 기호 수식 중 키보드에서 직접 입력이 가능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기호 수식에 대한 키 코드 할당 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의 기호 수식 중 키보드(301) 상에서 직접 입력이 가능한 60여 개의 기호 수식과 사용빈도가 높은 기호 수식의 키 코드 할당 예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Ctrl-S'는 기호 수식 '∑'에 매핑 되어 있다. 직접 입력이 가능한 기호 수식으로는 알파벳과 그리스어, 숫자와 기본 기호들이 있으며, 그리스어는 언어 전환 단축키에 의해 알파벳 자판 배열을 그대로 적용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기호 수식의 그루핑(grouping) 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의 기호 수식 중 사용 빈도가 낮고 키보드 상에서 직접 입력이 불가능한 기호 수식들을 10여 개씩 그룹화한 일실시예이다.
기호 수식 중 사용 빈도가 낮고 키보드 상에서 직접입력이 불가능한 기호 수식들을 10여 개씩 그룹으로 묶어 'Ctrl' 키와 숫자 키와의 조합으로 특정의 그룹을 선택하고 그룹 내의 해당 기호수식을 숫자 키에 의해 선택 입력한다. 도9에 나타낸 이들 그룹 목록들(303)은 'Ctrl'키와 숫자 키의 조합으로 순서대로 선택되며 그룹목록이 선택되면 해당 그룹에 속한 기호 수식들(304)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며 사용자의 숫자 키 입력에 의해 해당 기호 수식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 'Ctrl-1' ]을 입력하고 [ 1 ]을 입력하면 먼저 'Ctrl-1'의 입력에 의해 첫 번째 그룹이 선택되어 지고, 숫자키 '1'의 입력에 의해 첫 번째 그룹의 두 번째 기호 수식인 '÷'가 입력되어 화면에 출력된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통합화된 제어 수식을 나타내는 표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7에 나타낸 제어 수식들을 유사한 제어수식끼리 하나의 키 코드로 통합 할당하는 일실시예를 보여준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제어 수식의 구성은 앞서 설명된 도5a의 제어 수식 구성 단계(N17)에서 수행된다.
첨자 제어 수식의 경우는 아래 그림과 같이 8가지의 첨자를 갖기 때문에 8개의 첨자 제어를 필요로 하게 된다.
여기서 'Ctrl-SB'키 혹은 화살표 키 '→←↑↓'에 의해 각 첨자의 위치가 제어된다. 예를 들어 분수의 경우는 먼저 분모를 입력한 후 분자를 입력함으로써 분수 제어를 종료하고 일반 텍스트를 입력하는 것으로 제어의 흐름이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Ctrl-SB'는 이러한 순차적 제어의 흐름을 전환하는 제어 흐름 키로서 모든 제어 수식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8개의 첨자 제어는 'Ctrl'키와 화살표 키'→←↑↓'와의 조합으로 모두 처리된다. 기본적으로 상하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먼저,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 중 하나를 선택하고 이후 좌우 첨자 제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간편하게 첨자 제어를 구현한다.
상기와 같은 첨자 제어는 위/아래 첨자, 루트(Root), 첨자있는 화살표 등 기호 수식 및 루트(Root) 등의 제어 수식 주변에 상기 그림과 같은 위치(s1, s2, s3, s4, s5, s6, s7 및 s8)에 편집을 행하는 모든 수식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첨자 제어는 바로 직전의 수식 기호(∑, ∪ 등)에 기본 위치가 좌우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합(Sum, ∑)의 경우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첨자 제어 직전의 수식 기호(∑)에 의해 첨자2(s2)와 첨자5(s5)가 기본 제어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 'Ctrl-S' 'Ctrl-↓' i = 0 'Ctrl-SB' 'Ctrl-↑' 1 0 'Ctrl-SB' i ]를 키보드에서 입력함으로써 위의 수식을 구현한다.
또 다른 예로서, 아래의 수식과 같이 일반적인 캐릭터(character)에 첨자를 편집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 X 'Ctrl-SB' 'Ctrl-↓' S6 'Ctrl-SB' 'Ctrl-↑' S3 'Ctrl-SB' ]를 키보드에서 입력함으로써 위의 수식을 구현한다. 이 경우 일반적인 캐릭터라도 'Ctrl-SB'의 조합키에 의해 제어 수식 기호로 취급된다. 따라서 도7의 제어 수식 표에서 첨자에 관련된 항목에 첨자를 갖는 일반적인 캐릭터, 벡터에 관련된 항목에 벡터 표시를 갖는 일반적인 캐릭터 및 강조 기호에 관련된 항목에 강조 표시를 갖는 일반적인 캐릭터도 제어 수식 기호로 포함되어 있으며 도10의 통합화된 제어 수식을 나타내는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합키에 의해 일반적인 캐릭터(character)도 제어 수식으로 편집된다.
