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860B1 -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860B1
KR101635860B1 KR1020147012051A KR20147012051A KR101635860B1 KR 101635860 B1 KR101635860 B1 KR 101635860B1 KR 1020147012051 A KR1020147012051 A KR 1020147012051A KR 20147012051 A KR20147012051 A KR 20147012051A KR 101635860 B1 KR101635860 B1 KR 101635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attribute
search
notation
link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450A (ko
Inventor
교테츠 코
에이지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어플리-스마트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플리-스마트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어플리-스마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40079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313Selection or weighting of terms for index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06F16/334Query execution
    • G06F16/3344Query execution using natural language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이용자가 입력하는 키워드에 응한 서비스를 제공 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것에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용자가, 키워드 입력 수단(11)에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하고, 표기 판별 수단(12)은 입력된 키워드의 표기 형태를 판별한다. 그리고, 속성 결정 수단(13)은, 표기의 형태에 따라서 키워드가 나타내고 있는 내용으로부터 그 속성을 결정 하고, 검색 수단(14)이 그 속성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 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고, 표시 수단(15)에서 검색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 수단(15)이 표시하고 있는 링크처 데이터가 선택되면, 접속 수단(18)은 해당의 웹 사이트로 접속하고, 키워드의 표기 내용이 나타내는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한다.

Description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Web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web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본 발명은, 이용자가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면, 그 키워드에 관련된 웹 사이트나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한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용자가 인터넷상에서 정보를 얻고 싶은 웹 사이트를 검색 하기 위해서는, 검색 사이트를 열어 검색 엔진을 이용하고, 검색 키워드를 입력 하여 웹 사이트로 접속하고 있다. 또, 말의 의미나 전문어구를 조사하고 싶을 경우에는, 사전 사이트 등을 열었다. 그러나, 수많은 정보내에서 이용자가 바라는 정보를 찾기 위해서는, 당히, 정보를 취사 선택하면서 사이트를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 때문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정보 단말로부터 검색 키워드를 입력하면, 자동적으로 후보가 되는 링크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검색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을 참조). 이 경우, 정보 검색 서버에서는, 링크처 데이터를 인덱스량이나 갱신 일시 등의 일정한 조건에 근거해서 결정한 순위로 표시하는것으로, 이용자가 뽑힐 가능성이 높은 웹 사이트를 후보로서 드릴 수 있게 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6-107200호(2006.04.20)
그렇지만, 이용자가 웹 사이트를 검색하는 동기는 각기 달라서, 상기의 종래 기술에서는, 이용자에 따라서는, 그 목적으로 들어 맞지 않는 웹 사이트가 후보의 상위에 올릴 수 있는 불량이 있다. 예를 들면, 그때 이용자가, 지도 정보를 알고 싶거나, 호텔을 예약 하고 싶거나, 혹은 전철 막차 정보를 알고 싶거나 목적이 있어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 해주는 웹 사이트를 찾고 있는 경우에는 비교적 긴급성이 높지만, 상기 종래 기술의 웹 사이트 검색 시스템에서는, 검색 키워드에 관련된 여러가지 웹 사이트를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목적의 서비스를 제공 해주는 웹 사이트를 찾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편리하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점에서, 이용자가 제공해 주었으면 하는 서비스에 관계되는 키워드를 입력했을 경우,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고, 그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 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웹 정보 제공 시스템은, 검색을 위한 키워드가 입력 되는 키워드 입력 수단과, 입력된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를 판별하는 표기 판별 수단과, 표기의 형태에 응해서 상기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고, 상기 내용으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속성 결정 수단과, 상기 속성에 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과, 검색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 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이 표시 하고 있는 상기 링크처 데이터의 선택에 의해, 대응 하는 웹 사이트로 접속 하는 접속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접속 수단은, 접속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하여, 상기 키워드의 표기 내용이 나타내는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고 있다. 또, 상기 링크처 데이터는 아이콘인것을 특징이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언어일때, 상기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이 미리 보유하고 있는 명사와 일치하고 있으면, 일치한 상기 명사로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 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고 있다. 또,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숫자 일때, 숫자의 자리수나 특정한 자리수의 숫자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 이라고 하고있다. 또,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숫자·기호·알파벳 가운데 2개 이상의 종류에서 구성 되어 있을때는, 그 배열에 근거해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 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고있다.
그리고, 상기 키워드 입력 수단에 복수의 상기 키워드가 입력되었을때, 상기 표기 판별 수단은 상기 키워드 마다 그 표기를 판별 하고, 상기 검색 수단은,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키워드 마다의 상기 속성의 조합에 근거해 대응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 하는 것을 특징 이라고 하고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이 검색 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와 함께, 검색 엔진을 소유 하는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도 표시 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고 있다. 이때, 상기 표시 수단은, 링크처 데이터가 복수 있을 경우에는, 소정의 우선 순위에 따라 표시 한다. 또, 상기 표시 수단은, 표시 하는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의 유무에 관련 되지 않고, 상기 검색 엔진을 소유하는상기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도 표시 하는 것을 특징 이라고 하고 있다. 또,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링크처 데이터를 카테고리화 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 이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이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날짜 또는 시각이라고 결정했을 때, 해당하는 상기 날짜 또는 상기 시각의 예정을 입력 하는 예정표 입력 수단을 갖춘 것을 특징 이라고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웹 정보 제공의 처리중에 예정표 입력의 처리도 할수 있다.
