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650B1 -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650B1
KR101638650B1 KR1020117025484A KR20117025484A KR101638650B1 KR 101638650 B1 KR101638650 B1 KR 101638650B1 KR 1020117025484 A KR1020117025484 A KR 1020117025484A KR 20117025484 A KR20117025484 A KR 20117025484A KR 101638650 B1 KR101638650 B1 KR 101638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winging
swinging arm
side roller
elastic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297A (ko
Inventor
다이시 나카무라
신이치 이시카와
준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61F13/1560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the ribbons being applied in an irregular p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7Surface bonding means and/or assemblymeans with work feeding or handling means
    • Y10T156/1702For plural parts or plural areas of single part
    • Y10T156/1712Indefinite or running length work
    • Y10T156/1734Means bringing articles into association with we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1 요동 아암을 통해, 제1 탄성띠 부재를 시트 쪽으로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1 접합 공정과, 제2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2 요동 아암을 통해, 제2 탄성띠 부재를 상기 시트 쪽으로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2 접합 공정을 포함한다. 제1 접합 공정에서는, 제1 요동 아암의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제1 탄성띠 부재가, 차례로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제1 요동 아암의 제1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여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 상에 투입되어 접합된다. 제2 접합 공정에서는, 제2 요동 아암의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제2 탄성띠 부재가, 차례로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제2 요동 아암의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여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 상에 투입되어 접합된다. 제1 요동 아암이 제1 탄성띠 부재를 상기 시트 상에 투입하는 제1 투입 위치와, 제2 요동 아암이 제2 탄성띠 부재를 상기 시트 상에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는, 서로 상기 반송 방향에 관해 다르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MPOSITE SHEET FOR 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배설액을 흡수하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일회용 기저귀 등이 알려져 있다. 그리고, 그 제조 라인에서는,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사인 곡선 등의 사행 패턴으로 탄성 부재의 연속체를 연속하여 부착하는 것이 수행된다.
그 부착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시트의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요동 아암을 시트의 이송 경로에 근접 배치하는 한편, 상기 요동 아암의 요동단의 관통구멍에 실 형태의 탄성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탄성 부재를 상기 시트에 대해 요동시켜 부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도 1a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 롤(201)의 외주면을 구름 운동하는 전동 롤러(203)에 탄성 부재(221)를 감아 회전시키고, 상기 전동 롤러(203)를 상기 전사 롤(201)의 회전축(C201)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전사 롤(201)의 외주면에 탄성 부재(221)를 사인 곡선 등의 사행 패턴으로 흡착 유지시키며, 그러한 후에, 전사 롤(201)의 외주면에 시트(231)를 접촉시켜 탄성 부재(221)를 시트(231)에 전달하고 부착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2004-159866호 공보 일본 특허 공표 2003-517880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탄성 부재로서, 폭이 있는 띠부재(이하, 탄성띠 부재라고도 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요동단의 상기 관통구멍의 통과시 등에 탄성띠 부재가 반대쪽으로 접혀 버리고, 그 결과 상기 탄성띠 부재를 상기 시트에 면접촉시켜 부착하기는 어렵다.
한편, 특허문헌 2의 방법에 따르면, 전동 롤러(203)의 외주면에 탄성 부재(221)를 감아 회전시키므로, 탄성 부재(221)가 탄성띠 부재인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탄성띠 부재(221)를 평탄 상태로 유지하여 전사 롤(201)에 전사할 수 있어, 그 결과 탄성띠 부재(221)를 시트(231)에 면접촉시켜 부착 가능하다.
그러나, 예컨대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CD 방향으로 한 쌍의 탄성띠 부재(221, 221)를 나란히 배치하면서, 이들 탄성띠 부재(221, 221)끼리 부분적으로 교차하는 듯한 배치 패턴으로 시트(231)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전동 롤러(203, 203)는 전사 롤(201)의 둘레 방향의 동일 위치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CD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때 서로 충돌해 버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배치 패턴으로 탄성띠 부재(221)를 부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적어도 한 쌍의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각각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면접촉시켜 부착할 때, 확실하게 면접촉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들 탄성띠 부재가 부분적으로 교차하거나 근접하는 듯한 배치 패턴이라도 문제 없이 상기 시트에 부착 가능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1 요동 아암을 통해,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1 접합 공정과,
제2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2 요동 아암을 통해,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2 접합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합 공정에서는, 제1 공급 루트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2 접합 공정에서는, 제2 공급 루트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1 투입 위치와, 상기 제2 요동 아암이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반송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제1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1 요동 아암을 통해,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제2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2 요동 아암을 통해,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며,
제1 공급 루트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제2 공급 루트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1 투입 위치와, 상기 제2 요동 아암이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반송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적어도 한 쌍의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각각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면접촉시켜 부착할 때, 확실하게 면접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이들 탄성띠 부재가 부분적으로 교차하거나 근접하는 듯한 배치 패턴이라도 문제 없이 상기 시트에 부착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시트(231)의 연속체에 대해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탄성띠 부재(221)의 연속체를 부착하는 종래의 방법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탄성띠 부재(221)의 그 밖의 배치 패턴의 설명도이다.
