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653B1 -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653B1
KR100981653B1 KR1020080060419A KR20080060419A KR100981653B1 KR 100981653 B1 KR100981653 B1 KR 100981653B1 KR 1020080060419 A KR1020080060419 A KR 1020080060419A KR 20080060419 A KR20080060419 A KR 20080060419A KR 100981653 B1 KR100981653 B1 KR 100981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input
keyword
key informa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792A (ko
Inventor
이학민
Original Assignee
이학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민 filed Critical 이학민
Priority to KR1020080060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653B1/ko
Priority to PCT/KR2009/000262 priority patent/WO2009157631A1/ko
Priority to US12/991,399 priority patent/US20110080409A1/en
Publication of KR20100000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11Mathematical or scientific formatting; Subscripts; Superscri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관련수식만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단축키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입력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식기호, 수식기호에 부가되는 첨자, 수식기호에 종속되는 수식의 각 낱글자, 특수문자와 같은 수식요소들이 각각 독립적인 문자로 제공되도록 하여 작성, 편집, 수정 및 삭제가 용이하도록 하며, 일반 말 글자와 동일한 필드 내에서 동일한 글자, 문자 및 문서 특성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표현 및 작성이 용이하도록 한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컴퓨터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웹페이지 및 워드 문서에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의 입력장치에 표시된 키를 이용하여 수식을 대표하는 수식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단말의 표시장치에 상기 키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영역인 입력필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에 의해 제 1 키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제 1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제 1 키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제 1 키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식키워드에 해당하는 수식을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뉴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키와 같거나 다른 제 2 키를 새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 2 키가 상기 수식메뉴에 표시되는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키가 상기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경우, 상기 제 2 키에 의해 선택된 수식을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문서작성, 수식편집기, 수식입력, 수식작성

Description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Input Method For A Numerical Formula Using A Medium Of Computing}
본 발명은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워드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관련수식만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단축키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입력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식기호, 수식기호에 부가되는 첨자, 수식기호에 종속되는 수식의 각 낱글자, 특수문자와 같은 수식요소들이 각각 독립적인 문자로 제공되도록 하여 작성, 편집, 수정 및 삭제가 용이하도록 하며, 일반 말 글자와 동일한 필드 내에서 동일한 글자, 문자 및 문서 특성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표현 및 작성이 용이하도록 한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와 같은 장치들은 한글, 워드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거나, 인터넷과 같은 웹의 특정 페이지를 통해 자신이 글을 작성하고 이를 게시하거나 발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성되는 글은 반드시 국어, 영어와 같은 언어로만 작성되는 것이 아니고, 수식, 기호, 원소기호와 같은 다양한 내용으로 작성된다.
이 중 수식은 입력 내용이 많고, 입력 방법이 복잡하여 문서작성 프로그램이나 웹 페이지별로 입력하는 방법을 상이하게 설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수식 입력은 대체로 별도의 입력/편집 기능을 별도의 작업 창 또는 작업페이지를 통해 제공된다. 대표적인 수식 작성기로는 표현식을 입력하면 수식으로 변환하고, 변환한 수식을 이미지로 표현하는 표현식 수식작성기와, 입력 가능한 다양한 수식을 아이콘, 메뉴, 툴바와 같은 영역에 배치하고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도록 하는 툴바형 수식 작성기(여기서, 툴바형의 경우 별도의 명칭이 없으므로, 메뉴 선택형을 툴바형으로 지칭하기로 한다)가 있다.