본발명에 의한 웹 정보 제공 방법은, 입력된 키워드의 표기 형태를 판별하는 스텝과, 표기 형태에 따라서 상기 키워드가 나타 내는 내용을 판별하고, 상기 내용으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 하는 스텝과, 상기 속성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 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는 스텝과, 검색 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를 출력 하는 스텝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 하는 스텝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언어일때, 상기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이 미리 보유 하고 있는 명사와 일치 하고 있으면, 일치한 상기 명사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 이라고 하고 있다. 또,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숫자 일때, 숫자의 자리수나 특정한 자리수의 숫자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고 있다. 또, 상기 키워드의 표기형태가 숫자·기호·알파벳 가운데 2개 이상의 종류에서 구성되어 있을때, 그 배열에 근거해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 하는 것을 특징이라고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은, 입력되는 키워드의 표기 형태로부터 이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고, 그 내용에 따라서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고, 속성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 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해서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하고, 링크처 데이터가 선택되면, 대응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로 접속할 수 있게 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이 키워드에 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컨텐츠를 손쉽게 검색 할 수 있고, 이용자에 있어서 편리성이 높은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에서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작 스텝을 가리키는 플로 차트이다.
도4는 키워드 입력시에 있어서의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설명도이다.
도5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설명도이다.
도6은 지도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설명도이다.
도7은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상에서의 스크롤 동작의 설명도이다.
도8은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설명도이다.
도9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설명도이다.
도10은 접속한 웹 사이트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고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설명도이다.
본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근거로 해서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1에 가리키는 웹정보 제공 시스템(10)은, 키워드 입력 수단(11)과, 표기 판별 수단(12)과, 속성 결정 수단(13)과, 검색 수단(14)과, 표시 수단(15)과, 데이터베이스(16)과, 데이터 테이블(17)과, 웹 사이트(19)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18)을 갖추고 있다.
키워드 입력 수단(11)에는, 이용자가 검색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한다. 키워드가 입력되면, 표기 판별 수단(12)은, 키워드의 표기로 부터 이 키워드의 표기는 언어(일본어)인것인가, 숫자인것인가, 또는숫자·기호·알파벳의 조합인가를 판별 한다.
속성 결정 수단(13)은, 이 표기의 판별을 받아서 키워드가 나타내고 있는 내용으로부터 그 속성을 결정한다. 곧, 미리 몇 종류인가의 속성을 정하고 있어, 그 안에서 해당하는 1개 또는 복수의 속성을 골라내서 이 키워드의 속성에 결정한다.
표기가 언어라면, 키워드는 명사를 표한다고 하므로서, 속성 결정 수단(13)은, 데이터베이스(16)의 명사 DB에 미리 보유되어 있는 명사와의 일치를 조사한다. 그리고 일치하고 있으면, 그 명사가 나타내는 내용에 따라서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한다. 명사 DB에는 저명한 지명, 인명, 회사명, 옥호 및 국가명 등의 고유 명사나, 요리명이나 직종 등의 자주 사용되는 일반 명사를 기억 하고있다. 따라서, 속성 결정 수단(13)은, 명사 DB에 보유하고 있는 명사와 대조하고, 키워드가 「신주쿠」를 나타내는 것을 판별한다고, 미리 정해 있는 속성안에서 「지명」이나 「역명」을 골라서 이 키워드의 속성에 결정한다. 한편, 언어는 일본어에 한하는것이 아니고 기타의 언어라도 대응이 가능하며, 그 때는, 그 언어에 따른 명사 DB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표기가 숫자라면, 그 자리수나 특정한 자리수에서의 숫자등에 의해 키워드의 수열이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고, 판별한 내용으로부터 그 속성을 결정한다. 예를들면, 0부터 시작되는 숫자 2자리(또는 3자리, 4자리, 5자리)는 지역번호의 가능성이 있어, 데이터베이스(16)의 지역 번호 DB와 대조해서 일치하면, 그 지역 번호가 나타내는 지역을 속성이라고 결정한다. 또, 4자리의 숫자라면 주식의 증권코드의 가능성이 있어, 데이터베이스(16)의 증권코드 DB와 대조해서 일치하면, 미리 정되어 있는 속성안에서 「주식」이나 「회사」를 골라서 이 키워드의 속성이라고 결정한다. 게다가, 1또는 복수자리수의 숫자가 바로 그것에 서옥호 등을 나타내고 있을 경우도 있어, 이것으로 부터도 속성을 골라내서 결정할 수 있다.
