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083B1 -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 Google Patents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083B1
KR101635083B1 KR1020140128358A KR20140128358A KR101635083B1 KR 101635083 B1 KR101635083 B1 KR 101635083B1 KR 1020140128358 A KR1020140128358 A KR 1020140128358A KR 20140128358 A KR20140128358 A KR 20140128358A KR 101635083 B1 KR101635083 B1 KR 10163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rail
unit
door por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8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6306A (ko
Inventor
정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28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0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36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4Stanchions; Guard-rails ; Bulwarks or the like

Abstract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은, 선박의 갑판에 설치된 핸드레일(Hand Rail)에 위치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상기 핸드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락킹부; 및 상기 선박의 비상 상황시 발생하는 비상 신호에 따라 상기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OPENING AND CLOSING SYSTEM OF HANDRAIL}
본 발명은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 상황 시에 개폐가 가능한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레일(Handrail) 또는 난간은 층계, 다리, 마루 등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로써, 사람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핸드레일은 여객선 등의 선박에서 선실의 바깥쪽 데크(Deck)에 승객 및 물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설치된 핸드레일(Handrail)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1)에 설치된 핸드레일(10)은 사람(P)이 넘기에 높은 편이며, 한 데크의 한 곳에만 핸드레일(10)이 열릴 수 있다. 또한, 핸드레일(10)의 열리는 부분도 평소에는 자물쇠로 잠겨 있어 열쇠가 있어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좌초 등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사용하는데 커다란 제약이 있다. 즉, 비상 시에 핸드레일(10)의 개폐 가능한 부분을 사람이 직접 열쇠로 열어야 하기에 그 열쇠가 없으면 무용지물이 되고, 핸드레일(10)의 개폐 가능한 부분으로 승객들이 이동해야 하기에 선박(1)이 많이 기울어져 있는 상태라면, 그 곳까지 이동이 쉽지 않아 인명 피해가 커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80777호 (2011.07.13.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2013-0115505호 (2013.10.22.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 개폐할 수 있는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은, 박의 갑판에 설치된 핸드레일(Hand Rail)에 위치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상기 핸드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락킹부; 및 상기 선박의 비상 상황시 발생하는 비상 신호에 따라 상기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핸드레일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각 도어부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평 바 및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 폴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갑판의 외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펼쳐져 개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수평 바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개폐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제어부의 고정해제 신호에 의해 하단이 언록되는 수직 폴의 내부에 구명 로프를 구비하며, 상기 구명 로프는, 말단에 리드선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고정시킨 경우, 상기 도어부의 고정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스피커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고정해제시키는 비상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상 상황 시 신속하게 핸드레일을 개폐할 수 있어, 승객들이 쉽고 빠르게 탈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에 설치된 핸드레일(Handrail)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도어부가 상하로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도어부가 외측으로 90도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도어부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구명 로프를 구비한 핸드레일 및 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은, 선박 등의 갑판에 설치되는 핸드레일(Hand Rail, 10)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door)를 배치하여 비상시 승객들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은, 선박의 갑판에 설치된 핸드레일(10)에 위치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부(110), 상기 도어부(110)를 상기 핸드레일(1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락킹부(120), 및 상기 선박의 비상 상황시 발생하는 비상 신호에 따라 상기 락킹부(120)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110)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은, 도어부(110)의 고정 상태 또는 고정해제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부(140), 도어부(110)를 강제로 고정해제시키는 비상 입력부(150), 및 비상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하는 경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부(110)는 선박의 갑판에 설치된 핸드레일(10)에 위치하는 개폐 가능한 문(door)의 역할을 하는 곳으로, 핸드레일(10)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핸드레일(10)의 곳곳에 도어부(110)에 배치되어 비상시 승객들이 보다 쉽게 빠른 시간에 탈출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부(110)는 핸드레일(10)과 다른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도어부(110)는 핸드레일(10)과 동일한 구조로 배치될 것이다. 즉, 각 도어부(110)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평 바(110B) 및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 폴(110P)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도어부(110)는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타입으로 개폐될 수 있다. 