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468B1 - 판상요소 선회장치 - Google Patents

판상요소 선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468B1
KR101638468B1 KR1020150010428A KR20150010428A KR101638468B1 KR 101638468 B1 KR101638468 B1 KR 101638468B1 KR 1020150010428 A KR1020150010428 A KR 1020150010428A KR 20150010428 A KR20150010428 A KR 20150010428A KR 101638468 B1 KR101638468 B1 KR 101638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uction
plate
path
convey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0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468B1/ko
Priority to PCT/KR2015/011878 priority patent/WO201611780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6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changing orientation or changing direction of transport
    • B31B1/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7Feeding sheets or blanks by air pressure or suction
    • B31B2201/02

Landscapes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상요소 선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여 흡입하는 복수의 단위 흡입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판상요소 선회장치{APPARATUS FOR PIVOTING PLATE ELEMENTS}
본 발명은 판상요소 선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을 위한 판상요소를 컨베이어의 이송 경로를 따라 선회시키며 이송할 수 있는 판상요소 선회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포장기계에서 종이 판재 또는 블랭크(blank)인 판상요소를 이용하여 포장을 위한 접힌 상자를 얻기 위해, 판상요소는 컨베이어에 의해 여러 스테이션을 거쳐 운반되며, 접히고 풀칠되는 작업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포장 상자의 형태에 따라 판상요소의 플랩(flap)을 원하는 형태로 자동으로 원활하게 접기 위해서는, 판상요소를 컨베이어의 투입부로부터 해당 공정으로 이송되는 도중에 판상요소를 원하는 위치로 선회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판상요소를 선회시키기 위한 판상요소 선회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이 한국특허등록 제10-0670625호에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판상요소 선회장치는 판상요소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를 구비하고, 하나의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의 하방에는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는 복수의 흡입덕트가 간격을 두고 일렬로 위치 고정되어 있고, 하나의 흡입팬은 복수의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종래의 판상요소 선회장치는 판상 요소가 이송되는 하나의 경로를 하나의 흡입덕트로 복수의 흡입덕트를 통해 동시에 흡입할 때, 각 흡입덕트에서의 흡입압력이 일정하지 않고, 흡입덕트 간에 국부적인 흡입 압력차가 발생하여,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를 원하는 형태로 선회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는 흡입덕트가 컨베이어의 경로에 대해 위치 고정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형태의 판상요소에 대응하여 선회 속도의 제어가 곤란하여, 판상요소가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도중에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형태로 선회하지 않고 흐트러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선회 불량을 초래하고, 판상요소가 후속 공정으로 원활하게 연속하며 이송되지 않아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70625호(발명의 명칭: 판상요소를 선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등록일: 2007.01.11.)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판상요소에 대응하여 원하는 형태로 선회시킬 수 있는 판상요소 선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되는 판상요소에 작용하는 선회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여 선회 불량을 줄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판상요소 선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상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여 흡입하는 복수의 단위 흡입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판상 요소의 선회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상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판상요소 선회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여 흡입하는 복수의 단위 흡입 유니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 흡입 유니트는, 흡입팬; 및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흡입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는 복수의 이송 롤러가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며, 상기 단위 흡입 유니트는, 상기 흡입덕트의 자유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이송 롤러 사이에 위치하며 한 쌍의 상기 이송 롤러 사이의 영역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기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는 분리선에 의해 분리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좌측 경로 및 우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를 각각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기 분리선과 편위된 연장 분리선에 의해 분리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좌측 경로 및 상기 우측 경로를 각각 연장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컨베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 요소가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경로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며 판상 요소에 일정한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판상요소에 대응하여 원하는 형태로 선회시킬 수 있다.
또한,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는 흡입부를 판상요소가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경로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이송되는 판상요소에 작용하는 선회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여 선회 불량을 줄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로서, 컨베이어와 분기덕트의 배치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4는 도 3의 판상요소 선회장치에서 판상요소가 선회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판상요소는 포장을 위한 접힌 상자를 얻기 위해 종이 판재 또는 블랭크(blank)로 제조된 것을 말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10)는 컨베이어(11a,11b)와, 컨베이어(11a,11b)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5)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키는 흡입부(51a)를 포함한다.
컨베이어(11a,11b)는 판상요소(5)를 이송하기 위한 경로(19a,19b)를 형성하며, 복수의 이송 롤러(13a,13b)가 간격을 두고 편평하게 일렬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11a,11b)의 각 이송 롤러(13a,13b)는 도시하지 않은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수단에 연결되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롤링한다.