표기가 숫자·기호·알파벳 가운데 2개이상의 조합이라면, 속성 결정 수단(13)은, 그 배열로 부터 속성을 결정 할수있다. 예를 들면, 1자리째로 부터 3자리째가 숫자로, 그 후에 하이픈을 두고, 4자리숫자가 계속되면 우편번호의 가능성이 있어, 데이터베이스(16)의 우편번호 DB와 대조해서 일치하면, 그 우편번호가 나타내는 지역이나 「우편」을 속성이라고 결정한다. 또, 1자리째로부터 3자리째가 숫자만의 키워드라도 우편번호의 가능성이 있다.
데이터베이스(16)에는, 상기 이외에도,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기 위해서 대조하는 가지가지인 데이터가 보유되고 있다.
검색 수단(14)은, 결정된 속성을 기초로 해서 데이터 테이블(17)로부터 대응하는 웹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한다. 데이터 테이블(17)은, 속성의 「지명」이나 「역명」에 대조시켜서 인터넷상의 지도검색 사이트, 노선 검색사이트 및 호텔 예약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예를 들면, 키워드에 「신주쿠」라고 입력되면, 속성 결정 수단(13)은 그 속성을 「지명」이나 「역명」이라고 결정하기 위해서, 검색 수단(14)은, 지도 검색 사이트와 노선 검색 사이트와 호텔예약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를 데이터 테이블(17)로 부터 읽어낸다.
그리고, 표시 수단(15)은, 검색 수단(14)이 읽어낸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하고, 접속 수단(18)은 표시 수단(15)이 표시하고 있는 링크처 데이터가 선택되면 링크처에 접속하고, 그 웹 사이트(19)의 웹 페이지를 표시 수단(15)에 표시한다.
키워드 입력 수단(11)에 「신주쿠」라고 입력한 이용자는, 「신주쿠의 지도를 알고 싶다」, 「신주쿠의 호텔을 예약하고 싶다」, 「신주쿠에서 쇼핑하고 싶다」 또는 「신주쿠의 대중교통기관을 조사하고 싶다」등의 요청이 있어서 검색을 결여 되는것으로 생각되어, 이용자는 요청 내용에 따라서 지도 검색 사이트나 노선검색 사이트나 호텔예약 사이트의 어느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으로, 접속 수단(18)은 선택된 웹 사이트(19)로 접속하고, 이 웹 사이트(19)의 웹 페이지를 표시 수단(15)에 표시시킨다.
접속 수단(18)이, 웹 사이트(19)를 접속할 경우, 키워드 입력 수단(11)에의 키워드의 서비스 제공을 웹 사이트(19)에 지시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용자가 지도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를 선택했을 경우, 접속 수단(18)은, 지도 검색 사이트인 웹 사이트(19)에 대하여, 키워드의 「신주쿠」의 지도를 표시하도록 지시를 보내고, 표시 수단(15)은 웹 사이트(19)로부터 보내져오는 「신주쿠」의 지도를 표시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관련되는 웹 정보 제공시스템(10)은, 이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이 키워드에 관련되는 지도 제공이나 호텔 예약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에의 링크처 주소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제공을 받고싶은 서비스에 따라서 링크처 주소를 선택하는 것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웹 정보 제공시스템(10)은, 가지 가지인 형태에서 실시가능하며, 하나의 예로서, 정보 단말 장치에 웹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기능을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짜서 구성 할수 있다. 이 경우의 정보 단말 장치로서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가능한 정보기기라면, PC는 물론, 인터넷에 접속 할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 PDA, TV 수상기등을 이용 할수 있다.
이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 가능한 정보기기에의 적용예로서, 휴대용 전화기를 채용한 실시형태로 본발명을 상술한다.
도2는, 휴대용 전화기(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내보이는 것으로, 시스템 버스(20)에, CPU(21), RAM(22), ROM(23), 통신 장치(24), 표시 장치(25) 및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26)를 접속해서 구성된다.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26)는, 표시 장치(25)에 표시되는 터치 스크린 화면에의 터치를 용량 변화에 인해서 감지하는 것으로, 구동 회로(26A)로 부터의 구동라인 및 감지 회로(26B)에의 입력 라인을 매트릭스 상태로 터치 스크린 화면 위로 배치해서 구성된다.
ROM(23)에는, 휴대용 전화기(1)의 기본 OS와 함께 웹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거두어 들여지고 있어, 이용자는 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선택해서 기동하고, 종료할 수 있다. 또, RAM(22)에는, 도1로 설명한 데이터베이스(16)의 거두어 들여지고 있는 다데이터의 기억 영역(22A) 및 데이터 테이블(17)의 저장소(22B)가 각각 설정되고 있다.
도3에 웹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제어 플로를 보이고, CPU(21)의 동작을 설명한다.
