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658B1 -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 Google Patents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658B1
KR101639658B1 KR1020140171907A KR20140171907A KR101639658B1 KR 101639658 B1 KR101639658 B1 KR 101639658B1 KR 1020140171907 A KR1020140171907 A KR 1020140171907A KR 20140171907 A KR20140171907 A KR 20140171907A KR 101639658 B1 KR101639658 B1 KR 101639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pport member
work
main
sl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6460A (ko
Inventor
마사히로 아사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5006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14Stack holders or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Abstract

(과제) 지진시에 워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프레임끼리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을 발생시켜, 제진(制振) 부재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制震) 구조의 제공에 있다.
(해결 수단) 기둥 부재와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plane of structure)을 갖는 한 쌍의 프레임이, 구면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배치되고,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워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공간이 형성되고,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의 프레임은,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된 제1 지지 부재(24)를 구비하고,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제1 지지 부재(24)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25)를 구비하고,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워크(W)를 지지하는 수용 선반(11)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제2 지지 부재(25)에 구비되고, 워크(W)와 제2 지지 부재(25)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걸림편(40)과,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29)와, 연결 부재(29)에 설치한 제진 부재를 갖는다.

Description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VIBRATION CONTROL STRUCTURE OF STORAGE RACK}
본 발명은, 기둥 부재(post member)와 들보 부재(beam member)를 갖는 복수의 프레임(frame)을 구비한 수용 선반의 제진(制震; vibration control) 구조에 관한 것이다.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制振) 랙(rack)과 제진 방법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진 랙에서는, 제진 랙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2개의 기둥이 설치되어 있고, 이 2개의 기둥이 단변 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의 기둥에 완목(cross arm)이 각각 부착되어 있고, 완목에는 선반 지지 본체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선반 지지 본체와 완목과의 사이에는 제진 부재로서 점탄성체가 끼워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과 제진 방법에 의하면, 한 쌍의 선반 지지 본체에 물품(荷物)이 지지되어 있는 경우, 제진 랙의 진동 에너지를 물품의 진동 에너지로 변환하는 동안에 진동 에너지를 흡수 산일(散逸)하여, 물품을 제진한다고 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118818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은, 물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선반 지지 본체의 양측에 제진 부재가 각각 설치된 구조이다.
이 때문에, 제진 부재의 변형량은, 지진에 의해 다리부로부터 제진 랙이 흔들렸을 때에, 물품이 그 장소에 계속 위치하고자 하는 힘(물품의 관성력)에 따르지 않을 수 없고, 물품의 질량이나, 선반 지지 본체와의 마찰 계수에 따라서는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제진 랙과 제진 방법에서는, 물품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선반 지지 본체의 양측에 제진 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점에서,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시에 워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프레임끼리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을 발생시켜, 제진 부재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의 제공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 부재와 복수의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plane of structure)을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기 구면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워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은,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설치된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은, 상기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워크를 지지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워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 부재와, 상기 한쪽의 프레임과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제진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 선반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수용지지되는 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수용 선반이 지진 에너지를 받으면, 한쪽의 프레임 및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서는 각각 흔들림이 발생한다.
이때, 다른 한쪽의 프레임측에서는, 변위 규제 부재에 의해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워크의 변위가 규제되기 쉽고, 워크는 다른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과 함께 흔들리기 쉽다.
한쪽의 프레임측에서는, 제1 지지 부재에 대한 워크의 변위는 적극적으로 규제되지 않기 때문에, 워크는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다른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에 따라서 변위한다.
워크와 일체가 되어 흔들리기 쉬운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한쪽의 프레임보다도 흔들림이 커지는 점에서,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한다.
이때,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과의 사이의 연결 부재에 설치된 제진 부재가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용 선반의 흔들림을 감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지지 부재에 변위 규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면, 한쪽의 프레임 및 다른 한쪽의 프레임이 동일한 구조라도, 워크를 이용하여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제진 부재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또한, 기설(旣設)의 수용 선반이라도, 제2 지지 부재에 변위 규제 부재를 설치함과 함께 제진 부재를 설치하여 워크를 탑재하면, 제진 기능을 수용 선반에 부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제진 기능은 구조물의 흔들림을 적극적으로 억제하는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흔들림에 대항하는 내진 기능과는 구별되는 기능이다.
또한, 상기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변위 규제 부재는, 상기 워크의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걸림편으로 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걸림편이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워크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지지 부재를 설치한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워크와 함께 흔들린다.
그 결과,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과의 위상차를 보다 크게 할 수 있어, 제진 부재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흡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주기둥 부재(main post member)와 복수의 주들보 부재(main beam member)에 의해 둘러싸인 주구면(main plane of structure)을 갖는 주프레임이며,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복수의 종속 기둥 부재(subordinate post member)와 복수의 종속 들보 부재(subordinate beam member)에 의해 둘러싸인 종속 구면(subordinate plane of structure)을 갖고, 상기 주프레임보다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인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워크를 이용하여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사이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구조상의 상위에 의해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를 설치한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종속 프레임이기 때문에, 종속 프레임은 워크와 함께 보다 흔들리기 쉬워, 주프레임의 흔들림과 종속 프레임의 흔들림과의 위상차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기둥 부재와 복수의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을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기 구면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워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은, 상기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된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은, 상기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워크를 지지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워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상기 워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상기 한쪽의 프레임과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제진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용 선반에 있어서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수용지지되는 워크가 존재하는 경우, 수용 선반이 지진 에너지를 받으면, 한쪽의 프레임 및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서는 각각 흔들림이 발생한다.
워크와 제2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워크와 제1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워크는 제2 지지 부재와 함께 흔들리기 쉽고,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변위하기 쉽다.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이 부담하는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보다도 다른 한쪽의 프레임의 흔들림이 커져,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한다.
