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455B1 -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455B1
KR101638455B1 KR1020140140940A KR20140140940A KR101638455B1 KR 101638455 B1 KR101638455 B1 KR 101638455B1 KR 1020140140940 A KR1020140140940 A KR 1020140140940A KR 20140140940 A KR20140140940 A KR 20140140940A KR 101638455 B1 KR101638455 B1 KR 10163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ock absorber
driving unit
lifting
lif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426A (ko
Inventor
이준명
Original Assignee
이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명 filed Critical 이준명
Priority to KR102014014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4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4Suspension or damp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서 쇽업소버(Shock absorber)의 내구성과 완충력을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쇽업소버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한편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자동차의 튜닝샵이나 소규모 카센터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튜닝용으로 적합한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쇽업소버에 상하 충격을 가하는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수직상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 상하 이송가능케 설치되고, 고정레버가 체결된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하부에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체결되는 커플러가 장착된 승강핸들;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에 결속된 와이어가 감겨져 설치되는 스프링 밸런스; 및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쇽업소버의 아이링이 체결되는 어댑터가 장착된 한편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Description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Test device for shock absorbers}
본 발명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서 쇽업소버(Shock absorber)의 내구성과 완충력을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쇽업소버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높이는 한편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자동차의 튜닝샵이나 소규모 카센터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튜닝용으로 적합한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이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높이는 장치로서, 자동차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테빌라이저 바아(Stabilizer bar)와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Chassis spring) 및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높이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등으로 구성된다.
쇽업소버(Shock absorber)는 차축과 차체에 연결 설치되어 차량의 주행시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 및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승차감을 높이는 방진 및 완충장치로서, 그 내부에는 진동 및 충격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 밸브가 마련되며, 감쇠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피스톤 밸브의 외측으로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채워진다.
기존 자동차용 쇽업소버는 일반적으로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가스 및 오일 등의 충진물이 수용되는 튜브(100)와; 상기 튜브(100)에 끼워져 설치되고, 피스톤 밸브가 결합되는 한편 튜브(100)에서 이송 작동하는 피스톤 로드(110)와; 상기 튜브(100)의 하단부에 부착되고, 자동차의 차축 또는 차체에 결합되는 아이링(1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각종 진동과 충격을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높은 내구성과 완충력이 요구되며, 종래 쇽업소버의 내구성과 완충력을 검사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5868호(차량용 쇽업소버 테스트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의 선행기술은 차량의 실제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과 유사한 복합적인 충격이 검사용 쇽업소버에 인가되기 때문에 쇽업소버의 내구성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러한 측정결과를 토대로 하여 쇽업소버의 성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장비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고가의 장비로서 소규모 카센터나 자동차의 튜닝샵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의 선행기술은 쇽업소버의 제조업체에서 내구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 장치로서, 다수개의 쇽업소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장비가 대형으로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고가로서, 소규모 카센터나 자동차의 튜닝샵에서는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6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03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58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62321호.