CPU(21)는, 웹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고, 스텝 S1에 서 표시 장치(25)에 터치 스크린을 표시하고, 스텝 S2에서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26)를 제어해서 키워드의 입력을 대기한다. 도 4은, 이 상태에서의 표시 장치(25)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고 있어, 터치 스크린에 의한 입력 화면(3)과 입력 박스(4)와 검색 결과 표시 화면(5)이 표시 되어있다. 한편, 이때, 검색 결과 표시 화면(5)은, 검색전 이기 때문에 표시된 내용이 없는 상태에 있다.
그리고, 이용자는, 입력 화면(3)을 조작해서 입력 박스(4)에 키워드를 입력하지만, 이때, 복수의 키워드를 입력할 경우에는, 이용자는 키워드 사이에 스페이스를 삽입하게 되어있다. 그리고, 이용자에 의한 입력 박스(4)에의 입력이 종료하면, 스텝 S3에서 키워드를 읽어낸다. 다음 스텝 S4에서는, 읽어낸 키워드가 언어(일본어)인지를 판별하고, 언어가 아닐 경우는 스텝 S5로 키워드가 모두 숫자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판별하고, 모두 숫자로 구성되지 않고 있을 경우는 스텝 S6로 키워드는 모두 영문글자인지를 판별한다.
스텝 S4로 키워드가 언어인것을 판별하면, 스텝 S7에 이행하고,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는 처리가 된다. 스텝 S7에서는, 데이터베이스 기억 영역(22A)이 거두어 들여지고 있는 역명·지명·호텔명·회사명 등의 명사와의 일치를 대조한다. 상기 하는것과 같이, 키워드로서 「신주쿠」라고 입력하면, 역명 데이터나 지명 데이터로서의 「신주쿠」라고 일치하기 위해서, 스텝 S10에서 키워드의 속성을 「역명」이나 「지명」이라고 결정한다.
스텝 S5로 키워드가 모두 숫자라고 판별되면, 스텝 S8에 이행하고,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는 처리가 된다. 스텝 S8에서는, 숫자열의 자리수를 카운트하고, 그 자리수나 특정한 자리수에서의 숫자등에 의해 키워드의 수열이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한다. 그리고, 스텝 S10에서 판별한 키워드의 내용으로부터 그 속성을 결정한다. 전술한 지역번호나 증권코드이외의 예를들면, 숫자 9자리나 14자 혹은 20자리라면 짐추적번호의 가능성이 있어, 미리 정해 있는 속성안에서 「택배」를 골라서 이 키워드의 속성으로 결정하고, 13자리라면 JAN(Japanese Article Number)코드 또는 ISBN(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ing)코드의 가능성이 각각 있어, 미리 정해 있는 속성안에서 「상품」이나 「서적」을 골라내서 이 키워드의 속성으로 결정한다.
스텝 S6에서 키워드는 모두 영문글자가 아닌것을 판별하면, 이경우, 키워드는 숫자·기호·알파벳의 조합이다라고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스텝 S9에서의 처리가 되고, 이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한다. 상술의 우편번호 이외의 예를 제시하면, 9자리의 숫자를 끼어 선두와 최후의 각각 2자리의 알파벳은 상기와 달리 정해져 있는 짐추적번호, @을 포함하는 문자열은 메일 주소의 가능성이 있어, 이 판별결과를 바탕으로, 스텝 S10에서, 미리 결정지어 있는 어느것인가의 속성이라고 결정한다.
이렇게 하여 스텝 S10에서 속성을 결정하면, 스텝 S11에서, 입력 박스(4)에 반각 스페이스를 삽입해서 입력된 모든 키워드에 대하여 속성이 결정되고 있을 지를 판별하고, 모두에 대하여 결정하고 있지 않을 경우는 스텝 S4로부터의 처리에 되돌아간다.
그리고,속성을 결정하면 스텝 S12의 처리가 되고, 결정한 속성에 따라, 관계되는 웹사이트나 컨텐츠를 결정하고, 스텝 S13에서는 이 웹사이트나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를 아이콘에서 표시한다. 이때, 링크처 데이터가 복수 있을경우는 소정의 우선순위에 따라서 표시한다. 우선순위는 속성에 따라서 결정되므로, 예를 들면, 속성이 「지명」일 경우에는, 지도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가 최우선이 되게 프로그램되고 있다.
도5는, 스텝 S13에서의 처리에 있어서의 링크처 데이터의 아이콘 표시의 구체예를 내보이고 있다. 도5의 예에서는, 입력 박스(4)에 단일인 키워드로서 「신주쿠」가 입력되어서, 이로 인해 「신주쿠」에 관계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컨텐츠의 검색 결과를 검색결과 표시 화면(5)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검색 결과 표시 화면(5)의 카테고리 표시부(5A)는, 그 웹사이트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카테고리마다 분류해서 표시하고 있어, 서비스 표시부(5B)는 카테고리의 분류에따라, 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또는 컨텐츠에의 링크처 데이터를 아이콘에서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 있어서는, 「신주쿠」의 키워드에 관해서, 속성은 상술한 것 같이 「역명」이나 「지명」이기 때문에, 이것에 근거하고, 「지도」의 카테고리에는 지도 검색 사이트A 및 B의 아이콘 a와 아이콘 b를 표시하고, 「호텔」의 카테고리에는 호텔 예약 사이트 C 및 D의 아이콘 c와 아이콘 d를 표시하고 있다.