이때,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과의 사이의 연결 부재에 설치한 제진 부재가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여, 수용 선반의 흔들림을 감쇠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와 제2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를 워크와 제1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한쪽의 프레임 및 다른 한쪽의 프레임이 동일한 구조라도, 워크를 이용하여 한쪽의 프레임과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제진 부재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프레임은, 복수의 주기둥 부재와 복수의 주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주구면을 갖는 주프레임이며,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복수의 종속 기둥 부재와 복수의 종속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종속 구면을 갖고, 상기 주프레임보다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이다.
이 경우, 워크를 이용하여 프레임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 사이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구조상의 상위에 의해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를 설치한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종속 프레임이기 때문에, 종속 프레임은 워크와 함께 보다 흔들리기 쉬워, 주프레임의 흔들림과 종속 프레임의 흔들림과의 위상차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진시에 워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를 구비한 프레임끼리에 있어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을 발생시켜, 제진 부재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를 가능하게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warehouse)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있어서의 A-A선의 화살표시선에 따른 도면이고, 도 2(b)는 도 1에 있어서의 B-B선의 화살표시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3은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수용 선반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지지 부재와 걸림편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지진 발생시에 워크가 제1 지지 부재에 대하여 전방으로 상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용 선반의 요부(要部) 평면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를 자동 창고의 수용 선반에 적용한 예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창고(10)는, 복수의 수용 선반(11)과, 수용 선반(11)의 사이에 설치된 레일(12) 상을 왕복 주행하는 스태커 크레인(stacker crane; 13)과, 제어 장치로서의 지상 제어반(S/R machine control panel; C)을 구비하고 있다.
워크 이송 장치로서의 스태커 크레인(13)은, 수용 선반(11)과 수용 선반(11)의 단부(端部)에 설치한 입출고대(storage and retrieval table; 14)와의 사이에서 워크(W)를 반송하는 것 외에,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워크(W)의 재배치를 위해 워크(W)를 반송한다.
지상 제어반(C)은, 워크(W)의 입출고 관리나 재고 관리를 행하는 것 외에, 수용 선반(11)에 수용되어 있는 워크(W)의 재배치 계획을 행하여, 입출고 관리나 재고 관리, 워크(W)의 재배치 계획을 위한 지령을 스태커 크레인(13)으로 전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태커 크레인(13)의 주행 방향을 수용 선반(11)의 길이 방향으로 하고, 스태커 크레인(13)과 수용 선반(11)과의 사이에서의 워크(W)의 출입 방향을, 수용 선반(11)의 전후 방향으로 한다.
또한, 수용 선반(11)에 수용되는 다수의 워크(W)의 중량은 서로 동일하다.
또한, 워크(W)는, 팔레트와 팔레트에 탑재된 물품을 포함하고, 물품이 탑재되는 팔레트는, 변형시키고자 하는 외력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11) 및 스태커 크레인(13)은, 수용 선반(11), 스태커 크레인(13), 수용 선반(11), 수용 선반(11), 스태커 크레인(13), 수용 선반(11), 수용 선반(11), 스태커 크레인(13), 수용 선반(11)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각 수용 선반(11)은, 서로 동일 구성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11)의 상하 방향 및 길이 방향에는, 워크(W)를 수용하는 다수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도 2(a), 도 2(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은, 수용 선반(11)의 주된 골격이 되는 2개의 주프레임(15)과, 주프레임(15)보다도 강성이 작은 2개의 종속 프레임(20)을 구비하고 있다.
우선, 프레임으로서의 주프레임(15)에 대해서 설명하면, 주프레임(15)은, 전후에 배치된 기둥 부재로서의 한 쌍의 주기둥 부재(16)와, 주기둥 부재(16)의 정부(頂部), 하부 및 중간부를 접속하는 들보 부재로서의 주들보 부재(17)를 구비하고 있다.
각 주기둥 부재(16)의 하단은 바닥면(F)에 고정되어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주프레임(15)에는, 주기둥 부재(16)와 주들보 부재(17)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으로서의 복수의 주구면(18)이 형성되어 있고, 각 주구면(18)에는 래티스(lattice; 19)가 상하 방향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래티스(19)는 주구면(18)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 사재(斜材)이며, 주기둥 부재(16)에 대하여 경사져 전후의 주기둥 부재(16)를 접속한다.
주프레임(15)은, 수용 선반(11)에 필요한 강도를 주로 담당하는 요소이다.
주기둥 부재(16), 주들보 부재(17) 및 래티스(19)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주기둥 부재(16)는 강관이다.
다음으로, 프레임으로서의 종속 프레임(20)에 대해서 설명하면, 종속 프레임(20)은, 전후에 배치된 기둥 부재로서의 한 쌍의 종속 기둥 부재(21)와, 종속 기둥 부재(21)의 정부, 하부 및 중간부를 접속하는 들보 부재로서의 종속 들보 부재(22)를 구비하고 있다.
각 종속 기둥 부재(21)의 하단은 바닥면(F)에 고정되어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속 프레임(20)에는, 종속 기둥 부재(21)와 종속 들보 부재(22)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으로서의 복수의 종속 구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종속 구면(23)에는 래티스(19)가 배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종속 구면(23)은 주구면(18)과 비교하면 전후 방향의 외력을 받으면 용이하게 변형하기 쉽다.
종속 프레임(20)은, 워크(W)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를 가지며, 수용 선반(11)의 지진에 대한 강도로의 공헌은 거의 없고, 주프레임(15)과 비교하면 현저하게 강성이 작다.
종속 기둥 부재(21) 및 종속 들보 부재(22)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종속 기둥 부재(21)는 주기둥 부재(16)보다 소경(小徑)의 강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프레임(15)의 주구면(18)과 종속 프레임(20)의 종속 구면(23)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이, 주프레임(15), 종속 프레임(20), 종속 프레임(20), 주프레임(15)의 순서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즉, 수용 선반(11)에서는, 주프레임(15)과 주프레임(15)의 사이에 2개의 종속 프레임(20)이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의 배치 방향에 있어서의 수용 선반(11)의 양단부에는 주프레임(15)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사이에는 제1 프레임 공간(R1)이 형성되고, 서로 연이어 설치되는 종속 프레임(20)의 사이에는 제2 프레임 공간(R2)이 형성된다.