표현식 수식작성기의 대표적인 것으로 국내에서 제작되어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워드 프로그램인 '한글'에서 제공하는 수식편집기가 있다. 이 한글 수식편집기는 수식기호 그룹화한 수식기호 팔레트에서 마우스를 이용하여 특정 수식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여, 툴바형 수식 작성기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한글 수식편집기의 가장 큰 특징은 표현식을 작성하여 입력하면, 이를 표시영역을 통해 수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는 점이다. 아울러, 한글 수식편집기는 수식의 완성이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면, 이를 이미지데이터로 변환하여 한글 문서 내에 삽입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표현식 수식작성기는 툴바형 수식작성기에 비해 정교하고, 깔끔한 수식을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표현식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이 빠른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는 유리하다. 하지만, 표현식 수식편집기의 경우 수식을 표현하기 위해 입력해야하는 표현식이 너무 복잡하고, 입력해야하는 키의 수가 너무 많아 초보자가 사용하기 어려우며, 익숙해지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표현식 수식작성기의 경우 수식이 복잡해지면 질수록 입력되는 표현식이 복잡해지게 되어 수식의 빠른 작성이 어렵고, 작성된 수식의 잘못된 부분을 찾아서 수정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표현식의 경우도 툴바형 수식작성기와 마찬가지로 정해진 규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 수식이 완성되지 않아 이용상의 불편함이 큰 단점이 있다. 더욱이 일반 말글자의 입력과는 다른 규칙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규칙을 숙지하고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표현식 수식작성기에서 적분기호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INTEGRAL"과 같은 영단어를 표현식 입력창에 입력해야 하고, 줄의 빈칸을 맞추기 위해"#"을 입력해야 하는 등 하나의 수식을 완성하기 위한 절차가 과도하게 복잡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욱이 표현식 수식작성기의 가장 큰 문제점은 완성된 수식이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되어 표현되는 것이다. 즉, 문서 작성의 다른 내용은 각기 독립적인 캐릭터로 구분되는 낱글자 또는 자소 형태로 문서상에 기재되지만, 완성된 수식은 하나의 수식 전체가 하나의 이미지로 작성되는 것이다. 때문에, 수식을 편집하기 위해서는 수식작성기 즉, 수식편집기를 재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틀린 곳에 해당하는 혹은 수정할 곳에 해당하는 표현식을 찾아 수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툴바형 수식작성기의 경우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툴바형 수식작성기의 경우 표현할 수 있는 수식을 팔렛트, 메뉴, 팝업 형태로 분류해서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자가 찾아서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며, 찾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수식이라도 다양한 표현방식이 존재하 는 경우 즉, 한계치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한계치 입력 없이 수식만 사용하는 경우 각각에 대해 모든 수식을 기재하고 표시해야하며, 이를 찾아서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워드 입력에 따라 자동으로 관련수식만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단축키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입력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식기호, 수식기호에 부가되는 첨자, 수식기호에 종속되는 수식의 각 낱글자, 특수문자와 같은 수식요소들이 각각 독립적인 문자로 제공되도록 하여 작성, 편집, 수정 및 삭제가 용이하도록 하며, 일반 말 글자와 동일한 필드 내에서 동일한 글자, 문자 및 문서 특성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표현 및 작성이 용이하도록 한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컴퓨터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웹페이지 및 워드 문서에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의 입력장치에 표시된 키를 이용하여 수식을 대표하는 문자 또는 키워드로 이루어진 수식키워드 설정 단계; 상기 개인단말의 표시장치에 상기 키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출력영역인 입력필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도록 하는 최초 입력 키 정보 입력 단계; 상기 입력되는 최초 입력 키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키워드를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식키워드에 해당하는 수식을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뉴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와 같거나 최초 입력 이후 이어지는 연속 입력 키 정보를 새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메뉴에 표시되는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 경우,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선택된 수식을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수식키워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수식키워드가 아닌 경우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 회귀하여 새로운 문자나 키워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키가 상기 수식을 선택하는 키가 아닌 경우 상기 제 2 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제 1 키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회귀하여 상기 수식키워드가 포함될 경우 수식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제 1 키의 입력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수식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공통 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공통 키워드에 의해 호출할 수 있는 수식을 묶어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식 그룹화 단계는, 표현형태가 다른 같은 수식을 각각 구성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식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식을 