흡입부(51a)는 판상요소(5)와 이송 롤러(13a,13b)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컨베이어(11a,11b)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5)의 흡착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부(51a)가 복수의 단위 흡입 유니트(53a)로 이루어지며, 각 단위 흡입 유니트(53a)는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여 흡입한다. 여기서, 각 단위 흡입 유니트(53a)는 판상요소(5)에 동일한 흡입 압력이 작용하는 범위 내에서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판상요소(5)가 이송되는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며 판상요소(5)에 작용하는 흡입 압력 차이의 발생없이 일정한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판상요소(5)에 대응하여 원하는 형태로 선회시킬 수 있다.
한편, 각 단위 흡입 유니트(53a)는 흡입팬(55)과, 흡입덕트(57)와, 분기덕트(59)를 포함한다.
흡입팬(55)은 판상요소(5)에 작용하는 흡인력을 발생하는 기기로서, 링 블로워 또는 터보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입덕트(57)는 흡입팬(55)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것으로서, 흡입덕트(57)의 일부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흡입팬(55)에 연결되어 있다.
분기덕트(59)는 흡입덕트(57)의 자유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이송 롤러(13a,13b) 사이의 하방에 위치한다. 분기덕트(59)는 인접하는 한 쌍의 이송 롤러(13a,13b) 사이의 영역을 흡입하도록 장방형의 단면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의 단위 흡입 유니트(53a)는 4개의 이송 롤러(13a,13b) 사이에 3개의 분기덕트(59)가 배치되고, 3개의 분기덕트(59)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하나의 흡입덕트(57)를 통해 흡입팬(55)으로 유인된다.
한편, 흡입덕트(57)의 일 영역과 분기덕트(59)는 도시하지 않은 볼스크루와 같은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로써, 왕복이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를 따라 흡입덕트(57)의 일 영역과 분기덕트(59)의 위치를 가변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판상요소(5)에 대응하여 선회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여 선회 불량을 줄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흡입덕트(57)의 일부 영역은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시 신축가능하도록 주름진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단위 흡입 유니트(53a)가 4개의 이송 롤러(13a,13b) 사이에 3개의 분기덕트(59)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단위 흡입 유니트(53a)는 이송되는 판상요소(5)에 작용하는 흡입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기덕트(59)의 수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는 한 쌍의 컨베이어(11a,11b)가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컨베이어(11a,11b)는 분리선(21)에 의해 분리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좌측 경로(19a) 및 우측 경로(19b)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도 1의 우측을 판상요소(5)가 유입되는 상류라 하고, 좌측을 판상요소(5)가 유출되는 부분을 하류라고 한다. 또한, 도 1의 상류에서 하류로 볼 때, 좌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를 제1컨베이어(11a)라고 하고, 우측에 위치하는 컨베이어를 제2컨베이어(11b)라고 한다.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에 각각 구비된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미도시)은 각각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하거나 동일한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되는 판상요소(5)의 형태에 대응하여 판상요소(5)에 가해지는 선회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에 대응하여 배치된 각 흡입부(51a)의 분기덕트(59)를 분리선(2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 또는 상호 이격하도록 상호 간격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판상요소(5)의 무게중심이 분리선(21)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판상요소(5)를 판상요소 선회장치(10)의 상류에서 투입한 후, 흡입부(51a)에 의해 판상요소(5)와 이송 롤러(13a,13b)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판상요소(5)를 이송 롤러(13a,13b)에 흡착시킴과 동시에, 각 컨베이어(11a,11b)를 각각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시킴에 따라, 판상요소(5)는 각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를 따라 선회하며 하류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참조부호 15a는 제1컨베이어(11a)를 제1컨베이어(11a)의 이송 롤러(13a)의 배치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수단이고, 참조부호 15b는 제2컨베이어(11b)를 제2컨베이어(11b)의 이송 롤러(13b)의 배치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수단이다.