본 발명은 종래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의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장비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작업성이 우수한 한편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자동차의 튜닝샵이나 소규모 카센터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고, 특히 자동차의 튜닝용으로 적합한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검사용 쇽업소버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쇽업소버에 상하 충격을 가하는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수직상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끼워져 상하 이송가능케 설치되고, 고정레버가 체결된 승강프레임; 상기 승강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하부에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가 체결되는 커플러가 장착된 승강핸들;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프레임에 결속된 와이어가 감겨져 설치되는 스프링 밸런스; 및 상기 구동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쇽업소버의 아이링이 체결되는 어댑터가 장착된 한편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프레임은 상단부에 수평상으로 고정패널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패널의 상부 양측에 수직상으로 가이드봉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양측 가이드봉의 상단부에 수평상으로 지지바가 결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승강핸들은 승강프레임의 중간 부분에 나사축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우징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 위치한 하우징의 하단에 자유롭게 굴절되는 커플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구동유닛은 구동부의 승강축에 결합 설치되고, 상부에 브라켓으로 어댑터가 설치되는 한편 어댑터의 양측에 체결핸들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와 아이링이 각각 자유롭게 굴절되는 커플러와 어댑터에 설치됨으로써, 쇽업소버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한편 작업성이 우수하고, 장비의 구조가 단순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자동차의 튜닝샵이나 소규모 카센터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강프레임이 스프링 밸런스의 와이어에 결속되어 있으므로 승강프레임의 자유낙하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쇽업소버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핸들을 이용하여 피스톤 로드를 프리로드 범위로 하강시켜 압축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측정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쇽업소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테스트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쇽업소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승강프레임과 커플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승강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구동유닛과 어댑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요부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살펴보면, 쇽업소버에 상하 충격을 가하는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10); 상기 구동부(10)의 상부에 수직상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에 끼워져 상하 이송가능케 설치되고, 고정레버(32)가 체결된 승강프레임(30);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중간 부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하부에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0)가 체결되는 커플러(41)가 장착된 승강핸들(40);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프레임(30)에 결속된 와이어(51)가 감겨져 설치되는 스프링 밸런스(50); 및 상기 구동부(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쇽업소버의 아이링(120)이 체결되는 어댑터(61)가 장착된 한편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구동유닛(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구동부(10)는 검사용 쇽업소버에 충격을 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구동부(1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내부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를 감싸도록 장방체의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는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승강축(12)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0)는 모터의 구동으로 승강축(12)이 상하 작동하여 쇽업소버에 상하 충격을 가하는 구조로서, 상기 승강축(12)은 한쌍이 수직상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고,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크랭크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며, 이러한 구성은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구동부(10)에는 전면에 모니터(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11)는 쇽업소버의 테스트 결과를 출력하여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프레임(20)은 후술하는 승강프레임(30)을 지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프레임(2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장방체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구동부(10)의 상부에 수직상으로 나란히 한쌍이 설치되며,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에서 프레임(20)은 양측 상단부에 수평상으로 고정패널(21)이 부착되고, 상기 고정패널(21)의 상부 양측에 수직상으로 가이드봉(22)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양측 가이드봉(22)의 상단부에 수평상으로 지지바(23)가 결합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20)은 양측 상단부에 수평상으로 고정패널(21)이 부착됨으로써, 후술하는 승강프레임(30)의 지지력과 내구성을 높이며, 상기 고정패널(21)의 안쪽에 양측으로 장공(24)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승강프레임(30)은 프레임(20)에서 상하로 이송 작동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승강프레임(3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양측 프레임(20)에 끼워져 상하로 이송가능케 설치되는 한편 수평상으로 배치되고, 양측 단부에서 프레임(20)의 중심을 향하여 절개홈(31)이 형성되며, 또한 양측 전면에 고정레버(32)가 체결된다.
상기에서 승강프레임(30)은 양측에 위치한 고정레버(32)를 조이면, 체결볼트에 의해 절개홈(31)이 좁아지면서 프레임(20)에 고정되고, 이와 반대로 고정레버(32)를 풀면, 절개홈(31)이 넓어지면서 프레임(20)에서 상하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승강핸들(40)은 쇽업소버를 설치한 후, 피스톤 로드(110)를 프리로드(pre-load) 범위로 승강시키는 기능으로서, 상기 승강핸들(4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승강프레임(30)의 중간 부분에 나사축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우징(42)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 위치한 하우징(42)의 하단에 자유롭게 굴절되는 커플러(41)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승강핸들(40)은 나사축으로 승강프레임(30)에 결합 설치됨에 따라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승강프레임(30)에서 상하로 이송 작동하며, 상기 승강핸들(40)과 함께 상하로 이송 작동하도록 승강프레임(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우징(42)이 위치한다.
상기 승강프레임(30)의 하부에 위치한 하우징(42)의 하단에 커플러(41)가 설치되며, 상기 커플러(41)는 유니버설 조인트(universal joint)와 같이, 하우징(42)에서 자유롭게 굴절되도록 설치되고, 하부에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0)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스프링 밸런스(50)는 승강프레임(30)의 자유낙하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장비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스프링 밸런스(50)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와 같이, 프레임(20)의 상부에 위치한 지지바(23)의 양측 아래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 와이어(51)가 감겨져 설치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51)의 단부가 승강프레임(30)의 상부에 결속된다.