포함하는 문서가 작성되는 웹페이지, 문서작성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상기 수식입력을 위한 수 식입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식을 메뉴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를 상기 수식키워드로 가지는 수식그룹을 호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식메뉴는 팝업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되는 수식을 구성하는 각 수식기호는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되는 문자 또는 키워드와 동일한 필드에 동일한 형태로 출력되어, 상기 문자 또는 키워드와 동일하게 편집 및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를 새로 입력하는 단계, 수식 키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식을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는,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키워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 경우 상기 출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를 삭제하는 단계;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선택된 수식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개인 단말의 입력장치에 표시된 키를 통해 입력된 키 정보 즉, 문자 또는 키워드의 입력에 따라 사전에 상기 문자 또는 키워드에 해당되는 수식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해당 수식만을 표시하여 제공하고, 단축키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부가적으로 이용하여 손쉽게 입력하도록 함과 아울러, 수식기호, 수식기호에 부가되는 첨자, 수식기호에 종속되는 수식의 각 낱글자, 특수문자와 같은 수식요소들이 각각 독립적인 문자로 제공되도록 하여 작성, 편집, 수정 및 삭제가 용이하도록 하며, 일반 말글자와 동일한 필드내에서 동일한 글자, 문자 및 문서 특성에 의해 관리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표현 및 작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표현식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보다 짧은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수식입력이 편리해지며, 표현식에 비해 적은 양의 키워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표현식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하고자 하는 수식을 직접 편집하기 때문에 표현식에 비해 편집이 용이하고, 일반적인 문서 편집환경과 마찬가지로 문자입력 작업중, 수식키워드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키워드가 출현하면 수식편집기능을 이용할 수 있지만 연속적으로 다음 문자가 입력이 되면 다시 일반 문서편집환경으로 돌아가 사용자가 별도로 수식기와 문서편집기를 구별하여 사용하는 불편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프로그램에서 제시된 수식중에 사용자가 선택하는 방식으로 입력이 되기 때문에 표현식 사용에 비해 오류가 적게 발생하며, 일반적인 입력과 함께 사용하여 빠르고 쉽게 수식이 포함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만을 사용하거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와 혼용에 의해 입력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는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 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은 수식키워드 설정단계(S100), 입력필드 활성 및 최초 입력 키 정보 입력단계(S200), 키 대응문자 또는 키워드 출력 단계(S300), 수식키워드 여부 판단단계(S400), 수식키워드의 수식 메뉴 표시단계(S500), 연속 입력 키 정보 입력 단계(S600), 수식선택 여부 판단단계(S700) 및 선택된 수식 출력단계(S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식키워드 설정단계(S100)는 수식을 공통 수식키워드에 따라 그룹화하고, 각 수식의 이용형태에 따라 개별화하는 단계이다. 아울러, 수식키워드 설정단계(S100)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식입력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애플릿, 액티브 콘텐츠 와 같은 프로그램의 설치 및 실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수식입력 방법은 기존에 완성되어 배포된 워드 프로그램을 비롯한 문서작성 프로그램, 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웹페이지에 용이하게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수식입력 프로그램을 자바와 같은 객체지향언어를 사용하여 작성하고 이를 애플릿 형태로 기존 프로그램에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수식입력 프로그램은 애플릿 형태외에도, 소스 코드, 플러그인, 서브루틴과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변형하여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식키워드 설정단계(S100)에서 그룹화, 개별화되는 수식에 대해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식키워드는 하나의 문자 또는 키워드로 이루어지고 수식의 명칭이 영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영문이름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이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수식키워드를 영문 소문자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수식키워드로 표현되는 사항은 단순히 수식뿐만이 아니라, 일부 그리스어 및 특수 기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문자 'a' 또는 'alpha'의 경우 'Α' 및 'α(알파)'로 표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필드 상에 영문자 'a' 또는 'alpha'를 타이핑하는 경우 메뉴를 통해 'Α', 'α'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영문자 'r' 또는 'row'의 경우 제곱근 및 그리스 기호 로우 'ρ' 중 어느 하나를 표현하게 할 수 있다. 이때 수식 키워드는 각각 'a'와 'r' 또는 'alpha' 와 'row'가 된다. 그리고, 수식키워드 'r' 또는 'row'에 대해 제곱근(root) 및 'ρ' 가 하나의 그룹 수식으로 묶이게 된다. 또한, 제곱근을 표현함에 있어서도 첨자의 위치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게 된다. 이는 총합을 계산하는 ∑의 경우 기호 자체만 사용되는 경우와 첨자를 부가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때문에 이러한 것을 고려하여 하나의 수식이라도 이용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제공하게 되며, 이것이 수식의 개별화이다. 이와 같이 개별화된 수식은 하나의 수식키워드에 대하여 그룹화하여 제공된다.