또, 키워드의 속성에 관련되지 않고 「검색」의 카테고리를 표시하고, 스텝 S13에서는 검색 엔진을 구비한 검색 사이트 G,Y의 아이콘 g,y도 맞춰서 표시하도록 프로그램되고 있다. 키워드에 「신주쿠」만 입력했을 경우, 이용자는 「신주쿠」에 관한 일반적인 정보나 지식의 제공을 희망하는것도 생각되기 때문에, 「검색」의 카테고리는 높은 우선순위에서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의 유무에 관련되지 않고, 「검색」의 카테고리를 표시하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어, 이로 인해, 입력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것 같은 링크처 데이터가 보이지 않을 경우에는,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가 표시되기 때문에, 이용자는 검색 사이트에 즉시 접속하는 것으로 다음 조작에 신속하게 옮겨질 수 있어서 편이성이 뛰어나다.
또, 스텝 S6에서 키워드가 모두 영문글자라고 판별 했을때는, 스텝 S13에 이행하고, 「검색」의 카테고리 표시와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으로, 검색 사이트를 선택하면 이 영문글자의 키워드에서 검색을 실시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이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언어를 일본어만이라고 하고 있지만, 영어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스텝 S6의 처리에서 키워드가 모두 영문글자인것을 판별했을때, 스텝 S7에 있어서의 일본어의 경우와 같이, 영어에서의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는 스텝을 추가한다. 이 경우, 영어에 따른 명사 DB가 필요하다.
도5의 표시 상태로, CPU(21)은, 지도 검색 사이트 A의 아이콘 a가 탭으로 선택되는 것을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26)로부터의 신호에서 검지하면, 통신 장치(24)를 제어해서 이 지도 검색사이트 A로 접속해서 신주쿠의 지도를 표시하도록 지시를 보내고, 표시 수단(15)은 지도 검색 사이트 A로부터 보내오는 신주쿠의 지도를 표시 장치(25)에 표시한다. 이때, 휴대용 전화기(1)의 표시 화면은, 도 6에 가리키는봐와 같이 입력 박스(4)을 제외해 지도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5에있어서, 아이콘의 표시는, 스텝 S13의 처리에서 우선순위가 높은 카테고리가 입력 박스(4)가까이에 위치하도록 배열 되고있다. 따라서, 도7에 내보이는 봐와 같이 화면 터치에서 화면을 스크롤 하면, 입력 화면(3)이 사라져서 입력 박스(4)은 하단에 이동해서 검색 결과 표시 화면(5)의 영역이 넓어지고, 순위가 낮은 「쇼핑」의 카테고리에 속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 E,F의 아이콘 e와 아이콘 f가 표시되어 심지어 「기타」의 카테고리에도 「신주쿠」에 관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나 컨텐츠 L,P의 아이콘 l과 아이콘 p가 표시되어 있다(도8). 이때, 「기타」의 카테고리에 「신주쿠」라고 직접의 관계가 있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가 표시되어 있지 않는 경우, 「기타」의 카테고리는 선택 불가능이라고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웹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중에, 편의상, 사용자가 메일 처리를 실시할수 있도록, 카테고리 표시부(5A)에 「메일」란을 마련해서 메일 소프트 M 또는 메일소프트 N을 선택하는 아이콘 m,n을 표시 하도록 프로그램되고 있다.
각 카테고리에 있어서도 웹 사이트나 컨텐츠의 아이콘은, 스텝 S13의 처리에서 왼쪽에서 우선 순위에서 표시하고있어, 예를 들면,도8에 있어서,「쇼핑」의 카테고리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 E,F의 아이콘 e와 아이콘 f를 표시하고 있지만, 아이콘 f의 우측의 여백을 탭하거나, 혹은 가로 방향에 스크롤 동작을 하면, 낮은 순위에 있는 웹사이트나 컨텐츠 H, I, J의 아이콘 h, i, j도 표시된다. 이 경우, CPU(21)은 여백에의 탭 또는 스크롤을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26)로부터의 신호에서 검지하면, 표시 장치(25)를 제어하고, 도9에 내보이는 봐와 같이 「쇼핑」의 카테고리표시를 지우고, 이행의 모두에 아이콘 e 혹은 아이콘 j를 표시시킨다. 스크롤 동작의 경우에는, 왼쪽 또는 오른쪽에의 스크롤에서 일련의 아이콘을 순시에 확인 할 수 있기 위해서 사용성이 향상한다.