적분 기호 수식과 일반적인 기호 수식의 경우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첨자3(s3)과 첨자6(s6)이 기본 제어가 된다. 극한(lim)의 경우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첨자5(s5)가 기본 제어가 되며 루트(Root)의 경우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첨자1(s1)이 기본 제어가 된다. 기호 수식으로서의 화살표 기호(→←↑↓)는 아래의 수식과 같이, '→' 및 '←'의 경우에는 첨자2(s2)와 첨자5(s5)가 기본 제어가 되고. '↑' 및 '↓'의 경우에는 첨자7(s7)과 첨자8(s8)이 기본 제어가 된다.
분수의 경우는 'Ctrl' 키와 '/' 키의 조합으로 분수 제어가 구현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 'Ctrl-/' x 'Ctrl-SB' y ]의 키 조합을 수신하게 되면 아래의 수식과 같은 분수를 디스플레이 한다. 우선, 입력된 분수 제어용 키 'Ctrl-/'에 의해 분수 제어를 활성화시키고 입력 제어는 자동적으로 분모에 키 입력이 되도록 커서를 위치시킨다. 따라서 별도의 키 입력 없이 입력 키 'x'는 분모 값으로 인식되고 다음으로 입력된 제어 흐름 키 'Ctrl-SB'에 의해 입력 제어를 분자로 전환함으로써 입력 키 'y'는 분자 값으로 인식된다.
행렬 및 연립 방정식의 경우는 행과 열을 가지며, 행 또는 열을 삽입하는 키에 의해 행렬 및 연립 방정식으로 제어가 전환되며, 이때는 1×1 크기의 행렬이 기본 제어가 되며, 행 증가키('Alt-ENTER')또는 열 증가키('Alt-SB')에 의해 행 또는 열이 증가하게 된다. 행렬 제어로의 변환시키는 조합키는 별도로 없으며 행 증가키('Alt-ENTER')또는 열 증가키('Alt-SB')의 입력에 의해 행렬 제어 수식인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행 증가키('Alt-ENTER')또는 열 증가키('Alt-SB') 입력 직전의 입력 키- 예를 들어 '|', '[' 등 -에 의해 행렬 전체를 감싸는 앞 괄호가 결정되며, 행렬제어 종료 후에는 이미 결정된 앞 괄호 기호에 의해 행렬 전체를 감싸는 뒤 괄호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행렬식은 열 증가 키 'Alt-SB'와 행 증가 키 'Alt-ENTER'의 조합으로 간단하게 구현된다.
위의 2×3의 행렬식은 키보드로부터 입력된 키[ | 'Alt-SB' a 'Alt-SB' b 'Alt-SB' c 'Alt-ENTER' | ]에서 'Alt-SB'의 조합키에 의해 해당 키 입력이 행렬식을 구성하는 제어 수식인 것으로 판단하여 첫 행의 3열 및 행렬을 감싸는 앞 괄호('|')를 구현한다.
또한 입력된 'Alt-ENTER'의 조합키를 통해 당해 행렬식이 3열을 갖는 행렬식인 것으로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2행의 3열을 생성한다.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 d 'Ctrl-SB' e 'Ctrl-SB' f ]를 수신함으로써 전체 2×3의 행렬식을 구현한다. 여기서 2행의 열은 1행에서 입력된 행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되며 선택에 따라 3행을 추가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Alt-ENTER'의 행 증가키를 입력하고 행렬 제어를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Ctrl-SB'의 제어 수식 흐름 제어키를 입력한다. 행렬 제어를 종료하는 'Ctrl-SB'의 제어 수식 흐름 제어키가 입력된 후, 행렬을 감싸는 뒤 괄호에 해당하는 괄호 키- 예를 들어 '|', '}' 등 -의 입력에 따라 수식 편집 시스템은 행렬 전체의 뒤 괄호를 결정하게 된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행렬의 앞 괄호 또는 뒤 괄호만이 생략될 수도 있고, 행렬의 앞뒤 괄호 모두를 생략할 수도 있다.