입력필드 활성 및 제 1 키 입력단계(S200)에서 사용자에게 표시화면을 통해 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 영역이 제공되고, 단말장치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문자를 기재하게 된다. 문자를 출력할 수 있는 입력필드는 워드 프로그램, 웹페이지, 웹페이지의 게시판 및 이의 등가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여기서, 최초 입력 키 정보는 입력장치 즉, 키보드와 같은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여 입력한 키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 정보이다. 또한, 최초 입력 키 정보는 후술하는 연속 입력 키 정보와 구분을 위한 것으로 반드시 선후를 가리기 위해 지칭한 것은 아니다.
키 대응문자 출력 단계(S300)는 사용자가 제공되는 입력필드에 표현되는 키를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면, 해당 키에 대한 문자 또는 키워드를 표시장치의 입력필드에 표시하거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에서 't'에 해당하는 키를 누르면 표시화면의 입력필드에 문자 't'가 출력되고, 'teacher'를 순차적으로 누르면 표시화면의 입력필드에 키워드 'teacher'가 출력되어 표시된다.
수식키워드 여부 판단단계(S400)는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최초 입력 키 정보 즉, 문자 또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입력된 정보가 수식키워드인지 판별하게 된다.
판별결과 수식키워드가 아닌 경우 커서는 다음 입력공간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이동한 위치에서 입력되는 문자 또는 키워드 즉 연속 입력 키 정보에 대하여 다시 최초 입력 키 정보와 같이 수식키워드 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수식키워드의 판단 기준은 사용자가 사전 설정한 수식키워드 정보로 문자 또는 키워드가 된다.
수식키워드의 수식 메뉴 표시단계(S500)는 전술한 수식키워드 여부 판단단계(S400)에서 입력된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수식 키워드로 판별된 경우, 최초 입력 키 정보 즉, 입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로 이루어진 수식키워드에 해당하는 수식그룹을 메뉴형태로 호출하여 입력필드 또는 화면의 한 부분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메뉴형태는 팝업 형태로 호출되어 출력될 수 있다. 즉, 최초 입력 키 정보 'a' 또는 'alpha'인 경우, 최초 입력 키 정보에 대해 그룹화된 'αΑ'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이 가능한 팝업메뉴로 출력 되어질 수 있다.
연속 입력 키 정보 입력 단계(S600)는 수식그룹이 호출되어 제공되면 사용자는 수식그룹 중 어느 한 수식을 선택하거나, 일반 문서 편집과 동일하게 수식을 선택하지 않고 다른 문자들을 입력필드에 입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을 위해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연속 입력 키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설정된 수식키워드가 'a' 또는 'alpha' 일 경우, 최초 입력 키 정보로 'a' 또는 'alpha'가 입력필드에 입력되면, 이에 대한 수식팝업으로 'αΑ'가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는 연속 입력 키 정보로 'α'와 'Α'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식을 사용하거나 또는 둘 모두를 선택하지 않고 일반적인 문서 편집과 같이 다음 문자들을 입력하며 문서작성 작업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수식선택 여부 판단단계(S7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사용자가 입력한 연속 입력 키 정보가 팝업메뉴로 출력되는 수식그룹의 어느 한 수식을 선택한 것이 아닌 경우, 연속 입력 키 정보는 최초 입력 키 정보와 동일하게 일반 문자로 인식되어 단순히 입력필드 상에 기재되어 출력된다(S750). 이로써 일반적인 문서편집 과정 중에서 입력되어지는 키 정보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수식키워드를 통해 수식편집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선택에 의해 사용하지 않고 일반 문서편집 작업도 계속 진행할 수 있게된다.
또한,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수식을 선택하는 키가 아닌 경우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수식키워드인지 판별하는 수식키워드 여부 판단단계(S400)로 회귀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수식키워드가 입력정보 내에 포함될 경우 수식 메뉴가 표시되고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입력되는 것을 대기한다.
사용자가 수식을 선택하는 연속 입력 키 정보를 입력하지 않으면, 상술 과정이 되풀이된다.