제1 프레임 공간(R1) 및 제2 프레임 공간(R2)에는, 다단 형상으로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5단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고, 워크 수용 공간(S)에 대해서는 아래부터 1단째, 2단째를 세어, 최상부의 워크 수용 공간(S)을 5단째로 한다.
수용 선반(11)은, 2개의 제1 프레임 공간(R1)과 1개의 제2 프레임 공간(R2)을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간(R1, R2)에 5개의 워크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최대 15개의 워크(W)를 수용 가능하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프레임(15)에는, 한 쌍의 주기둥 부재(16)에 고정된 대략 ㄷ자 형상의 제1 지지 부재(24)를 구비하고 있다.
종속 프레임(20)에는, 제1 지지 부재(24)와 대향하도록 한 쌍의 종속 기둥 부재(21)에 고정된 대략 ㄷ자 형상의 제2 지지 부재(2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는 워크(W)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프레임 공간(R1)에 있어서의 워크 수용 공간(S)은,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구획되고, 제2 프레임 공간(R2)에 있어서의 워크 수용 공간(S)은,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구획된다.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가 워크(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하고,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25)가 워크(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용 선반(11)은, 주프레임(15)의 후부측의 주기둥 부재(16) 및 종속 프레임(20)의 후부측의 종속 기둥 부재(21)를 연결하는 수평 가재(horizontal member;26)를 구비하고 있다.
수평 가재(26)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고,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복수 개소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가재(26)는, 주기둥 부재(16) 및 종속 기둥 부재(21)의 최상부와 1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되어 있는 것 외에, 2단째 및 4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있어서 각각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수용 선반(11)은, 후부측의 수평 가재(26)와 동일하게, 주프레임(15)의 전부(前部)측의 주기둥 부재(16) 및 종속 프레임(20)의 전부측의 종속 기둥 부재(21)를 연결하는 수평 가재(26)를 구비하고 있다.
수용 선반(11)의 전부 및 후부에 있어서, 연이어 설치된 2개의 종속 기둥 부재(21)를 사이에 끼우는 양측의 2개의 주기둥 부재(16)와, 최상부의 수평 가재(26)와 최하부의 수평 가재(26)는, 수용 선반(11)의 전부 및 후부에 수직 구면을 형성한다.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후부의 수직 구면에는 2개 1조로 하여 대각선 형상으로 브레이스(brace; 27)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에서는, 3조의 대각선 형상의 브레이스(27)가 상중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최하위의 브레이스(27)의 양단부는, 수용 선반(11)의 양단의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최하단과, 주기둥 부재(16)와 2단째의 수평 가재(26)가 접속하는 개소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중간 위치의 브레이스(27)의 양단부는, 수용 선반(11)의 양단의 주기둥 부재(16)와 2단째의 수평 가재(26)가 접속하는 개소와, 수용 선반(11)의 양단의 주기둥 부재(16)와 4단째의 수평 가재(26)가 접속하는 개소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최상위의 브레이스(27)의 양단부는, 수용 선반(11)의 양단의 주기둥 부재(16)와 4단째의 수평 가재(26)가 접속하는 개소와, 수용 선반(11)의 양단의 주기둥 부재(16)와 최상부의 수평 가재(26)가 접속하는 개소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해 워크 수용 공간(S)에 대한 워크(W)의 출입을 행하는 점에서,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전부의 수직 구면에는 브레이스(27)는 설치되지 않는다.
수평 가재(26) 및 브레이스(27)는 수용 선반(11)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요소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은,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종속 프레임(20)의 최상부에 수평 사재로서의 연결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 2단째, 4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있어서 연결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 부재(28)는 강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28)는, 제2 프레임 공간(R2)에 있어서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연결 부재(28)는, 전부의 종속 기둥 부재(21)와 후부의 종속 기둥 부재(21)와의 사이를 연결한다.
즉, 연결 부재(28)는, 제2 프레임 공간(R2)에 있어서의 종속 프레임(20)끼리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28)의 길이 방향은 종속 들보 부재(2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즉, 연결 부재(28)는 종속 구면(23)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의 최상부에 댐퍼(35)를 구비한 연결 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단째 및 4단째에 있어서의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의 하부가 되는 위치에도 댐퍼(35)를 구비한 연결 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9)는, 종속 프레임(20)에 고정되는 2개의 제1 부재(30)와, 주프레임(15)에 고정되는 제2 부재(31)와, 2개의 제1 부재(30)와 제2 부재(31)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댐퍼(35)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부재(30)는 봉 형상의 강재로서, 종래의 수평 사재와 동등한 강재이다.
제1 부재(30)의 한쪽의 단부는, 종속 프레임(20)에 있어서의 종속 기둥 부재(21)와 종속 들보 부재(22)와의 접속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재(30)의 다른 한쪽의 단부는, 주프레임(15)의 주들보 부재(17)의 중심을 향하고 있고, 2개의 제1 부재(30)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의 단부는 접속 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접속 부재(32)는 금속제의 부재로서, 접속 부재(32)에는 제2 부재(31)와 대향하는 제1 대향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부재(31)는 금속제의 부재로서, 주들보 부재(17)의 길이 방향의 중심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2 부재(31)에는 접속 부재(32)와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대향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부재(30)에 설치한 접속 부재(32)와 제2 부재(31)와의 사이는, 고무제의 댐퍼(35)가 끼워져 있고, 댐퍼(35)는 제1 대향면(33) 및 제2 대향면(34)에 고정되어 있다.
댐퍼(35)는, 진동을 감쇠하는 제어 부재로서, 재료인 고무의 점탄성에 의해 변형 가능하다.