도 2a는 기저귀(1)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고, 도 2b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탄성띠 부재(21, 22)가, 각 사행 패턴의 꺾임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된 기저귀(1)의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장치(30)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 중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a 중의 반송 롤(50)의 근방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제1 요동 아암(61)과 제2 요동 아암(161)의 그 밖의 상대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제1 요동 아암(61)과 제2 요동 아암(161)의 그 밖의 상대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제1 요동 아암(61)과 제2 요동 아암(161)의 그 밖의 상대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장치의 그 밖의 실시형태의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명백해진다.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1 요동 아암을 통해,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1 접합 공정과,
제2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2 요동 아암을 통해,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2 접합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합 공정에서는, 제1 공급 루트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2 접합 공정에서는, 제2 공급 루트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1 투입 위치와, 상기 제2 요동 아암이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반송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제1 투입 위치와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제2 투입 위치를, 시트의 반송 방향에 관해 다르게 했으므로, 요동 동작시에서의 제1 탄성띠 부재와 제2 탄성띠 부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요동 아암이 시트에 부착하는 제1 탄성띠 부재의 사행 패턴과, 제2 요동 아암이 시트에 부착하는 제2 탄성띠 부재의 사행 패턴이, 부분적으로 교차하거나 근접하는 듯한 배치 패턴이라 하더라도, 이들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를 문제 없이 부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들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는 각각, 제1 요동단측 롤러 및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에 투입된다. 그리고, 이 반전될 때에는, 이들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주면에 의해, 이들 각 탄성띠 부재는 평탄 형상으로 구속되고,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투입 위치에 있어서도 평탄 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에 대해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를 확실하게 면접촉시켜 접합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소정의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제1 투입 위치보다 상기 둘레 방향의 하류측에 설정되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을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가상축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0° 및 360°를 제외함)만큼 상기 둘레 방향의 하류측으로 회전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른 제조 장치의 소형화와, 시트 상에서의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의 접합 위치 정밀도의 향상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제2 요동 아암은, 제1 요동 아암을, 상기 가상축 둘레로 상기 회전 각도만큼 회전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요동 아암과 제2 요동 아암간의 상호 간섭을 확실하게 회피하면서도, 상기 간섭 회피에 필요한 스페이스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른 제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이동이므로, 대략 제1 요동단측 롤러와 반송 롤의 상대 위치 관계는, 제2 요동단측 롤러와 반송 롤에 대해서도 대략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요동단측 롤러 및 제2 요동단측 롤러 모두를, 각각 반송 롤에 근접 배치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 모두, 시트 상의 목표 접합 위치에 높은 정밀도로 부착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는, 30° 내지 150°의 범위 내의 임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른 제조 장치의 소형화와, 시트 상에서의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의 접합 위치 정밀도의 향상의 양립을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소정의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은,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 방향을 법선 방향으로 하는 가상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요동 아암과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가상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요동 아암과 제2 요동 아암간의 상호 간섭을 확실하게 회피하면서도, 상기 간섭 회피에 필요한 스페이스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조 방법에 따른 제조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소정의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에서의 상기 둘레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상류측의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반송 롤 상에 있어서 시트 상에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를 중첩하여 압박하기 위한 영역을 상기 반송 롤의 둘레 방향을 따라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를 시트 상에 강고하게 접합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루트는,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제2 공급 루트는,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탄성띠 부재는, 제1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제1 지지축부측 롤러로 이송된다. 따라서, 제1 요동 아암의 요동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 탄성띠 부재의 교차 방향의 이동은, 주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탄성띠 부재의 부분의 비틀림으로 나타나 여기에 흡수되고, 이에 따라, 제1 지지축부측 롤러로부터의 제1 탄성띠 부재의 탈락은 유효하게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제2 탄성띠 부재는, 제2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제2 지지축부측 롤러로 이송된다. 따라서, 제2 요동 아암의 요동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2 탄성띠 부재의 교차 방향의 이동은, 주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제2 탄성띠 부재의 부분의 비틀림으로 나타나 여기에 흡수되고, 이에 따라, 제2 지지축부측 롤러로부터의 제2 탄성띠 부재의 탈락은 유효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의 상기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에 접해 있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의 상기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에 접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은,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에 접해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띠 부재는, 제1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확실하게 제1 지지축부측 롤러로 이송된다. 그 결과, 제1 요동 아암의 요동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 탄성띠 부재의 교차 방향의 이동은, 제1 지지축부측 롤러보다 상류측의 제1 탄성띠 부재의 부분의 비틀림으로 확실하게 나타나 여기에 흡수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로부터 제1 탄성띠 부재가 이탈되는 것은 유효하게 방지된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은,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에 접해 있다. 따라서, 제2 탄성띠 부재는, 제2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라 확실하게 제2 지지축부측 롤러로 이송된다. 그 결과, 제2 요동 아암의 요동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2 탄성띠 부재의 교차 방향의 이동은, 제2 지지축부측 롤러보다 상류측의 제2 탄성띠 부재의 부분의 비틀림으로 확실하게 나타나 여기에 흡수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로부터 제2 탄성띠 부재가 이탈되는 것은 유효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소정의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는, 그 사이에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는, 그 사이에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1 요동 롤러 및 제2 요동 롤러로, 각각,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의 진행 방향을 반전시킨 후에, 이들 각 탄성띠 부재를 반송 롤의 외주면에 권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 모두 평탄 상태로 유지하면서, 시트를 향해 투입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들 각 탄성띠 부재를 확실하게 면접촉시켜 시트에 부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제1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1 요동 아암을 통해,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제2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2 요동 아암을 통해,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2 안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며,
제1 공급 루트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제2 공급 루트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1 투입 위치와, 상기 제2 요동 아암이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반송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장치.
이러한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장치에 따르면,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제1 투입 위치와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제2 투입 위치를, 시트의 반송 방향에 관해 다르게 하였으므로, 요동 동작시에서의 제1 탄성띠 부재와 제2 탄성띠 부재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요동 아암이 시트에 부착하는 제1 탄성띠 부재의 사행 패턴과, 제2 요동 아암이 시트에 부착하는 제2 탄성띠 부재의 사행 패턴이, 부분적으로 교차하거나 근접하는 듯한 배치 패턴이라 하더라도, 이들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를 문제 없이 부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들 제1 탄성띠 부재 및 제2 탄성띠 부재는 각각, 제1 요동단측 롤러 및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에 투입된다. 그리고, 이 반전될 때에는, 이들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는 각각, 제1 및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주면에 의해, 이들 각 탄성띠 부재는 평탄 형상으로 구속되고,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투입 위치에 있어서도 평탄 형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에 대해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를 확실하게 면접촉시켜 접합 가능하게 된다.
=== 본 실시형태 ===
본 실시형태의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는, 예컨대 일회용 기저귀(1)(흡수성 물품에 상당)의 제조 라인에 적용되고 있다.
<<<기저귀(1)에 대해>>>
도 2a는 기저귀(1)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고, 도 2b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두 도면 모두, 팬티형의 기저귀(1)의 옆구리 부분에 있어서 앞 몸통둘레 영역(1a)과 뒤 몸통둘레 영역(1c)을 분리한 전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이 기저귀(1)는, 서로 직교하는 길이 방향과 폭 방향과 두께 방향을 가지며, 기저귀(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앞 몸통둘레 영역(1a), 가랑이 영역(1b), 및 뒤 몸통둘레 영역(1c)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1)는, 두께 방향으로,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2)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와, 이들 시트(2, 3)의 사이에 개재된 액흡수성의 흡수체(4)를 갖는다. 그리고,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가 흡수체(4)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에서 중첩되어, 핫 멜트 접착제 등으로 서로 접합되며, 이에 따라, 길이 방향의 전후에는 단연부 플랩(11)이 형성되고, 폭 방향의 좌우에는 측연부 플랩(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연부 플랩(12)의 가랑이 영역(1b)에는, 다리둘레 오목부(10)가 폭 방향의 내측을 향해 만곡 형성되어 있고, 기저귀(1)는 전체적으로 대략 모래시계 형상을 이루고 있다.
표면 시트(2)에는, 예컨대 액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가 사용된다.
이면 시트(3)는, 표면 시트(2)와 마주하는 내측 시트(3a)와, 이 내측 시트(3a)와 마주하는 외측 시트(3b)를 구비하며, 이들 시트(3a, 3b)는 서로 대략 동일한 형상 동일한 크기이고,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내측 시트(3a)에는, 액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가 사용되고, 외측 시트(3b)에는, 통기성의 부직포가 사용된다.