바(BAR), 루트(ROOT), 벡터(VECTOR)의 경우 역시, 앞에서 설명된 수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8에 도시된 제어 수식 표에 따라 제어키와 각 키의 조합이 입력될 때 각 제어 수식으로 전환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파벳 자판 배열과 그리스어 자판 배열을 설명하기 위해 키보드 기본 자판 배열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알파벳 자판 배열과 그리스어 자판 배열(대·소문자)을 같이 표시하였다.
도11의 자판 배열에 의해 입력된 키 코드의 출력은 앞서 설명된 도5a의 그리스어 전환키 입력 여부(N6)에 따라 한/영 표시 모드 또는 그리스어 표시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된 키 값을 출력하는 단계(N15)에서 수행된다.
한편, 도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6의 기호 수식 중 사용 빈도가 높은 기호 수식에 대해서는 키 코드 할당에 의해 'Ctrl' 키와 해당 수식을 설명하는 영문의 첫 머리글자 키와의 조합으로 키보드 상에서 직접 입력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trl-S'는 기호 수식 '∑'에 매핑 되어 있다. 이렇게 제어키와의 조합을 통해 키보드 상에서 직접 입력되는 키 코드의 출력은 앞서 설명된 도5a의 테이블 검색 결과에 의해 기호 수식을 출력하는 단계(N9)에서 수행된다.
예를 들어 다음의 수식은 키보드 기본 자판인 영문 알파벳과 숫자, 기본 기호, 그리고 'Ctrl' 키에 의한 직접 입력 기호 수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이 사용자로부터 [ Y ( t ) = 'Ctrl-S' s i n ( 'Shift-SB' π + 2 θ ) ]의 키 입력을 수신하게 되면, 입력된 조합키 'Ctrl-S'에 의해 상기 도5a에서 설명된 N5, N6, N7 및 N8 단계를 통해 기호 수식 '∑'을 조합키 코드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또한 이후에 입력된 그리스어 전환키 'Shift-SB'에 의해 현재의 표시 모드를 한/영 표시 모드로부터 그리스어 표시 모드로 변환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스어 전환키는 한글 또는 영문의 입력 모드를 그리스어 표시 모드로 전환시키는 키를 말하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Shift-SB'로 하고 있다. 따라서 그리스어 전환키 'Shift-SB' 이후에 입력된 키는 앞서 설명된 도11의 그리스어 자판 배열에 따라 'π'(영문 자판 배열의 'P'에 대응) 및 ' θ'(영문 자판 배열의 'Q'에 대응)로서 사용자가 직접 키보드 상에서 입력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은 그리스어 알파벳을 편집할 수 있는 것이다.
도12a 내지 도1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식 편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 예시도이다.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에 의하면 단일 입력장치(301)인 키보드만으로써 모든 수식편집 작업이 가능하며, 모든 입력은 곧바로 편집 작업창(302)에 즉시 디스플레이 된다. 키보드에서 직접 입력이 불가능한 기호수식들은 그룹화(303)되어 제공되고 'Ctrl' 키와 숫자키의조합으로 간단히 선택되어지면, 해당 그룹의 기호 수식 목록(304)을 표시하는 윈도우가 활성화되고 해당 숫자키의 입력에 의해 기호 수식이 선택되어 편집 작업창(302)에 즉시 디스플레이 된다.
도12b는 그리스어를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창(310)에 나타난 그리스어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그리스어 토글 키인 'Shift-SB' 입력을 통해 현재의 입력 모드인 한글 또는 영문 모드에서 그리스어 자판으로 키보드 모드를 변환시킨 후 순서대로 'ΑΒΓΔ αβγδ'를 입력하면 된다. 도면에 도시된 그리스어를 편집하는데 필요한 키 입력의 회수는 공백 포함하여 19회가 된다. 도1b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할 경우 57 회의 키 입력이 필요한 것과 비교할 때 상당한 회수가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도2b에 도시된 마우스와 키보드를 함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달리 키보드의 입력만으로도 그리스어 편집이 가능한 것이다.
도12c는 첨자를 포함하는 수식을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창(310)에 나타난 위와 같은 수식을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 X 'Ctrl-↓' S6 'Ctrl-SB' 'Ctrl-↑' S3 'Ctrl-I' 'Ctrl-↓' S6 'Ctrl-SB' 'Ctrl-↑' S3 'Ctrl-R' 'Ctrl-↑' S1 'Ctrl-SB' X 'Ctrl-SB' L i m 'Ctrl-↓' S5 ]을 입력하면 된다. 이 경우 키 입력의 회수는 공백 포함 42회이다. 첨자 제어 수식 통합에따라 모두 'Ctrl-↑', 'Ctrl-↓'로써 첨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고, 'Ctrl-SB'는 제어 수식 흐름 제어키로서 각 제어 수식의 종료에 사용되었다.