한편, 도 3 및 도 4에는 두 쌍의 컨베이어(11a,11b,31a,31b)가 좌우로 일렬 배치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에는 각 컨베이어(11a,11b,31a,31b)와 분기덕트(59)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평면도로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10)의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가 화살표로 표시된 상류측에 위치하고,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하류측에 한 쌍의 컨베이어(31a,31b)와 복수의 흡입부(미도시)가 더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리상, 제1컨베이어(11a)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제1연장컨베이어(31a)라고 하고, 제2컨베이어(11b)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를 제2연장컨베이어(31b)라고 한다.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는 연장 분리선(41)에 의해 분리되며 편평하게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좌측 경로(19a)와 우측 경로(19b)를 각각 연장 형성한다.
또한,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 사이의 연장 분리선(41)은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 사이의 분리선(21)의 우측으로 편위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의 각 컨베이어(11a,11b,31a,31b)의 흡입부의 각 단위 흡입 유니트(미도시)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단위 흡입 유니트가 4개의 이송 롤러(13a,13b,33a,33b) 사이에 3개의 분기덕트(59)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나의 단위 흡입 유니트는 이송되는 판상요소(5)에 작용하는 흡입 압력차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기덕트(59)의 수량을 조절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10′)는, 판상요소(5)의 형태에 따라 판상요소(5)의 선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흡입부의 각 분기덕트(59)가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 또는 상호 이격하도록 배치된다.
즉, 판상요소(5)가 이송 롤러(13a,13b,33a,33b)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판상요소(5)의 무게중심이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흡입부의 각 분기덕트(59)를 상호 접근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이송 롤러(13a,13b,33a,33b)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5)의 선회 길이가 작아짐에 따라 판상요소(5)의 선회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반대로,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흡입부의 각 분기덕트(59)를 상호 이격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판상요소(5)의 선회 길이가 커짐에 따라 판상요소(5)의 선회 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흡입부의 각 분기덕트(59)의 상호 간격을 가변 조절함으로써, 컨베이어(11a,11b,31a,31b)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5)의 선회 속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에 위치하는 흡입부의 각 분기덕트(59)가 분리선(2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에 위치하는 흡입부의 각 분기덕트(59)가 연장 분리선(41)을 사이에 두고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상호 이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을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분기덕트(59)들이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에 대해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회하는 판상요소(5)의 무게중심 변동에 대응하여 각 분기덕트(59)는 분리선(21) 및 연장 분리선(41)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도 3의 판상요소 선회장치(10′)에서 일 예로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상요소를 선회 이송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를 분리선(21)을 사이에 두고 좌우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다음, 판상요소(5)가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경로(19a,19b)를 따라 선회하며 이송되는 과정 중에, 판상요소(5)의 무게중심이 분리선(21)으로부터 벗어나 판상요소(5)가 선회 곤란한 지점에 도달하는 위치에 연장 분리선(41)이 위치하도록,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를 각각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하류에 좌우로 평행하게 연장 배치한다.
여기서, 분리선(21)과 연장 분리선(41)의 편위값은 좌측 경로(19a)와 우측 경로(19b)의 이송 속도, 판상요소(5)에 가해지는 흡인력을 고려하여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 컨베이어(11a,11b,31a,31b)의 배치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시키고자 하는 판상요소(5)를 판상요소 선회장치(10′)의 상류측에 투입한다.
이 때, 판상요소(5)를 선회시키기 위해서는 판상요소(5)의 무게중심이 분리선(21) 가까이에 위치하도록 판상요소(5)를 투입한다.
그리고, 제2컨베이어(11b)의 회전 속도를 제1컨베이어(11a)의 회전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한다. 즉, 우측 경로(19b)의 이송 롤러(13b)를 좌측 경로(19a)의 이송 롤러(13a)보다 빠르게 회전시킨다.
동시에,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하방에 위치한 흡입부의 각 분기덕트(59)를 통해 판상요소(5)에 동일한 흡인력을 작용하여, 판상요소(5)를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이송 롤러(13a,13b)에 흡착시킨다.
이 때,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분기덕트(59)가 분리선(21)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판상요소(5)의 회전반경이 작아지고, 또한 제1컨베이어(11a)에 비해 제2컨베이어(11b)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함으로써,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경로(19a,19b) 상에서 판상요소(5)는 빠르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를 속도차를 두고 회전시킴과 동시에, 동일한 흡인력으로 컨베이어(11a,11b)의 각 경로(19a,19b)를 따라 이송되는 판상요소(5)에 마찰력을 제공하면, 판상요소(5)는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경로(19a,19b) 상에서 하류측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송된다. 이 때, 각 경로(19a,19b)와 접하는 판상요소(5)의 표면 부분이 충분히 크고 동일하기 때문에 회전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판상요소(5)는 제1컨베이어(11a)와 제2컨베이어(11b)의 각 경로(19a,19b)를 따라 선회하며 이송되는 도중에, 그 무게중심이 분리선(21)을 벗어나게 되어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 사이의 연장 분리선(41)에 위치하게 되며, 각 연장컨베이어(31a,31b)의 회전 속도와 흡입부의 흡인력의 상호 작용에 의해 판상요소(5)는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의 각 경로(19a,19b)를 따라 하류측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이송된다.