진동시의 전단력이 댐퍼(35)에 작용하여 댐퍼(35)가 변형할 때, 댐퍼(35)가 진동 에너지를 흡수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주프레임(15)에 대하여 종속 프레임(20)이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는 전후 방향의 진동(주구면(18) 및 종속 구면(23)과 평행한 흔들림)이 발생했을 때, 접속 부재(32)와 제2 부재(31)는 상대 이동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댐퍼(35)는 접속 부재(32)와 제2 부재(31)와의 상대 이동에 따라서 전후 방향으로 변형한다.
따라서,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진동의 방향과, 댐퍼(35)의 변형의 방향이 일치하는 점에서, 전후 방향의 진동은 효율적으로 감쇠되고, 진동 에너지는 댐퍼(35)에 의해 흡수된다.
다음으로,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제1 지지 부재(24)부터 설명하면, 주프레임(15)에는, 1∼5단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1 지지 부재(24)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4)는, 대략 ㄷ자 형상의 부재로서, 전후의 주기둥 부재(16)에 각각 고정되고, 선단이 제1 프레임 공간(R1)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아암부(36)와, 아암부(36)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37)를 갖고 있다.
아암부(36) 및 접속부(37)의 상면이 워크(W)의 저부(底部)(팔레트)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이 되어 있다.
제1 지지 부재(24)와 워크(W)와의 사이에는, 제1 지지 부재(24)와 워크(W)에 의해 마찰 계수가 규정된다.
그리고, 마찰 계수를 정수(定數)로 하여 제1 지지 부재(24)에 있어서의 지지면에 작용하는 하중에 비례한 마찰력이 제1 지지 부재(24)와 워크(W)와의 사이에 발생한다.
제1 지지 부재(24)와 워크(W)와의 마찰력은, 지진시에 있어서 워크(W)에 작용하는 수평 방향의 하중(이하 「수평 하중」이라고 표기함)에 대한 저항이 된다.
다음으로,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25)는, 대략 ㄷ자 형상의 부재로서, 전후의 종속 기둥 부재(21)에 각각 고정되고, 선단이 제1 프레임 공간(R1)(또는 제2 프레임 공간(R2))으로 수평으로 돌출하는 아암부(38)와, 아암부(38)의 선단을 접속하는 접속부(39)를 갖고 있다.
제2 지지 부재(25)의 아암부(38)는 제1 지지 부재(24)의 아암부(36)와 동일한 구성이고, 또한, 제2 지지 부재(25)의 접속부(39)는 제1 지지 부재(24)의 접속부(37)와 동일한 구성이다.
종속 프레임(20)에는, 1∼5단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제2 지지 부재(25)가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와 대향하는 모든 제2 지지 부재(25)는, 워크(W)의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 부재로서의 걸림편(40)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걸림편(40)은 금속판의 펀칭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지지 부재(25)에 있어서의 접속부(39)의 전후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걸림편(40)의 일부는 접속부(39)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걸림편(40)은,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한 워크(W)의 전후 방향(수평 방향)으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 부재에 상당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걸림편(40)은,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한 워크(W)의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걸림편(40)은 접속부(39)로부터 상방을 향할수록 접속부(39)의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41)을 구비하고 있다.
접속부(37)에서 경사면(41)의 상단까지의 높이는,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한 워크(W)의 출입에 지장이 없는 높이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걸림편(40)이 경사면(41)을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워크 수용 공간(S)으로의 워크(W)의 수용시에 있어서, 워크(W)를 하강할 때에, 경사면(41)이 워크(W)의 저부를 제2 지지 부재(25)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은, 주프레임(15)에 설치한 제1 지지 부재(24)와, 걸림편(40)을 갖고, 종속 프레임(20)에 설치한 제2 지지 부재(25)와,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수용지지된 워크(W)와, 댐퍼(35)를 이용한 제진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11)의 제진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워크 수용 공간(S)에 워크(W)가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 프레임 공간(R1)에서는 워크(W)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프레임 공간(R2)에서는, 한 쌍의 제2 지지 부재(25, 25)에 의해 지지된다.
대지진이 발생하여,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의 전후 방향의 진동(주구면(18) 및 종속 구면(23)과 평행한 흔들림)이 발생하면, 충분한 강도가 설정되어 있는 주프레임(15)과, 주프레임(15)과 비교하면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20)에는, 서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이 발생한다.
강성이 큰 주프레임(15)에서는 변형이 작은 흔들림이 있고, 종속 프레임(20)은 외력에 대하여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변형이 큰 흔들림이 된다.
특히, 수용 선반(11)의 상부는 하부와 비교하여 흔들림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상하 방향에 있어서 수평 가재(26)와 수평 가재(26)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복수의 워크 수용 공간(S)에서는,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상측의 수평 가재(26)와 하측의 수평 가재(26)와의 사이의 부위와,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상측의 수평 가재(26)와 하측의 수평 가재(26)와의 사이의 부위와의 변위는 서로 상이하다.
예를 들면,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2, 3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2, 3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와 비교하여 변형은 적다.
마찬가지로,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4, 5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4, 5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에 대응하는 부위와 비교하여 변형은 적다.
걸림편(40)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에서는, 걸림편(40)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하여 변위가 규제되는 워크(W)가,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제2 지지 부재(25)와 일체가 되어 전후 방향으로 흔들린다.
워크(W)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릴 때, 워크(W)에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하중은,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가 각각 부담하거나, 제1 지지 부재(24)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과 제2 지지 부재(25)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편(40)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은, 제1 지지 부재(24)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보다도 크다.
따라서, 주기둥 부재(16)에 있어서의 걸림편(40)을 갖는 제2 지지 부재(25)와 대향하는 제1 지지 부재(24) 부근의 부위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제2 지지 부재(25) 부근의 부위와 상이한 위상으로 흔들리고, 이 종속 기둥 부재(21)보다 흔들림은 작다.