그리고, 웹 사이트 E의 아이콘 e가 탭되면, CPU(21)는 통신 장치(24)를 제어해서 웹사이트 E로 접속하고, 그 웹페이지를 표시 장치(25)에 표시한다(도10). 이 웹 사이트 E는, 인터넷상의 쇼핑 사이트일 경우도, 신주쿠의 유명점 웹사이트일 경우도 있다.
더욱 예를 제시하면, 스텝 S8에서 키워드가 짐추적 번호일 가능성을 판단하고, 스텝 S10에서 속성을 「짐추적」이라고 결정하면, 택배업자의 웹 사이트 아이콘을 스텝 S13에서 표시한다. 그리고, CPU(21)은, 택배업자의 웹 사이트 아이콘이 탭으로 인해 선택되는것을 터치 스크린 입력 장치(26)로부터의 신호에서 검지하면, 통신 장치(24)를 제어해서 이 택배업자의 웹사이트로 접속한다. 이로 인해, 짐추적번호에 근거해 짐의 운반 상황등의 데이터가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이용자는 확인을 할수 있다.
키워드가 복수 있을 경우에는, 스텝 S4로부터 스텝 S11까지의 처리를 되풀이해서 키워드마다 속성을 결정하지만, 예를 들면, 2개의 키워드가 「도겐자카」와 「1-1」이라면, 「도겐자카」의 속성을 「지명」, 「1-1」의 속성을 「번지」라고 결정하고, 스텝 S12에서는 이 속성의 조합에 의해, 지도 검색 사이트의 아이콘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 아이콘의 선택에 의해 표시 장치(25)는 「도겐자카 1-1」의 지도가 표시된다.
또, 입력 박스(4)에 입력된 키워드가 숫자와 기호의 조합인것을 스텝 S6로 판별하면, 예를 들면,「2011/12/31」과 같이 숫자를 슬래시로 연결하는것 이라면 날짜의 가능성이 있어, 「12:00」과 같이 숫자를 콜론으로 연결하는 것이라면, 스텝 S9에 있어서는 속성을 「날짜」나 「시각」이라고 결정하면, CPU(21)는 해당하는 날짜 또는 시각의 예정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전화기(1)는, ROM(23)에 캘린더 기능의 프로그램이 거두어 들여지고 있어, 이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스텝 S13에서 표시해, 이아이콘이 선택되면 예정표 관리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해서 해당 날짜나 시각의 관리페이지를 표시 장치(25)에 표시한다. 이렇게, 시각이나 날짜를 나타내는 숫자와 기호의 조합을 키워드에 입력하는것으로, 웹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 중에 캘린더를 기동하고, 신속하게 예정표의 확인을 할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한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은, 입력된 키워드의 표기 형태로부터 이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고, 그 내용으로부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고, 그리고, 그 속성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에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키워드를 입력하면, 지도 정보의 제공서비스, 호텔 예약 서비스, 짐운반 상황의 확인 서비스, 검색 서비스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지가지인 웹 사이트를 손쉽게 검색 할수있기 위해서, 다음은 소망의 링크처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 만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웹 사이트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않고, 종종 변경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터치 스크린을 소유하는 휴대용 전화기에서 설명했지만,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에 한정되는것이아니고, 웹 정보 제공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짜넣는 정보 단말 장치가 입력 장치로서 구비 하고 있는 마우스나 키보드등의 각종 디바이스이여도 문제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또, 상기하는바와 같이, 웹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기능을, 휴대용 전화기(1) 등의 정보 단말 장치에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 짜넣서 구성하는 이외에도, 웹 정보 제공 시스템(10)에 있어서의 표기 판별 수단(12), 속성 결정 수단(13), 검색 수단(14), 데이터베이스(16) 및 데이터 테이블(17)의 기능을 서버가 가지고, 키입력 수단(11), 표시 수단(15) 및 접속 수단(18)을 소유하는 정보 단말 장치에서 이 서버로 접속하는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기타도, 본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당히 변경해서 실시 하는것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발명은, 이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에 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또는 컨텐츠를 검색해서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이며, 산업상 이용가능성을 소유한다.