반면에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최초 입력 키 정보와 달리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 경우 다음 단계를 통해 수식을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수식을 선택하는 키는 입력장치의 특정장치에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Ctrl', 'alt'와 같은 특수키와 숫자키 또는 기능키(F1 내지 F12)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단축키를 이용하여 수식을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마우스, 트랙볼과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가 존재하는 경우 수식을 선택하는 제 2 키는 마우스 커서 및 버튼일 수도 있다.
선택된 수식 출력단계(S800)에서 연속 입력 키 정보가 팝업 된 수식그룹 중 수식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입력필드에 표시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선택된 수식은 종래와 달리 일반문자와 동일하게 입력필드 상에 기재된다. 즉, 종래와 같이 수식이 이미지로 기재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수식기호들이 하나의 글자 혹은 하나의 기호가 차지하는 영역과 유사한 영역을 차지하여, 일반적인 텍스트와 같은 형태로 입력필드 상에 기재된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0005421928-pat00001
와 같은 경우 종래에는 상기 수식이 하나의 이미지로 처리되어 각각의 문자를 수정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상기의 수식은 'x2+x+1=10'와 같이 출력되지만 'x,2,+, x, +, 1, =, 10'로 구분되어 기재되게 된다. 이 수식 출력단계(S8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연속 입력 키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인식이 가능하도록 입력필드 상에 제 2 키에 대응하는 문자로 출력되어 표현되고, 이후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수식선택 키인 경우 출력된 대응문자가 수식으로 대체되어 표시됨으로서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수식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즉, 수식 출력단계(S800)에서 입력을 위채 출력된 연속 입력 키 정보 대응문자는 삭제되고, 연속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선택된 수식이 상기 대응문자가 출력된 자리에 다시 출력됨으로써 수식을 표현하게 된다. 아울러, 이와 같이 연속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선택된 수식이 입력필드 상에 기재되면 다음 키의 입력을 대기하는 과정을 거쳐 상술한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일반 문자와 수식이 혼용된 문서를 작성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수식편집기 없이도 수식을 기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식입력방법을 실제로 구현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이다.
도 2a 내지 도 2h를 참조하면, 도 2는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예로 들어 문자 및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사용자가 특정 웹의 게시판 페이지에 접속하면 도 2a와 같이 게시판에 기재된 목록 및 글 제목, 게재날짜를 확인할 수 있는 페이지가 제공된다. 사용자 가 글을 게재하기 위하여 글쓰기 버튼을 클릭하면, 도 2b와 같은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2b는 글쓰기를 위한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화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시자의 이름, 수정, 삭제 권한을 위한 비밀번호 제목의 입력을 위한 필드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해당필드에 각기 적합한 내용을 기재한 후, 입력필드(100)에 글을 기재하게 된다.
제목과 같은 부가적인 입력이 종료되면 도 2c와 같이 입력필드에 글을 기재하여 게시물을 작성하게 된다. 도 2에서는 게시자가 수식을 설명하는 게시글을 작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 2c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일반적인 문자 즉, 말글자를 이용하여 문서를 우선 작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문서를 작성하던 중 수식의 도 2d와 같이 수식을 입력해야 하는 부분이 오면, 자신이 호출하고자 하는 수식의 수식키워드를 입력하게 된다. 이때, 입력필드(100)의 작성영역(110)에 기재된 글들은 전술한 도 1에서 모두 최초 입력 키 정보로써 입력된 텍스트들이다. 사용자가 수식을 입력하기 위해 최초 입력 키 정보로 적분을 뜻하는 영 단어의 첫 글자인 'i' 또는 'integral'을 입력하면 입력필드(100) 상에 'i' 또는 'integral'로 그룹화된 기호들이 나열된다. 사용자가 나열된 수식 및 기호들 중 적분기호를 입력하기 위해 연속 입력 키 정보에 해당하는 'Alt+1'을 입력하거나 마우스 커서를 적분기호에 위치시키고 클릭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입력필드(100)의 작성영역에는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분기호가 입력되고, 이어서 적분기호의 일측에 범위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첨자 영역(130)이 활성화된다. 이때, 도 2e의 제 1 첨자 영역(130)은 적분기호에 대해 입력위치만 정해진 것으로 별개의 구성으로 표현된다.