앞뒤 몸통둘레 영역(1a, 1c)의 각 단연부 플랩(11)에는 각각, 몸통둘레 탄성 부재(16)가, 표면 시트(2)와 이면 시트(3)의 사이에 개재되어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가랑이 영역(1b)과 그 근방에는, 기저귀(1)를 폭 방향을 따라 가로질러 전방 탄성띠 부재(21)와 후방 탄성띠 부재(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탄성띠 부재(21, 22)로는, 예컨대 신축성을 가진 부직포나, 띠 형태의 고무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들 탄성띠 부재(21, 22)는 각각, 기저귀(1)를 길이 방향의 전후로 대략 이등분하는 중심선(CL)을 향해 볼록형으로 만곡된 소정의 사행 패턴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이면 시트(3)를 구성하는 내측 시트(3a)와 외측 시트(3b)의 사이에 개재되어, 예컨대 외측 시트(3b)의 내면에 신장 상태로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전방 및 후방 탄성띠 부재(21, 22)가 협동하여 다리둘레 오목부(10)에 신축성이 부여된다.
또한, 여기서는, 이들 탄성띠 부재(21, 22)의 사행 패턴으로서 사인 곡선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사행 패턴은, 다리둘레 오목부(10)가 기저귀 착용자의 다리둘레를 따라 유효하게 피트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다리둘레 오목부(10)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피트성을 높이도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띠 부재(21, 22)가, 각 사행 패턴의 꺾임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나아가서는, 교차한 영역(R)에 대한 신축성을 약화시키기 위해 상기 교차한 영역(R)에 속하는 탄성띠 부재(21, 22)의 부분을 분단할 수도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이 교차한 영역(R)의 신축성을 약화시키는 이유는, 흡수체(4)의 부분에 신축성이 미치면, 흡수체(4)에 주름이 생겨, 그 흡액 성능의 악화가 우려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30)>>>
이러한 기저귀(1)는, 제조 라인을 연속하여 흐르는 기저귀(1)의 기재에 대해 각종 구성 부품이 접합 등 되어 완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30)는, 그 중의 한 공정을 담당하고 있다. 즉, 여기서는, 전술한 이면 시트(3)의 외측 시트(3b)가 될 시트(103b)의 연속체[이하에서는, 시트(103b)라고 함]에 대해, 전술한 전방 탄성띠 부재(21)가 될 탄성띠 부재(121)의 연속체[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에 상당하며, 이하에서는 제1 탄성띠 부재(121)라고도 함]와, 전술한 후방 탄성띠 부재(21)가 될 탄성띠 부재(122)의 연속체[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에 상당하며, 이하에서는 제2 탄성띠 부재(122)라고도 함]를 전술한 사행 패턴으로 부착하는 공정에 적용되고 있다.
도 4a는, 상기 공정에 따른 제조 장치(30)를 일부 파단하여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4a 중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a 중의 반송 롤(50)의 근방 부분의 확대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조 장치(30)의 폭 방향을 CD 방향, 혹은 앞쪽-안쪽이라고도 한다. 또한, 이 C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MD 방향이라고 한다. 즉, MD 방향이란, CD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내의 임의의 방향을 말한다. 또한, MD 방향에 대해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하는 두 방향을, 상하 방향(수직 방향) 및 좌우 방향(수평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덧붙여 말하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 방향도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고, 마찬가지로 수평 방향을 향하는 상기 좌우 방향과는 서로 직교 관계에 있다.
이 제조 장치(30)는, (1) 시트(103b)를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하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시트(103b)를 MD 방향(반송 방향에 상당)으로 반송하는 반송 롤(50)과, (2) 반송 롤(50)의 좌측에 배치되고, 좌측으로부터 연속하여 반송되어 오는 탄성띠 부재의 원단인 시트형 부재(120)를 CD 방향의 중앙에서 이분할하여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121, 122)를 생성하는 슬릿 장치(40)와, (3) 반송 롤(50)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있는 시트(103b)의 부분에 신장 상태의 상기 제1 탄성띠 부재(121)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접합하는 제1 안내 부재(60)와, (4) 상기 시트(103b)의 부분에 신장 상태의 상기 제2 탄성띠 부재(122)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접합하는 제2 안내 부재(1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제1 및 제2 안내 부재(60, 160)는 각각, 담당하는 탄성띠 부재(121, 122)를 시트(103b)를 향해 MD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각 탄성띠 부재(121, 122)를 CD 방향(교차 방향에 상당)으로 왕복 이동한다. 따라서, 탄성띠 부재(121, 122)는 각각, 시트(103b)에의 접합 위치가 시시각각 연속적으로 CD 방향으로 변경되면서 시트(103b)의 시트면에 중첩되어 접합되고, 그 결과로서, 시트(103b)의 시트면에는, 사인 곡선 등의 소기의 사행 패턴으로 한 쌍의 탄성띠 부재(121, 122)가 면접촉 상태로 부착되어 간다.
덧붙여 말하자면, 각 탄성띠 부재(121, 122)를 시트(103b)에 접합하기 전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착제 도포 장치에 의해 각 탄성띠 부재(121, 122)에 대해 핫 멜트 접착제 등이 도포됨은 물론이다.
이하, 각 구성 요소(40, 50, 60, 160)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기 제조 장치(30)에 따른 각 구성 기기는 각각, 제조 장치(30)의 MD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연직의 지지벽(92)(소위 거울판)에 도시하지 않은 적당한 브래킷을 통해 외팔보(캔틸레버) 지지되어 있다.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 방향의 안쪽(도 4a의 지면의 안쪽)에는, MD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지면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따라 지지벽(92)이 세워져 있다. 그리고, 이 지지벽(92)의 연직인 벽면에는, 각 구성 기기의 CD 방향의 안쪽의 부분이 지지되고, 전방의 부분은 미지지 상태로 되어 있다.
(1) 반송 롤(50)
반송 롤(50)은, 회전축(C50)이 수평인 CD 방향을 향한 원기둥체를 본체로 하고, MD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Dc)으로 하여 소정의 둘레 속도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반송 롤(50)에는, 예컨대 우측으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시트(103b)가 공급되고, 이 시트(103b)는, 반송 롤(50)의 상부의 약 0시의 위치를 권취 시작 위치(Ps)로 하여, 그로부터 예컨대 180° 내지 200°의 권취 각도로 반송 롤(50)의 외주면에 권취되어 반송 방향이 반전되고, 최종적으로, 반송 롤(50)의 하부의 약 6시의 위치를 권취 종료 위치(Pe)로 하여 대략 수평 방향의 우측으로 송출된다.