즉,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의 경로(19a,19b) 상에 위치한 판상요소(5)에 동일한 흡인력이 작용한 상태에서 제1연장컨베이어(31a)에 비해 제2연장컨베이어(31b)를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시키면,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의 각 경로(19a,19b) 상에서 판상요소(5)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송된다.
이 때, 제1연장컨베이어(31a)와 제2연장컨베이어(31b)의 각 분기덕트(59)가 하류측으로 향할수록 연장 분리선(41)으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 배치됨에 따라, 판상요소(5)의 회전반경이 길어져 하류측으로 갈수록 판상요소(5)는 느리게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판상요소 선회장치(10′)의 최종 위치인 하류에서는 판상요소(5)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줄어들게 되어, 흐트러짐없이 원하는 형태로 선회시킨 판상요소(5)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10′)의 최종 하류 위치에서 원하는 형태로 선회된 판상요소(5)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연속된 다른 용도의 컨베이어에 의해 여러 스테이션을 거쳐 운반되며, 접히고 풀칠되는 작업 과정을 거쳐 포장 상자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는 흡입부가 컨베이어(11a,11b,31a,31b)의 경로(19a,19b)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여 흡입하는 복수의 단위 흡입 유니트로 이루어지고, 또한 각 단위 흡입 유니트가 컨베이어(11a,11b,31a,31b)의 경로(19a,19b)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컨베이어(11a,11b,31a,31b)의 경로(19a,19b)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여 흡입하는 복수의 단위 흡입 유니트는 컨베이어(11a,11b,31a,31b)의 경로(19a,19b)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하지 않고 컨베이어(11a,11b,31a,31b)의 경로(19a,19b)를 따라 위치 고정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판상요소 선회장치(10″)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흡입부(51b)의 각 단위 흡입 유니트(53b)의 흡입덕트(57)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일정 길이의 파이프에 의해 흡입팬(55)에 연결되지 않고, 흡입덕트(57)의 하방에 흡입팬(55)이 직결되어, 흡입팬(55)이 컨베이어(11a,11b)의 각 이송 롤러(13a,13b)의 하방에 마련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각 단위 흡입 유니트(53b)는 도시하지 않은 볼스크루와 같은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컨베이어(11a,11b)의 경로(19a,19b)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덕트(57)의 하방에 흡입팬(55)을 직결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들에 비해 풍압 손실을 줄여 흡입팬(55)의 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판상요소 선회장치(10″)의 외관 또한 컴팩트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판상 요소가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경로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며 판상 요소에 일정한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킴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판상요소에 대응하여 원하는 형태로 선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는 흡입부를 판상요소가 이송되는 컨베이어의 경로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함으로써, 이송되는 판상요소에 작용하는 선회 속도의 제어가 용이하여 선회 불량을 줄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5 : 판상요소 10,10′,10″ : 판상요소 선회장치
11a : 제1컨베이어 11b : 제2컨베이어
13a,13b,33a,33b : 이송 롤러 19a,19b : 경로
21 : 분리선 31a : 제1연장컨베이어
31b : 제2연장컨베이어 41 : 연장 분리선
51a,51b : 흡입부 53a,53b : 단위 흡입 유니트
55 : 흡입팬 57 : 흡입덕트
59 : 분기덕트

Claims (8)

  1. 삭제
  2. 판상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하며, 복수의 이송 롤러가 간격을 두고 일렬 배치되는 컨베이어; 및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에 대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판상요소에 흡인력을 작용하여 선회시키는 흡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컨베이어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는 분리선에 의해 분리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각각 좌측 경로 및 우측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를 일정 간격 단위로 구획하여 흡입하는 복수의 단위 흡입 유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흡입 유니트는,
    흡입팬;
    상기 흡입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며, 상기 컨베이어의 경로에 대해 왕복이동수단에 의해 가로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가로로 왕복 이동시 신축 가능하도록 일부가 주름진 관 형태로 형성된 흡입덕트;
    상기 흡입덕트의 자유단부로부터 분기되어 인접하는 한 쌍의 상기 이송 롤러 사이에 위치하며 한 쌍의 상기 이송 롤러 사이의 영역을 흡입하는 복수의 분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덕트는 상기 분리선을 사이에 두고 상호 접근하도록 배치되되 하류측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상호 이격 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요소 선회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를 각각 서로 다른 속도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판상요소 선회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기 분리선과 편위된 연장 분리선에 의해 분리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좌측 경로 및 상기 우측 경로를 각각 연장 형성하는 한 쌍의 상기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는, 판상요소 선회장치.