제 1 첨자 영역(130)에 사용자가 특정 문자를 입력하면, 도 2f와 같이 제 2 첨자영역(131)이 활성화되어 또 다른 제한 값을 입력하게 된다. 이러한 첨자 영역(130, 131)은 선택한 수식기호에 따라 하나 이상의 곳에 활성화되거나, 첨자 영역 없이 수식기호만 표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 1 첨자 영역(130) 및 제 2 첨자 영역(131)을 모두 기재하면 도 2g와 같이 첨자가 입력된 적분기호가 입력영역(100)에 표시된다.
이후 동일한 방법을 반복하여 도 2h와 같이 하나의 글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식입력 방법은 전체의 수식을 구성하는 수식기호 각각을 독립된 문자 즉, 텍스트로 인식하도록 하여 작성, 수정, 편지 및 삭제가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수식편집 기능을 별도의 수식편집 프로그램을 구동시키지 않고 애플릿과 같은 형태로 입력필드 상에서 구현함으로써 문서의 작성이 종래보다 현저히 용이해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h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식입력방법을 실제로 구현한 예를 도시한 예시 도이다.

Claims (9)

  1. 컴퓨터 단말을 포함하는 개인 단말을 이용하여 웹페이지 및 워드 문서에 수식을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개인 단말의 입력장치에 표시된 키를 이용하여 수식을 대표하는 키 정보 또는 키워드로 수식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개인단말의 표시장치에 상기 키의 입력에 따라 출력되는 키 정보 또는 키워드가 출력영역인 입력필드를 활성화하고 사용자에 의해 최초 입력 키 정보로 문자 또는 키워드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입력되는 최초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를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수식키워드에 해당하는 수식을 상기 표시장치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메뉴형태로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와 같거나 다른 연속 입력 키 정보를 새로 입력하는 단계;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가 상기 수식메뉴에 표시되는 수식을 선택하는 키 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입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가 상기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 경우, 상기 이후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선택된 수식을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수식키워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수식키워드가 아닌 경우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 회귀하여 새로운 최초 입력 키 정보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을 선택하는 키가 아닌 경우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키워드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최초 입력 키 정보가 상기 수식키워드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회귀하여 상기 수식키워드가 포함될 경우 수식 메뉴가 표시되고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의 입력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공통 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공통 키워드에 의해 호출할 수 있는 수식을 묶어 그룹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 그룹화 단계는,
    표현형태가 다른 같은 수식을 각각 구성하여 상기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키워드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식을 포함하는 문서가 작성되는 웹페이지, 문서작성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응용프로그램에 상기 수식입력을 위한 수식입력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식을 메뉴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를 상기 수식키워드로 가지는 수식그룹을 호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식메뉴는 팝업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되는 수식을 구성하는 각 수식기호는
    상기 최초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상기 입력필드에 출력되는 문자 또는 키워드와 동일한 필드에 동일한 형태로 출력되어, 상기 문자 또는 키워드와 동일하게 편집 및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를 새로 입력하는 단계, 수식 키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식을 입력필드에 출력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는,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키워드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가 수식을 선택하는 키인 경우 상기 출력된 문자 또는 키워드를 삭제하는 단계;
    상기 연속 입력 키 정보에 의해 선택된 수식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KR1020080060419A 2008-06-25 2008-06-25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KR100981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19A KR100981653B1 (ko) 2008-06-25 2008-06-25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PCT/KR2009/000262 WO2009157631A1 (ko) 2008-06-25 2009-01-18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US12/991,399 US20110080409A1 (en) 2008-06-25 2009-01-18 Formula input method using a comput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419A KR100981653B1 (ko) 2008-06-25 2008-06-25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792A KR20100000792A (ko) 2010-01-06
KR100981653B1 true KR100981653B1 (ko) 2010-09-10

Family

ID=4144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419A KR100981653B1 (ko) 2008-06-25 2008-06-25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80409A1 (ko)
KR (1) KR100981653B1 (ko)
WO (1) WO20091576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645A2 (ko) * 2010-11-03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6179A (zh) * 2011-12-05 2013-06-05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用于编辑有机化学结构式的方法和装置
US20140082471A1 (en) * 2012-09-20 2014-03-20 Corey Reza Katouli Displaying a Syntactic Entity