도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81회의 키 입력 횟수와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 시스템에 의해 키 입력의 회수를 현저하게 줄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1c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출력 위치가 비슷한 수식끼리도 '^', '_', 'from', 'to'의 설명어로 따로 사용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식 편집의 경우 첨자 제어 수식 통합에 따라 모두 'Ctrl-↑', 'Ctrl-↓'로써 첨자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2c에 도시된 마우스와 키보드를 함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와 달리 키보드의 입력만으로도 수식 편집이 가능하다.
도12d는 행렬 수식을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창(310)에 나타난 위의 수식을 편집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키보드를 통해 [ X = ┃ 'Alt-SB' a1 'Alt-SB' a2 'Alt-ENTER' b1 'Ctrl-SB' b2 'Ctrl-SB' ┃ ]를 입력하면 된다. 이 경우 키 입력의 회수는 18회이다. 'Alt-SB' 키 및 'Alt-ENTER' 키는 각각 열 증가키와 행 증가키로 사용되었고, 원하는 위치에서 행 또는 열을 원하는 만큼 간단하게 삽입할 수 있으므로 임의의 행과 열을 갖는 행렬 수식을 간단히 편집할 수 있다. 행렬, 연립 방정식 등 행과 열을 갖는 모든 제어 수식은 통합화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구현된다.
도1d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경우 수식 설명어 창(111)에 설명어 [ X = DMATRIX {{ a1} & {a2} # {b1} & {b2}} ]를 입력한다. 키 입력 회수는 32회이다. 행렬식을 의미하는 'DMATRIX' 설명어, 행 구분 설명어 '#', 열 구분 설명어 '&' 및 각 요소를 감싸는 '{}'를 사용하여야 하고 일반 행렬과 연립 방정식용 수식 편집기에서는 각각 다른 명령어와 'LEFT{', RIGHT}'설명어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점 및 도2d에 도시된 마우스와 키보드를 함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를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행렬의 편집이 상당히 용이한 것이다.
도12e는 연산자를 편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용 예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식 편집창(310)에 나타난 위의 연산자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 'Ctrl-1' 1 'Ctrl-2' 3 'Ctrl-7' 6 'Ctrl-6' 2 'Ctrl-3' 6 ]을 입력하면 된다. 여기서 그룹 목록과 해당 그룹 목록에 속한 기호 수식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면에 도시된 기호 수식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공백을 포함하여 30회가 되며, 각 기호 수식을 입력하기 위해서 [ 'Ctrl-숫자키' 숫자키 ]와 같이 2회 입력만으로 그룹화 기호 수식들을 편집할 수 있다. 도1e의 경우, 수식 설명어 창(111)에 설명어 [ TIMES ~~~~~ Image ~~~~~ ANGLE ~~~~~ SUBSETEQ ~~~~~ BIGOTIMES ]를 입력한다. 이를 위한 키 입력의 회수는 60회에 달한다. 각각의 연산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3 회 내지 8 회의 키 입력을 필요로 하고 도2e에 도시된 마우스와 키보드를 함께 입력 장치로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 기술의 경우를 고려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호 수식의 편집이 상당히 용이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최대 2개의 키 동시 입력만으로 모든 수식 입력이 가능하므로 수식 편집 시 수식 표현을 위한 키 입력의 횟수를 줄이고, 키보드와 같은 단일 입력 장치만으로 빠른 수식 편집 작업이 가능하며, 기호 수식과 제어 수식을 그룹 및 통합화를 통해 수식편집에 필요한 키의 개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식 편집 방법이 일반 문서 편집 방법과 동일하게 모든 편집이 키보드와 같은 단일 입력 장치에서 이루어지며, 입력이 즉시 출력되어 그 결과를 계속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으며 띄어쓰기, 줄 바꾸기 등의 편집 방법이 일반 문서 편집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2)

  1. 컴퓨터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근거하여 소정의 문서에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으로서,
    제어키와 함께 그리스어 전환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상기 키보드 자판을 그리스어 자판으로 토글하는 제1단계;
    자판 토글 이후에 키보드에 입력된 키값에 대응하는 그리스어를 문서에 입력하는 제2단계;
    제어키와 함께 제어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키값에 해당하는 제어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3단계;
    제어수식이 문서에 입력된 이후에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키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제4단계;
    제어키와 함께 그룹화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그룹화 수식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호수식을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5단계;
    상기 다수의 기호수식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키값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호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는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키는
    상기 키보드의 컨트롤(Ctrl) 키, 올트(Alt) 키 및 쉬프트(Shift) 키 중 어느 하나인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식키는
    입력되는 제어수식의 영어 명칭의 첫 알파벳 문자키인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수식키는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숫자키인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컴퓨터에 장착되고, 컴퓨터 키보드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키값에 근거하여 소정의 문서에 수식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키와 함께 그리스어 전환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상기 키보드 자판을 그리스어 자판으로 토글하는 제1기능;