이 반송 롤(50)은, 적절한 모터 등을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 회전하는 구동 롤로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시트(103b)에 의해 종동 회전되는 종동 롤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2) 슬릿 장치(40)
슬릿 장치(40)는, CD 방향의 중앙에 상하 한 쌍의 원반 형상의 회전 블레이드(40a, 40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회전 블레이드(40a, 40b)를 통과할 때, 탄성띠 부재(121, 122)의 원단인 시트형 부재(120)는 이분할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탄성띠 부재(121, 122), 즉 제1 탄성띠 부재(121)와 제2 탄성띠 부재(122)가 생성된다. 그리고, 제1 탄성띠 부재(121)는, 제1 안내 부재(60)로 이송되고, 제2 탄성띠 부재(122)는, 제2 안내 부재(160)로 이송된다.
(3) 제1 안내 부재(60)
제1 안내 부재(60)는, 반송 롤(50)의 상측에 설치된 판 형상의 제1 요동 아암(61)을 갖는다. 제1 요동 아암(61)은 길이 방향을 갖고, 상기 길이 방향이 수평 방향의 좌우로 향하며, 반송 롤(50)의 회전축(C50)을 수평 방향의 좌우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C50)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축부(65)[이하, 제1 지지축부(65)라고도 함]를 선회 지지점으로 하여, 그 회전축(C50)보다 우측에 위치하는 요동단(61a)을 CD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다.
제1 지지축부(65)는, 예컨대 제1 요동 아암(61)의 상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돌출된 축체(65)로서, 베어링(67)을 통해 외통 부재(6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외통 부재(66)는 도시하지 않은 적당한 브래킷을 통해 상기 지지벽(92)에 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1 요동 아암(61)은 제1 지지축부(65)의 연직인 회전 중심축(C65) 둘레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요동 아암(61)의 구동 기구(70)는, 모터(72)에 크랭크 기구(74)를 조합한 것이다. 크랭크 기구(74)는, MD 방향에서의 상하 방향을 향한 모터(72)의 구동 회전축(72a)에, 일체적이면서 동심으로 고정된 정원형상의 원반 부재(75)와, 원반 부재(75)와 제1 요동 아암(61)의 힘점(PP)을 연결하는 막대 형상의 링크 부재(76)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원반 부재(75)에 있어서 구동 회전축(72a)으로부터 편심된 위치에, 링크 부재(76)의 단부가 연결핀(78)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원반 부재(75)가 일회전할 때마다, 링크 부재(76)는 그 길이 방향으로 한 번만 왕복 이동되고, 이 일회의 왕복 이동에 의해, 제1 요동 아암(61)은 한 번만 요동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요동 아암(61)에 있어서 반송 롤(50)과 대향하는 측의 면인 하면에는, 한 쌍의 롤러(63, 64)가, 각각 수평한 회전축(C63, C64)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측의 롤러(63)는, 요동단(61a)에 설치된 제1 요동단측 롤러(63)이고, 타측의 롤러(64)는,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63)보다 제1 지지축부(65) 근방의 위치에 설치된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이다.
따라서, 전술한 슬릿 장치(40)로부터 이송되는 탄성띠 부재(121, 122) 중 제1 탄성띠 부재(121)는, 먼저 좌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을 따라 우측으로 이송되고, 제1 요동 아암(61)의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과 평면 위치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방향 전환 롤러(90)에 의해 연직 방향의 상방으로 진행 방향이 바뀌어서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에 도달하며,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롤러(64)에 의해, 반송 롤(50)보다 우측에 있는 요동단(61a)으로 유도되고, 그러한 후에, 상기 요동단(61a)의 제1 요동단측 롤러(63)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상기 권취에 의해 진행 방향이 대략 좌측으로 반전된 후, 반송 롤(50)의 우측 상방으로부터 시트(103b)의 권취 범위(Ps~Pe)로 투입된다.
그리고, 이 투입 중에는, 요동단(61a)이 요동 동작함에 따라 제1 요동단측 롤러(63)는 CD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므로, 이에 따라 제1 탄성띠 부재(121)는 시트(103b)의 시트면에서의 접합 위치가 CD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경되면서 시트(103b)의 시트면에 소기의 사행 패턴으로 접합된다. 또한, 이 투입시에는, 제1 탄성띠 부재(121)는,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의 외주면 및 제1 요동단측 롤러(63)의 외주면의 권취에 의해 대략 평탄 형상으로 구속되므로, 제1 탄성띠 부재(121)는 시트(103b)에 대해 면접촉 상태로 접합된다("제1 접합 공정"에 상당).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요동 아암(61)이 시트(103b) 상에 제1 탄성띠 부재(121)를 투입하는 위치(P1)[이하, 제1 투입 위치(P1)라고도 함]를, 상기 권취 범위(Ps~ Pe) 내에서의 상기 둘레 방향(Dc)의 중간위치(Pm)보다 상류측의 영역에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설정하면, 반송 롤(50) 상에 있어서 시트(103b)에 제1 탄성띠 부재(121)를 중첩하여 압박하기 위한 영역을 상기 둘레 방향(Dc)을 따라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 탄성띠 부재(121)를 시트(103b)에 강고하게 접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1 투입 위치(P1)에 대해 보충 설명하면, 상기 제1 투입 위치(P1)란, 제1 요동 아암(61)의 제1 요동단측 롤러(63)로부터 송출된 제1 탄성띠 부재(121)가, 처음으로 시트(103b)에 접촉하는 위치를 말한다.
그런데,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요동단측 롤러(63)와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는 각각, 요동단(61a)과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을 연결하는 직선(L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요동단측 롤러(63)는, 그 외주면이 상기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 쪽을 향한 상태로 제1 요동 아암(61)에 대한 방향을 변경할 수 없도록 상기 아암(61)에 고정되어 있는 한편,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도, 그 외주면이 제1 요동 아암(61)의 요동단(61a) 쪽을 향한 상태로 상기 아암(61)에 대한 방향을 변경할 수 없도록 상기 아암(6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요동단측 롤러(63)의 왕복 이동 동작에 따라,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의 외주면은 항상 제1 요동단측 롤러(63) 쪽을 향하게 되고, 이로써, 제1 탄성띠 부재(121)를 제1 요동단측 롤러(63) 쪽으로 확실하게 이송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요동단측 롤러(63)로부터의 제1 탄성띠 부재(121)의 탈락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 제1 탄성띠 부재(121)의 주행 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요동단측 롤러(63)의 회전축(C63)과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의 회전축(C64)은, 제1 요동 아암(61)의 요동 동작과 무관하게, 항상 평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 요동 아암(61)이 요동 동작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제1 탄성띠 부재(121)의 폭 방향의 양단 가장자리에 관한 장력차를 확실하게 완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제1 요동단측 롤러(63) 또는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로부터의 제1 탄성띠 부재(121)의 탈락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상태의 안정화를 도모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에의 제1 탄성띠 부재(121)의 공급 루트(R121)[이하, 제1 공급 루트(R121)라고도 함]는,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과 일직선으로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으며,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의 외주면이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에 접하도록 상기 롤러(64)는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요동 아암(61)의 요동 동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제1 탄성띠 부재(121)의 CD 방향의 이동은, 주로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보다 상류측의 제1 탄성띠 부재(121)의 부분(121a)의 비틀림으로 나타나 여기에 흡수되고, 그 결과 상기 롤러(64)로부터의 제1 탄성띠 부재(121)의 탈락은 유효하게 방지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의 외주면은,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에 접해 있으므로, 제1 요동 아암(61)이 요동 동작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롤러(64)의 CD 방향의 이동량을, 대략 제로로 할 수 있어, 이에 의해서도, 제1 지지축부측 롤러(64)로부터의 제1 탄성띠 부재(121)의 탈락은 유효하게 방지되게 된다.