CN104063063B (zh) * 2014-06-05 2018-10-09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法的数学计算输入方法和输入法系统
CN105893338B (zh) 2015-02-17 2021-07-09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用于输入公式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9898440B2 (en) 2015-02-25 2018-02-20 Sap Se Calculation framework utilizing fragmentation of expressions
GB2557362A (en) * 2016-12-08 2018-06-20 Texthelp Ltd Mathematical and scientific expression editor for computer systems
KR102131423B1 (ko) * 2019-02-14 2020-07-08 (주)메인라인 문서의 자동 컴파일 방법 및 장치
KR102207907B1 (ko) * 2019-08-26 2021-01-26 주식회사 에코시안 건물에너지 사용량 및 절감율 분석을 위한 수식 생성 관리 시스템
US11768997B2 (en) * 2020-03-31 2023-09-26 Atlassian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using, and managing fields in electronic con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8738A (ja) 1998-11-16 2000-05-30 Suuken Shuppan Kk 数式入力・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数式入力・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70559A (ko) * 2000-05-24 2001-07-27 고종학 수식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7200A (ko) * 2001-02-15 2002-08-22 김문수 수식기호를 게시판에 표시하는 시스템, 그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50061620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이지팝소프트 문서편집 소프트웨어의 수식 편집기 및 그 편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226B2 (ja) * 1992-12-22 2004-0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文書処理装置
JPH10307574A (ja) * 1997-05-09 1998-11-17 Sharp Corp グラフ表示機能付き電子計算機
KR100483519B1 (ko) * 2002-05-31 2005-04-18 흥화기계공업주식회사 입형식 사출 성형기의 사출기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8738A (ja) 1998-11-16 2000-05-30 Suuken Shuppan Kk 数式入力・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数式入力・表示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70559A (ko) * 2000-05-24 2001-07-27 고종학 수식 편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7200A (ko) * 2001-02-15 2002-08-22 김문수 수식기호를 게시판에 표시하는 시스템, 그 방법 및 기록매체
KR20050061620A (ko) * 2003-12-18 2005-06-23 주식회사 이지팝소프트 문서편집 소프트웨어의 수식 편집기 및 그 편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645A2 (ko) * 2010-11-03 2012-05-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2060645A3 (ko) * 2010-11-03 2012-06-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수식 입력 방법 및 장치
US9372828B2 (en) 2010-11-03 2016-06-21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eq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7631A1 (ko) 2009-12-30
US20110080409A1 (en) 2011-04-07
KR20100000792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653B1 (ko) 컴퓨팅 매체를 이용한 수식 입력방법
Nilsson Design patterns for user interface for mobile applications
KR101278770B1 (ko) 키보드 가속기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7895531B2 (en) Floating command object
US67421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on using formulas in number fields
US7178098B2 (en) Method and system in an electronic spreadsheet for handling user-defined options in a copy/cut—paste operation
RU2537776C2 (ru) Основанная на разметке расширяемость для интерфейсов пользователя
US7886290B2 (en) Cross version and cross product user interface
US200201164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d viewing electronic information
US20070240057A1 (en) User interface element for displaying contextual information
KR100627547B1 (ko) 컨텐츠 의존형 온라인 도움말 정보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6961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on using vertical parentheses
Carey Creating global software: a conspectus and review
US2002014383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on using spreadsheet lines and vertical calculations in a single document
US7272783B2 (en) Method and system in an electronic spreadsheet for managing and handling user-defined options
Kumar Human computer interaction
US200201438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on using multi-field columns with hidden fields
US20020059233A1 (en) Method and system in an electronic spreadsheet for applying user-defined options
US200402056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on using a subtotal function
JP2004110410A (ja) 表の表示方法、表示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2784542B (zh) 一种文档编辑方法及装置
US200201438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on using multi-field columns with modifiable field order
EP1172751B1 (en) Method and system in an electronic spreadsheet for handling user-defined options in a copy/cut-paste operation
Afriyie Concise Ict Fundamentals Volume Two
JP2024000757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