제2 지지 부재(25)와 워크(W)가 일체가 되어 크게 흔들리고, 추가로, 제1 지지 부재(24)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와 워크(W)와의 마찰력 이상의 수평 하중이 워크(W)에 작용하는 경우, 워크(W)는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상대 변위한다.
도 7은, 워크(W)가 종속 기둥 부재(21)와 일체가 되어 거리(d)만큼 전방으로 변위함과 함께, 워크(W)가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거리(d)만큼 전방으로 상대 변위한 상태를 나타낸다.
워크(W)와 종속 기둥 부재(21)는, 일체가 되어 전방으로 변위할 뿐만 아니라, 후방으로도 변위한다.
또한, 워크(W)는,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전방으로의 상대 변위뿐만 아니라,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후방으로도 상대 변위한다.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와, 워크(W)와 종속 기둥 부재(21)와의 일체가 된 변위에 의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부재(29)에 설치한 댐퍼(35)가 변형된다.
댐퍼(35)가 변형함으로써 지진 에너지가 댐퍼(35)에 흡수되고, 댐퍼(35)에 있어서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워크(W)의 종속 기둥 부재(21)와 일체가 된 전후 방향으로의 변위가 클수록,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가 커진다.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가 클수록, 댐퍼(35)의 변형도 커져, 댐퍼(35)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흡수도 많아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공간(R2)에 있어서 제2 지지 부재(25)만에 의해 지지되는 워크(W)는, 걸림편(40)에 의한 규제를 받아 프레임 공간(R2)을 형성하는 종속 프레임(20)과 일체가 되어 흔들린다.
따라서, 프레임 공간(R1)에 있어서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에 대하여 프레임 공간(R2)에 있어서의 워크(W)의 수평 하중이 가산되어, 제2 지지 부재(25)측의 종속 프레임(20)은 보다 크게 흔들릴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의 제진 구조는 이하의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1)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수용지지되는 워크(W)가 존재하는 경우, 수용 선반(11)이 지진 에너지를 받으면, 주프레임(15) 및 종속 프레임(20)에서는 각각 흔들림이 발생한다. 이때, 종속 프레임(20)에서는, 워크(W)가 걸림편(40)에 의해 제2 지지 부재(25)와 일체가 되어 종속 프레임(20)과 함께 흔들린다. 워크(W)와 일체가 되어 흔들리는 종속 프레임(20)에서는,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주프레임(15)보다도 흔들림이 커지는 점에서,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은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한다. 이 때문에, 주프레임(15)에서는, 워크(W)가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종속 프레임(20)의 흔들림에 따라서 변위한다. 이때, 연결 부재(29)에 설치한 댐퍼(35)가 변형하여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고, 수용 선반(11)의 흔들림을 감쇠한다.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사이의 연결 부재(29)에 댐퍼(35)를 설치하고, 제2 지지 부재(25)에 걸림편(40)을 설치함으로써, 워크(W)를 이용하여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댐퍼(35)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2) 수용 선반(11)이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워크(W)를 이용하여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복수의 프레임에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의 구조상의 상위를 이용하여,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의 흔들림의 위상차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3) 제2 지지 부재(25)와 워크(W)와의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가 걸림편(40)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워크(W)와 제1 지지 부재(24)와의 상대 변위가 확실하게 댐퍼(35)에 흡수되어, 댐퍼(35)를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댐퍼(35)의 변형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확실하고 효율적인 흡수가 가능하다. 또한, 걸림편(40)이 제2 지지 부재(25)와 워크(W)와의 전후 방향의 상대 변위를 확실하게 규제하는 점에서, 제2 지지 부재(25)가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을, 제1 지지 부재(24)가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보다도 크게 할 수 있어, 워크(W)를 이용하여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4) 주프레임(15)의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워크(W)를 상대 변위 가능하게 함과 함께, 주프레임(15)보다도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20)의 제2 지지 부재(25)에 걸림편(40)을 설치함으로써, 워크(W)는 종속 프레임(20)과 일체가 되어 흔들린다. 이 때문에, 종속 프레임(20)은 주프레임(15)에 대하여 보다 큰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보다 효율적으로 댐퍼(35)에 지진 에너지를 흡수시킬 수 있다.
(5) 제1 지지 부재(24)와 걸림편(40)을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구획됨과 함께 댐퍼(35)가 설치되는 워크 수용 공간(S)에 반드시 워크(W)가 수용되어 있으면, 수용 선반(11)의 제진 기능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24)와 걸림편(40)을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25)를 갖는 워크 수용 공간(S)에 우선적으로 워크(W)를 수용하면, 수용 가능한 워크(W)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라도, 수용 선반(11)의 제진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6) 워크(W)는 물품 및 팔레트를 갖지만, 팔레트만의 워크(W)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지지 부재(24)와 걸림편(40)을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25)를 갖는 워크 수용 공간(S)에 팔레트만의 워크(W)를 수용해도 수용 선반(11)의 제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7) 모든 워크 수용 공간(S)에 워크(W)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라도, 수용 선반(11)에 제진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워크(W)가 없는 빈 워크 수용 공간(S)을 적극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없고, 빈 워크 수용 공간(S)을 설정하기 위해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한 제어나 그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불필요해진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수용 선반이 종속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고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한 주프레임과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한 주프레임이 번갈아 배치되어 구성되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에 있어서의 주프레임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채용하여, 부호를 공통적으로 이용한다.
또한, 제1 지지 부재 및 제2 지지 부재에 대해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채용하여, 부호를 공통적으로 이용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51)은, 주기둥 부재(16), 주들보 부재(17) 및 래티스(19)를 구비한 주프레임(15)이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주프레임(15)이, 서로 주구면(18)을 평행하게 하여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선반(51)은, 3개의 프레임 공간(Ra, Rb, Ra)을 구비하고, 각 프레임 공간(Ra, Rb, Ra)에 5단의 워크 수용 공간(S)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최대 15개의 워크(W)를 수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공간(Ra)을 형성하는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 중, 한쪽의 주프레임(15)에는 제1 지지 부재(24)가 설치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주프레임(15)에는 제2 지지 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선반(51)의 가장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프레임 공간(Ra)을 형성하는 주프레임(15)은 제1 지지 부재(24)를 갖고 있고, 제1 지지 부재(24)를 가진 주프레임(15)과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은, 걸림편(40)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를 갖고 있다.