슬라이딩 방식의 핸드레일(10)의 도어부(110)가 평상시에는 승객 및 물건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락킹부(120)에 의해 잠겨 있다가 비상 시에 락킹부(120)와 언록(unlock), 즉 고정이 해제되어 열릴 수 있게 된다. 고정해제 상태에서는 도어부(110)를 승객이 작은 힘으로 쉽게 열 수 있도록 설계되며, 도어부(110)가 비상 시에 자동으로 열리거나 원격에서 열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즉 도어부(110)의 개폐는 매뉴얼(manual) 타입, 리모트 매뉴얼(remote manual) 타입 또는 오토매틱(automatic) 타입 등 여러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뉴얼 타입에서는 고정해제 상태에서 승객 등이 도어부(110)를 작은 힘으로 열 수 있고, 리모트 매뉴얼 타입에서는 원격으로 버튼 등을 눌러 언록 상태의 도어부(110)를 열 수 있으며, 오토매틱 타입에서는 도어부(110)의 고정해제 상태 시 자동으로 도어부(110)가 열리도록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타입 외에 다른 여러 타입으로 도어부(110)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도어부가 상하로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도어부가 외측으로 90도 회전하여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도어부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개폐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부(110)는 슬라이딩 방식의 미닫이 타입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도어부(110)는 수평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부(112)는 수직 방향으로 개폐될 수 있다. 즉, 락킹부(122)가 고정해제 상태, 즉 언록되면, 도어부(112)가 아래 방향으로 움직여 핸드레일(10)이 열리고, 열린 공간으로 비상 시 승객 및 승무원이 탈출하게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어부(114)는 선박의 갑판의 외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펼쳐져 개폐될 수 있다. 즉, 락킹부(124)가 고정해제 상태가 되면, 도어부(114)가 선박의 바깥 방향으로 움직여 핸드레일(10)이 열리고, 그 공간으로 비상 시 승객 및 승무원이 탈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어부(118)는 도어부(118)의 수평 바(118B)가 텔레스코픽(telescopic)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수평 바(118B)에는 소정 간격으로 스위치(S)가 배치되어 스위치(S)를 누를 때마다 도어부(118)의 수평 바(118B)의 각 부분이 이동하여 도어부(118)가 열리게 된다.
락킹부(120)는 도어부(110)를 록(lock)/언록(unlock)시키는 자물쇠 역할을 한다. 이에, 락킹부(120)에 의해 도어부(110)가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락킹부(12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어 고정 또는 고정해제될 수 있다. 락킹부(120)는 평상시에는 동작하지 않다가 선박에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생성되는 비상 신호와 연동되어 도어부(110)를 고정해제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선박이 좌초되는 경우, 선박에는 알람(alarm)이 울리게 되고, 이러한 알람은 비상 신호로서 락킹부(120)와 interlock되며, 알람 발생 시 락킹부(120)가 도어부(110)로부터 고정해제되어 도어부(110)를 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언록, 즉 고정해제 상태는 도어부(110)의 주변에 배치되는 안내부(140)로 승객 등에게 즉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락킹부(120)가 도어부(110)와 고정해제 상태인 경우, 승객 등이 도어부(110)를 손으로 열거나 선박의 조종실에서 원격으로 열 수 있다. 또한, 도어부(110)의 근처에 설치된 버튼(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열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비상 신호에 따라 락킹부(120)를 제어하여 도어부(110)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 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130)는 비상 신호와 락킹부(120)를 인터락(interlock)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선박이 좌초되는 경우, 선박에는 알람(alarm)이 울리게 되고, 제어부(130)가 락킹부(120)를 도어부(110)와 고정해제 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락킹부(120)를 도어부(110)와 고정해제 상태로 하는 고정해제 신호로 도어부(110)의 하단이 언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에서 구명 로프를 구비한 핸드레일 및 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핸드레일(10)은 제어부(130)의 고정해제 신호에 의해 하단이 고정해제되는 수직 폴(116)의 내부에 구명 로프(R)를 구비하며, 상기 구명 로프(R)는 말단에 리드선(L)이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구명 로프(R)는 핸드레일(10)을 구성하는 수직 폴(116)의 내부에 설치되며, 비상 신호에 의해 제어부(130)가 락킹부(120)를 제어하여 도어부(110)를 고정해제 상태로 할 때, 상기 수직 폴(116)의 하단도 핸드 레일(10)의 락킹부(126)와 고정해제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수직 폴(116)의 하단이 잠금에서 해제되고 핸드레일(10)에서 분리 가능하며, 리드선(L)을 당겨 분리된 수직 폴(116)의 내부에 구명 로프(R)를 빼 내어 사용할 수 있다. 구명 로프(R)의 길이는 선박의 갑판에서 선박의 최하부까지 닿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140)는 도어부(110)의 고정해제 상태를 승객 및 승무원 등에게 알리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안내부(140)는 도어부(110)의 근처에 설치되며, 선박의 여러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부(140)는 스피커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청각으로 승객 등에게 알리는 것이 바람직하나, 시각적 표시, 진동 등 여러 다른 수단으로 승객 등에게 도어부(110)가 고정 상태인지 고정해제 상태인지 그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비상 입력부(150)는 도어부(110)를 강제로 고정해제 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어부(110)가 비상 시 언록된 경우, 승객 등이 도어부(110)를 수동으로 열거나 원격으로 조종실에서 버튼을 눌러 열 수 있다. 또한, 비상 신호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도어부(110)가 열릴 수도 있다. 그런데, 도어부(110)가 열리지 않거나 안내부(140)가 동작하지 아니한 경우, 인터페이스되는 계통의 오류, 연결 전선의 단락 등, 예기치 못한 고장이 발생하는 상황을 대비하여 비상 입력부(150)를 설치하여 강제로 도어부(110)를 개폐시키도록 한다.
경고부(160)는 비상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경고부(160)는 선박에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하여 선박을 포기해야 할 경우, 알람 등을 발생시키게 된다. 경고부(160)에서 비상 신호가 발생되면, 제어부(130)가 락킹부(120)를 제어하여 도어부(110)를 고정해제 상태로 만들게 된다. 도어부(110)가 락킹부(120)에서 언록되면, 즉 고정해제 상태가 되면, 승객 등이 도어부(110)를 열거나 원격으로 조정하여 도어부(110)를 열 수 있으며, 또는 자동으로 도어부(110)가 열릴 수도 있다. 비상 시에도 도어부(110)가 고정해제 상태로 되지 않거나 열리지 않는다면, 비상 입력부(150)에 의해 도어부(110)를 강제로 고정해제 시키거나 열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도어부 120: 락킹부
130: 제어부 140: 안내부
150: 비상 입력부 160: 경고부