(4) 제2 안내 부재(160)
제2 안내 부재(160)는, 전술한 제1 안내 부재(60)와 대략 동일한 구조의 부재이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CD 방향에 관해 제1 안내 부재(60)보다 안쪽에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이 제2 안내 부재(160)가 담당하는 제2 탄성띠 부재(122)는, 제1 안내 부재(60)가 시트(103b)에 부착하는 제1 탄성띠 부재(121)보다 CD 방향의 안쪽에 나란히 부착된다.
단, 일회용 기저귀(1)에 따라서는,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121, 122)의 배치 패턴이, 도 3(또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탄성띠 부재[121(221)]와 제2 탄성띠 부재[122(221)]를 부분적으로 교차시키는 듯한 패턴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 제1 요동 아암(61)과 제2 요동 아암(161)을 병렬 배치하면, 이들 요동 아암(61, 161)끼리 충돌해 버려, 전술한 패턴을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충돌을 회피하기 위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롤(50)의 둘레 방향(Dc)에서의 제2 요동 아암(161)의 위치를, 제1 요동 아암(61)과 다르게 하였으며, 즉 제2 요동 아암(161)을 제1 요동 아암(61)보다 상기 둘레 방향(Dc)의 하류측으로 옮겨 배치하였다. 그리고,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요동 아암(161)이 시트(103b) 상에 제2 탄성띠 부재(122)를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P2)는, 제1 요동 아암(61)의 상기 제1 투입 위치(P1)보다 둘레 방향(Dc)의 하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투입 위치(P1, P2)에서의 제1 및 제2 탄성띠 부재(121, 122)간의 상호 간섭도 회피된다. 덧붙여 말하자면, 전술한 제2 투입 위치(P2)란, 전술한 제1 투입 위치(P1)의 정의와 동일하게, 제2 요동 아암(161)의 제2 요동단측 롤러(163)로부터 송출된 제2 탄성띠 부재(122)가, 처음으로 시트(103b)에 접촉하는 위치를 의미한다.
이하, 제2 안내 부재(16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요동 아암(161)은, 제1 요동 아암(61)을, 반송 롤(50)의 회전축(C50)과 평행한 도시하지 않은 가상축 둘레로 소정의 회전 각도(θa)만큼, 상기 둘레 방향(Dc)의 하류측으로 회전 이동한 위치에 있고, 도시한 예의 경우, 회전 각도(θa)는 90°이다.
그리고, 이 90°의 회전 이동에 의해, 제2 요동 아암(161)은, 제1 요동 아암(61) 및 반송 롤(50)의 좌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 요동 아암(161)은, 그 길이 방향이 연직 방향의 상하로 향하며, 반송 롤(50)의 회전축(C50)을 연직 방향의 상하로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C50)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제2 지지축부(165)를 선회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C5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요동단(161a)을 CD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 동작의 구동 기구(170)는, 제1 안내 부재(60)와 마찬가지로, 모터(172)에 크랭크 기구(174)를 조합한 것이다. 또한, 제2 지지축부(165)도, 제1 안내 부재(60)와 마찬가지로 제2 요동 아암(161)의 좌측의 면으로부터 일체적으로 그리고 좌측으로 연장된 축체(165)이며, 이 축체(165)는, 베어링(167)을 통해 외통 부재(166)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외통 부재(166)는 상기 지지벽(92)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지지축부(165)에는, 그 회전 중심축(C165) 방향을 따른 관통구멍(165h)이 형성되고, 또한 관통구멍(165h)에 대응시켜 제2 요동 아암(161)에도, 좌우 방향으로 관통구멍(161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관통구멍(165h, 161h)은, 후술하는 제2 탄성띠 부재(122)의 제2 요동 아암(161)에의 공급 루트(R122)로 사용된다.
제2 요동 아암(161)에 있어서 반송 롤(50)과 대향하는 측의 면인 우측의 면에는, 한 쌍의 롤러(163, 164)가, 각각 대략 수평한 회전축(C163, C164)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일측의 롤러(163)는, 요동단(161a)에 설치된 제2 요동단측 롤러(163)이고, 타측의 롤러(164)는,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163)보다 제2 지지축부(165) 근방의 위치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이다.
따라서, 전술한 슬릿 장치(40)로부터 이송되는 제2 탄성띠 부재(122)는, 전술한 제1 안내 부재(60)로 이송되는 제1 탄성띠 부재(121)의 CD 방향의 옆에 나란히 배치되면서, 좌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의 우측으로 이송되고, 그리고 제2 지지축부(165) 내의 상기 관통구멍(165h)을 지나 제2 요동 아암(161)의 우측의 면으로 나온다. 그리고, 그 면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함으로써 상방의 요동단(161a)으로 유도되고, 그러한 후에, 상기 요동단(161a)의 제2 요동단측 롤러(163)의 외주면에 권취되며, 상기 권취에 의해 진행 방향이 대략 하방으로 반전된 후, 반송 롤(50)의 좌측 상방으로부터 시트(103b)의 권취 범위(Ps~ Pe)로 투입된다.