프레임 공간(Ra)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워크(W)가 지지된다.
따라서, 프레임 공간(Ra)에 있어서의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는, 워크(W)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상당한다.
한편, 프레임 공간(Rb)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에 제2 지지 부재(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공간(Rb)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워크(W)가 지지된다.
수용 선반(51)의 전부 및 후부에 있어서, 연이어 설치된 4개의 주기둥 부재(16)와, 상하의 수평 가재(26)는, 수용 선반(51)의 전부 및 후부에 수직 구면을 형성한다.
수용 선반(51)에 있어서의 후부의 수직 구면에는 2개 1조로 하여 대각선 형상으로 브레이스(2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3조의 대각선 형상의 브레이스(27)가 상중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태커 크레인(13)에 의해 워크 수용 공간(S)에 대한 워크(W)의 출입을 행하는 점에서, 수용 선반(51)에 있어서의 전부의 수직 구면에는 브레이스(27)는 설치되지 않는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51)은, 프레임 공간(Rb)에서는, 주프레임(15)의 최상부에 수평 재료로서의 연결 부재(28)를 구비하고 있는 것 외에, 2단째, 4단째의 워크 수용 공간(S)의 하부에 있어서 연결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
연결 부재(28)는, 제1 프레임 공간(Rb)에 있어서 수평으로 걸쳐지게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공간(Rb)에서는, 연결 부재(28)는, 전부의 주기둥 부재(16)와 후부의 주기둥 부재(16)와의 사이를 연결한다.
즉, 연결 부재(28)는, 프레임 공간(Rb)에 있어서의 주프레임(15)끼리를 연결한다.
연결 부재(28)의 길이 방향은, 주들보 부재(17)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점에서, 연결 부재(28)는 주구면(18)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11)에 있어서의 프레임 공간(Ra)에서는, 주프레임(15)의 최상부에 댐퍼(35)를 구비한 연결 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2단째 및 4단째에 있어서의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의 하부가 되는 위치에 댐퍼(35)를 구비한 연결 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부재(29)가 구비하는 제1 부재(30), 제2 부재(31), 접속 부재(32) 및 댐퍼(35)는, 도 8에 있어서 도시되지 않지만,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이다.
덧붙여, 제1 부재(30)의 한쪽의 단부는, 제2 지지 부재(25)를 설치한 주프레임(15)에 있어서의 주기둥 부재(16)와 주들보 부재(17)와의 접속부에 고정되어 있다.
제1 부재(30)의 다른 한쪽의 단부는, 제1 지지 부재(24)를 설치한 주프레임(15)의 주들보 부재(17)의 중심을 향하고 있으며, 2개의 제1 부재(30)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의 단부는 접속 부재(32)에 고정되어 있다.
제2 부재(31)는 제1 지지 부재(24)를 설치한 주프레임(15)의 주들보 부재(17)의 중심에 고정되고, 제2 부재(31)와 접속 부재(32)의 사이에 댐퍼(35)가 끼워져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51)의 제진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용 선반(51)에 워크(W)가 전혀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대지진이 발생하면, 수용 선반(51)의 각 주프레임(15)은 거의 동일한 위상의 흔들림이 발생한다.
한편, 일부 또는 모든 워크 수용 공간(S)에 워크(W)가 수용된 상태에서 대지진이 발생하면, 프레임 공간(Ra)에 있어서 워크(W)가 수용되어 있는 워크 수용 공간(S)에서는,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은,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보다도 크게 흔들린다.
즉, 걸림편(40)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과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은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한다.
그 이유는, 걸림편(40)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은,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걸림편(40)에 의해 워크(W)와 일체가 되어 흔들리고,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에서는, 워크(W)가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하여 상대 변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프레임 공간(Ra)에 있어서 걸림편(40)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은,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보다도 크게 흔들린다.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과 제1 지지 부재(24)측의 주프레임(15)은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하는 점에서, 프레임 공간(Ra)에 있어서 배치된 연결 부재(29)의 댐퍼(35)는 흔들림에 따라서 변형하고, 변형에 따라서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고, 열 에너지로 변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임 공간(Rb)에 있어서 제2 지지 부재(25)만에 의해 지지되는 워크(W)는, 걸림편(40)에 의한 규제를 받아 프레임 공간(Rb)을 형성하는 주프레임(15)과 일체가 되어 흔들린다.
따라서, 프레임 공간(Ra)에 있어서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에 대하여 프레임 공간(Rb)에 있어서의 워크(W)의 수평 하중이 가산되어, 제2 지지 부재(25)측의 주프레임(15)은 보다 크게 흔들릴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주프레임(15)에 의해 구성되고, 종속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는 수용 선반(51)이라도,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주프레임(15)에 대해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연결 부재(29)가 구비하는 댐퍼(35)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흡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수용 선반이 제1 지지 부재(24)와 제2 지지 부재(25)를 구비하는 구성이면, 제2 지지 부재(25)에 걸림편(40)을 추가하여, 프레임 공간(Ra)에 댐퍼(35)를 구비한 연결 부재(29)를 배치함으로써, 기존의 수용 선반의 제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종속 프레임이 구비하는 제2 지지 부재가 변위 규제 부재를 구비하지 않고, 주프레임이 구비하는 제1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사이와의 마찰 계수가, 제2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마찰 계수보다 작게 설정된 수용 선반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에 있어서의 주프레임 및 종속 프레임의 기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을 채용하여, 부호를 공통적으로 이용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본 실시 형태의 수용 선반(61)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주프레임(15)에 제1 지지 부재(24)가 설치되고, 종속 프레임(20)에 제2 지지 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워크(W)와 제1 지지 부재(2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워크(W)와 제2 지지 부재(25)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1 지지 부재(24)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아암부(36) 및 접속부(37)를 갖는다.