상기에서 스프링 밸런스(50)는 내부에 테엽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테엽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와이어(51)가 감겨져 설치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51)의 단부가 고정패널(21)의 장공(24)을 통하여 승강프레임(30)의 상부에 결속되며, 아이볼트 등을 이용하여 와이어(51)를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테엽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와이어(51)에 승강프레임(30)이 결속됨에 따라 승강프레임(30)의 자유낙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프레임(30)은 테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와이어(51)에 매달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주요 구성에서 구동유닛(60)은 쇽업소버의 아이링(120)이 체결되는 한편 구동부(10)의 모터에 의해 상하로 작동하여 쇽업소버에 충격을 가하는 기능으로서, 상기 구동유닛(6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5 및 도 8과 같이, 구동부(10)의 승강축(12)에 결합 설치되고, 상부에 브라켓(62)으로 어댑터(61)가 설치되는 한편 어댑터(61)의 양측에 체결핸들(63)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구동유닛(60)은 구동부(10)에서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승강축(12)의 상단에 결합 설치됨에 따라 상하로 작동하고, 쇽업소버에 상하로 충격을 가하여 내구성과 완충력을 측정하게 된다.
상기 구동유닛(60)은 상부에 브라켓(62)으로 어댑터(61)가 결합 설치되며, 상기 어댑터(61)는 상부가 절개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절개된 양측에 각각 체결핸들(63)이 결합 설치되며, 어댑터(61)의 내부에 쇽업소버의 아이링(120)을 끼운 다음, 체결핸들(63)을 조여서 아이링(120)을 고정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테스트 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도면에서 도 4와 같이, 프레임(20)에 승강프레임(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0)를 커플러(41)에 체결하여 설치하고, 고정레버(32)를 풀어 승강프레임(30)을 아래로 하강시키며, 이때 승강프레임(30)은 스프링 밸런스(50)의 와이어(51)에 결속되어 있으므로 자유낙하가 방지되고, 작업자가 아래로 끌어내려서 하강하게 된다.
작업자가 승강프레임(30)을 아래로 하강시킨 다음, 도면에서 도 5와 같이, 쇽업소버의 아이링(120)을 구동유닛(60)의 어댑터(61)에 끼우고, 체결핸들(63)을 각각 조여서 어댑터(61)에 아이링(120)을 고정한 후, 승강핸들(30)을 회전시켜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0)를 프리로드 범위로 압축하고, 고정레버(32)를 조여서 프레임(20)에 승강프레임(30)을 고정시킨 다음, 구동부(10)의 모터를 작동시켜 쇽업소버의 내구성과 완충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0)와 아이링(120)이 각각 자유롭게 굴절되는 커플러(41)와 어댑터(61)에 설치됨으로써, 쇽업소버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한편 작업성이 우수하고, 장비의 구조가 단순함에 따라 제작비용이 저렴하여 자동차의 튜닝샵이나 소규모 카센터에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강프레임(30)이 스프링 밸런스(50)의 와이어(51)에 결속되어 매달려 있으므로 승강프레임(30)의 자유낙하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쇽업소버가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핸들(40)을 이용하여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0)를 프리로드 범위로 하강시켜 압축하므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측정시간을 단축할 뿐만 아니라 테스트 장치의 오류를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구동부 11: 모니터
12: 실린더 20: 프레임
21: 고정패널 22: 가이드봉
23: 지지바 30: 승강프레임
31: 절개홈 32: 고정레버
40: 승강핸들 41: 커플러
50: 스프링 밸런스 51: 와이어
60: 구동유닛 61: 어댑터
62: 브라켓 63: 체결핸들
100: 튜브 110: 피스톤 로드
120: 아이링

Claims (5)

  1. 쇽업소버에 상하 충격을 가하는 모터가 설치된 구동부(10); 상기 구동부(10)의 상부에 수직상으로 나란히 설치된 한쌍의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에 끼워져 상하 이송가능케 설치되고, 고정레버(32)가 체결된 승강프레임(30);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중간 부분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하부에 쇽업소버의 피스톤 로드(110)가 체결되는 커플러(41)가 장착된 승강핸들(40); 상기 프레임(2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승강프레임(30)에 결속된 와이어(51)가 감겨져 설치되는 스프링 밸런스(50); 및 상기 구동부(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쇽업소버의 아이링(120)이 체결되는 어댑터(61)가 장착된 한편 모터의 구동으로 상하 작동하는 구동유닛(6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핸들(40)은 승강프레임(30)의 중간 부분에 나사축으로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상기 승강프레임(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우징(42)이 형성되는 한편 하부에 위치한 하우징(42)의 하단에 자유롭게 굴절되는 커플러(41)가 설치되며, 어느 한쪽 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승강프레임(30)에서 상하로 이송 작동하고,