그리고, 이 투입중에는, 요동단(161a)이 요동 동작함에 따라 제2 요동단측 롤러(163)는 CD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므로, 이에 따라 제2 탄성띠 부재(122)는 시트(103b)의 시트면에서의 접합 위치가 CD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변경되면서 시트(103b)의 시트면에 소기의 사행 패턴으로 접합된다. 또한, 이 투입시에는, 제2 탄성띠 부재(122)는,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의 외주면 및 제2 요동단측 롤러(163)의 외주면에 권취됨으로써 대략 평탄 형상으로 구속되므로, 시트(103b)에 대해 면접촉 상태로 접합된다("제2 접합 공정"에 상당).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제1 탄성띠 부재(121)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P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탄성띠 부재(122)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P2)를, 상기 권취 범위(Ps~Pe) 내에서의 상기 둘레 방향(Dc)의 중간 위치(Pm)보다 상류측의 영역에 설정하면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설정하면, 반송 롤(50) 상에 있어서 시트(103b)에 제2 탄성띠 부재(122)를 중첩하여 압박하기 위한 영역을 상기 둘레 방향(Dc)을 따라 넓게 확보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2 탄성띠 부재(122)를 시트(103b)에 강고하게 접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회전 각도(θa)(도 5 참조), 즉 제1 요동 아암(61)과 제2 요동 아암(161)의 위치 관계에 따른 상기 회전 각도(θa)는, 바람직하게는 0° 및 360°를 제외한 각도에서 선택되면 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의 범위에서 선택되면 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35°의 범위에서 선택되면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의 범위에서 선택되면 된다.
그리고, 이들 범위 내의 임의 값으로 설정하면, 제1 요동단측 롤러(63) 및 제2 요동단측 롤러(163) 모두를 반송 롤(50)에 근접 배치하면서도, 제조 장치(30)의 점유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범위에 상당하지 않는 경우, 즉 회전 각도(θa)가 0°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조 장치(30a)의 구성은 컴팩트하기는 하지만 제2 요동단측 롤러(163)를 반송 롤(50)에 근접 배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마찬가지로 해당하지 않는 경우인 도 7의 경우, 즉 회전 각도(θa)가 180°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요동단측 롤러(63, 163) 모두 반송 롤(50)에 근접 배치할 수 있지만 제조 장치(30b)의 구성이 커져 버린다. 즉, 도 6 및 도 7의 어느 예도, 요동단측 롤러(63, 163)의 근접화 및 제조 장치(30)의 컴팩트화를 양립시킬 수 없다.
이에 반해, 전술한 회전 각도(θa)가 바람직한 범위에 들어가 있는 도 4a의 회전 각도(θa)가 90°인 경우나, 도 8의 회전 각도(θa)가 45°인 경우에는, 제1 및 제2 요동단측 롤러(63, 163) 모두 반송 롤(50)에 근접 배치할 수 있고, 제조 장치(30, 30c)의 컴팩트화도 도모할 수 있다. 즉, 요동단측 롤러(63, 163)의 근접화 및 제조 장치(30)의 컴팩트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각 요동단측 롤러(63, 163)를 반송 롤(50)에 근접 배치시키는 것이 좋은 이유는, 근접 배치되어 있지 않으면, 각 요동 아암(61, 161)의 요동 동작에 대한 각 탄성띠 부재(121, 122)의 요동 동작의 추종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즉, 근접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각 요동단측 롤러(63, 163)로부터 시트(103b)를 향해 풀려난 각 탄성띠 부재(121, 122)의 부분이, 요동 동작의 반전시에 회초리와 같이 휘어져서, 각 요동단측 롤러(63, 163)로부터의 동작 지연이 커지고, 그 결과 시트(103b)에서의 각 탄성띠 부재(121, 122)의 목표의 접합 위치로부터 실제의 접합 위치가 어긋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근접 배치의 기준으로는 이하를 예시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단측 롤러[63(163)]의 외주면으로부터 탄성띠 부재[121(122)]가 떨어지는 위치[P3(P4)]와, 상기 위치(P3)로부터 풀려난 탄성띠 부재[121(122)]가 반송 롤(50)에 접촉하는 위치[P1(P2)] 사이의 거리를, 요동 아암[61(161)]의 상기 직선(L1)이 MD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30 mm보다 크고 80 mm보다 작게 하는 것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제2 요동 아암(161)의 제1 요동 아암(61)에 대한 상대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다.
제1 요동 아암(61)의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과, 제2 요동 아암(161)의 제2 지지축부(165)의 회전 중심축(C165)은, 반송 롤(50)의 회전축(C50) 방향을 법선 방향으로 하는 가상 평면(도 4a 또는 도 5의 지면과 평행한 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고, 그리고 회전 중심축(C65)과 회전 중심축(C165)의 교차 각도(θb)가 90°가 되도록 제2 요동 아암(161)은 제1 요동 아암(61)에 대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교차 각도(θb)의 바람직한 범위로는, 0° 및 360°를 제외한 각도를 들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의 범위를 들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35°의 범위를 들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의 범위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범위 내의 임의 값으로 설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요동단측 롤러(63, 163)의 근접화 및 제조 장치(30)의 컴팩트화를 양립시킬 수 있다. 덧붙여 말하자면, 도 6의 구성예가, 전술한 교차 각도(θb)가 0° 또는 360°인 경우에 상당하고, 도 7의 구성예가, 상기 교차 각도(θb)가 180°인 경우에 상당하며, 도 8의 구성예가, 45°인 경우에 상당하고, 도 4a의 구성예가, 90°인 경우에 상당한다.
이상, 제2 안내 부재(16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a) 내지 (c)에 나타낸 구성에 대해서는, 모두 제1 안내 부재(60)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a) 제2 요동단측 롤러(163)와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는 각각, 제2 요동 아암(161)의 요동단(161a)과 제2 지지축부(165)의 회전 중심축(C165)을 연결하는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b) 제2 요동단측 롤러(163)는, 그 외주면이 제2 요동 아암(161)의 제2 지지축부(165)의 회전 중심축(C165) 쪽을 향한 상태로 제2 요동 아암(161)에 대한 방향을 변경할 수 없도록 제2 요동 아암(161)에 고정되어 있고,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도, 그 외주면이 제2 요동 아암(161)의 요동단(161a) 쪽을 향한 상태로 제2 요동 아암(161)에 대한 방향을 변경할 수 없도록 제2 요동 아암(161)에 고정되어 있다.