10: 웹 정보 제공 시스템
11: 키워드 입력 수단
13: 속성 결정 수단
14: 검색 수단
15: 표시 수단
16: 데이터베이스
18: 접속 수단

Claims (17)

  1. 검색을 위한 키워드가 입력되는 키워드 입력 수단과,
    입력된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를 판별하는 표기 판별 수단과,
    표기 형태에 따라서 상기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고, 상기 내용으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속성 결정 수단과,
    상기 속성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수단과,
    검색한 상기 웹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표시 수단이 표시하고 있는 상기 링크처 데이터의 선택에 의해, 대응하는 웹 사이트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의 검색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와 함께,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관련되지 않은 검색 엔진을 소유하는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접속하는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하여, 상기 키워드의 표기내용이 나타내는 서비스의 제공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언어일때, 상기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이 미리 보유하고 있는 명사와 일치하고 있으면, 일치한 상기 명사로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숫자일 때, 숫자의 자리수나 특정한 자리수의 숫자로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숫자·기호·알파벳 가운데 2개 이상의 종류로 구성되어 있을 때, 그 배열에 근거해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 입력 수단에 복수의 상기 키워드가 입력 되었을때, 상기 표기 판별 수단은 상기 키워드마다 그 표기를 판별하고, 상기 검색 수단은,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이 결정한 상기 키워드마다의 상기 속성의 조합에 기초를 두어 대응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는것을 특징으로 웹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검색 수단의 검색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가 복수의 경우에는, 소정의 우선 순위에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표시하는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의 유무에 관련되지 않고, 검색 엔진을 소유하는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상기 링크처 데이터를 카테고리화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처 데이터는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속성 결정 수단이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날짜 또는 시각이라고 결정했을 때, 해당하는 상기 날짜 또는 상기 시각의 예정을 입력하는 예정표 입력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시스템.
  13. 입력된 키워드의 표기 형태를 판별하는 스텝과,
    표기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을 판별하고, 상기 내용으로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속성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나 컨텐츠를 검색하는 스텝과,
    검색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스텝은 상기 검색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와 함께, 상기 키워드의 속성에 관련되지 않은 검색 엔진을 소유하는 검색 사이트의 링크처 데이터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한 상기 웹 사이트나 상기 컨텐츠의 링크처 데이터가 복수의 경우에는, 소정의 우선 순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스텝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언어일때, 상기 키워드가 나타내는 내용이 미리 보유하고 있는 명사와 일치하고 있으면, 일치한 상기 명사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 하는 스텝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숫자일때, 숫자의 자리수나 특정한 자리수의 숫자로 부터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하는 스텝은, 상기 키워드의 표기 형태가 숫자·기호·알파벳 가운데 2개 이상의 종류로 구성되어 있을 때, 그 배열을 근거로 해 상기 키워드의 속성을 결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웹 정보 제공 방법.
KR1020147012051A 2011-10-21 2012-10-22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 KR101635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31636A JP5749626B2 (ja) 2011-10-21 2011-10-21 ウェブ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ウェブ情報提供プログラム
JPJP-P-2011-231636 2011-10-21
PCT/JP2012/077204 WO2013058398A1 (ja) 2011-10-21 2012-10-22 ウェブ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ウェブ情報提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450A KR20140079450A (ko) 2014-06-26
KR101635860B1 true KR101635860B1 (ko) 2016-07-04

Family

ID=48141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051A KR101635860B1 (ko) 2011-10-21 2012-10-22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31972B2 (ko)
JP (1) JP5749626B2 (ko)
KR (1) KR101635860B1 (ko)
CN (1) CN103946839B (ko)
IN (1) IN2014KN00874A (ko)
WO (1) WO20130583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4154B (zh) * 2015-03-16 2019-05-31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公交信息共享方法和装置
US20170169007A1 (en) * 2015-12-15 2017-06-15 Quixey,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Structured Search Queries
JP7353790B2 (ja) * 2019-04-26 2023-10-0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5184B2 (ja) * 1990-08-22 1999-05-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文書処理システム及び文書処理方法
US5778367A (en) * 1995-12-14 1998-07-07 Network Engineering Software, Inc. Automated on-line information service and directory, particularly for the world wide web
JP2000339340A (ja) * 1999-05-31 2000-12-08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検索システム
US7272637B1 (en) * 1999-07-15 2007-09-18 Himmelstein Richard B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efficiently accessing internet resources
CA2409951C (en) * 2000-05-24 2006-12-05 Espotting (Uk) Limited Searching apparatus and a method of searching
US20020156779A1 (en) * 2001-09-28 2002-10-24 Elliott Margaret E. Internet search engine
JP3864883B2 (ja) * 2002-09-30 2007-01-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端末および端末制御プログラム
WO2004090754A1 (en) * 2003-04-04 2004-10-21 Yahoo! Inc. A system for generating search results including searching by subdomain hints and providing sponsored results by subdomain
GB0316806D0 (en) * 2003-07-17 2003-08-20 Ivis Group Ltd Improved search engine
JP2005044295A (ja) * 2003-07-25 2005-02-1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検索方法、検索装置及び検索プログラム
US20050114317A1 (en) * 2003-11-26 2005-05-26 Bhide Manish A. Ordering of web search results
US7769648B1 (en) * 2003-12-04 2010-08-03 Drugstore.Com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keyword generation, management, and determining effectiveness