워크(W)를 지지하는 아암부(36) 및 접속부(37)의 지지면이 되는 상면에는, 워크(W)와 제1 지지 부재와의 마찰 계수를 저감하는 마찰 저감 필름(62)이 각각 접착되어 있다.
한편, 제2 지지 부재(25)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아암부(38) 및 접속부(39)를 갖지만, 걸림편(40)은 구비되어 있지 않다.
워크(W)는,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지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W)와 제1 지지 부재(24)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마찰 저감 필름(62)에 의해 워크(W)와 제2 지지 부재(25)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워크(W)와 제1 지지 부재(24)와의 사이의 마찰력은, 워크(W)와 제2 지지 부재(25)와의 사이의 마찰력보다도 작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지진이 발생하여 전후 방향의 흔들림이 발생하면, 워크(W)와의 마찰력이 제2 지지 부재(25)의 마찰력보다도 작은 제1 지지 부재(24)측에서는, 워크(W)의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변위는, 제2 지지 부재(25)에 대한 변위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제1 프레임 공간(R1)에 있어서의 워크(W)는, 종속 기둥 부재(21)에 있어서의 제2 지지 부재(25)와 일체가 되어 전후 방향으로 흔들리기 쉬워진다.
워크(W)가 전후 방향으로 흔들릴 때, 워크(W)에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하중은,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가 각각 부담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워크(W)와 제1 지지 부재와의 마찰력, 워크(W)와 제2 지지 부재와의 마찰력과의 상위로부터, 제1 지지 부재(24)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과 제2 지지 부재(25)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은 상이하다.
워크(W)와의 마찰력이 제1 지지 부재(24)보다도 큰 제2 지지 부재(25)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은, 제1 지지 부재(24)가 부담하는 수평 하중보다도 크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24)를 구비한 주프레임(15)은, 제2 지지 부재(25)를 구비한 종속 프레임(20)과 상이한 위상으로 흔들리고, 주프레임(15)의 흔들림은 종속 프레임(20)의 흔들림보다도 작다.
워크(W)의 수평 하중의 부담이 큰 제2 지지 부재(25)측에서는, 제1 지지 부재(24)측에 대하여 워크(W)와 일체가 되도록 흔들린다.
주프레임(15)과 종속 프레임(20)과의 상대 변위에 의해, 연결 부재(29)에 설치한 댐퍼(35)가 변형되고, 댐퍼(35)가 변형함으로써 지진 에너지가 댐퍼(35)에 흡수되고, 댐퍼(35)에 있어서 열 에너지로 변환된다.
부담하는 워크(W)의 수평 하중의 차이에 의해,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가 커지지만, 제1 지지 부재(24)에 대한 워크(W)의 상대 변위가 클수록, 댐퍼(35)의 변형도 커져, 댐퍼(35)에 의한 지진 에너지의 흡수도 많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취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해도 좋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자동 창고에 있어서의 수용 선반에 본 발명의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를 적용한 예였지만, 자동 창고 이외의 수용 선반이라도 좋다.
○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진 부재로서 점탄성 재료인 고무계 재료에 의한 댐퍼를 이용했지만, 제진 부재는 점탄성 재료의 댐퍼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신축하는 오일 댐퍼를 이용해도 좋다. 제진 부재가 오일 댐퍼인 경우, 오일의 저항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쇠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점탄성 재료의 댐퍼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 상기의 제1,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변위 규제 부재로서 금속판의 펀칭에 의해 형성된 걸림편으로 했지만, 변위 규제 수단은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워크의 전후 방향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변위 규제 부재의 구체적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변위 규제 부재는, 걸림편과 같이,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워크의 상대 이동을 완전하게 규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워크의 상대 이동을 불완전하게 규제하는 경우라도 좋고, 적어도, 제2 지지 부재가 제1 지지 부재보다도 워크의 수평 하중을 부담할 수 있도록 상대 이동의 규제를 도모할 수 있으면 좋다.
○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종속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고 주프레임을 구비한 수용 선반으로 하고, 걸림편을 설치한 제2 지지 부재가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 공간(Rb)을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지지 부재(24) 및 제2 지지 부재(25)에 의해 워크(W)가 지지되는 프레임 공간(Ra)만을 형성하도록,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한 주프레임(15)과, 걸림편(40)을 구비한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한 주프레임(15)을 번갈아 배치하고, 추가로, 제2 실시 형태의 연결 부재(28) 대신에 댐퍼(35) 부착 연결 부재(29)를 구비한 수용 선반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라도, 워크(W)가 수용되는 프레임 공간(Ra)을 구성하는 한 쌍의 주프레임(15)에 있어서 서로 위상이 상이한 흔들림을 발생할 수 있다.
○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사이와의 마찰 계수가, 제2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마찰 계수보다 작게 설정하기 위해, 마찰 저감 필름을 제1 지지 부재에 접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사이와의 마찰 계수는, 제2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마찰 계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하면 좋다. 예를 들면, 제1 지지 부재에는 아무것도 설치하지 않고, 워크와 제2 지지 부재와의 마찰 계수가 제1 지지 부재의 마찰 계수보다도 커지도록, 제2 지지 부재에 있어서의 워크의 지지면을 조면(粗面)으로 형성하여, 제1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사이와의 마찰 계수를 제2 지지 부재와 워크와의 마찰 계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설정해도 좋다. 또한, 제1 지지 부재에 마찰 저감 필름을 설치함과 함께, 워크와 제2 지지 부재 마찰 계수를 크게 하기 위한 필름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마찰 계수를 저감 또는 증대시키기 위한 필름을 이용하는 것 외에, 제1 지지 부재의 경면(鏡面) 가공 또는 제2 지지 부재의 조면 가공에 의해 마찰 계수의 저감 또는 증대를 도모하도록 해도 좋다.