(c)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에의 제2 탄성띠 부재(122)의 공급 루트(R122)는, 제2 지지축부(165)의 회전 중심축(C165)과 일직선으로 가지런히 정렬되어 있고,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의 외주면이 제2 지지축부(165)의 회전 중심축(C165)에 접하도록 제2 지지축부측 롤러(164)는 배치되어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변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롤(50)에 시트(103b)를 소정의 권취 각도로 권취하여 반송하고, 상기 권취되어 있는 시트(103b)의 부분을 향해 제1 탄성띠 부재(121) 및 제2 탄성띠 부재(122)를 투입하여 접합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탄성띠 부재(121, 122)에 따른 각 투입 위치(P1, P2)에 있어서 시트(103b)는 반송 롤(50)에 권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고, 즉 도시한 예와 같이 수평 방향을 따른 직선형의 시트(103b)의 이송 경로에 제1 및 제2 투입 위치(P1, P2)가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아암(61, 161)을 두 개 설치했으나, 요동 아암 수는 복수이면 되며, 즉 세 개 이상일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팬티형의 기저귀(1)의 제조 공정을 예시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개형의 기저귀[착용시에 기저귀의 앞 몸통둘레 영역(1a)과 뒤 몸통둘레 영역(1c)을 테이프 패스너에 의해 고정 부착하는 타입의 기저귀]의 제조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 아암[61(161)]에 요동단측 롤러[63(163)] 및 지지축부측 롤러[64(164)]의 2개의 롤러를 구비한 구성을 예시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동단측 롤러[63(163)]와 지지축부측 롤러[64(164)]의 사이에, 롤러를 하나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그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되는 롤러의 회전축은, 지지축부측 롤러[64(164)]의 회전축[C64(C164)]과 평행하면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내 부재(60)의 제1 지지축부(65)의 회전 중심축(C65)을 상하 방향(수직 방향)을 향하게 하고, 제2 안내 부재(160)의 지지축부(165)의 회전 중심축(C165)을 좌우 방향(수평 방향)을 향하게 하며, 반송 롤(50)의 회전축(C50)을 CD 방향(수평방향)을 향하게 하였으나, 제1 안내 부재(60) 또는 제2 안내 부재(160)의 지지축부[65(165)]의 회전 중심축(C65(C165)과, 반송 롤(50)의 회전축(C50)이 서로 수직 관계에 있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단측 롤러[63(163)]의 회전축[C63(C163)] 및 지지축부측 롤러[64(164)]의 회전축[C64(C164)]은 대략 수평 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회전축(C50)이 CD 방향인 수평 방향을 향한 반송 롤(50)에 대해, 탄성띠 부재[121(122)]를 비틀림이 적은 대략 평탄 형상으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요동단측 롤러[63(163)] 및 지지축부측 롤러[64(164)]의 회전축[C63(C163), C64(C164)]의 방향은, 대략 수평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송 롤(50)의 회전축(C50)이 향하는 방향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즉, 요동단측 롤러[63(163)]의 회전축[C63(C163)] 및 지지축부측 롤러[64(164)]의 회전축[C64(C164)]은, 요동 아암[61(161)]이 요동 동작함에 따라 이들 회전축[C63(C163), C64(C164)]이 그리는 면이, 반송 롤(50)의 회전축(C50)과 평행해지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면 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반송 롤(50)의 회전축(C50)과 수직 관계에 있는 상기 지지축부[65(165)]의 회전 중심축[C65(C165)]에 대해, 회전축[C63(C163), C64(C164)]이 수직이 되도록 요동단측 롤러[63(163)] 및 지지축부측 롤러[64(164)]가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요동단측 롤러[63(163)] 및 지지축부측 롤러[64(164)]에는, 그 외주면이 롤러의 폭 방향(CD 방향)에 걸쳐 평탄한 평활 롤을 사용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크라운을 구비한 롤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크라운을 구비한 롤러란, 롤러의 최대 직경의 부분이 폭 방향의 중앙부에 설정된 롤러를 말한다. 그리고, 이 롤러에 따르면,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는 탄성띠 부재[121(122)]는, 외주면의 최대 직경의 부분에 의해 롤러의 폭 방향의 중앙부를 향하는 구심력이 부여되므로 상기 롤러로부터 잘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크라운을 구비한 롤러의 예로는, 예컨대 외주면에서의 중앙부에만 둘레 방향을 따른 환형 리브가 형성된 롤러나, 외주면의 단부로부터 중앙부에 걸쳐 서서히 반경이 커진 롤러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접착제 도포 장치로 핫 멜트 접착제를 탄성띠 부재(121, 122)에 도포했으나, 시트(103b)와 탄성띠 부재(121, 122)를 접합할 수 있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시트(103b) 쪽에 도포할 수도 있고, 혹은, 탄성띠 부재(121, 122) 및 시트(103b) 모두에 도포할 수도 있다.
1 : 일회용 기저귀(흡수성 물품) 1a : 앞 몸통둘레 영역
1b : 가랑이 영역 1c : 뒤 몸통둘레 영역
2 : 표면 시트 3 : 이면 시트
3a : 내측 시트 3b : 외측 시트
4 : 흡수체 10 : 다리둘레 오목부
11 : 단연부 플랩 12 : 측연부 플랩
16 : 몸통둘레 탄성 부재 21 : 전방 탄성띠 부재
22 : 후방 탄성띠 부재 30 : 제조 장치
30a : 제조 장치 30b : 제조 장치
30c : 제조 장치 40 : 슬릿 장치
40a : 회전 블레이드 40b : 회전 블레이드
50 : 반송 롤 60 : 제1 안내 부재
61 : 제1 요동 아암 61a : 요동단
63 : 제1 요동단측 롤러 64 : 제1 지지축부측 롤러
65 : 제1 지지축부 66 : 외통 부재
67 : 베어링 70 : 구동 기구
72 : 모터 72a : 구동 회전축
74 : 크랭크 기구 75 : 원반 부재
76 : 링크 부재 78 : 연결핀
90 : 방향 전환 롤러 92 : 지지벽
103b : 시트(시트의 연속체) 120 : 시트형 부재
121 : 제1 탄성띠 부재(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
121a : 부분
122 : 제2 탄성띠 부재(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
160 : 제2 안내 부재 161 : 제2 요동 아암
161a : 요동단 161h : 관통구멍
163 : 제2 요동단측 롤러 164 : 제2 지지축부측 롤러
165 : 제2 지지축부 165h : 관통구멍
166 : 외통 부재 167 : 베어링
170 : 구동 기구 172 : 모터
174 : 크랭크 기구 CL : 중심선
C50 : 회전축 C63 : 회전축
C64 : 회전축 C65 : 회전 중심축
C163 : 회전축 C164 : 회전축
C165 : 회전 중심축 R121 : 제1 공급 루트
R122 : 제2 공급 루트 P1 : 제1 투입 위치
P2 : 제2 투입 위치 P3 : 위치
P4 : 위치 Ps : 권취 시작 위치
Pe : 권취 종료 위치 Pm : 중간 위치
PP : 힘점 R : 영역
Dc : 둘레 방향

Claims (9)

  1.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정해진 사행 패턴으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제1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1 요동 아암을 통해,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1 접합 공정과,
    제2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2 요동 아암을 통해,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2 접합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합 공정에서는, 제1 공급 루트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2 접합 공정에서는, 제2 공급 루트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1 투입 위치와, 상기 제2 요동 아암이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반송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정해진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정해진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제1 투입 위치보다 상기 둘레 방향의 하류측에 설정되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을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가상축 둘레로 정해진 회전 각도(0° 및 360°를 제외함)만큼 상기 둘레 방향의 하류측으로 회전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는, 30° 내지 150°의 범위 내의 임의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정해진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정해진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은,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 방향을 법선 방향으로 하는 가상 평면 내에 있어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정해진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정해진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에서의 상기 둘레 방향의 중간 위치보다 상류측의 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급 루트는,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르고 있고,
    상기 제2 공급 루트는,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의 회전 중심축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의 상기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에 접해 있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의 상기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에 접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연속체는, 상기 반송 방향을 따르는 방향을 둘레 방향으로 하여 정해진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는 반송 롤의 외주면에 정해진 권취 각도로 권취되어 반송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1 투입 위치 및 상기 제2 요동 아암에 따른 상기 제2 투입 위치 모두, 상기 권취 각도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는, 그 사이에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는, 그 사이에 상기 반송 롤의 상기 회전축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9. 반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반송되는 시트의 연속체에 대해,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정해진 사행 패턴으로 접합하여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를 제조하는 장치로서,
    제1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1 요동 아암을 통해,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1 안내 부재와,
    제2 지지축부를 선회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반송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제2 요동 아암을 통해,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를 향해 이송하면서 면접촉시켜 접합하는 제2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요동 아암은, 상기 제1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1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1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요동 아암은, 상기 제2 요동 아암의 요동단 측에 설치된 제2 요동단측 롤러와, 상기 제2 지지축부 측에 설치된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구비하고,
    제1 공급 루트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1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1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제2 공급 루트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를 향해 공급된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가, 차례로 상기 제2 지지축부측 롤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의 외주면에 감겨 회전하고, 상기 제2 요동단측 롤러에 의해 진행 방향이 반전된 후에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되어 접합되며,
    상기 제1 요동 아암이 상기 제1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1 투입 위치와, 상기 제2 요동 아암이 상기 제2 탄성띠 부재의 연속체를 상기 시트의 연속체 상에 투입하는 제2 투입 위치는, 상기 반송 방향에 관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장치.