JP2005165958A (ja) * 2003-12-05 2005-06-23 Ibm Japan Ltd 情報検索システム、情報検索支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7716223B2 (en) * 2004-03-29 2010-05-11 Google Inc. Variable personalization of search results in a search engine
KR100688344B1 (ko) * 2004-04-12 2007-02-28 케이티하이텔 주식회사 위치기반 지능형 검색 서비스 방법
US20060004725A1 (en) * 2004-06-08 2006-01-05 Abraido-Fandino Leonor M Automatic generation of a search engine for a structured document
WO2005122016A1 (ja) * 2004-06-10 2005-12-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入力補助装置、情報検索装置、入力補助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00788A1 (en) * 2004-07-14 2006-05-11 Invitrogen Corporation Collections of matched biological reagent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matched reagents
JP4350631B2 (ja) 2004-10-06 2009-10-21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検索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
US7555387B2 (en) * 2005-01-28 2009-06-30 Orbitz,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vel related product information on an interactive display having neighborhood categories
US7480669B2 (en) * 2005-02-15 2009-01-20 Infomato Crosslink data structure, crosslink database, and system and method of organizing and retrieving information
US9092523B2 (en) * 2005-02-28 2015-07-28 Search Engine Technologies, Llc Methods of and systems for searching by incorporating user-entered information
US20060248061A1 (en) * 2005-04-13 2006-11-02 Kulakow Arthur J Web page with tabbed display regions for displaying search results
US20070088507A1 (en) * 2005-10-13 2007-04-19 James Haberl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environmental risk evaluation
US7680697B2 (en) * 2006-01-25 2010-03-16 Kelkoo Sas Searching for a seller of a product
US8386469B2 (en) 2006-02-16 2013-02-26 Mobile Content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relevant sources, querying and merging results from multiple content sources
JP5377829B2 (ja) 2006-02-16 2013-12-25 株式会社エム・シー・エヌ 関連性のある情報源を決定し、クエリし、複数のコンテンツ情報源からの結果をマージするための方法とシステム
US20080114607A1 (en) * 2006-11-09 2008-05-15 Sihem Amer-Yahia System for generating advertisements based on search intent
WO2008104621A1 (es) * 2007-02-28 2008-09-04 Classe Qsl, S.L. Sistema para la recuperación de unidades de información
US20090292677A1 (en) * 2008-02-15 2009-11-26 Wordstream, Inc. Integrated web analytics and actionable workbench tools for search engine optimization and marketing
JP2009251934A (ja) * 2008-04-07 2009-10-29 Just Syst Corp 検索装置、検索方法および検索プログラム
JP5265234B2 (ja) * 2008-04-11 2013-08-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地点検索装置、端末装置、地点検索方法、地点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0009457A (ja) * 2008-06-30 2010-01-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検索システム、検索方法、検索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100005087A1 (en) * 2008-07-01 2010-01-07 Stephen Basco Facilitating collaborative searching using semantic context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JP2011018256A (ja) 2009-07-10 2011-01-27 Aisin Aw Co Ltd 地点検索装置、地点検索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2721404A1 (en) * 2009-11-17 2011-05-17 Daniel Blais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 database
CN102087669B (zh) * 2011-03-11 2013-01-02 北京汇智卓成科技有限公司 基于语义关联的智能搜索引擎系统
CN102207962B (zh) * 2011-05-25 2013-03-13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动态搜索引擎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46839A (zh) 2014-07-23
WO2013058398A1 (ja) 2013-04-25
IN2014KN00874A (ko) 2015-10-02
JP2013089162A (ja) 2013-05-13
US10031972B2 (en) 2018-07-24
KR20140079450A (ko) 2014-06-26
US20140258329A1 (en) 2014-09-11
CN103946839B (zh) 2017-11-24
JP5749626B2 (ja)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03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istent context-aware guides
US5832452A (en) Hotel database inquiry system
US200401630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and sorting data
US200800656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searchable library of electronic documents to a user
US200600531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ieving information based on manually-input keyword and automatically-selected keyword
US20100030749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formation retrieval systems
JP2012113727A (ja) 最初のクエリによって規定されたバウンダリーを越えて検索結果を拡張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インターフェース、およびソフトウェア
EP2225675A1 (en)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an intellectual property relationship warehouse and monitor
EP2306333A1 (en) Offline software library
US10176506B2 (en) Product search system and product search program
KR101635860B1 (ko) 웹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웹 정보 제공 방법
US20040006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blem solution support, and medium storing a program therefor
KR102218486B1 (ko) 정보 제공 서버 및 그 정보 제공 서버의 제어 방법
JP2009026249A (ja) 閲覧履歴編集端末及び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方法
JP2011257786A (ja) 文書検索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文書検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325299A (ja) データ検索装置およびデータ検索方法ならびに情報記録媒体
JP201807339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076676A (ja) 報告書作成を支援する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13089162A5 (ko)
JP3833543B2 (ja) 電子フォーム配信装置および電子フォーム配信プログラム
JP4298804B2 (ja) 証券情報表示法及び証券情報端末装置
JP4496797B2 (ja) 文書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H0844750A (ja) 文書検索装置及び同装置に適用される検索結果の異文献判別方法
JPH0535798A (ja) データベース検索装置
KR101163209B1 (ko) 다자 참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