    자판 토글 이후에 키보드에 입력된 키값에 대응하는 그리스어를 문서에 입력하는 제2기능;
    제어키와 함께 제어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키값에 해당하는 제어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3기능;
    제어수식이 문서에 입력된 이후에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키값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수식을 편집하는 제4기능;
    제어키와 함께 그룹화 수식키의 입력을 인지하고, 입력된 그룹화 수식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기호수식을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제5기능;
    상기 다수의 기호수식 중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키값에 대응하는 하나의 기호수식을 상기 문서에 입력하는 제6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키는
    상기 키보드의 컨트롤(Ctrl) 키, 올트(Alt) 키 및 쉬프트(Shift) 키 중 어느 하나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식키는
    입력되는 제어수식의 영어 명칭의 첫 알파벳 문자키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화 수식키는 0 내지 9 중 어느 하나의 숫자키인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01-0028611A 2000-05-24 2001-05-24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448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8611A KR100448261B1 (ko) 2000-05-24 2001-05-24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28190 2000-05-24
KR1020000028190 2000-05-24
KR10-2001-0028611A KR100448261B1 (ko) 2000-05-24 2001-05-24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559A KR20010070559A (ko) 2001-07-27
KR100448261B1 true KR100448261B1 (ko) 2004-09-10

Family

ID=2663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8611A KR100448261B1 (ko) 2000-05-24 2001-05-24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82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125B1 (ko) 2015-12-23 2016-07-20 정영훈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1653B1 (ko) * 2008-06-25 2010-09-10 이학민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KR101102123B1 (ko) * 2010-12-27 2012-01-02 (주)올인원테크 특수 기호 입력 장치, 특수 기호 입력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300486B1 (ko) * 2020-02-24 2021-09-0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전자 문서에서 수식 연산자에 대한 간편한 첨자 입력을 지원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00491B1 (ko) * 2020-02-24 2021-09-09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전자 문서에서 수식 편집창을 통해 입력되는 행렬에 대한 간편한 레이아웃의 변경을 지원하는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891A (ko) * 1995-08-30 1997-03-27 배순훈 건전지 전압 자동검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891A (ko) * 1995-08-30 1997-03-27 배순훈 건전지 전압 자동검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125B1 (ko) 2015-12-23 2016-07-20 정영훈 틸팅이 가능한 주파수 가변식 방수·흡음판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0559A (ko) 200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9191B2 (en) Input of data
US5128672A (en) Dynamic predictive keyboard
US4611306A (en) Display menu/chart key
US7251667B2 (en) Unicode input method editor
KR100694679B1 (ko) 한글과 아스키 문자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링을 입력하는방법 및 장치
JP2013020410A (ja) 数式出力コンピュータ、数式出力方法、数式出力プログラム、および数式出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100448261B1 (ko)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CN106168880B (zh) 一种输入控制的方法及终端
JPH0628136A (ja) 情報処理装置の機能選択方式
US20060066583A1 (en) Text entry method and system using a numeric or non-QWERTY keypad
WO20010909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a mathematical equation
EP073791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data
KR100762944B1 (ko)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CN111788776B (zh) 键盘输入电子设备的输入方法
JPS63128468A (ja) キヤラクタ入力装置
KR100532092B1 (ko) 커서를 이용한 컴퓨터 화면상에서의 영문 대소문자 구분방법 및 그 장치
JPH08272796A (ja) 文書処理装置
JPS61279973A (ja) 日本語処理装置
JP2675298B2 (ja) 情報処理装置
JP2002236538A (ja) 8種類の入力が可能な入力部を有する文字入力システム,および前記システムを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373373B1 (ko) 터치 스크린 기반의 소프트웨어 키보드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JPS63128424A (ja) デ−タ処理方式
KR0147610B1 (ko) 터미날장치의 명령어입력방법
JPH1074199A (ja) 文字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文字処理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H03189864A (ja) 論理構造編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