    상기 구동유닛(60)은 구동부(10)의 승강축(12)에 결합 설치되고, 상부에 브라켓(62)으로 어댑터(61)가 설치되는 한편 어댑터(61)의 양측에 체결핸들(63)이 설치되며, 상기 어댑터(61)는 상부가 절개된 링형상으로 구성되고, 절개된 양측에 각각 체결핸들(63)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140940A 2014-10-17 2014-10-17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KR10163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40A KR101638455B1 (ko) 2014-10-17 2014-10-17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940A KR101638455B1 (ko) 2014-10-17 2014-10-17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26A KR20160045426A (ko) 2016-04-27
KR101638455B1 true KR101638455B1 (ko) 2016-07-12

Family

ID=5591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940A KR101638455B1 (ko) 2014-10-17 2014-10-17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4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98185A (zh) * 2017-08-16 2017-12-22 安徽斯塔克机器人有限公司 激光切割系统及激光切割方法
CN110174251A (zh) * 2019-05-07 2019-08-27 上海第一机床厂有限公司 一种碟簧减震器的试验装置
CN113447247A (zh) * 2020-03-25 2021-09-2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减振器参数测试装置、减振器参数获取方法及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1671Y1 (ko) * 1994-07-26 1998-08-01 마규하 차량용 쇽업소오버의 고주파 전달특성시험장치
KR0166537B1 (ko) * 1996-06-28 1999-05-15 양재신 쇽업소버의 테스트 지그
KR101162321B1 (ko) 2005-03-23 2012-07-04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베이스 어셈블리 자동검사장치
KR100751694B1 (ko) 2006-03-08 2007-08-23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불량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0890397B1 (ko) 2007-07-20 2009-03-26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의 용접 리크 검사 장치
KR100915868B1 (ko) 2007-12-12 2009-09-07 에스앤티대우(주) 차량용 쇽업소버 테스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426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885B1 (ko) 판스프링 상수 시험장치
KR101638455B1 (ko) 쇽업소버용 테스트 장치
US10928278B2 (en) Vehicle restraining device
CN108692924B (zh) 一种汽车钢板弹簧扭转疲劳试验装置
CN109696237B (zh) 汽车动力总成悬置系统振动噪声试验装置
KR101871681B1 (ko) 차량 구속 장치
CN110823594A (zh) 一种动力总成测试台架
US3906779A (en) Shock-absorber test method and apparatus
KR101083512B1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KR101229924B1 (ko) 현가부재용 내구성 시험장치
KR20090030839A (ko) 토크 로드 내구성 시험장치
CN203965161U (zh) 汽车悬架强度试验台架
WO2015087768A1 (ja) 車両拘束装置
KR101692154B1 (ko) 캐스터 진동시험장치
KR20130049921A (ko) 차량용 후륜 에어스프링 장치
CN108572084B (zh) 前轮六分力滑环的固定限位装置及方法、中重卡车
CN110775091A (zh) 一种高铁动车转向架
WO2015172577A1 (zh) 工程机械的分动箱安装的可调节安装装置
KR101511856B1 (ko) 엘리베이터의 하중측정 및 장력조정장치
KR20170071168A (ko) 편심축하중 측정장치를 가진 자동차검사용 제동시험기
CN113933077A (zh) 转向架构架测试用加载装置及转向架构架测试系统
KR101804021B1 (ko) 장경간 교량의 동(動) 하중 시험장치
KR20150079802A (ko) 차량용 마운팅 장치
CN204630825U (zh) 一种汽车减振器拉伸试验机
CN110126932B (zh) 一种拖拉机用减振器及减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