Claims (9)

  1. 선박의 갑판에 설치된 핸드레일(Hand Rail)에 위치하는 개폐 가능한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상기 핸드레일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락킹부; 및
    상기 선박의 비상 상황시 발생하는 비상 신호에 따라 상기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핸드레일은 상기 제어부의 고정해제 신호에 의해 하단이 언록되는 수직 폴의 내부에 구명 로프를 구비하는,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핸드레일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되며,
    각 도어부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평 바 및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수직 폴을 구비하는,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의 방향으로 개폐 가능한,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갑판의 외측으로 90도 회전하여 펼쳐져 개폐 가능한,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수평 바가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명 로프는, 말단에 리드선이 연결되는,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락킹부를 제어하여 상기 도어부를 고정시킨 경우, 상기 도어부의 고정 상태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신호를 생성하여 경고하는 경고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를 강제로 고정해제시키는 비상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KR1020140128358A 2014-09-25 2014-09-25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KR10163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358A KR101635083B1 (ko) 2014-09-25 2014-09-25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8358A KR101635083B1 (ko) 2014-09-25 2014-09-25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306A KR20160036306A (ko) 2016-04-04
KR101635083B1 true KR101635083B1 (ko) 2016-06-30

Family

ID=55799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8358A KR101635083B1 (ko) 2014-09-25 2014-09-25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0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867A (ja) * 2005-09-09 2007-03-22 Kayaba System Machinery Kk 伸縮式保護手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324B1 (en) * 1993-07-15 1996-07-18 Daewoo Electronics Co Ltd Balustrades safe system
KR20050118584A (ko) * 2004-06-14 2005-12-19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 역사내 비상도어용 고정펜스
KR20110080777A (ko) 2010-01-07 2011-07-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핸드레일 유닛을 포함하는 선박
KR20130075171A (ko) *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출입문 구조
KR20130115505A (ko) 2012-04-12 2013-10-22 김종헌 선박 건조용 안전 난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9867A (ja) * 2005-09-09 2007-03-22 Kayaba System Machinery Kk 伸縮式保護手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306A (ko) 201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8627A1 (en) Elevator escape arrangement
US20150314991A1 (en) Elevator with maintenance opening in the car floor
JP6971022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移動の制御方法、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111130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5554154B2 (ja) エレベータ遠隔操作の制御システム
US20180162692A1 (en) Elevator safety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vator system
JP2009149413A (ja) エレベーター異常・故障時制御システム
NL2009524C2 (en) A suspendable vehicle.
JP2011032028A (ja) エレベータ安全装置
JP201203592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災害時の運転方法
JP2008120555A (ja) エレベータの脱出装置
KR101635083B1 (ko) 핸드레일의 개폐 시스템
JP2007246230A (ja) エレベータの救出システム
US11292696B2 (en) Elevator car
KR200490360Y1 (ko) 회동 가능한 난간
KR20150000953U (ko) 선박용 해치 유닛
KR101561080B1 (ko) 엘리베이터용 비상 탈출 시스템
JP2008156017A (ja) エレベータ付き建物
JP2008230782A (ja) エレベータ
JP2012206672A (ja) 船舶の侵入防止構造
JP5992042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天井装置
JP200410702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8893439B2 (en) Building
JP6537539B2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8068945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