KR1020150010428A 2015-01-22 2015-01-22 판상요소 선회장치 KR101638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28A KR101638468B1 (ko) 2015-01-22 2015-01-22 판상요소 선회장치
PCT/KR2015/011878 WO2016117808A1 (ko) 2015-01-22 2015-11-06 판상요소 선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428A KR101638468B1 (ko) 2015-01-22 2015-01-22 판상요소 선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468B1 true KR101638468B1 (ko) 2016-07-12

Family

ID=5641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428A KR101638468B1 (ko) 2015-01-22 2015-01-22 판상요소 선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8468B1 (ko)
WO (1) WO2016117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7720A (zh) * 2016-12-23 2018-07-03 博斯特(上海)有限公司 用于成形机器的工作工位的保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715A (ko) * 2004-12-03 2006-06-12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판상 요소를 선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위한 장치
KR20110099365A (ko) * 2010-03-02 2011-09-08 방병관 골판지 포장재의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73830A5 (ko) * 1986-02-12 1990-04-12 Will E C H Gmbh & Co
CH691298A8 (fr) * 1997-05-30 2001-09-14 Bobst Sa DISPOSITIF TRANSPORTEUR à BANDE POUR ARTICLES OU EN PLAQUES DE FAIBLE MASSE SPèCIFIQUE.
KR20130131526A (ko) * 2012-05-24 2013-12-04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판상 요소를 선회시키기 위한 점접촉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3715A (ko) * 2004-12-03 2006-06-12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판상 요소를 선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위한 장치
KR100670625B1 (ko) 2004-12-03 2007-01-17 봅스트 쏘시에떼 아노님 판상 요소를 선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위한 장치
KR20110099365A (ko) * 2010-03-02 2011-09-08 방병관 골판지 포장재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17808A1 (ko)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2242B2 (ja) 平板物体を搬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4308193B2 (ja) 板要素を回転させる装置
US6164431A (en) Roller or belt conveying device for sheet-like or plate-like workpieces of low specific gravity
JP5563457B2 (ja) 隣接する物品を単一化するための方法
KR20090029783A (ko) 물품 회전용 벨트 컨베이어
JP2013544733A5 (ko)
JP2014122109A (ja) 幅寄せコンベヤおよび仕分設備
JP2009149441A (ja) コンベヤの上で製品を方向決め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206108306U (zh) 一种三向分拣用输送装置
CA2571355A1 (en) Step down product accumulation system
US9957114B2 (en) Multi-conveyor speed adjuster
WO2013176429A1 (ko) 판상 요소를 선회시키기 위한 점접촉 방식의 컨베이어 장치
US6162157A (en) Roller or belt correction device for lateral alignment, during converting, of partly folded sheet-like or plate-like workpieces in a folder-gluer
JP2005096997A (ja) 静電的荷電可能な平たい部材から成る堆積体を加工する装置
KR101638468B1 (ko) 판상요소 선회장치
JP2003211533A (ja) シート状物の薄膜成形装置
CN104228393A (zh) 松散的纸张堆垛到传输通道中的输送
JP2019097614A5 (ja)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607238B2 (ja) 梱包材製造機械のための平坦な支持体の層を形成するユニット
JP2017071479A (ja) 物品起立装置
JP6089142B1 (ja) 紙粉除去装置およびインライン型の段ボール製造システム
TWI673222B (zh) 分類單元、配備有該分類單元之板片元件處理機、用於在該分類單元內傳送及頂出板片元件之轉換裝置、及用於在處理機之輸出轉換板片元件之方法
JP2004083197A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CN106702034A (zh) 天然皮具处理工艺
CN106702035A (zh) 新型皮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