10 : 자동 창고
11, 51, 61 : 수용 선반
15 : 주프레임
16 : 주기둥 부재
17 : 주들보 부재
18 : 주구면
20 : 종속 프레임
21 : 종속 기둥 부재
22 : 종속 들보 부재
23 : 종속 구면
24 : 제1 지지 부재
25 : 제2 지지 부재
26 : 수평 가재
28 : 연결 부재
29 : 연결 부재
35 : 댐퍼
40 : 걸림편
62 : 마찰 저감 필름
C : 지상 제어반(제어 장치)
S : 물품 수용 공간
R1 : 제1 프레임 공간
R2 : 제2 프레임 공간
Ra, Rb : 프레임 공간
W : 워크
d : 거리

Claims (5)

  1. 복수의 기둥 부재(post member)와 복수의 들보 부재(beam member)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plane of structure)을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기 구면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워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은, 상기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된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은, 상기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워크를 지지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制震)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한쪽의 프레임과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워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규제하는 변위 규제 부재와,
    상기 한쪽의 프레임과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제진(制振)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 규제 부재는, 상기 워크의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대한 수평 방향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지 않는 걸림편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프레임은, 복수의 주기둥 부재와 복수의 주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주구면을 갖는 주프레임이며,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복수의 종속 기둥 부재와 복수의 종속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종속 구면을 갖고, 상기 주프레임보다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4. 복수의 기둥 부재와 복수의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구면을 각각 갖는 한 쌍의 프레임이, 상기 구면을 서로 평행하게 하여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의 사이에 워크를 수용 가능하게 하는 프레임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한쪽은, 상기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된 제1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프레임에 있어서의 다른 한쪽은, 상기 프레임 공간을 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대향하는 제2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 부재 및 상기 제2 지지 부재에 의해 상기 워크를 지지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프레임과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에 서로 상이한 위상의 흔들림이 발생되도록 상기 워크와 상기 제1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는, 상기 워크와 상기 제2 지지 부재와의 사이의 마찰 계수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상기 한쪽의 프레임과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갖고,
    상기 연결 부재는 제진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프레임은, 복수의 주기둥 부재와 복수의 주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주구면을 갖는 주프레임이며,
    상기 다른 한쪽의 프레임은, 복수의 종속 기둥 부재와 복수의 종속 들보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 종속 구면을 갖고, 상기 주프레임보다 변형하기 쉬운 종속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KR1020140171907A 2013-12-06 2014-12-03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KR101639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2595A JP5939239B2 (ja) 2013-12-06 2013-12-06 収容棚の制震構造
JPJP-P-2013-252595 2013-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460A KR20150066460A (ko) 2015-06-16
KR101639658B1 true KR101639658B1 (ko) 2016-07-14

Family

ID=53343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1907A KR101639658B1 (ko) 2013-12-06 2014-12-03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939239B2 (ko)
KR (1) KR101639658B1 (ko)
CN (1) CN104696423B (ko)
TW (1) TWI5683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176A (ko) 2017-02-24 2018-09-03 (주)세진알앤에스 일체화 되어진 천정-바닥-내진랙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센터의 천지인 내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4067A (ja) * 2012-04-13 2013-11-21 Toyota Industries Corp 収容棚の制震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509B2 (ja) * 1995-06-16 2004-11-10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格納物落下防止柵
JPH11208830A (ja) * 1998-01-20 1999-08-03 Murata Mach Ltd 自動倉庫のラック
JP2003118818A (ja) 2001-10-11 2003-04-23 Murata Mach Ltd 制振ラックとラックの制振方法
JP4716111B2 (ja) * 2006-01-24 2011-07-0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棚
WO2008038393A1 (fr) * 2006-09-28 2008-04-03 Hirata Corporation Entrepôt automatisé
KR101445593B1 (ko) * 2012-04-13 2014-09-29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CN202594242U (zh) * 2012-05-24 2012-12-12 湖南普照爱伯乐平板显示器件有限公司 一种晶片盒存放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4067A (ja) * 2012-04-13 2013-11-21 Toyota Industries Corp 収容棚の制震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8176A (ko) 2017-02-24 2018-09-03 (주)세진알앤에스 일체화 되어진 천정-바닥-내진랙 구조를 이용한 데이터센터의 천지인 내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96423A (zh) 2015-06-10
TWI568383B (zh) 2017-02-01
JP5939239B2 (ja) 2016-06-22
TW201532564A (zh) 2015-09-01
CN104696423B (zh) 2017-06-20
KR20150066460A (ko) 2015-06-16
JP2015107876A (ja) 201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6116B2 (ja) 自動倉庫のラック
JP5670368B2 (ja) ラック制振装置
JP5610231B2 (ja) 物品収納棚
JP6136294B2 (ja) 制振ラック倉庫
KR101659811B1 (ko)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JP6011869B2 (ja) 自動ラック倉庫の制振構造
KR101639658B1 (ko)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JP5835184B2 (ja) 収容棚の制震構造
KR101574598B1 (ko) 물품 수용 선반
KR101445593B1 (ko) 수용 선반의 제진 구조
JP7233280B2 (ja) ラックの制振構造
JP5825355B2 (ja) 自動倉庫のラック装置
JP2018002205A (ja) ラック倉庫用パレット
JP5855977B2 (ja) ラック制振装置
JP4722027B2 (ja) 物品収納棚
WO2014141905A1 (ja) 立体棚群及び自動倉庫並びに制振機構の追加方法
JP6137244B2 (ja) 制振ラック倉庫
JP6681305B2 (ja) ラック用制震ストッパ及びラック
JP6399868B2 (ja) 自動倉庫ラックの免制震システム
JP2017160032A (ja) 棚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