KR1020117025484A 2009-04-03 2010-03-10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6386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91505 2009-04-03
JP2009091505A JP5277052B2 (ja) 2009-04-03 2009-04-03 吸収性物品に係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297A KR20120018297A (ko) 2012-03-02
KR101638650B1 true KR101638650B1 (ko) 2016-07-20

Family

ID=42827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484A KR101638650B1 (ko) 2009-04-03 2010-03-10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8623168B2 (ko)
EP (1) EP2415431B1 (ko)
JP (1) JP5277052B2 (ko)
KR (1) KR101638650B1 (ko)
CN (1) CN102378608B (ko)
BR (1) BRPI1006469A2 (ko)
EA (1) EA201101445A1 (ko)
UA (1) UA106982C2 (ko)
WO (1) WO2010113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20518B2 (en) * 2010-12-17 2014-05-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paratus for bonding ribbon in a nonlinear pattern to a web
CN106163468B (zh) * 2014-01-14 2017-09-01 株式会社光洋 一次性内裤型内衣及其制造方法
JP6002874B1 (ja) * 2016-01-29 2016-10-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搬送ローラー、搬送ローラーを有する装置、及び搬送方法
KR101998404B1 (ko) * 2016-09-30 2019-07-09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비선형 패턴으로 제1 웹을 베이스 웹에 적용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BR112019004584B1 (pt) * 2016-09-30 2022-09-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arelho e método para aplicar uma primeira trama sobre uma trama de base
CN109977521B (zh) * 2019-03-20 2023-02-03 江苏科技大学 一种谐波减速器波发生器外轮廓的设计方法
CN113548527B (zh) * 2021-07-23 2022-12-09 瑞光(上海)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复合片材的制造装置
JPWO2023008467A1 (ko) * 2021-07-27 2023-02-02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75B2 (ja) 1989-06-29 1994-02-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ブリーフの製造方法
JPH06311999A (ja) * 1993-04-30 1994-11-08 Toyo Eizai Kk 弾性体の接着方法および接着装置
JP2923443B2 (ja) * 1995-04-20 1999-07-26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の製造方法
US5766411A (en) * 1995-08-28 1998-06-16 Paragon Trade Brands. Inc. Apparatus for producing a garment with barrier device
EP0896686A4 (en) * 1996-04-30 2000-08-16 Foster Miller Inc FIBER-OPTICALLY COUPLED TRANSMISSION CELL FOR SPECTROGRAPHIC ANALYSIS DURING A PROCESS
JP3254154B2 (ja) * 1996-12-26 2002-02-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JPH11322147A (ja) * 1998-05-14 1999-11-24 Dainippon Printing Co Ltd 巻取り装置及び巻取り方法
US6287409B1 (en) * 1999-12-23 2001-09-11 Kimbere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elastic material in a curvilinear pattern on a continuously moving substrate
US6284081B1 (en) * 1999-12-23 2001-09-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applying an elastic material in a curvilinear pattern on a continuously moving substrate
JP3411532B2 (ja) * 1999-12-24 2003-06-03 株式会社瑞光 弾性部材取付装置
US6589149B1 (en) * 2000-08-15 2003-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urved component to a moving web
JP3658301B2 (ja) 2000-08-31 2005-06-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弾性伸縮性を有する複合シートの製造方法
JP4205400B2 (ja) 2002-11-12 2009-01-0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連続生産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に弾性部材を取り付ける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US8168034B2 (en) * 2008-09-30 2012-05-01 Uni-Charm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of absorbent article
JP5442982B2 (ja) * 2008-11-11 2014-03-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US20100193138A1 (en) * 2009-01-30 2010-08-05 Joseph Allen Eckstein System for High-Speed Continuous Application of a Strip Material to a Moving Sheet-Like Substrate Material at Laterally Shifting Lo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13610A1 (ja) 2010-10-07
EA201101445A1 (ru) 2012-05-30
JP2010240114A (ja) 2010-10-28
EP2415431A1 (en) 2012-02-08
US8763669B2 (en) 2014-07-01
BRPI1006469A2 (pt) 2018-02-27
JP5277052B2 (ja) 2013-08-28
UA106982C2 (uk) 2014-11-10
EP2415431A4 (en) 2014-06-18
CN102378608A (zh) 2012-03-14
US8623168B2 (en) 2014-01-07
US20130299096A1 (en) 2013-11-14
US20120090779A1 (en) 2012-04-19
KR20120018297A (ko) 2012-03-02
CN102378608B (zh) 2014-04-02
EP2415431B1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650B1 (ko)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687846B1 (ko) 흡수성 물품용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3798298B2 (ja) 回転装置、着用物品の搬送方法およびウェブの搬送方法
JP2010115284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
KR101566052B1 (ko) 복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WO2012114605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409454B2 (ja) 連続シート状部材の複合体の製造装置
CN108472161B (zh) 用于制造与吸收性物品关联的连续片状物的组合体的方法和装置
TWI556800B (zh)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s
WO2012114606A1 (ja) 吸収性物品の製造装置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3272321B1 (en) Transport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osable wearing articles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